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217A - 트레일러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217A
KR20180075217A KR1020160179306A KR20160179306A KR20180075217A KR 20180075217 A KR20180075217 A KR 20180075217A KR 1020160179306 A KR1020160179306 A KR 1020160179306A KR 20160179306 A KR20160179306 A KR 20160179306A KR 20180075217 A KR20180075217 A KR 2018007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ller
trailer
fra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273B1 (ko
Inventor
배종윤
김무근
Original Assignee
(주)오토일렉스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일렉스,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오토일렉스
Priority to KR102016017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9/00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 B62D59/04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driven from propulsion unit on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20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 B60S9/21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 B60S9/215Power driven manoeuvring fittings, e.g. reciprocably driven steppers or rotatably driven cams comprising a rotatably driven auxiliary wheel or endless track, e.g. driven by ground wheel driven by an auxiliary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고, 내부에 이송프레임(30)이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이송수단(20)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바퀴회전롤러(70)가 설치되어 트레일러(T)의 바퀴(W)의 회전시켜 트레일러(T)를 이동시키는 바퀴회전수단(62)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바퀴회전롤러(70)와 상기 바퀴(W)의 밀착거리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52);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일러에 차량을 연결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외부에서 트레일러 견인장치를 조작하여 트레일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번거로운 트레일러와 차량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트레일러의 이동시간이 단축되고, 트레일러의 조작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롤러이송수단의 내부에 압력조절부재가 설치되어 바퀴회전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바퀴회전롤러의 밀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퀴의 타이어압에 따라 자동으로 바퀴회전롤러의 밀착거리가 조절되어 보다 신속한 트레일러의 이동작업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일정한 밀착력이 유지되어 바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레일러 견인장치{Towing Devices For Trailers}
본 발명은 트레일러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퀴의 타이어압에 따라 바퀴와 밀착되는 바퀴회전롤러의 밀착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고, 바퀴회전롤러에 의해 트레일러의 바퀴가 회전되어 자동으로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트레일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 또는 트레일러는 차량 자체에 캠핑 가능한 공간을 구성한 일체형 캠핑카와 차량의 후미에 견인되는 캠핑용 트레일러를 일컫는다. 캠핑카는 차량의 이동성을 그대로 반영하여 이동 위치에 제한이 없으며, 이동 시간도 매우 신속하기 때문에 지역이 방대하면서도 숙박시설이 전체 면적에 비해 작은 미국, 중국, 유럽 등에서 인기가 많다.
캠핑용 트레일러는 하부에 트레일러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박스형의 트레일러 하우징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 하부에는 바퀴가 장착되어, 상기 바퀴는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 회전되는 종동바퀴이다.
트레일러용 견인장치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615882와 같이 차량의 차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레저 활동용, 화물 운송용 등의 각종 트레일러를 차량에 연결 후 견인을 필요에 따라 수행하도록 하면서, 견인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고한 고정성 및 차체 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트레일러용 견인장치에 대한 주,정차시에는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과 차량의 차체 프레임을 견인장치를 통해 연결하여 차량의 조작에 따라 트레일러에 대한 주,정차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견인장치를 통해 차량의 차체프레임과 트레일러의 지지프레임을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연결 작업에 따른 트레일러의 주,정차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트레일러의 주,정차가 이루어져야하므로 정확한 트레일러의 주,정차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61588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의 타이어압에 따라 바퀴와 밀착되는 바퀴회전롤러의 밀착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고, 바퀴회전롤러에 의해 트레일러의 바퀴가 회전되어 자동으로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트레일러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는, 트레일러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이송프레임이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이송수단과, 상기 롤러이송수단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바퀴회전롤러가 설치되어 트레일러의 바퀴의 회전시켜 트레일러를 이동시키는 바퀴회전수단과, 상기 롤러이송수단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와 상기 바퀴회전수단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롤러이송수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바퀴회전롤러와 상기 바퀴의 밀착거리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이송수단은, 상기 트레일러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지는 이송안내몸체부와, 상기 이송안내몸체부의 내부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안내몸체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기어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이송안내몸체부에 고정 설치되는 기어고정블럭과, 상기 기어고정블럭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스크류회전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스크류이송기어와, 상기 스크류이송기어의 일측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기어고정블럭에 고정 결합된 이송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어회전축과, 상기 기어고정블럭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이송가이드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측면에 상기 이송프레임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백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퀴회전수단은. 상기 이송프레임의 선단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프레임의 선단에 전후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전,후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전,후측을 차단하는 돌출프레임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의 좌우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퀴와 밀착되어 바퀴를 회전시키는 바퀴회전롤러와, 상기 바퀴회전롤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회전롤러의 정,역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부재은, 상기 기어설치공간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압력핀삽입홀의 내부에 설치되며,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설치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설치공간의 벽면으로 밀착되는 스크류이송기어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핀과, 상기 압력측정핀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이송기어가 밀착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압되는 상기 압력측정핀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부재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상기 바퀴회전롤러와 바퀴의 밀착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바퀴에 바퀴회전롤러가 밀착되고, 롤러회전부재에 의해 바퀴회전롤러가 회전되어 트레일러의 바퀴를 정,역 회전되어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트레일러의 주,정차시에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트레일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일러에 차량을 연결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외부에서 트레일러 견인장치를 조작하여 트레일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번거로운 트레일러와 차량의 연결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트레일러의 이동시간이 단축되고, 트레일러의 조작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롤러이송수단의 내부에 압력조절부재가 설치되어 바퀴회전롤러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바퀴회전롤러의 밀착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바퀴의 타이어압에 따라 자동으로 바퀴회전롤러의 밀착거리가 조절되어 보다 신속한 트레일러의 이동작업이 이루어질수 있으며, 일정한 밀착력이 유지되어 바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안내몸체부와 이송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회전롤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어고정블럭과 이송스크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어고정블럭과 이송스크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회전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회전롤러가 타이어 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회전롤러가 타이어 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가 트레일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는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각종 캠핑 기구 및 각종 집기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일러(T)의 하부에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1)이 설치되어 상기 트레일러(T)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는 차량이 연결되어 상기 트레일러(T)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의 양측에는 각각 바퀴(W)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W)는 구름운동되어 상기 트레일러(T)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 중 중앙에 설치된 지지프레임(1)의 양단에는 고정브라켓(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의 "└┘"자 형상을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프레임(1)의 양단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의 상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에 연결되고, 하단은 트레일러 견인장치(M)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은 상기 트레일러 견인장치(M)를 상기 지지프레임(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안내몸체부와 이송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회전롤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어고정블럭과 이송스크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어고정블럭과 이송스크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회전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회전롤러가 타이어 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퀴회전롤러가 타이어 측으로 이송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일러(T) 바퀴(W)의 일측에는 트레일러 견인장치(M)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일러 견인장치(M)는,트레일러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고, 내부에 이송프레임(30)이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이송수단(20)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바퀴회전롤러(70)가 설치되어 트레일러(T)의 바퀴(W)의 회전시켜 트레일러(T)를 이동시키는 바퀴회전수단(62)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바퀴회전롤러(70)와 상기 바퀴(W)의 밀착거리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가 중공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롤러이송수단(20)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은, 상기 트레일러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지는 이송안내몸체부(22)와,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부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프레임(30)과, 상기 이송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기어설치공간(38)이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에 고정 설치되는 기어고정블럭(34)과,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스크류회전가이드홀(42)이 형성되는 스크류이송기어(40)와,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일측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기어고정블럭(34)에 고정 결합된 이송모터(46)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어회전축(44)과,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이송가이드홀(48)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류(50)와, 상기 이송스크류(5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측면에 상기 이송프레임(30)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3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백커버부(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는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브라켓(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좌,우측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할 이송프레임(3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부에 후술할 이송프레임(30)이 장착되어,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후술할 이송프레임(30)이 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상,하측 내부에는 가이드레일(24)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4)은 도 4와 같이, 단면이 "└┘" 또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측 상,하단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4)은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측에 설치되어 후술할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전,후면측에는 고정나사홀(2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홀(26)은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전,후면 상,하측에 각각 원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홀(26)의 내부에는 블럭고정나사(28)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나사홀(26)의 내부에는 블럭고정나사(28)가 설치된다. 상기 블럭고정나사(28)는 일반적인 나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블럭고정나사(28)의 끝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홀(26)에 관통 삽입되며, 후술할 기어고정블럭(34)의 전,후면측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블럭고정나사(28)는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고정나사홀(26)을 통해 내측으로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기어고정블럭(3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에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부에는 이송프레임(30)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프레임(30)은 내부가 중공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30)은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바퀴회전수단(62)과 바퀴(W)의 밀착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측단에는 각각 후술할 롤러고정프레임(64)과 백커버부(6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송에 따라 후술할 롤러고정프레임(64)과 상기 백커버부(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전,후면에는 습동안내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습동안내홀(32)은, 도 6과 같이,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전,후면 상,하측에 각각 좌우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습동안내홀(32)의 내부에 상기 블럭고정나사(28)가 관통 삽입된다.
즉, 상기 습동안내홀(32)의 내부에 상기 블럭고정나사(28)가 관통 삽입됨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동시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에 후술할 기어고정블럭(34)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프레임(30)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습동안내홀(32)에 상기 블럭고정나사(28)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송이 안내된다.
상기 이송프레임(30)의 내부에는 기어고정블럭(34)이 설치된다.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전,후면에는 나사체결홀(36)에 형성된다. 상기 나사체결홀(36)의 내부에는 상기 블럭고정나사(28)가 체결되어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에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이 고정된다.
즉, 상기 이송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은 상기 블럭고정나사(28)에 의해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동시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프레임(30)만 좌우로 이동된다.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는 기어설치공간(38)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은 도 4와 같이,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우측 내부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내부에는 후술할 스크류이송기어(40)와 기어회전축(44)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내부에는 스크류이송기어(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는 일반적인 회전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는 원형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이송스크류회전가이드홀(42)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스크류회전가이드홀(42)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이송스크류(50)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관통 삽입된다.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는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내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기어회전축(44)과 치차 결합되고, 정,역회전되어 후술할 이송스크류(50)를 좌우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하부에는 기어회전축(44)이 치차 결합된다. 상기 기어회전축(44)은 일반적인 모터의 회전축으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와 치차 결합된다. 상기 기어회전축(44)은 후술할 이송모터(4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를 정,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우측면에는 이송모터(46)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모터(46)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모터(46)는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우측면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기어회전축(44)의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는 스크류이송가이드홀(48)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이송가이드홀(48)은, 도 4와 같이,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이송가이드홀(48)의 내부에는 후술할 이송스크류(50)가 좌우로 관통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5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이송스크류로 자세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상기 스크류회전가이드홀(42)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기어고정블럭(34)에 좌우로 관통 삽입된다. 상기 이송스크류(50)는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되며,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가 정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스크류(5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가 역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스크류(5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일측에는 압력조절부재(52)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부재(52)은,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압력핀삽입홀(54)의 내부에 설치되며,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벽면으로 밀착되는 스크류이송기어(40)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핀(56)과, 상기 압력측정핀(56)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가 밀착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압되는 상기 압력측정핀(56)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5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상단 측면에는 압력핀삽입홀(54)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핀삽입홀(54)은 원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할 압력측정핀(56)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압력핀삽입홀(54)의 내부에는 압력측정핀(56)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측정핀(56)은 일반적인 핀(Pin)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력측정핀(56)은, 도 8과 같이, 상기 압력핀삽입홀(54)의 내부에 설치되어, 좌측면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측면과 접촉된다. 상기 압력측정핀(56)은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우측면 측으로 밀착되고,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가압되어 후술할 압력측정부(58)에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이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측정핀(56)의 좌측면에는 압력측정부(58)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측정부(58)는 일반적인 로드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력측정부(58)는 상기 압력측정핀(56)의 우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압력측정핀(56)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압력측정핀(56)의 가압력을 측정한다.
즉,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이송스크류(5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는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우측벽면에 밀착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압력측정핀(56)에 일정한 가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측방향 이송시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이 접촉되는 경우에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에 추가적인 가압력이 인가되고, 이를 압력측정부(58)가 측정하여 상기 바퀴회전수단(6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측단에는 백커버부(60)가 설치된다. 상기 백커버부(60)는 도 7과 같이, 대략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백커버부(60)의 전방측 중앙에는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측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백커버부(60)의 전방 우측면에는 상기 이송프레임(30)의 끝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백커버부(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이송스크류(50)의 끝단에 상기 백커버부(6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50)가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백커버부(60)에 고정된 상기 이송프레임(3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우측단에는 바퀴회전수단(62)이 설치된다.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은,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선단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선단에 전후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64)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전,후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전,후측을 차단하는 돌출프레임(66)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퀴(W)와 밀착되어 바퀴(W)를 회전시키는 바퀴회전롤러(70)와,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정,역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재(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은, 도 4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좌측면에는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우측 끝단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우측단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할 바퀴회전롤러(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은 후술할 바퀴회전롤러(70)를 지지하며,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바퀴회전롤러(7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전후측면에는 돌출프레임(66)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프레임(66)은, 도 7과 같이, 반원 형상으로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전,후면측에 각각 우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프레임(66)은 중앙에는, 도 4와 같이, 후술할 바퀴회전축(68)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내부에는 바퀴회전축(68)이 설치된다. 상기 바퀴회전축(68)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바퀴회전축(68)의 양단은 각각 상기 돌출프레임(66)의 대략 중앙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바퀴회전축(68)은 후술할 롤러회전부재(80)와 치차 결합되어 후술할 바퀴회전롤러(7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회전축(68)의 외주면에는 바퀴회전롤러(7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은 일반적인 롤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퀴회전롤러(7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바퀴접촉돌기(71)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바퀴회전롤러(70)는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퀴(W)의 외주면과 접촉되고, 후술할 롤러회전부재(80)의 회전에 따라 정,역회전되어 트레일러(T)의 바퀴(W)를 회전시켜 트레일러(T)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회전축(68)의 끝단에는 바퀴회전기어(72)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회전기어(72)는 일반적인 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바퀴회전기어(72)는 도 9와 같이, 상기 바퀴회전축(68)의 끝단에 고정 결합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어 후술할 동력전달기어(74)에 치차 결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바퀴회전기어(72)는 후술할 동력전달기어(74)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바퀴회전축(68)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퀴회전기어(72)의 우측에는 동력전달기어(74)가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74)는 일반적인 2단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74)는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바퀴회전기어(72)에 치차 결합되어 상기 바퀴회전기어(72)에 후술할 롤러회전부재(8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74)의 하부에는 모터윔기어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웜기어(76)는 일반적인 웜기어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모터웜기어(76)는 후술할 롤러회전부재(8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정,역 회전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74)는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웜기어(76)의 끝단에는 롤러회전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회전부재(80)는 일반적인 구동모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롤러회전부재(8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모터웜기어(76)가 정,역 회전된다.
즉, 상기 롤러회전부재(80)의 회전축이 정,역 회전되고, 상기 롤러회전부재(80)의 회전력이 상기 모터웜기어(76), 동력전달기어, 바퀴회전기어(72)에 각각 전달되어 상기 바퀴회전롤러(70)가 정,역 회전된다.
또한, 상기 롤러회전부재(80)의 우측단(도 9 참조)는 상기 백커버부(60)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바퀴회전수단(62)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백커버부(60)에 상기 이송프레임(30)과 상기 롤러회전부재(80)가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스크류(50)의 회전됨에 따라 상기 백커버부(6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바퀴회전수단(62)과 상기 이송프레임(30)이 동시에 좌우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바퀴(W)의 외주면에 상기 바퀴회전롤러(70)가 밀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트레일러 견인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트레일러(T)의 지지프레임(1)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의 하부에 각각 트레일러 견인장치(M)를 설치한다. 상기 트레일러 견인장치(M)는 바퀴(W)의 일측에 이격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트레일러 견인장치(M)가 상기 고정브라켓(2)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모듈(미도시)를 통해 상기 트레일러 견인장치(M)의 제어부(미도시)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스마트폰, 태플릿PC, 노트북)를 연결한다.
사용자는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일러 견인장치(M)를 조작한다. 사용자가 상기 트레일러(T)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을 이용하여 바퀴회전수단(62)을 상기 바퀴(W)와 밀착시킨다.
상기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의 바퀴회전롤러(70)가 밀착된 상태에서 롤러회전부재(80)가 작동되어 상기 바퀴회전롤러(70)를 정,역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T)의 바퀴(W)가 회전되어 트레일러(T)의 원격으로 트레일러(T)의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육안으로 트레일러(T)의 움직임을 확인하며 원하는 위치에 트레일러(T)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상기 트레일러(T)의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시 발생되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내부에는 압력조절부재(52)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부재(52)는 상기 바퀴(W)에 상기 바퀴회전롤러(70)가 밀착되는 경우 스크류이송기어(4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측정하고, 제어부에 설정된 압력까지 상기 바퀴회전롤러(70)를 상기 바퀴(W) 측으로 밀착시킨다.
즉, 상기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밀착거리를 사용자의 육안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바퀴(W)에 상기 바퀴회전롤러(70)를 밀착시켜 상기 바퀴(W)의 타이어압이 변화되더라도 상기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밀착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밀착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롤러이송수단
22. 이송안내몸체부 30. 이송프레임
32. 습동안내홀 34. 기어고정블럭
38. 기어설치공간 40. 스크류이송기어
44. 기어회전축 46. 이송모터
50. 이송스크류 60. 백커버부
62. 바퀴회전수단 70. 바퀴회전롤러

Claims (5)

  1. 트레일러 지지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고, 내부에 이송프레임(30)이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이송수단(20)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바퀴회전롤러(70)가 설치되어 트레일러(T)의 바퀴(W)의 회전시켜 트레일러(T)를 이동시키는 바퀴회전수단(62)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W)와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롤러이송수단(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바퀴회전롤러(70)와 상기 바퀴(W)의 밀착거리를 조절하는 압력조절부재(52);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은,
    상기 트레일러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지는 이송안내몸체부(22)와;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의 내부에 좌우로 관통 설치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를 기준으로 좌우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프레임(30)과;
    상기 이송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기어설치공간(38)이 형성되고, 양측이 각각 상기 이송안내몸체부(22)에 고정 설치되는 기어고정블럭(34)과;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기어 형태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중앙에 좌우로 관통되는 스크류회전가이드홀(42)이 형성되는 스크류이송기어(40)와;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일측에 치차 결합되며, 상기 기어고정블럭(34)에 고정 결합된 이송모터(46)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어회전축(44)과;
    상기 기어고정블럭(34)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이송가이드홀(48)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이송스크류(50)와;
    상기 이송스크류(5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측면에 상기 이송프레임(30)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이송스크류(5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30)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백커버부(60);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회전수단(62)은.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선단에 설치되며,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프레임(30)의 선단에 전후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롤러고정프레임(64)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전,후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전,후측을 차단하는 돌출프레임(66)과;
    상기 롤러고정프레임(6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이송수단(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바퀴(W)와 밀착되어 바퀴(W)를 회전시키는 바퀴회전롤러(70)와;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바퀴회전롤러(70)의 정,역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재(80);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52)은,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압력핀삽입홀(54)의 내부에 설치되며,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내부에서 상기 이송스크류(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기어설치공간(38)의 벽면으로 밀착되는 스크류이송기어(40)의 가압력을 전달하는 압력측정핀(56)과;
    상기 압력측정핀(56)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이송기어(40)가 밀착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압되는 상기 압력측정핀(56)의 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부(58);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재(52)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상기 바퀴회전롤러(70)와 바퀴(W)의 밀착거리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 견인장치.
KR1020160179306A 2016-12-26 2016-12-26 트레일러 견인장치 KR101898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306A KR101898273B1 (ko) 2016-12-26 2016-12-26 트레일러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306A KR101898273B1 (ko) 2016-12-26 2016-12-26 트레일러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217A true KR20180075217A (ko) 2018-07-04
KR101898273B1 KR101898273B1 (ko) 2018-09-13

Family

ID=6291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306A KR101898273B1 (ko) 2016-12-26 2016-12-26 트레일러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26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가자 카라반의 주차위치 미세조정 및 근거리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
KR102007332B1 (ko) * 2018-08-06 2019-08-05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수납 기능을 가진 카라반
KR20220062883A (ko) 2020-11-09 2022-05-17 노윤한 견인장치
KR20220148519A (ko) * 2021-04-29 2022-11-07 조한백 피견인 트레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90B1 (ko) 2021-12-03 2023-10-19 (유)블루에스피 험로 주행용 견인 트레일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4858B1 (de) * 2005-04-18 2008-03-1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Hilfsantrieb für einen Fahrzeuganhänger mit einseitig gelagerter Antriebsrolle
EP2138386B1 (de) * 2008-06-27 2011-06-2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eine Rangiervorrichtung
EP2508397B1 (de) * 2011-04-06 2016-03-30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Antriebsrolle für einen rangierantrieb
KR101615882B1 (ko) 2015-12-02 2016-04-27 우사현 트레일러용 견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4858B1 (de) * 2005-04-18 2008-03-1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Hilfsantrieb für einen Fahrzeuganhänger mit einseitig gelagerter Antriebsrolle
EP2138386B1 (de) * 2008-06-27 2011-06-2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für eine Rangiervorrichtung
EP2508397B1 (de) * 2011-04-06 2016-03-30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Antriebsrolle für einen rangierantrieb
KR101615882B1 (ko) 2015-12-02 2016-04-27 우사현 트레일러용 견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266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가자 카라반의 주차위치 미세조정 및 근거리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
KR102007332B1 (ko) * 2018-08-06 2019-08-05 주식회사 씨티인터내셔널 견인프레임 수납 기능을 가진 카라반
KR20220062883A (ko) 2020-11-09 2022-05-17 노윤한 견인장치
KR20220148519A (ko) * 2021-04-29 2022-11-07 조한백 피견인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273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273B1 (ko) 트레일러 견인장치
US10994579B2 (en) Towing device for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US9079563B2 (en) Seatbelt device
JP6378527B2 (ja) タイヤ挟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自動車搬送装置
WO2009055962A1 (fr) Dispositif émetteur de carte extensible pour dispositif d'éjection de carte à circuit intégré sans contact
KR101481289B1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모니터 작동장치
JP6371147B2 (ja) 車両位置補正装置
KR20200089732A (ko) 자동차용 카메라-기반 거울 대체 시스템의 카메라 암
ATE461084T1 (de)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m verstellbaren, nur bei gurtbandeinzug beweglichen sensor
CN103420204A (zh) 打印机出纸机构
US20210171127A1 (en) Tailgate open position adjustment system
KR200471318Y1 (ko) 캠핑카
US10850538B2 (en) Supporting a roll of print media
US20090322880A1 (en) Car with moveable camera unit
GB2545014A (en) Automatic motorcycle kickstand
WO2018043121A1 (ja) 移動装置
KR20150146164A (ko) 무접점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US20170344075A1 (en) Electronic device dock with automated connections
KR101693670B1 (ko) 드릴장치 및 드릴링시스템
KR101652171B1 (ko)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KR102107765B1 (ko) 카라반의 주차위치 미세조정 및 근거리 이동을 위한 구동 장치
KR20150058830A (ko) 트레일러 견인장치
KR200474493Y1 (ko) 자동차안전 표시용 엘이디삼각대
US8590918B1 (en) Rotary tow coupling
US20160303950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