KR102295603B1 -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603B1
KR102295603B1 KR1020200076932A KR20200076932A KR102295603B1 KR 102295603 B1 KR102295603 B1 KR 102295603B1 KR 1020200076932 A KR1020200076932 A KR 1020200076932A KR 20200076932 A KR20200076932 A KR 20200076932A KR 102295603 B1 KR102295603 B1 KR 10229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unit
bracket
control uni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수
Original Assignee
강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수 filed Critical 강기수
Priority to KR102020007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01Mechanical components or aspects of steer-by-wi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main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01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control systems
    • B62D11/006Mechanical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작업환경에 따라 가변저항 조절방식 전기운반차의 운행 특성과 조향 특성이 달라질 때 사용자가 임의로 조향핸들의 조정감도를 조절하여 과도한 조향작동에 따른 센서 파손 및 급격한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 증대시킬 수 있는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운반적재유닛을 구비한 재배시설용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는, 상기 회전축봉의 하측 중심에 가변저항 측정 보륨센서의 파손방지를 위한 회전각도제어유닛와 조정감도유닛을 구비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각도제어유닛과 조정감도유닛을 구비하여 작업효율성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회전각도제어유닛은 가변저항 조절방식 보륨센서의 조향핸들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The Adjustable Steering wheel rotation texture structure of confined spaces carrying portable small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운반차용 가변저항 조절방식 조향핸들의 조정감도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환경에 따라 전기모터의 가변저항 조절방식 전기운반차의 운행 특성과 조향 특성이 달라질 때 사용자가 임의로 조향핸들의 조정감도를 조절하여 과도한 조향작동에 따른 보륨센서 파손 및 급격한 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 증대시킬 수 있는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장, 농장, 일반도로 및 재배시설에서 소형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협소 공간 이동용 소형 전기운반차를 사용한다.
상기 전기운반차는 자체 내장된 밧데리 및 각종부품들이 설치된 몸체유닛의 양측에는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시켜 이동시키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 타입형 이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조향방향을 가변저항 조절방식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하면 전기모터에 의해 상기 이동유닛의 진행방향 통제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진행방향 제어유닛의 전측에는 적재함을 편 측으로 덤프되거나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적재유닛을 통상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에는 이동유닛의 진행방향과 속도를 조절함은 물론 진행방향에 조향을 작업자가 가변저항 조절방식에 의해 수동으로 조향제어하면서 상기 전기운반차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유닛 전기모터에 적용되는 가변저항 조절방식 조향핸들은 별도로 설치되는 가변저항 조절방식의 보륨센서를 필수적으로 구성하게 되고 상기 보륨센서에 의해 상기 몸체유닛에 구비된 전기모터와 이와 연결된 동력수단(미도시)을 상호유기적으로 컨트롤러 제어에 의해 이동유닛의 바퀴 또는 무한궤도의 방향을 조절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데 작업환경에 따라 농지 또는 굴곡이 있는 농로 또는 비포장 된 노면 등 다양한 작업환경에 의해 조향핸들의 조향감도가 민감하거나 또는 둔해져 사용자가 수시로 모니터링 하면서 안전사고와 조향제어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운반차의 조향관련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45889호(공개일자: 1999.12.06)에서는 “핸들부(10)의 핸들축(11) 하단에 차륜(12)과 바닥판(13)의 저면 양쪽으로 구비된 차륜(14)(14')이 스위치(SW)의 "온 " " 오프 " 조작에 따라 감속모우터(M)의 구동력이 밋션부(20)내의 차동기어 케이스(24)에서 차륜축(21)(21')으로 전달되어지도록 한 운반차(15)에 있어서 상기 감속모우터(M)의 헬리컬기어(22)와 맛물려 회전하는 클러축기어(23)의 헬리컬기어(22')에 의해 구동력이 변속기어(23')와 치합된 차동기어 케이스(24)의 디퍼렌셜기어(25)로 부터 이의 내부로 치합 구성되어있는 디퍼렌셜헬리컬기어(26)(26')에서 각각의 차륜축(14)(14') 헬리컬기어(21a)(21a')로 전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의 동력전달 방법”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37926호(공개일자: 2011.05.30)에서는 “전기 모터의 작동으로 양쪽 일측에 위치한 조향 휠의 회전으로 조향되고, 양쪽 타측에 주행축으로 연결된 주행휠의 구동에 의해 주행하는 소형 전기 승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형 전기 승용 운반차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으며, 안쪽에 차체 공간을 가지고, 양쪽 일측에 조향 휠이 위치하며, 양쪽 타측에 주행 휠이 위치한 차체 몸체, 상기 차체 몸체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으로 돌출된 핸들축을 가지고, 주행되는 방향이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조향 핸들,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안쪽에서 상기 핸들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 피니언 기어체,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조향 피니언 기어체와 치차결합되어 회전 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양쪽 위치에 이동되는 방향과 이동량이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조향 래크 기어체, 상기 조향 래크 기어체와 상기 조향 휠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피니언 기어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조향 래크 기어차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조향 휠이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시키는 조향 구동 장치, 상기 조향 구동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위치한 상기 조향 휠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조향 휠의 구동 각도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시키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차체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와 상기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주행되는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속도 조절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 장치는, 상기 조향 구동 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 휠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조향 회전 몸체, 상기 조향 회전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 지지 몸체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향 회전 몸체와 함께 회전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구동 감지 돌기, 상기 구동 감지 돌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감지 돌기가 회전되는 반경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향 지지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 감지 몸체, 상기 구동 감지 몸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감지 돌기의 회전되는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장치에 송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감지 센서, 그리고 상기 구동 감지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감지 돌기가 회전되는 반경의 양끝 위치에 설치되어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속도 조절 장치에 송신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정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감지 돌기는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상기 조향 휠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상기 조향회전 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감지 센서에서 단계별로 회전 위치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연결된 상기 속도 조절 장치에서 속도를 조절시킬 수 있고, 상기 정지 센서는 상기 조향 핸들의 조작으로 회전되는 상기 조향 휠이 회전되어 조향되는 최대 각도 위치에 설치되어 그 각도를 벗어나면 상기 속도 조절 장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소형 전기 승용 운반차”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28422호(공개일자: 2013.11.14)에서는 “전기 모터의 작동으로 후륜 양쪽 일측에 주행축으로 연결된 주행휠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 양쪽 타측에 위치한 보조휠에 의해 적재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전륜 중앙에 위치한 휠의 회전에 의해 조향되는 전기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전기 운반차의 하부를 지지하고, 앞쪽에 차체 공간(102)을 가지고, 전방 양측에 2개의 구동휠(111a, 111b)이 위치하며, 후방 양측에 2개의 보조휠(112a, 112b)이 위치하고, 전륜 중앙에 조향휠(113)이 위치한 차체 몸체(101); 상기 차체 몸체(101)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차체 공간(102)으로 돌출된 핸들축(121)이 구비되고, 차체
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조향 핸들(122);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 공간(102)의 안쪽에서 상기 핸들축(121)에 결합되어 상기 조향핸들(122)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조향 구동 기어(123); 상기 차체 몸체(10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 공간(102)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연결되어 기어 비에 따라 회전 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하는 조향 기어(124);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와 상기 조향 기어를(124)를 연결하고 상기 조향 구동기어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25); 상기 조향 핸들(122)과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조향 핸들(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구동 기어(123)를 회전시키는 조향 구동 장치(126); 상기 조향 기어(124)와 연결되어 있어 조향휠(113)을 고정, 지지하는 조향 포크(127); 상기 차체 몸체(101) 하단에 위치하며 2개의 보조휠(112a, 112b)을 연결하여 차체의 하중을 지지 분산하며, 적재 하중을 증가시키고, 좌우 보조휠의 높이를 조절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틸팅 장치(131); 상기 차체 몸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211)에 연결되어 있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212); 상기 전기 모터(2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 모터에서 회전하는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 장치(213); 및 상기 전기 모터(211)와 상기 배터리(212)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모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주행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장치(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운반차”가 있고,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679호(공개일자: 2008.02.29)에서는 “판형태의 전후·좌우측커버(12)가 힌지(12a)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대응하는 가장자리부에 고리(12b)와 고리핀(12c)이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조립시 상부가 개방된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적재부(10); 상기 적재부(10)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박스(50)의 제1구동축(22a)상에 설치되는 후륜바퀴(22)와, 후륜바퀴(22)의 제1구동축(22a)에 베벨기어(B1)와 연결축(23)을 통하여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구 동축(24a)상에 전륜바퀴(24)가 구비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의 전륜바퀴(24)는 제2구동축(24a)상에 유니버설조인트(32)로 연결되면서 일단에 암(34)이 지지축(36)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로드(35)와 링크결합되고, 지지축(36)은 선단부에 구비되는 제1조향판(36a)을 통하여 조향핸들(38)의 제2조향판(38a)과 양단이 연결봉(39)으로 링크결합되는 조향부(30); 상기 조향부(30)의 조향핸들(38)상에 설치되어 구동부(20)의 모터(M)로 인가되는 배터리(T)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42)와, 모터(M)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전후이송레버(44)와, 버튼(46a)의 조작으로 모터(M) 출력을 순간적으로 향상시키는 터보수단(46)이 구비되는 제어박스(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안정도가 유지되는 4륜구동 운반차”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운반차에 관련된 조향관련 기술내용들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45889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에서 핸들축을 통해 차륜에 직접 연결된 축봉형태의 의해 조향이 조절되도록 구비하고 있고,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679호에서는 제어부에서 상기 모터의 축회전 작동을 제어하여 방향을 조향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있으나, 핸들과 직접적 연결에서 험로 및 굴곡이 지는 작업환경에서는 주변 바닥 환경에 따라 핸들부의 조향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속도가 붙은 상태에서는 급격한 핸들부 조작에 의해 적재물이 넘어지거나 안전사고위험이 발생될 수 있어 외부환경에도 견고히 조향이 민감한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다.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66544호에서는 조향부를 통해 구비되는 조향핸들 중심 하측으로 핸들축이 연결되어 그 양측에 조향래크 기어체와 조향링크에 의해 바퀴가 조향되도록 구비하고 있으나, 조향핸들에 대한 바닥환경에 따라 과도한 핸들조향이 발생될 있는 문제점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핸들구성에 많은 생산비용과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상에 많은 안전사고 문제점이 있다.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28422호에서는 후륜 구동형 전기 운반차에 있어서, 전륜조향 구조가 간편하며 조향이 쉽고, 틸팅 기능이 적용된 보조휠의 추가로 중량물이 적재 가능하며, 노면의 상태에 관계없이 구동휠, 보조휠 및 좌우 휠에 대한 접지력이 같아지도록 한 전기 운반차를 구비하고 있으나, 조향이 민감해져 이에 대한 감쇠 조절기능은 없어 평지 외에 험로 및 굴곡지형에서는 조작이 민감한 문제점이 있고, 사용중에 미세한 컨트롤을 감쇠시킬 수 없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으며, 조향구조가 복잡해져 제조단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국내 등륵특허공보 제10-0345889호(공개일자: 1999.12.06)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37926호(공개일자: 2011.05.3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28422호(공개일자: 2013.10.22)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679호(공개일자: 2008.02.20)
없음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궤도 또는 바퀴 형태의 적재용 운반차에 이동동력을 위한 전기모터를 보륨센서에 의해 가변조절 방식에 의해 제어되는 조향핸들에 회전각도제어유닛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조행핸들의 과도한 핸들에도 보륨센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조향핸들을 작업환경에 맞게 선택적으로 안전하게 조향핸들의 조정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민첩하게 사용자가 조향핸들의 조정감도 및 과도한 핸들조작에도 센서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재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체 내장된 밧데리 및 각종부품들이 메인프레임에 고정설치된 몸체유닛의 양측에는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시켜 이동시키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 타입형 이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이동방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에 컨트롤러 고정용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되, 그 후측에는 보조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외측 중심에는 전기모터의 속도조절 및 좌우 감도 조절용 손잡이가 양측에 구비된 가변저항 조절방식의 조향핸들이 베어링의 중심에 설치되는 수직으로 연결된 회전축봉을 구비하는 진행방향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방향 제어유닛의 전측에는 적재함을 편 측으로 덤프되거나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적재유닛을 구비한 재배시설용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는 상기 회전축봉의 하측 중심에 가변저항 측정 보륨센서의 파손방지를 위한 회전각도제어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축봉의 외면에는 상용자가 임의로 마찰을 발생시켜 마찰에 의한 상기 조향핸들의 조정감도를 변화시키는 조정감도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각도제어유닛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편 측 중앙에는 “ㄴ”형 고정설치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고정설치브라켓의 상측에는 좌·우 경사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수직으로 회전반경제한판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반경제한판의 내측 고정설치브라켓의 중심에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에는 베어링이 삽설된 고정회전블럭이 융착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블럭의 중심에는 센서연결 축봉이 축삽고정되되, 그 상측에 고정판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의 상측에는 회전축봉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의 외면에는 수평으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에는 회전걸림볼트가 축삽되어 고정너트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설치브라켓의 하측에는 보륨센서가 구비된 센서브라켓이 상기 장공홈에 체결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보륨센서의 중심축이 상기 센서연결축봉에 삽입되어 고정볼트에 체결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조정감도유닛은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측 편 측에 “ㄴ”형 꺽임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의 편측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조절볼트이 나사결합되어 그 편 측에 조절판을 구비하되, 그 중심에 이탈방지핀을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핀에는 철사 또는 밴드형태의 조절형 원형마찰밴드를 구비하되, 그 조절형 원형마찰밴드의 편 측에는 걸림핀과 걸림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핀은 꺽임브라켓에 끼움되되,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조절판의 전 측에 끼움되도록 구비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각도제어유닛과 조정감도유닛을 구비하여 전기모터의 진행 작업효율성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회전각도제어유닛은 가변저항 조절방식 보륨센서의 조향핸들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하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험로 및 굴곡이 지는 작업환경에서도 주변환경 영향 없이 핸들부의 조향이 원활하게 조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운반차의 속도가 있는 상태에서도 급격한 핸들 조작에도 적재물이 넘어지거나 안전사고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럽게 조향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며, 또, 상기 회전각도제어유닛과 조정감도유닛의 구조를 간편화시켜 생산비용 및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그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운반차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각도제어유닛과 조정감도유닛의 측단면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각도제어유닛과 조정감도유닛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각도제어유닛과 조정감도유닛 분해 조립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각도제어유닛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정감도유닛의 분해조립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조정감도유닛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임.
본 발명의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 내장된 밧데리 및 각종부품들이 메인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몸체유닛(2)의 양측에는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시켜 이동시키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 타입형 이동유닛(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1)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이동방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에 컨트롤러(C) 고정용 고정브라켓(10-1)을 구비하되, 그 후측에는 보조프레임(10-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라켓(10-1)의 외측 중심에는 전기모터의 속도조절 및 좌우 감도 조절용 손잡이가 양측에 구비된 가변저항 조절방식의 조향핸들(301)이 베어링(301-1)(301-2)의 중심에 설치되는 수직으로 연결된 회전축봉(302)을 구비하는 진행방향 제어유닛(3)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방향 제어유닛(3)의 전측에는 적재함을 편 측으로 덤프되거나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적재유닛(4)을 구비한 재배시설용 운반차(A)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에는,
상기 회전축봉(302)의 하측 중심에 가변저항 측정 보륨센서(S)의 파손방지를 위한 회전각도제어유닛(320)을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봉(302)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마찰을 발생시켜 마찰에 의한 상기 조향핸들(301)의 조정감도를 변화시키는 조정감도유닛(350)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각도제어유닛(320)은,
상기 고정브라켓(10-1)의 편 측 중앙에는 “ㄴ”형 고정설치브라켓(32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의 상측에는 좌·우 경사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수직으로 회전반경제한판(322)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반경제한판(322)의 내측 고정설치브라켓(321)의 중심에는 통공(325)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325)에는 베어링(301-2)이 삽설된 고정회전블럭(342)이 융착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블럭(342)의 중심에는 센서연결 축봉(343)이 축삽고정되되, 그 상측에 고정판(341)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41)의 상측에는 회전축봉(302)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302)의 외면에는 수평으로 관통구멍(302-3)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302-3)에는 회전걸림볼트(302-1)이 축삽되어 고정너트(302-2)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의 하측에는 보륨센서(S)가 구비된 센서브라켓(330)이 상기 장공홈(323)에 체결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보륨센서(S)의 중심축이 상기 센서연결축봉(343)에 삽입되어 고정볼트(344)에 체결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감도유닛(350)은,
상기 보조프레임(10-2)의 내측 편 측에 “ㄴ”형 꺽임브라켓(354)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354)의 편 측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조절볼트(353)이 나사결합되어 그 편 측에 조절판(353a)을 구비하되, 그 중심에 이탈방지핀(353b)을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핀(353b)에는 철사 또는 밴드형태의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를 구비하되, 그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의 편 측에는 걸림핀(355-1)과 걸림고리(355-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핀(355-1)은 꺽임브라켓(354)에 끼움 되되, 상기 걸림고리(355-2)는 상기 조절판(353a)의 전 측에 끼움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의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유닛(2)의 후측 전·후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0) 사이에는 고정브라켓(10-1)을 설치한 상태에서 그 중심 편 측 외면에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고정설치브라켓(321)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을 포함하는 제어유닛(3)은 상측에 설치된 조향핸들(301)의 중심 상하측 회전축봉(302)이 베어링(301-1)(301-2)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회전축봉(3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한 정·역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회전각도제어유닛(320)에 의해 상기 보륨센서(S)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보륨센서(S)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꺾임 형태의 고정설치브라켓(321)의 하측 양측 장공홈(323)에 체결고정되는 센서브라켓(330)을 구비하여, 그 중앙에 보륨센서(S)를 설치한 다음 상기 보륨센서의 상부측 축봉이 상기 센서연결축봉(343)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볼트(344)에 의해 체결고정되어 일체로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회전축봉(302)은 고정설치브라켓(321)의 꺾임 면의 내측으로는 임의각도로 경사진 형태의 양측 회전반경제한판(322)의 범위내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봉(302)은 관통구멍(302-3)에 삽입된 회전걸림볼트(302-1)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너트(302-2)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봉(302)에 축삽 된 회전걸림볼트(302-1)는 작동중에 상기 회전반경제한판(322)에 의해 과도한 작동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작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의 중심에 통공(325)에는 상기 회전축봉(302)의 내구성 있도록 체결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봉(302)의 하중 중심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고정판(3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41)의 중심에는 센서연결축봉(343)을 축삽고정시켜 상기 회전축봉(302)와 동일하게 정·역회전에 따라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센서연결축봉(343)의 외주면에는 베어링(301-2)에 축삽된 고정회전블럭(342)이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의 통공(325)에 융착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조향핸들(301)의 조향제어시 하부 회전축봉(302)의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3 내지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감도유닛(350)은 조향핸들(301)의 좌·우 조향시 상기 회전축봉(302)에 정·역회전력이 전달되고 이때 회전에 따라 상기 조향 방향이 달라지게된다.
특히 과도한 굴곡 및 험지에서 정상적인 직선운행이 불가할 경우 바닥면의 지형에 따라 상기 조향핸들(301)의 조향각도가 임의로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인 사용자 조작제어가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10-2)의 내측 편 측에 “ㄴ”형 꺽임브라켓(354)을 구비하여 그 외측에 연결홈(354a)에 상기 보조프레임(10-2)에 고정볼트로 체결고정되도록하고,
상기 연결홈(354a)의 반대 측 꺽임브라켓(354)에는 상기 회전축봉(30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철사 또는 밴드형태의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서 상기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를 조절하여 임의로 상기 회전축봉(302)의 외면을 감싸 마찰을 주어 조향핸들(301)이 바닥지형에 따라 상기 조향핸들(301)이 돌아가 운반차(A)의 원하는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는 편 측에 걸림 형태로 끼워지는 걸림고리(355-2)와 걸림핀(355-1)을 구비하여,
상기 걸리핀(355-1)은 상기 꺽임브라켓(354)의 수직 벽면에 끼움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작동하고,
그 외측에는 조절볼트(353)에 나사결합 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외측 끝단에 원형 조절판(353a)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고리(355-2)가 끼워져 상기 이탈방지핀(353b)에 의해 외부이탈 없이 상기 조절볼트(353)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상기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의 마찰 가압이 조절되도록 작동한다.
A: 운반차 C: 컨트롤러
S: 보륨센서 1: 이동유닛
2: 몸체유닛 3: 제어유닛
4: 운반적재유닛 10: 메인프레임
10-1: 고정브라켓 10-2: 보조프레임
301: 조향핸들 302: 회전축봉
301-1,301-2: 베어링 302-1: 회전걸림볼트
302-2: 고정너트 302-3: 관통구멍
320: 회전각도제어유닛 321: 고정설치브라켓
322: 회전반경제한판 325: 통공
341: 고정판 342: 고정회전블럭
343: 축봉 350: 조정감도유닛
353: 조절볼트 353a: 조절판
353b: 이탈방지핀 354: 꺽임브라켓
355: 원형마찰밴드 355-1: 걸림핀
355-2: 걸림고리

Claims (4)

  1. 자체 내장된 밧데리 및 각종부품들이 메인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몸체유닛(2)의 양측에는 모터의 동력을 인가받아 구동시켜 이동시키는 바퀴 또는 무한궤도 타입형 이동유닛(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1)의 후측에는 사용자가 이동방향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후단에 컨트롤러(C) 고정용 고정브라켓(10-1)을 구비하되, 그 후측에는 보조프레임(10-2)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라켓(10-1)의 외측 중심에는 전기모터의 속도조절 및 좌우 감도 조절용 손잡이가 양측에 구비된 가변저항 조절방식의 조향핸들(301)이 베어링(301-1)(301-2)의 중심에 설치되는 수직으로 연결된 회전축봉(302)을 구비하는 진행방향 제어유닛(3)을 구비하고, 상기 진행방향 제어유닛(3)의 전측에는 적재함을 편 측으로 덤프되거나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운반적재유닛(4)을 구비한 재배시설용 운반차(A)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에는 상기 회전축봉(302)의 하측 중심에 가변저항 측정 보륨센서(S)의 파손방지를 위한 회전각도제어유닛(320)을 구비한 것과,

    상기 회전축봉(302)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마찰을 발생시켜 마찰에 의한 상기 조향핸들(301)의 조정감도를 변화시키는 조정감도유닛(35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조정감도유닛(350)은 상기 보조프레임(10-2)의 내측 편 측에 “ㄴ”형 꺽임브라켓(354)을 구비하고, 상기 꺽임브라켓(354)의 편 측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조절볼트(353)이 나사결합되어 그 편 측에 조절판(353a)을 구비하되, 그 중심에 이탈방지핀(353b)을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핀(353b)에는 철사 또는 밴드형태의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를 구비하되, 그 조절형 원형마찰밴드(355)의 편 측에는 걸림핀(355-1)과 걸림고리(355-2)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핀(355-1)은 꺽임브라켓(354)에 끼움되되, 상기 걸림고리(355-2)는 상기 조절판(353a)의 전 측에 끼움 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제어유닛(320)은,
    상기 고정브라켓(10-1)의 편 측 중앙에는 “ㄴ”형 고정설치브라켓(32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의 상측에는 좌·우 경사각 대칭으로 형성하여 수직으로 회전반경제한판(322)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반경제한판(322)의 내측 고정설치브라켓(321)의 중심에는 통공(325)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325)에는 베어링(301-2)이 삽설된 고정회전블럭(342)이 융착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회전블럭(342)의 중심에는 센서연결 축봉(343)이 축삽고정되되, 그 상측에 고정판(341)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고정판(341)의 상측에는 회전축봉(302)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302)의 외면에는 수평으로 관통구멍(302-3)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302-3)에는 회전걸림볼트(302-1)가 축삽되어 고정너트(302-2)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고정설치브라켓(321)의 하측에는 보륨센서(S)가 구비된 센서브라켓(330)이 장공홈(323)에 체결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보륨센서(S)의 중심축이 상기 센서연결축봉(343)에 삽입되어 고정볼트(344)에 체결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200076932A 2020-06-24 2020-06-24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KR10229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932A KR102295603B1 (ko) 2020-06-24 2020-06-24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932A KR102295603B1 (ko) 2020-06-24 2020-06-24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603B1 true KR102295603B1 (ko) 2021-08-31

Family

ID=7748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932A KR102295603B1 (ko) 2020-06-24 2020-06-24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60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458U (ko) * 1994-06-13 1996-01-19 조향축의 회전력제어장치
JP2001080531A (ja) * 1999-09-17 2001-03-27 Koyo Seiko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JP2002002511A (ja) * 2000-06-26 2002-01-09 Koyo Seiko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KR100345889B1 (ko) 1999-08-26 2002-07-27 박명옥 운반차의 동력전달방법 및 차동장치
KR200438679Y1 (ko) 2007-01-25 2008-02-29 근우테크 주식회사 운전 안정도가 유지되는 4륜구동 운반차
KR101037926B1 (ko) 2010-12-02 2011-05-30 (주) 파루 소형 전기 승용 운반차
KR101328422B1 (ko) 2012-04-12 2013-11-14 (주)엠피에스코리아 전기 운반차
KR20160046674A (ko) * 2014-10-21 2016-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모터 구동 장치
KR101620221B1 (ko) * 2014-11-20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1823B1 (ko) * 2017-07-27 2017-11-01 장진만 조향장치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458U (ko) * 1994-06-13 1996-01-19 조향축의 회전력제어장치
KR100345889B1 (ko) 1999-08-26 2002-07-27 박명옥 운반차의 동력전달방법 및 차동장치
JP2001080531A (ja) * 1999-09-17 2001-03-27 Koyo Seiko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JP2002002511A (ja) * 2000-06-26 2002-01-09 Koyo Seiko Co Ltd 車両用操舵装置
KR200438679Y1 (ko) 2007-01-25 2008-02-29 근우테크 주식회사 운전 안정도가 유지되는 4륜구동 운반차
KR101037926B1 (ko) 2010-12-02 2011-05-30 (주) 파루 소형 전기 승용 운반차
KR101328422B1 (ko) 2012-04-12 2013-11-14 (주)엠피에스코리아 전기 운반차
KR20160046674A (ko) * 2014-10-21 2016-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모터 구동 장치
KR101620221B1 (ko) * 2014-11-20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91823B1 (ko) * 2017-07-27 2017-11-01 장진만 조향장치를 갖는 농업용 작업 및 운반 차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523B1 (en) Steering method for a trailing section of an articulated vehicle
JP4680470B2 (ja) 旋回半径が低減された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US7347293B1 (en) Work vehicle
EP0625478A1 (en) Reach type fork lift
US20060207822A1 (en) Differential steering application for trailer spotter vehicles
EP1350754B1 (en) Working vehicle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KR200453381Y1 (ko) 동력원 및 제동장치가 직설된 차동기어유니트를 이용한 4륜구동 운반차
KR102295603B1 (ko) 협소 공간 이동용 가변저항 방식 소형 전기운반차의 조향핸들 조정감도 조절구조
JPH0477609U (ko)
US20020005302A1 (en) Working vehicle
EP2370341B1 (en) Articulated vehicles
EP0712805B1 (en) Reach forklift
ITMO990019A1 (it) Gruppo sterzante per mezzi di trasporto.
IT8953409U1 (it) Dispositivo di misura dell' angolo di sterzatura per sistemi elettro nici e controllo dei differenziali e della doppia trazione di un trattore
KR101334304B1 (ko)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KR101528707B1 (ko) 중량표시부와 가스스프링이 구비된 동력운반차
US4754837A (en) Lift truck steering apparatus
KR20170127614A (ko)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견인 전동차
KR101287894B1 (ko) 트랙터의 조향 장치
JP2004299615A (ja) 作業車両の牽引装置およびその牽引方法
EP3891057B1 (en) Self-balancing tilting vehicle with tilting lock
CN217350606U (zh) 一种全轮电子转向车辆底盘及后双驱全向平衡重式叉车
KR20230000630U (ko) 가변저항 방식을 이용한 바퀴형 전기운반차의 조향축 볼륨센서 중립조절 구조
US2202650A (en) Universally movable transport vehicle
JPH04328013A (ja) 不整地移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