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597A -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 Google Patents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597A
KR20160135597A KR1020150069127A KR20150069127A KR20160135597A KR 20160135597 A KR20160135597 A KR 20160135597A KR 1020150069127 A KR1020150069127 A KR 1020150069127A KR 20150069127 A KR20150069127 A KR 20150069127A KR 20160135597 A KR20160135597 A KR 2016013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ignal
traffic light
informa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470B1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47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provided with indicators in which a mark progresses showing the time elapsed, e.g. of green ph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LED를 촬영하여, 상기 통신 LED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아있는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에 진입하거나 통과하기까지 예상되는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과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을 서로 비교하여 경고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속방지방법을 공개한다. 또한 적색등이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남아 있는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통신 LED를 통해 표출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등을 공개한다.

Description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Alarming system for dilemma and hazard zone and traffic light for the same}
본 발명은 횡단보도 및 교차로에서의 딜레마 존 및 사고위험 존에서의 신호위반을 예방하기 위하여 신호등의 신호전환 시 신호위반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경고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신호등을 향해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신호등의 상태가 적색신호로 전환되기 직전에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를 무리하게 지나가기 위하여 과속하는 현상이 소위 딜레마 존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딜레마 존이란, 신호가 있는 교차로에서 운전자가 황색 신호를 인식하였으나 정지선 앞에서 정지할 수 없어서 계속 진행하여 황색 신호가 끝날 때까지 교차로를 빠져나오지 못한 경우에, 황색 신호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끝난 지점까지 차량이 존재하고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사고위험 존이란, 도로의 구조적 특성으로 종단 및 평면 선형에 위험 지역, 수년 동안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는 사고다발 지역, 안개/결빙/침수 등 기상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지역 등 도로 및 철도 교통에서 교통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은 구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 신호등의 신호전환 시 신호위반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경고장치 및 사고위험 존 전방에 경고 신호등이나 LED 속도 및 교통표지, 정보표지판에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경고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은, 통신 LED를 촬영하여, 상기 통신 LED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아있는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신호등이 관리하는 교통제어영역에 진입하거나 통과하기까지 예상되는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과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을 서로 비교하여 경고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통제어영역은 상기 신호등이 관리하는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등은 상기 통신 LED, 녹색등, 및 적색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LED는 상기 신호등에 포함되는 녹색등, 황색등, 및 좌회전등 중 어느 하나의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LED를 촬영하여 LED 통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LED 통신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와 상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시각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등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등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의 도로상에 존재하는 제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신호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차량의 위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 신호의 출력형태는, 시각 메시지 또는 청각 메시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신호등은, 적색등이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남아 있는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통신 LED를 통해 표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등은, 상기 신호등의 녹색등, 황색등, 적색등, 및 좌회전등 중 하나 이상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등제어 기본정보 및 상기 신호등의 지구위치에 관한 신호등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등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등 신호 제어부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신호등제어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은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 상기 신호등 신호 제어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신호등 위치정보와 상기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 LED를 구동하기 위한 변조 데이터로 변조하도록 되어 있는 LED 신호 변조부; 및 상기 LED 신호 변조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변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통신 LED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LED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LED는 상기 신호등의 녹색등, 황색등, 적색등 및 좌회전등과 함께 신호등에 포함되는 다른 LED 등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 LED는 상기 신호등에 포함되는 녹색등, 황색등, 및 좌회전등 중 어느 하나의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등은, 상기 통신 LED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 신호등의 신호 전환 시 신호위반 경고신호를 출력하여 딜레마 존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운전자가 신호위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고위험 존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자동차/열차) 운전자에게 사고 예방에 요구되는 정보(속도 감속과 위험 상황 표시 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시스템의 구성요소간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에서, LED 통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에서, LED 신호 변조부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경고 시스템은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량이 녹색신호 또는 황색신호가 적색신호로 전환되기 직전에 횡단보도 또는 교차로를 지나가기 위하여 과속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때, 상기 경고 시스템은 상기 차량을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사용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지원하는 외부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는 예컨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 또는 상기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시스템(100)의 구성요소간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고 시스템(100)은 차량위치정보 제공부(11), 차량속도정보 제공부(12), 신호등 위치정보 제공부(13), 차량으로부터 신호등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시간을 예측하는 진입시간 예측부(15), LED 정보 복호화부(16), 및 경고신호 출력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경고 시스템(100)은 운전자의 차량 내에 설치된 한 세트의 정보처리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한 세트의 정보처리장치는 자동차에 내장된 전자기기 및/또는 네비게이션 및/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기기일 수 있다.
차량위치정보 제공부(11)는 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차량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위치정보는 예컨대, GPS와 같은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차량위치정보 제공부(11)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차량속도정보 제공부(12)는 상기 차량이 도로를 주행하는 동안 측정된 차량의 속도에 관한 차량속도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속도정보는 예컨대, 상기 차량의 현재 속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예컨대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차량의 속도계가 제공할 수도 있다.
신호등 위치정보 제공부(13)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신호등의 위치에 관한 신호등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정보는 예컨대 네비게이션에서 보유하고 있는 교통지도(MAP)가 제공할 수 있다. 교통지도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신호등 중 특정 신호등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는 차량위치정보 제공부(11)에서 제공되는 차량위치정보와 차량의 진행방향을 이용하여 교통지도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는 차량위치정보 제공부(11)로부터 제공된 상기 차량위치정보 및 신호등 위치정보 제공부(13)로부터 제공된 상기 신호등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를 계산하여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진입시간 예측부(15)는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로부터 제공된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 및 차량속도정보 제공부(12)로부터 제공된 상기 차량속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 횡단보도에 진입하기까지 예상되는 통과소요 예상시간, 즉 진입시간을 계산하여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LED 정보 복호화부(16)는 교차로나 신호등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용 LED를 촬영하는 카메라(10)로부터 획득한 LED 통신 정보를 복호화하여 현재 시각으로부터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은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10)로부터 획득한 상기 LED 통신 정보는 펄스형태로 변조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LED 통신 정보에는 상기 신호등이 녹색신호로부터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예컨대 '3초'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LED는 다른 종류의 조명과 달리, 그 온/오프 상태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LED의 깜박임을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예컨대, 카메라(10)는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경고신호 출력부(17)는 LED 정보 복호화부(16)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 및 진입시간 예측부(15)로부터 제공된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을 기초로 하여 경고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보다 더 긴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신호는 예컨대 상기 차량의 위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신호의 출력형태는, 시각 메시지 또는 청각 메시지 등과 같이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LED 통신 정보 생성방법을 나타낸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LED 통신 정보 생성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에서, LED 신호 변조부(23)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은 통신 LED(20), 신호등 신호 제어부(21),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22), LED 신호 변조부(23), 및 LED 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등 신호 제어부(21)는, 상기 신호등의 황색등, 적색등, 녹색등, 및 좌회전등 등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등제어 기본정보, 및 상기 신호등의 지구위치에 관한 신호등 위치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등제어 기본정보는 예컨대, 상기 신호등의 황색등, 적색등, 녹색등, 및 좌회전등 등이 온/오프되는 스케줄을 나타내는 스케줄 정보, 및/또는 현재시각에서의 온/오프 상태에 관한 현재상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2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등 신호 제어부(21)로부터 얻은 상기 신호등제어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은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계산하여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LED 신호 변조부(23)는 신호등 신호 제어부(21)로부터 획득한 상기 신호등 위치정보와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22)로부터 획득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통신 LED(20)의 구동을 위한 변조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조 데이터는 패킷(3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각 패킷(30)에는 헤더(Header)(33) 및 데이터(Data)(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헤더(33)는 각 패킷(30)의 시작부분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헤더(33)에는 패킷(30)의 시작을 알리는 프리앰블(preamble)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에 의하여 각 패킷(30)을 서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패킷(30)의 시작부분을 알아낼 수 있다.
이때, 각 패킷(30)의 데이터(34)의 길이는 고정적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가변적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데이터(34)가 가변적 길이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패킷(30)에 포함되어 있는 헤더(33)에 데이터(34)의 길이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34)에는 LED 신호 변조부(23)가 송신하고자 하는 실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예컨대, 데이터(34)에는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등의 제1위치정보 및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의 제1값(ex: 3초)을 기초로 하여 제공되는 제1데이터는 제1 패킷(31)의 데이터(34)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등의 제2위치정보 및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의 제2값(ex: 2.5초)을 기초로 하여 제공되는 제2데이터는 제2 패킷(32)의 데이터(34)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LED 구동부(24)는 LED 신호 변조부(23)로부터 상기 변조 데이터를 제공받아 LED 통신 정보를 통신 LED(20)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일 예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호등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통신 LED(20)로부터 방출되는 광(光)을 이용하여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LED(20)에서 출력되는 광은 온/오프(ON/OFF)를 반복하는 펄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에서 설명한 카메라(10)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이하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b에 따른 구성에서는, 도 4a와 같이 통신 LED(20)가 신호등과 별도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신호등에 포함된 지시등인 녹색등을 이용하여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색등은 LED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를 이용하여 구현된 녹색등(이하, LED 녹색등)이 도 4a의 통신 LED(20)와 같이,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표출하는 기능을 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4b에서는, 상기 LED 녹색등이 도 4a의 통신 LED(20)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녹색등은 정보 제공을 위해 깜빡일 수 있는데, 이 깜빡이는 속도가 사람이 인지할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도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에게 녹색 신호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광량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광 강도로 표출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등 신호 제어부(21)는 신호등 제어 기본정보 및 녹색등 온/오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등 제어 기본정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녹색등 온/오프 정보는, 상기 녹색등을 오프 상태를 유지시킬 것인지, 또는 정보를 표출하도록 온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때, 도 4b에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LED 녹색등을 통해 표출될 수 있다.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의 표출방법을 도 4a와 도 4b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 4a에서는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가 별도로 제공되는 통신 LED(20)를 통해 표출되기 때문에 황색등, 적색등, 및 녹색등의 온/오프 상태와 관계없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는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가, 상기 LED 녹색등을 통해 표출되기 때문에 상기 녹색등의 온/오프 상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녹색등 온/오프 정보 중 상기 녹색등을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때에만 상기 LED 녹색등을 통해 표출될 수 있다.
도 4b에서는 녹색등만을 통해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들었으나, 녹색등뿐만이 아니라, 황색등 또는 좌회전등과 같은 다른 색의 등을 이용해서도 마찬가지로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1) 내지 단계(S20)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계(S11)에서, 차량위치정보 제공부(11)는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에게 차량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2)에서, 신호등 위치정보 제공부(13)는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에게 신호등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는 상기 차량위치정보 및 상기 신호등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S14)에서, 차량속도정보 제공부(12)는 진입시간 예측부(15)에게 차량속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5)에서, 차량-신호등 거리계산부(14)는 진입시간 예측부(15)에게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6)에서, 진입시간 예측부(15)는 상기 차량속도정보 및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이 횡단보도에 진입하기까지 예상되는 시간, 즉,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S17)에서, 진입시간 예측부(15)는 경고신호 출력부(17)에게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8)에서, LED 정보 복호화부(16)는 경고신호 출력부(17)에게 상기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9)에서, 경고신호 출력부(17)는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과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을 비교하여, 경고신호 출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S20). 반면,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21) 내지 단계(S26)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방법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1)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차량위치정보 및 신호등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차량위치정보 및 상기 신호등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3)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차량속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4)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 거리정보 및 상기 차량속도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 횡단보도 진입까지 예상되는 제1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5)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신호등이 녹색신호 또는 황색신호에서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은 제2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26)에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2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경고신호 출력여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시간이 상기 제1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시간이 상기 제1시간보다 긴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20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주(50)에 의해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 근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가 신호등(200)을 향해 주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딜레마 존 또는 사고위험 존에서의 신호위반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술한 경고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신 LED(20)가 신호등과는 별도로 제공된 예를 나타낸 것인데, 이와 달리 도 4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신 LED(20)가 신호등과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2)

  1. 통신 LED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 LED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아있는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신호등이 관리하는 교통제어영역에 진입하거나 통과하기까지 예상되는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과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을 서로 비교하여 경고신호의 출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속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이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보다 짧은 경우, 상기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과속방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통신 LED, 녹색등, 및 적색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방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LED는 상기 신호등에 포함되는 녹색등, 황색등, 및 좌회전등 중 어느 하나의 등인, 과속방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LED로부터 방출된 빛을 촬영하여 LED 통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LED 통신 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속방지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 또는 상기 신호등이 관리하는 상기 교통제어영역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거리와 상기 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통과소요 예상시간에 관한 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속방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신호등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시각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등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과속방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의 도로상에 존재하는 제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신호등인, 과속방지방법.
  9. 적색등이 온 상태가 될 때까지 남아 있는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관한 정보를 통신 LED를 통해 표출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신호등의 녹색등, 황색등, 적색등, 및 좌회전등 중 하나 이상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등제어 기본정보 및 상기 신호등의 지구위치에 관한 신호등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등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등 신호 제어부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신호등제어 기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이 적색신호로 전환되기까지 남은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계산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
    상기 신호등 신호 제어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신호등 위치정보와 상기 신호전환 잔여시간 계산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 LED를 구동하기 위한 변조 데이터로 변조하도록 되어 있는 LED 신호 변조부; 및
    상기 LED 신호 변조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변조 데이터에 따라 상기 통신 LED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LED 구동부
    를 포함하는,
    신호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LED는 상기 신호등의 녹색등, 황색등, 적색등 및 좌회전등과 함께 신호등에 포함되는 다른 LED 등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 LED는 상기 신호등에 포함되는 녹색등, 황색등, 및 좌회전등 중 어느 하나의 등인,
    신호등.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LED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통행가능 잔여시간에 대한 정보를 표출하도록 되어 있는, 신호등.
KR1020150069127A 2015-05-18 2015-05-18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KR101740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127A KR101740470B1 (ko) 2015-05-18 2015-05-18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127A KR101740470B1 (ko) 2015-05-18 2015-05-18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97A true KR20160135597A (ko) 2016-11-28
KR101740470B1 KR101740470B1 (ko) 2017-05-31

Family

ID=5770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127A KR101740470B1 (ko) 2015-05-18 2015-05-18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4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17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교통상황기반 신호위반 경고 장치, 그를 포함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37313B2 (en) 2018-12-13 2021-03-02 Traffic Technology Services, Inc. Vehicle dilemma zone warning using artificial detection
WO2020142160A3 (en) * 2018-12-13 2021-03-25 Traffic Technology Services, Inc. Vehicle dilemma zone warning using artificial detection
CN114694396A (zh) * 2020-12-29 2022-07-01 奥迪股份公司 控制车辆的方法、装置、电子设备、车辆和介质
KR102483169B1 (ko) 2022-08-18 2022-12-30 정준원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KR20240000232A (ko) 2022-06-23 2024-01-02 나도진 교차로와 횡단보도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충돌방지 신호시스템
KR20240014867A (ko) 2022-07-26 2024-02-02 나도진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등 시스템,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등 시스템, 이면도로의 위험 알림신호등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904A (ko) 2020-12-01 2022-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교차로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267B2 (ja) 2005-09-07 2011-04-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信号機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車速制御システム
JP2012203785A (ja) * 2011-03-28 2012-10-22 Sanyo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JP2013196040A (ja) * 2012-03-15 2013-09-30 Toshiba Corp 車両および通信ユニッ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17A (ko) * 2016-12-07 2018-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교통상황기반 신호위반 경고 장치, 그를 포함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37313B2 (en) 2018-12-13 2021-03-02 Traffic Technology Services, Inc. Vehicle dilemma zone warning using artificial detection
WO2020142160A3 (en) * 2018-12-13 2021-03-25 Traffic Technology Services, Inc. Vehicle dilemma zone warning using artificial detection
CN114694396A (zh) * 2020-12-29 2022-07-01 奥迪股份公司 控制车辆的方法、装置、电子设备、车辆和介质
KR20240000232A (ko) 2022-06-23 2024-01-02 나도진 교차로와 횡단보도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충돌방지 신호시스템
KR20240014867A (ko) 2022-07-26 2024-02-02 나도진 교차로에서 우회전 차량을 위한 신호등 시스템, 어린이 보호구역 신호등 시스템, 이면도로의 위험 알림신호등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483169B1 (ko) 2022-08-18 2022-12-30 정준원 횡단보도 신호 예고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470B1 (ko)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470B1 (ko) 딜레마 존과 사고위험 존 등에 대한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신호등
KR101338124B1 (ko) 스마트 교통 제어 시스템
KR102077113B1 (ko)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US10351131B2 (en) Wrong way vehicle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JP4706315B2 (ja) 車両の運転支援システム
KR101324531B1 (ko) 차량의 램프이상 알림시스템 및 알림방법
CN101419749A (zh) 一种低能见度道路交通引导方法
KR2018000836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WO2006008825A1 (ja) 道路状況報知装置および道路状況報知方法
KR20140069749A (ko) 안전 운전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837546A (zh) 一种高速公路团雾引导布设方法
KR101542715B1 (ko) 도로의 위험구간 경고 및 감속 유도 장치
KR20160092957A (ko) 교차로에서 신호위반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교차로 교통신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CN111762167A (zh) 车辆用驾驶辅助装置
KR20210001548A (ko) 영상기반 보행자인식 알고리즘 적용 횡단보도 보행신호 보조시스템
KR101976196B1 (ko) 차량용 교통신호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교통신호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139807A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74359B1 (ko) 차량용 신호등
KR101233929B1 (ko)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200483183Y1 (ko) 지능 인식형 디지털 신호등
KR102055693B1 (ko) 긴급 차량 진행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8663B1 (ko)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KR101387435B1 (ko) 교통신호기 연동 트램 제어시스템 및 방법
WO20161620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edestrian cro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