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384A -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384A
KR20220059384A KR1020200164075A KR20200164075A KR20220059384A KR 20220059384 A KR20220059384 A KR 20220059384A KR 1020200164075 A KR1020200164075 A KR 1020200164075A KR 20200164075 A KR20200164075 A KR 20200164075A KR 20220059384 A KR20220059384 A KR 2022005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unnel
unit
information
bl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502B1 (ko
Inventor
서준석
윤준영
이호영
Original Assignee
서진이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이엔에스(주) filed Critical 서진이엔에스(주)
Publication of KR2022005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4Systems determining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터널의 진입 및 진출로에 구성되며,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차량 감지부를 통과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받아 상기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점멸 조명부 및 중앙 조명부를 제어하는 점멸 제어부; 상기 터널의 양측부에 구성되고,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여 점멸이 이루어지는 점멸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Tunnel lighting system and tunnel interior roa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로 진입할 예정인 차량의 통행량 및 주행 속도에 따라 해당 차량의 감속, 또는 가속을 안내하여 터널 내 도로의 정체성을 최소화하며, 터널 내로 진입한 차량의 안전운전을 유도하여 터널 내에서의 과속, 차로변경, 졸음운전 및 주시태만 등에 의한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로에서 터널 구간은 어둡고 시야의 폭이 좁기 때문에 운전에 상당한 어려움이 많이 따르며, 특히 운전자의 주시태만, 졸음운전, 안전거리 미확보, 과속, 차로변경, 역주행 등의 이유로 터널 내에서의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터널 내부에서는 운전자가 전방 주시에 집중을 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고, 이에 따라 과속에 의한 차량 추돌 사고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터널 내에서는 차로 변경이 금지되어 있으나 운전자는 이를 무시한 채 빈번하게 중앙선을 침범하면서 차량의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와 같은 터널 내부에서의 차량 추돌 사고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최근에는 터널 내부에서는 속도로 터널은 외부조도 수준에 따라 점등제어 하고 있으나, 이 또한 일부 구간에만 한정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터널 내 돌발상황에 대한 검지는 터널 내부의 교통량, 터널 내 환경 등으로 인한 검지율 저하 문제가 있고, 정보 수집을 위한 인프라 및 지자체 정보연계 등에 있어서 대처가 미흡한 실태이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7620호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지점의 도로 양 끝에 적외선 송신부 및 수신부를 각각 설치하고 단위시간 당 수신부의 적외선 수신비율을 측정하여 차량의 통행량을 측정하는 통행량 측정부와, 조도 측정기, 습도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도로 주변의 조도 및 기상변화에 따른 도로주변 환경을 측정하는 도로환경 측정부와, 상기 측정되는 통행량 정보 및 도로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점멸정보 DB에 저장되어 있는 통행량 정보 및 도로환경 정보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감속 또는 가속 유도에 대응되는 순차적 점멸 정보를 이용하여 순차적 점멸 시그널을 생성하여 도로 차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점멸등을 제어하는 점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 점멸 방식을 이용한 차량주행 속도 유도 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단순히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로 환경 정보와 차량의 통행량에 대한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터널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유도하고 있어서 운전자가 전방 주시태만, 또는 졸음운전시 점멸등을 확인하지 못할 수 있고, 운전자가 점멸등의 점멸 신호를 무시한 채 계속적인 과속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단순 순차적 점멸 방식만으로는 운전자의 과속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의하면, 적외선 송신부 및 수신부에 의해 터널 내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통행량을 측정하고 있으나, 역주행 발생시 이를 검지하지 못하여 역주행에 의한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없어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돌발상황에 대한 대처가 미흡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7620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터널 내로 진입할 예정인 차량의 속도 정보를 측정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가 과속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속도 정보를 노출시켜 감속, 또는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터널 내로 진입할 때의 차량 속도를 측정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에 대응하여 터널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점멸등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속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여, 터널 내의 안전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로 진입할 예정인 차량의 주행속도가 과속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주변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운전자에게 터널 진입에 대한 경각심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전방 주시 태만이나 졸음운전을 방지함으로써, 터널 내에서의 추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 내로 진입한 차량이 차로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차량과 가장 인접한 위치의 차선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차선변경시 위험성을 인지시켜 차선변경에 의한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추돌 사고 등과 같은 돌발상황에 의한 터널 내 도로의 정체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 내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이 역주행으로 진입을 시도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터널 내에 구성되는 점멸등을 제어하여 역주행 차량과, 정상 주행 중인 차량 모두에게 역주행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시켜 역주행에 의한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의 진입 및 진출로에 구성되며,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차량 감지부를 통과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받아 상기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점멸 조명부 및 중앙 조명부를 제어하는 점멸 제어부; 상기 터널의 양측부에 구성되고,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여 점멸이 이루어지는 점멸 조명부; 상기 터널의 상부에 구성되며, 터널 내부에 형성되는 차선과 수직한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터널 내부 도로 상에서 상기 차량이 차선변경를 시도할 때, 상기 차선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중앙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감지부는, 진입로에 구성되며, 상기 터널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점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차량 감지부와, 진출로에 구성되어, 역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역주행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역주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점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차량 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멸 조명부는, 상기 터널의 진입로와 진출로에 각각 구성되며,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제1점멸 조명부와,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터널 내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속도, 또는 터널 내부에서의 돌발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점멸 조명부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멸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과속인 경우, 상기 제1점멸 조명부로부터 광원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광원 조사시 광방향성에 대한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정상적인 주행 속도, 또는 과속인 경우, 상기 제2점멸 조명부를 제어하되, 상기 차량이 터널의 진입로에 진입하는 시점으로부터 진출로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주행 시간에 대응하여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멸 제어부는 상기 터널 내부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점멸 조명부의 점멸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널 조명 시스템은, 상기 터널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이 차선을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선 침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 침범 신호를 상기 점멸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점멸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중앙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조명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감지부와, 상기 차량 감지부를 통과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받아 상기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점멸 조명부 및 중앙 조명부를 제어하는 점멸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통행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통행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정상 주행 속도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정상 주행 속도값을 상기점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보 산출부;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을 감지하고, 감지한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사고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교통서버로 전송하며, 교통서버로부터 긴급 통행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정보 제공부로부터 상기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돌발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터널을 파악하는 분석부; 및 상기 차량 감지부, 차량 정보 수집부, 정보 산출부 및 사고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역주행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받아 지역 경찰서에 구비되는 교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해당 차량의 속도 정보를 노출시켜 감속, 또는 가속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터널 내 구성되는 점멸등을 제어하여 터널 내로 진입할 때의 차량에 대한 속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터널 내의 안전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로 진입할 예정인 차량의 주행속도가 과속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주변으로 광원을 조사하여 운전자에게 터널 진입에 대한 경각심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전방 주시 태만이나 졸음운전을 방지함으로써, 터널 내에서의 추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 내로 진입한 차량의 차선변경시 이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시켜 차선변경에 의한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추돌 사고 등과 같은 돌발상황에 의한 터널 내 도로의 정체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널 내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이 역주행으로 진입을 시도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터널 내에 구성되는 점멸등을 제어하여 역주행 차량과, 정상 주행 중인 차량 모두에게 역주행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시켜 역주행에 의한 추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조명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조명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터널 조명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부와 해당 터널의 진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어 터널로 진입하기 위해 주행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해당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속도에 따라 상기 차량의 양 측방으로 광원을 조사하거나,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장치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차량 감지부(110), 차량 정보 수집부(120), 점멸 제어부(130), 점멸 조명부(140), 중앙 조명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 감지부(110)는 터널의 진입 및 진출로로부터 적어도 1km 이상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성되는 제1 및 제2차량 감지부(110a, 110b)구성되며, 도로의 측면에 위치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통과할 때 해당 차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진입로에 구성되는 제1차량 감지부(110a)는 터널의 진입로 및 진출로로부터 일정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성되어, 터널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제1차량 감지부(110a)는 후술할 도로 관리 시스템(200)의 통신부(2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생성된 차량 감지 신호를 정보 산출부(2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정보 산출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받은 차량 감지 신호를 바탕으로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통행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진출로에 구성되는 제2차량 감지부(110b)는 역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역주행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역주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점멸 제어부(130)와 후술할 도로 관리 시스템(200)의 사고 감지부(230)로 각각 전송한다.
차량 정보 수집부(120)는 제1차량 감지부(110a)의 후방에 위치하며, 이 제1차량 감지부(110a)를 통과하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측정하고, 해당 차량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차량 정보 수집부(120)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통상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주행중인 차량의 번호 정보를 획득한 후,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정보 수집부(120)는 GPS 서버로 구성되어 주행중인 차량에 구비되는 GPS 모듈 및 이 GPS 모듈에 의해 구동하는 운전자 단말, 또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차량 단말과 연동하여 해당 차량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 단말로부터 운전자 단말의 번호 정보, 차량의 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신받아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점멸 제어부(130)는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점멸 조명부(140)를 구동시키고, 차량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차량의 주행속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여, 점멸 조명부(1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가 과속인 경우에는 점멸 조명부(140) 중 제1점멸 조명부(142)의 구동을 제어하여, 과속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경각심에 의해 주행 속도를 늦출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정상적인 주행 속도인 경우, 제2점멸 조명부(144)의 구동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순차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점멸 제어부(130)는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가 과속인 경우, 제1점멸 조명부(142)로부터 광원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광원 조사시 광방향성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점멸 조명부(142)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은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석의 측방을 향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광원이 운전자에게 직접 조사되면서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로 조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점멸 제어부(130)는 제1점멸 조명부(142)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이 운전자의 시야각으로부터 어긋나는 방향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운전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도 광원에 의해 위축감을 제공받아 주행속도를 늦추도록 하여 과속 방지를 유도함은 물론, 운전자의 측방으로 조사되는 광원에 의해 전방 주시 태만 및 졸음운전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점멸 제어부(130)는 차량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정상적인 주행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제2점멸 조명부(144)의 구동을 제어하며,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여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2점멸 조명부(144)는 점멸 제어부(130)에 의해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정상적인 주행 속도인 경우에 해당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터널 내부에서의 차량 주행 속도가 과속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과속에 의한 점멸시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와 대응하는 속도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터널 내에서 과속을 하는 해당 차량의 운전자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속도를 인지하여 과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과속 중인 차량에 대한 정상 속도로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가 가능할 것이다.
아울러, 점멸 제어부(130)는 해당 차량이 터널의 진입로에 진입하는 시점으로부터 진출로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주행 시간에 대응하여 제2점멸 조명부(144)의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정상적인 속도로 주행 중인 차량에 대한 정보가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되면, 점멸 제어부(130)에서는 터널의 진입로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해당 차량이 터널의 진출로를 통과할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제2점멸 조명부(144)가 순차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진출로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시간이 상기 진출로를 통과할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와 동일한 시점에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점멸 제어부(130)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제어시 차량의 진행 속도, 또는 터널 내부의 돌발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순차 점멸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널 내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정상 속도를 초과하여 과속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방향이 해당 차량의 주행 속도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널 내부에서 추돌 사고와 같은 돌발 사고의 발생시 점멸 제어부(130)에서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방향을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돌발 상황 발생 구역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차량, 또는 터널을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들이 터널 내부의 돌발 상황을 인지하여 돌발 상황 발생 구역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멸 제어부(130)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제어시 차량의 진행 속도에 따라 조사되는 광원의 색상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점멸 제어부(130)는 후술할 중앙 조명부(150)에 구성되는 센서부(154)로부터 차선 침범 신호의 전송 여부에 따라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여부 및 점멸 색상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점멸 조명부(140)는 터널의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점멸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점멸이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과속, 전방 주시 태만, 졸음운전 및 역주행에 대한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제1점멸 조명부(142) 및 제2점멸 조명부(144)로 구성된다.
제1점멸 조명부(142)는 터널의 진입로와 진출로에 각각 구성되며,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으로 광원을 조사하되,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석의 측방을 향하도록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각으로부터 어긋나는 방향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점멸 조명부(142)는 정주행, 또는 역주행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시야로부터 어긋나게 조사되는 광원을 인식하도록 하여, 주행중인 차량에 대한 주행속도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전방 주시 태만 및 졸음운전 중인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제2점멸 조명부(144)는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점멸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점멸 조명부(144)는 점멸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점멸의 진행 방향 및 점멸 색상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터널 내부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 속도, 돌발 상황 발생 여부와 같이 상황에 대응하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중앙 조명부(150)는 터널의 상부 중앙, 다시말해 천장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터널 내부에 형성되는 차선과 수직한 위치에 구성된다.
이러한 중앙 조명부(150)는 통상의 터널의 내부 조명에 대한 역할을 수행하는 통상의 램프부재(152)와, 터널 내부의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임의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센서부(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154)는 상기 차량의 차선 변경 여부를 감지하여 차선 침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 침범 신호를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점멸 제어부(130)에서는 센서부(154)로부터 전송되는 차선 침범 신호에 따라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색상에 대한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점멸 제어부(130)는 센서부(154)로부터 차선 침범 신호가 수신되면, 차선 침범 신호에 포함된 센서부(154)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센서부(154)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점멸 조명부(144)의 점멸 제어시 붉은색 계열의 색상으로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중앙 조명부(150)는 센서부(154)에서 차선 침범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터널 내부의 도로에 형성되는 차선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경고 광원부재(156)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경고 광원부재(156)는 차선의 상부면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경우, 광원의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며, 운전자가 광원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색상과 밝기로 조사된다.
즉, 본 발명의 중앙 조명부(150)는 경고 광원부재(156)가 구성되는 경우, 센서부(154)에서 차선 침범 신호의 생성시 경고 광원부재(156)의 구동 신호를 더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경고 광원부재(156)로 전송하여 차선을 침범하고자 하는 해당 차량의 측방에 위치하는 차선으로 경고 광원부재(156)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광원 조사시 차선의 상부면으로 광원이 직선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시야에 수직한 광원의 형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도로 관리 시스템(200)은 터널 조명 시스템(100)의 차량 감지부(110), 차량 정보 수집부(120) 및 점멸 제어부(130)와 통신부(210)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터널 조명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터널 내부에서 돌발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터널 내부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들에게 사전에 통지함으로써, 돌발사고에 대해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신부(210), 정보 산출부(220), 사고 감지부(230), 정보 제공부(240), 분석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정보 산출부(220)는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차량 감지 신호를 바탕으로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통행량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한다.
여기서, 통행량 데이터는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수, 평균 주행 속도를 포함한다.
또한, 정보 산출부(220)는 산출된 통행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정상 주행 속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상 주행 속도값을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점멸 제어부(130)는 상기 정상 주행 속도값을 기준으로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여 점멸 조명부(14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사고 감지부(230)는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역주행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받아 지역 경찰서에 구비되는 교통서버로 전송하여 역주행중인 차량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고 감지부(230)는 터널 내부에 구성되어 터널 내에서 추돌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며, 감지한 터널 내 추돌 사고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제공부(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고 감지부(230)는 추돌 사고 정보의 생성을 위해 통상의 카메라, 화재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제공부(240)는 사고 감지부(230)로부터 터널 내 추돌 사고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상기 교통서버와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신받은 터널 내 추돌 사고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정보 제공부(240)는 교통서버로부터 긴급 통행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긴급 통행 차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260) 및 점멸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상기 긴급 통행 차량이 보다 신속하게 터널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점멸 제어부(130)는 긴급 통행 차량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점멸 조명부(140)와 중앙 조명부(150)가 모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점멸 조명부(140)는 제2점멸 조명부(144)가 미리 설정된 패턴에 의해 점멸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 조명부(150)는 경고 광원부재(156)가 모두 동시에 구동하여 차선의 상부에 광원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점멸 조명부(140)와 중앙 조명부(15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광원의 조사가 이루어지며, 서로 교번되게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분석부(250)는 정보 제공부(240)로 전송되는 터널 내 추돌 사고 정보를 분석하여 추돌 사고와 같은 돌발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터널을 파악하고, 해당 터널에 대한 정보를 교통서버로 전송하여, 교통서버를 통해 해당 터널의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60)는 차량 정보 수집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여 해당 차량이 표시된 차량 정보에 포함된 주행 속도와 차량 번호 정보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과속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차량 감지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역주행 위험 신호를 표시하여 정상 주행 중인 차량이 터널 내부로 역주행 중인 차량의 진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역주행중인 차량과의 추돌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정보 산출부(220)로부터 산출된 정보들과 사고 감지부(230)에서 감지한 돌발사고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터널 내부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이 터널 내부에 대한 환경을 미리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돌발사고에 대한 대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터널 내부에서의 안전 주행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60)는 터널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도로, 교차로 등에 설비되는 가로등 지주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통신부(210)를 이루는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미기재된 도면부호 10은 터널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널 조명 시스템 110: 차량 감지부
120: 차량 정보 수집부 130: 점멸 제어부
140: 점멸 조명부 150: 중앙 조명부
200: 도로 관리 시스템 210: 통신부
220: 정보 산출부 230: 사고 감지부
240: 정보 제공부 250: 분석부
260: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터널의 진입 및 진출로에 구성되며,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감지부;
    상기 차량 감지부를 통과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받아 상기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점멸 조명부 및 중앙 조명부를 제어하는 점멸 제어부;
    상기 터널의 양측부에 구성되고, 내부로 진입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 및 주행 방향에 대응하여 점멸이 이루어지는 점멸 조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는,
    진입로에 구성되며, 상기 터널로 진입하고자 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차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점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1차량 감지부와,
    진출로에 구성되어, 역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역주행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 역주행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점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2차량 감지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 조명부는,
    상기 터널의 진입로와 진출로에 각각 구성되며,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제1점멸 조명부와,
    터널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며, 터널 내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속도, 또는 터널 내부에서의 돌발 상황 발생 여부에 따라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점멸 조명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과속인 경우, 상기 제1점멸 조명부로부터 광원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며, 광원 조사시 광방향성에 대한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정상적인 주행 속도, 또는 과속인 경우, 상기 제2점멸 조명부를 제어하되, 상기 차량이 터널의 진입로에 진입하는 시점으로부터 진출로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주행 시간에 대응하여 순차적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터널 내부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점멸 조명부의 점멸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조명 시스템은,
    상기 터널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이 차선을 임의적으로 변경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차선 침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선 침범 신호를 상기 점멸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점멸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중앙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6. 터널 조명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감지부와, 상기 차량 감지부를 통과한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와, 상기 차량 감지부 및 차량 정보 수집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받아 상기 터널로 진입하는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점멸 조명부 및 중앙 조명부를 제어하는 점멸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차량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통행량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통행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정상 주행 속도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정상 주행 속도값을 상기점멸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보 산출부;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상기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을 감지하고, 감지한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사고 감지부;
    상기 사고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교통서버로 전송하며, 교통서버로부터 긴급 통행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정보 제공부로부터 상기 돌발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돌발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터널을 파악하는 분석부; 및
    상기 차량 감지부, 차량 정보 수집부, 정보 산출부 및 사고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
  7. 상기 사고 감지부는,
    상기 차량 감지부로부터 역주행 감지 신호가 전송되면, 이를 수신받아 지역 경찰서에 구비되는 교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
KR1020200164075A 2020-11-02 2020-11-30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 KR102419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4501 2020-11-02
KR1020200144501 2020-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384A true KR20220059384A (ko) 2022-05-10
KR102419502B1 KR102419502B1 (ko) 2022-07-11

Family

ID=8159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075A KR102419502B1 (ko) 2020-11-02 2020-11-30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294B1 (ko) * 2023-03-14 2023-09-21 주식회사 래도 속도 회복 유도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036B1 (ko) * 2022-12-30 2023-03-29 (주)에스티엔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671A (ko) * 2005-02-25 2006-08-30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비매설형 레이저 센서 차량번호 자동인식장치 및 레이저 센서와 cctv를 이용한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5663A (ko) * 2012-04-12 2013-10-22 (주)휴먼라이텍 터널 속도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KR101528781B1 (ko) * 2015-04-29 2015-06-15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도로 터널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안전운전 주행속도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60129206A (ko) * 2015-04-29 2016-11-09 (주)경봉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20170077620A (ko) 2015-12-28 2017-07-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차적 점멸 방식을 이용한 차량주행 속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2031162B1 (ko) * 2018-04-06 2019-10-11 한국주택시설관리(주) 터널용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20200044387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터널 자동 점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4671A (ko) * 2005-02-25 2006-08-30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비매설형 레이저 센서 차량번호 자동인식장치 및 레이저 센서와 cctv를 이용한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5663A (ko) * 2012-04-12 2013-10-22 (주)휴먼라이텍 터널 속도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터널 조명 시스템
KR101528781B1 (ko) * 2015-04-29 2015-06-15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도로 터널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안전운전 주행속도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60129206A (ko) * 2015-04-29 2016-11-09 (주)경봉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KR20170077620A (ko) 2015-12-28 2017-07-0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차적 점멸 방식을 이용한 차량주행 속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2031162B1 (ko) * 2018-04-06 2019-10-11 한국주택시설관리(주) 터널용 졸음 운전 방지 장치
KR20200044387A (ko) *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터널 자동 점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294B1 (ko) * 2023-03-14 2023-09-21 주식회사 래도 속도 회복 유도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502B1 (ko)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9749B (zh) 一种低能见度道路交通引导方法
CN109360426A (zh) 一种超速安全预警方法、装置、系统和可读存储介质
KR102419502B1 (ko) 터널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내 도로 관리 시스템
KR102101956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시스템
KR101744648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통학시간대 속도위반 단속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과속 경고 및 단속 겸용 시스템
CN105513420B (zh) 车辆用交叉路口关联警报装置
KR101720163B1 (ko) 도로반사경 장치
RU2598362C1 (ru) Система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столкновений участников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KR101408029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KR102062589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스마트 통합안내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감시시스템
KR101446048B1 (ko) 지능형 횡단보도 보행자 보호 장치 및 이를 가진 보호 시스템
KR2018000836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CN108922245B (zh) 一种公路视距不良路段预警方法及系统
KR102226533B1 (ko)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5597A (ko)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WO20171153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vehicular accidents
KR20160092963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07791B1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KR102098883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방법
KR101687518B1 (ko) 시야 확보가 불가능한 도로의 상황 예측 장치
KR100871344B1 (ko) 차량 속도 반응형 유도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66463B1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20160137714A (ko) 차량 정체 알림 장치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