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71B1 -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171B1
KR101652171B1 KR1020140124756A KR20140124756A KR101652171B1 KR 101652171 B1 KR101652171 B1 KR 101652171B1 KR 1020140124756 A KR1020140124756 A KR 1020140124756A KR 20140124756 A KR20140124756 A KR 20140124756A KR 101652171 B1 KR101652171 B1 KR 10165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rack bar
bar
steering
co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3924A (ko
Inventor
신분희
Original Assignee
신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분희 filed Critical 신분희
Priority to KR102014012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1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8Acoustic or vibration analys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이루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그 조향장치의 출고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DIRECTION TURNING APPARATUS HAVING MEASURING APPARATUS OF NOISE FOR POWER STEERING}
본 발명은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이루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그 조향장치의 출고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랙과 피니언방식의 조향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과 연결되는 조향축, 조향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와 치형결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며 그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향장치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가 헬리컬기어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조향휠의 좌우 조향시 마찰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소음이 발생된다.
그러나, 조향장치의 작동 중 발생되는 소음을 자동차 출고 전에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검사하기 위한 장비는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76846호(2003.03.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이루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그 조향장치의 출고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조인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의 랙바의 양단부 파손 없이 소음 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향휠이 연결되는 조향축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상기 조향축과 치형결합되어 그 조향축의 회전운동을 좌우방향으로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바를 구비하는 조향장치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장치로서, 상기 랙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이송프레임;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송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조향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좌우이송부와 함께 구동되며, 상기 절첩부가 접혀지도록 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전후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이송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구비되는 이송모터; 전단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에 상기 이송모터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에 따라 그 이송바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절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부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재 및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절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이송부는,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유압식 콜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압식 콜릿은, 양측단부를 가지며, 타측단부가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거나 그 공급되는 유압이 배출되는 한 쌍의 유배출부를 갖는 하우징; 일측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타측단부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유압의 유출입에 따라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며, 양측단부가 개방되는 실린더로드; 및 일측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개방된 상기 실린더로드의 타측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편,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랙바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는 콜릿을 포함하되, 상기 콜릿은, 타측단부가 복수의 콜릿유닛으로 분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직선이동에 따라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면서 상기 랙바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이루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그 조향장치의 출고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검사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치가 구비된 상태의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서 거치부에 조향장치가 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에서 고정부와 랙바 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이하 "방항전환장치"라 한다)(1)는 조향축(110) 및 상기 조향축(110)과 치형결합되어 그 조향축(11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바(120)를 구비하는 조향장치(100)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장치(200)에 구비되며, 상기 랙바(120)의 직선운동에 따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장치로서, 상기 랙바(12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이송프레임(20) 및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이송프레임(20)을 연결하며, 상기 조향축(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랙바(120)의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절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축(110)은 상,하단부를 가지며, 하단부에 피니언기어(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랙바(120)는 양측단부를 가지며, 그 양측단부가 상기 조향축(1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랙기어(미도시)가 구비되면서 상기 조향축(110)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와 실린더(130)의 내부에서 치형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랙바(120)의 양측단부는 상기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2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우측 방향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30)는 양측단부가 개방되며, 그 개방된 양측단부로 상기 랙바(120)의 양측단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조향축(110)은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130)의 양단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랙바(120)와 치형결합된다.
상기 랙바(120)는 상기 조향축(11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130)의 양측단부 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랙바(120)의 양단부에는 볼조인트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미도시) 등이 형성되며, 상기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200)는 그 볼조인트가 결합되기 전 상태의 상기 조향장치(100)의 소음을 측정한다.
이러한 랙과 피니언방식의 조향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장치(100)가 안착되는 거치부(210), 상기 거치부(2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조향축(1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향부(220) 및 지면으로부터 상기 거치부(210), 상기 조향부(220) 및 상기 방향전환장치(1)를 지지하는 베이스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장치(1)는 상기 거치부(210)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면서 그 거치부(210)에 안착되는 상기 랙바(120)의 양측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200)는 조향장치를 출고하기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상기 조향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검사한다.
즉, 상기 조향부(220)는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조향핸들(미도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과 같은 조건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장치(1)는 상기 조향부(220)의 조정에 따라 상기 랙바(120)와 함께 구동되면서 실차조건에서의 앞바퀴(미도시)가 좌우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것과 같은 조건이 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200)는 조향장치를 출고하기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상기 조향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는 유압에 따라 상기 랙바(120)를 가압 결속하거나, 결속해제하면서 그 랙바(12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유압식 콜릿(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식 콜릿(11)은 상기 랙바(120)의 양단부 외측에서 그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결속된다.
이는, 일반적인 형태의 나사결합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랙바(120)의 파손 등에 의해 시험 후, 볼조인트와의 결합 등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랙바(12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식 콜릿(11)은 양측단부를 가지며 타측단부가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거나 그 공급되는 유압이 배출되는 한 쌍의 유출입부(12a)를 갖는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하우징(12)으로의 유압의 유출입에 따라 개방된 그 하우징(12)의 타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며, 양측단부가 개방되는 실린더로드(13) 및 일측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13)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2)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개방된 상기 실린더로드(13)의 타측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편,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랙바(120)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구(14)를 형성하는 콜릿(15)을 포함한다.
상기 콜릿(15)은 타측단부가 복수의 콜릿유닛(15a)으로 분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13)의 직선이동에 따라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면서 상기 랙바(120)에 결합되거나, 분리된다.
즉, 상기 유압식 콜릿(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로드(13)가 전진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복수의 콜릿유닛(15a)이 가압되면서 상기 결합구(14)로 결합되는 상기 랙바(120)에 결합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유압식 콜릿(11)은 상기 실린더로드(13)가 후진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복수의 콜릿유닛(15a)이 가압해제되면서 상기 결합구(14)로 결합된 상기 랙바(120)와 분리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압식 콜릿(11)은 유압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랙바(120)에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이송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부(230)의 상부에 좌우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전환장치(1)는 상기 랙바(120)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20)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좌우이송부(40)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이송부(40)는 상기 랙바(120)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20)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10)와 상기 랙바(120) 간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장치(1)는 상기 랙바(120)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절첩부(20)가 접혀지도록 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전후이송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기 전후이송부(5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프레임(20)에 구비되는 이송모터(51), 전단부는 상기 이송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이송모터(51)에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바(52), 상기 이송바(5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송모터(51)의 구동에 따라 그 이송바(52)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부재(53) 및 상기 이송부재(53)와 상기 절첩바(3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4)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부(3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랙바(120)의 양측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첩바(31)를 포함한다.
상기 절첩바(31)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54)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10)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절첩바(31)는 자동차의 앞바퀴와 랙바를 연결하는 타이로드와 너클과 같이 상기 조향축(110)의 좌우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부(10)와 함께 좌우이동되는 한편,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54)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궤적을 그리면서 절첩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절첩바(31)는 상기 조향축(110)의 회전에 따라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10)와 함께 상기 조향장치(1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54)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랙바(120)와 평행을 이루며 펼쳐진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절첩바(31)는 타단부가 상기 고정부(10)와 함께 상기 조향장치(100)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54)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랙바(120)와 평행을 이루지 않는 상태로 접혀진다.
상기 이송프레임(20)은 상기 이송바(52)가 구비되는 지지판(21) 및 상기 지지판(2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22)을 포함한다.
상기 전후이송부(50)는 상기 이송모터(5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53)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연결부재(54)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모터(51)는 상기 조향축(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좌우이송부(40)와 함께 구동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수단(55)은 상기 측판(22)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56) 및 상기 가이드레일(28a)과 상기 이송부재(27)를 연결하며 그 가이드레일(56)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편(57)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모터(51)는 일반적인 형태의 서보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방향전환장치(1)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향부(2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조향축(110)의 전후회전되며, 그 회전에 따라 상기 랙바(120)가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한다.
상기 랙바(120)의 직선운동과 함께 상기 좌우이송부(40) 및 상기 이송모터(51)가 구동되면서 실차조건과 같이 상기 절첩부(30)가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즉, 상기 랙바(120)의 단부가 상기 조향장치(100)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좌우이송부(40)는 그 조향장치(100) 방향으로 전진구동되고, 상기 이송모터(51)는 상기 연결부재(54)가 상기 이송바(52)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그 이송바(5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절첩바(31)는 상기 고정부(10)와 함께 상기 조향장치(100) 방향으로 이송되는 한편,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54)와 함께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펼쳐진다.
이와 반대로, 상기 랙바(120)의 단부가 상기 조향장치(100)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좌우이송부(40)는 그 조향장치(100)가 위치되는 반대 방향으로 후진구동되고, 상기 이송모터(51)는 상기 연결부재(54)가 상기 이송바(52)의 전단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그 이송바(5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절첩바(31)는 상기 고정부(10)와 함께 상기 조향장치(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는 한편, 일단부가 상기 연결부재(54)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접혀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방향전환장치(1)는 피니언기와 랙기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소음 등을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200)는 상기 조향장치(100)를 이루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그 조향장치(100)의 출고 전에 실차조건과 같은 조건에서 검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향전환장치 10 : 고정부
11 : 유압식 콜릿 12 : 하우징
13 : 실린더로드 14 : 결합구
15 : 콜릿 20 : 이송프레임
30 : 절첩부 40 : 좌우이송부
50 : 전후이송부 51 : 이송모터
52 : 이송바 53 : 이송부재
54 : 연결부재 55 : 가이드수단
56 : 가이드레일 57 : 가이드편
100 : 조향장치 110 : 조향축
120 : 랙바 130 : 실린더
200 :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 210 : 거치부
220 : 조향부 230 : 베이스부

Claims (7)

  1. 조향휠이 연결되는 조향축 및 양측단부를 가지며 상기 조향축과 치형결합되어 그 조향축의 회전운동을 좌우방향으로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랙바를 구비하는 조향장치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며,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실차조건에서의 앞바퀴가 좌우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것과 같은 조건이 되도록 하는 방향전환장치로서,
    상기 랙바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송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절첩부;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프레임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좌우이송부; 및
    상기 랙바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좌우이송부와 함께 구동되며, 상기 절첩부가 접혀지도록 하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전후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유압에 따라 상기 랙바의 외주면을 가압 결속하거나, 가압해제되면서 분리되는 유압식 콜릿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구비되는 이송모터;
    전단부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부에 상기 이송모터가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바;
    상기 이송바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에 따라 그 이송바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절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첩부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재 및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는 절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송부는,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재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연결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콜릿은,
    양측단부를 가지며, 타측단부가 개방되고, 외부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거나 그 공급되는 유압이 배출되는 한 쌍의 유배출부를 갖는 하우징;
    일측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하우징으로의 유압의 유출입에 따라 개방된 상기 하우징의 타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며, 양측단부가 개방되는 실린더로드; 및
    일측단부는 상기 실린더로드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개방된 상기 실린더로드의 타측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한편,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랙바가 끼움결합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는 콜릿을 포함하되,
    상기 콜릿은,
    타측단부가 복수의 콜릿유닛으로 분기되며, 상기 실린더로드의 직선이동에 따라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면서 상기 랙바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KR1020140124756A 2014-09-19 2014-09-19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KR10165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56A KR101652171B1 (ko) 2014-09-19 2014-09-19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756A KR101652171B1 (ko) 2014-09-19 2014-09-19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24A KR20160033924A (ko) 2016-03-29
KR101652171B1 true KR101652171B1 (ko) 2016-08-29

Family

ID=5566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756A KR101652171B1 (ko) 2014-09-19 2014-09-19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1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706B1 (ko) * 2018-12-31 2021-01-08 (주)영일랩스 컬럼형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대한 진동 또는 소음 시험 장치
CN111999070B (zh) * 2020-07-09 2021-08-3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环形轨道式作动器布置机构及测试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846B1 (ko) * 2000-10-09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력조향장치의 소음 및 진동 분석장치
KR200423061Y1 (ko) * 2006-05-11 2006-08-03 김필만 선반용 콜릿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5676B2 (ja) * 1995-06-08 2004-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の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846B1 (ko) * 2000-10-09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력조향장치의 소음 및 진동 분석장치
KR200423061Y1 (ko) * 2006-05-11 2006-08-03 김필만 선반용 콜릿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924A (ko)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8527B2 (ja) タイヤ挟持装置とそれを備えた自動車搬送装置
KR101652171B1 (ko)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장치
PL2125429T3 (pl) Wózek samojezdny do przemieszczania maszyn doczepnych i maszyn statycznych lub podobnych
CN103687777B (zh) 可溃缩转向柱组件
CN108349663A (zh) 物品移送装置、物品检查装置、物品移送方法及物品检查方法
CN103287928A (zh) 移动式水带收卷机
CN202185464U (zh) 冷轧管机上的送进小车
CN204588272U (zh) 布料粘接装置和布料粘接装置的布料输送机构
ATE443621T1 (de) Anhänger mit deichsel und winkelsensor
CN107444092A (zh) 机动车车轮的电驱动单元及机动车车桥的车轮的车轮悬架
KR101898273B1 (ko) 트레일러 견인장치
ITTO20111095A1 (it) Dispositivo di sospensione ed avanzamento di una scocca in una linea di assemblaggio di autoveicoli
CN202966013U (zh) 一种电动座椅及其调节装置
EP2052953A3 (en) Powered axle for the motion of trailers and similar static machines
JP4963422B2 (ja) レール倣い台車および溶接装置
DE102015112394B4 (de) Gussformvorrichtung
CN107717424A (zh) 一种双头螺柱全自动紧固装置
KR101616197B1 (ko) 조향장치용 소음 측정장치
KR101503015B1 (ko) 볼트 자동 조립 장치
JP6017306B2 (ja) ボーリングヘッド
KR102267138B1 (ko) 범퍼용 시험장치
KR101599017B1 (ko) 실차 하중 모사 기능이 구비된 차량 조향 장치 테스트 장치
CN203283967U (zh) 移动式水带收卷机
CN107171493A (zh) 一种双向同步伸缩的电动推杆
KR20130082380A (ko) 사출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