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338B1 -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338B1
KR101478338B1 KR20140003712A KR20140003712A KR101478338B1 KR 101478338 B1 KR101478338 B1 KR 101478338B1 KR 20140003712 A KR20140003712 A KR 20140003712A KR 20140003712 A KR20140003712 A KR 20140003712A KR 101478338 B1 KR101478338 B1 KR 10147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eight
trailer
towing vehicl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3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20140003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only part of the vehicle, e.g. front- or rear-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7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improving weight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displaying the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차량 하부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공차 시 후방으로 이동되고, 차량견인 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차제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견인차량의 하부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부; 레일부에 삽입되어 견인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무게 추; 무게 추와 연결되고, 무게 추를 견인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산출된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variable device tractor for center of gravity}
본 발명은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차량 하부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공차 시 후방으로 이동되고, 차량견인 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차제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견인차량은 고장 또는 불법주정차 중인 자동차를 견인하여서 수리공장이나 적법한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으로서, 후방에 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붐, 윈치, 토우바 등이 설치되어 있다.
현대에는 차량의 증가와 통행이 잦아짐에 따라 교통의 혼잡도 증가되고 있으며, 사고 등으로 인한 견인 대상 차량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신속한 출동과 안전한 견인 능력을 갖춘 견인차가 요구되고 있다. 안전한 견인을 위하여 필요 이상의 견인 능력을 갖출 경우 신속성이 떨어지고 오히려 차량의 회전 유효 반경이 커 견인작업이 불편하며 비용면에서도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견인차량은 피견인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견인하기 위해서는 주행방향으로의 견인공간이 요구되므로, 피견인차량의 전후방에 다른 차량과 같은 장애물이 있을 시에는 견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피견인차량을 전륜 또는 후륜 중 일측 만을 들어올린 채로 주행하게 되므로 무게 중심을 낮게 할 필요가 있고, 무게중심이 편중되면 견인 한 상태에서 조향장치, 제동장치 또는 현가장치 등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80709호는 1톤 미만의 소형 화물자동차에 적용하기 어렵지만 피견인차량을 측방향에서 리프팅포크를 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견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피견인차량의 전륜과 후륜을 각각 별도로 리프팅 하는 전륜 리프팅 유닛과 후륜 리프팅 유닛을 별도로 구비해야하고, 장치가 복잡하여 차체 중량이 상승하게 되고 제동능력과 견인능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1374호 (2012년05월22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555442호 (2006년02월21일 등록)
본 발명은 무게 추를 이용하여 견인차량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 추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피견인차량의 하중이 높게 측정되면 무게 추를 더 추가하여 견인차량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이 제어부로 통해 무게 추의 위치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견인차량의 하부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부; 레일부에 삽입되어 견인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무게 추; 무게 추와 연결되고, 무게 추를 견인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산출된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견인차량의 전방 타이어와 후방 타이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레일 타측에 구비되고,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추는, 상면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 홀과, 상면 테두리에 고정 홀이 형성된 철판; 및 철판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레일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은, 견인차량의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구동수단의 일측에 고정되어 축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제1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1 스프로킷의 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하는 제2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체인은, 철판의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 홀과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수단은, 견인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무게 추의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삽입 고정되며, 무게 추를 고정 지지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구동수단은, 볼 스크류의 일측과 연결되어 볼 스크류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는, 견인차량에 피견인차량 적재 여부를 판단하고,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적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피견인차량의 하중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되,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피견인차량의 하중 값에 의해 무게 추의 이동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무게 추를 이용하여 견인차량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무게 추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고, 피견인차량의 하중이 높게 측정되면 무게 추를 더 추가하여 견인차량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센서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이 제어부로 통해 무게 추의 위치를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서 다수개의 무게 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서 볼 스크류가 설치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피견인차량이 견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서 다수개의 무게 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에서 볼 스크류가 설치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피견인차량이 견인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견인차량(500) 하부에 무게 추(200)를 설치하여 공차 시 후방으로 이동되고, 차량견인 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차제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는 레일부(100), 무게 추(200), 이동수단(300), 구동수단(400), 센서부(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00)는 견인차량(500)의 하부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고, 무게 추(20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100)는 레일(110) 및 고정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10)은 일측이 개방되고, 견인차량(500)의 전방 타이어(510)와 후방 타이어(52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일(110)은 전,후방 타이어(510,520)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전,후방 타이어(510,520)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레일(110)은 양측에 서로 이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20)은 레일(110) 타측에 구비되고, 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20)은 사각 판형상 또는 굴곡된 "ㄴ"형상으로 형성되고, 볼트(B)로 체결 고정하여 견인차량(500)의 하부 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며, 레일(110)이 견인차량(500)의 하부 프레임에 단단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무게 추(200)는 레일부(100)에 삽입하여 견인차량(500)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견인차량(500)의 하중의 중심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무게 추(200)는 철판(210) 및 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철판(210)은 사각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레일(110)과 레일(110) 사이에 위치하며, 견인차량(500) 중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철판(210)은 상면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 홀(211)과, 상면 테두리에 고정 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철판(210)은 무게가 50kg~100kg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끼움 홀(211)은 철판(210)의 무게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철판(210)이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볼트(B)로 체결 고정하고, 볼트(B)의 일단에는 너트(N)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다수개의 철판(21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끼움 홀(211)을 통해 체결되는 볼트(B)는 철판(210)의 두께보다 길게 하고, 그 길이가 길수록 더 많은 철판(21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볼트(B)의 일단을 너트(N)로 체결 고정함으로써, 견인차량(500)의 흔들림에 의해 볼트(B)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롤러(220)는 철판(210) 양측에 각각 축 고정되고, 레일부(100)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롤러(220)는 레일(110)에 형성된 개방부에 삽입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무게 추(200)의 이동으로 생기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롤러(220)는 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이동수단(300)은 무게 추(200)와 연결되고, 무게 추(200)를 견인차량(500)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수단(300)은 견인차량(500)의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구동수단(400)의 일측에 고정되어 축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310)과, 제1 스프로킷(310)과 체인(330)으로 연결되어 제1 스프로킷(3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하는 제2 스프로킷(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인(330)은 철판(210)의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 홀(213)과 볼트(B)로 체결 고정되는 지지부(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무게 추(200)를 레일(110)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지지부(331)에 무게 추(200)가 볼트(B)로 체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수단(40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수단(400)의 축이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 동력을 제1 스프로킷(310)에 전달하여 제1 스프로킷(310)이 회전하게 되면 제1 스프로킷(310) 및 제2 스프로킷(320)에 연결된 체인(330)이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지지부(33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수단(300)은 지지대(340) 및 볼 스크류(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40)는 레일(110)과 내측으로 이격되게 전,후방에 각각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340)는 내부에 베어링(미도시)이 체결 고정되며, 베어링(미도시)에 볼 스크류(350)의 일단 및 타단이 삽입되어 베어링(미도시)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볼 스크류(350)는 전,후방에 각각 설치된 지지대(340)의 사이에 위치하고, 무게 추(200)의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삽입 고정되며, 무게 추(2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볼 스크류(350)의 일측과 연결되어 축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0)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볼 스크류(350) 외주면에 반구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형성된 무게 추(200) 내부에는 볼(미도시)이 구비되어 구동수단(400)에 의해 볼 스크류(350)를 축 회전시키면, 볼(미도시)이 반구 형상의 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무게 추(200)를 전,후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볼 스크류(350)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수단(400)은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받아 제1 스프로킷(310) 및 볼 스크류(350)와 연결되어 축 회전시키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수단(40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센서부(20)는 견인차량(500)에 구비된 견인장치에 설치되고, 붐의 이용하여 피견인차량(600)을 들어올릴 때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감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20)는 견인차량(500)에 피견인차량(600) 적재 여부를 판단하고, 견인차량(500)이 피견인차량(600)을 적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피견인차량(600)의 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피견인차량(600)의 하중 값을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20)에서 전송받은 피견인차량(600)의 하중 값에 의해 무게 추(200)의 이동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20)에서 산출된 피견인차량(600)의 하중에 의해 무게 추(200)가 이동될 수 있는데 피견인차량(600)이 경차이면 무게 추(200)가 전방으로 약간 이동되고, 대형차량이 견인되면, 무게 중심이 뒤로 쏠려 견인차량(500)의 전방 타이어(510)가 지면으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게 추(200)가 전방 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조작장치를 이용하여 피견인차량(600)을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견인차량(500)에 설치작업을 시작한다. 이때, 견인장치에 설치된 센서부(20)가 작동되어 피견인차량(600)의 하중을 산출하게 된다.
다음, 센서부(20)에 의해 산출된 피견인차량(600)의 하중 값은 제어부(미도시)로 통해 저장되고, 저장된 하중 값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피견인차량(600)의 하중 값에 의해 구동수단(400)에 전기적인 신호를 일정시간 전송하여 구동수단(40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시간 전송받은 전기적인 신호만큼 구동수단(400)에 의해 무게 추(20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일정시간이라 함은 수초~수분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피견인차량(600)을 정비소로 이동시킨 후 견인장치에서 피견인차량(600)을 제거하면 작동되고 있던 센서부(20)가 산출하고 있던 하중 값이 없어지므로 제어부(미도시)로 피견인차량(600)이 제거된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미도시)에서 피견인차량(600)이 제거된 정보를 전달받아 다시 구동수단(400)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여 구동시킨 다음 무게 추(200)를 최초 자리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구동수단(40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센서부 100; 레일부
110; 레일 120; 고정브라켓
200; 무게 추 210; 철판
211; 끼움 홀 213; 고정 홀
220; 롤러 300; 이동수단
310; 제1 스프로킷 320; 제2 스프로킷
330; 체인 331; 지지부
340; 지지대 350; 볼 스크류
400; 구동수단 500; 견인차량
510; 전방 타이어 520; 후방 타이어
600; 피견인차량 B; 볼트
N; 너트

Claims (6)

  1. 견인차량의 하부프레임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부;
    레일부에 삽입되어 견인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무게 추;
    무게 추와 연결되고, 무게 추를 견인차량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에서 산출된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레일부는,
    일측이 개방되고, 견인차량의 전방 타이어와 후방 타이어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
    레일 타측에 구비되고,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무게 추는,
    상면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끼움 홀과, 상면 테두리에 고정 홀이 형성된 철판; 및
    철판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레일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견인차량의 후방에 설치 고정되고, 구동수단의 일측에 고정되어 축 회전하는 제1 스프로킷;
    제1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제1 스프로킷의 동력을 전달받아 축 회전하는 제2 스프로킷;을 포함하되,
    체인은,
    철판의 테두리에 형성된 고정 홀과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견인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체결 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무게 추의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삽입 고정되며, 무게 추를 고정 지지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구동수단은,
    볼 스크류의 일측과 연결되어 볼 스크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센서부는,
    견인차량에 피견인차량 적재 여부를 판단하고,
    견인차량이 피견인차량을 적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피견인차량의 하중을 산출하고,
    산출된 피견인차량의 하중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되,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전송받은 피견인차량의 하중 값에 의해 무게 추의 이동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KR20140003712A 2014-01-13 2014-01-13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KR10147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712A KR101478338B1 (ko) 2014-01-13 2014-01-13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712A KR101478338B1 (ko) 2014-01-13 2014-01-13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338B1 true KR101478338B1 (ko) 2014-12-31

Family

ID=5268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3712A KR101478338B1 (ko) 2014-01-13 2014-01-13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2068A (zh) * 2020-01-13 2020-06-05 安徽泗州拖拉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拖拉机的重心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060218A (zh) * 2021-03-31 2021-07-02 宋长龙 一种公路运输用车辆平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795U (ko) * 1979-07-31 1981-03-06
KR20040006285A (ko) * 2002-07-11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형트럭의 무게중심 이동장치
KR100482972B1 (ko) * 2002-11-05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견인차량의 크레인 밸런싱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4795U (ko) * 1979-07-31 1981-03-06
KR20040006285A (ko) * 2002-07-11 200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형트럭의 무게중심 이동장치
KR100482972B1 (ko) * 2002-11-05 2005-04-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견인차량의 크레인 밸런싱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2068A (zh) * 2020-01-13 2020-06-05 安徽泗州拖拉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拖拉机的重心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232068B (zh) * 2020-01-13 2020-12-01 安徽泗州拖拉机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拖拉机的重心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060218A (zh) * 2021-03-31 2021-07-02 宋长龙 一种公路运输用车辆平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0019B1 (en) Trailer with an auxiliary drive
RU2654434C2 (ru) Система для компенсации эффекта закручивания шин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2099569A1 (en) Tractor trailer gap control system
CA3065451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ed trailer dollies
US4865141A (en) Device for changing over a vehicle provided with wheels to a track vehicle
WO2016008280A1 (zh) 一种汽车防滑装置
KR101478338B1 (ko)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JP5483022B2 (ja) 牽引車利用の台車式搬送装置
CN104385937A (zh) 一种纯电动汽车牵引力控制方法
KR20170117716A (ko) 바이크 운반전용 접이식 트레일러 및 주차방법
EP1666301B1 (de) Flurförderzeug mit Vorrichtung zur Regelung von Schlupf
CN116118809A (zh) 一种基于旋转阻尼器的矿用阻车器
CN206125216U (zh) 一种电控转运车行走机构
CN104670183A (zh) 一种带自锁功能的转运车刹车装置
JP6103710B2 (ja) 車両移動装置
JP4526009B2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の台車牽引構造
CN201597602U (zh) 高效单车翻车机卸车系统用调车机
CN205532279U (zh) 一种履带拖车式钻机
CN218616605U (zh) 一种防滑坡的可锁定转向轮
CN202708463U (zh) 自行走管道内装备的下坡安全保障车
CN203473041U (zh) 环带式履带车
CN102853206A (zh) 适于山地施工的自行走组合式管道内工程车
CN214297870U (zh) 一种运送管桩驱动机的摩擦轮驱动装置
KR20120052550A (ko) 보조제동장치
CN211310586U (zh) 一种起重机运行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