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781A -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781A
KR20220057781A KR1020200142785A KR20200142785A KR20220057781A KR 20220057781 A KR20220057781 A KR 20220057781A KR 1020200142785 A KR1020200142785 A KR 1020200142785A KR 20200142785 A KR20200142785 A KR 20200142785A KR 20220057781 A KR20220057781 A KR 2022005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litis
composition
olerace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이정호
김대근
정경옥
오병택
태현진
이세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14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7781A/ko
Publication of KR2022005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우수하므로 식품첨가제,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세정제 등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colitis comprising Aralia elata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장염은 대장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원인에 따라 크게 감염성 대장염과 비감염성 대장염으로 분류된다. 급성 감염성 대장염은 전세계적으로 많이 발생되며 발열, 오심, 구토, 점액성 또는 혈성 설사와 복통이 주요 증상이다. 감염균의 종류에 따라 바이러스성 장염(노로 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세균성 장염(콜레라, 대장균, 이질, 장티푸스, 예르시니아, 캠필로박터), 원충 대장염(아메바), 위막성 대장염이 있다. 본래 장내에는 수많은 세균들이 뒤섞여 있으며, 장내 점막과 세균총들이 일정한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공존하고 있다. 그런데 병원성이 강한 세균이 장에 들어오면 직접 장점막을 침범하거나, 이들이 내는 독소가 이러한 균형을 깨뜨려 감염성 장염이 발생한다. 결핵균에 의해서도 대장염이 발생하는데 만성적인 복통이나 체중 감소가 흔히 발생한다.
비감염성 대장염은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방사선성 대장염, 허혈성 대장염, 베체트 장염(Intestinal Behcet's Disease), 약제유발성 장염 등이 있다.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적으로 설사, 복통, 혈변, 체중 감소가 발생하고 재발이 흔하며,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출혈,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면 수술이 필요하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허혈성 대장염은 노인이나 고혈압 및 심장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들에서 혈변과 복통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장으로 가는 혈류가 감소해서 발생한다. 베체트 장염은 베체트병 환자에서 소장이나 대장에 궤양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재발이 흔하고, 방사선 장염은 악성종양으로 복부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복통이나 출혈이 흔하며, 약제 유발성 장염은 약물 복용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소염진통제가 가장 흔한 약물이다. 이러한 대장염들은 환자의 병력, 복부 진찰 및 소장 촬영, 대장내시경, 복부 CT 검사 등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종래에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발생율은 서양인에게 높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의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렇지만 원인이 불분명한 이유도 있어 근본적인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완전한 치료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을 완화시키고, 이러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증요법을 위한 약제로서 주로 아미노살리실산제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살리실산제제로서 자주 사용되는 살라조설파피리딘은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발진, 두통, 간장해, 백혈구 감소, 이상 적혈구, 단백뇨, 설사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는 일반적으로는 프레드니솔론의 경구투여, 관장, 좌약, 정맥 주사 등으로 사용되지만, 위궤양이나 장기사용에 의한 대퇴골두 괴사 등 부작용이 강하다. 그러나 투약의 중단은 증상을 재발시키기 때문에 이들 약제는 계속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인체에 무해하여 부작용 없이 대장염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두릅(Aralia elata)은 두릅나무에 달리는 새순으로, 톡특한 향이 나는 산나물이다. 두릅은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는데, 땅두릅은 4∼5월에 돋아나는 새순을 땅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을 말한다. 두릅에는 단백질이 많고 지방, 당질, 섬유질, 인, 칼슘, 철분, 비타민(B1, B2. C), 사포닌 등이 들어 있어 혈당을 내리고 혈중지질을 낮추어 주므로 당뇨병, 신장병 또는 위장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604219호에는 '지모와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938933호에 '모과, 감초 및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두릅(Aralia elata) 열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두릅 추출물을 대식세포(Raw264.7)에 처리한 결과, 대식세포 내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및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두릅 추출물을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ulfate sodium, DSS)으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모델에 경구투여한 결과, 변의 무른 정도, 혈변 정도 및 체중 감소 정도가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두릅 추출물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에 항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여, 두릅 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신규한 천연 소재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고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대장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천연물로서 친환경적이고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두릅 추출물 농도별(312.5, 625, 1250, 2500, 5000, 10000 mg/L)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1B는 두릅 추출물 농도별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두릅 추출물이 농도별(100, 200, 300, 400 mg/L)로 처리된 인간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세포 독성(Cytotoxicity) 및 세포 내 항산화 활성(Cellular antioxidant activity)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A는 두릅 추출물이 농도별(25, 50, 75, 100 mg/L)로 처리된 대식세포(Raw264.7)에서 세포 독성(Cytotoxicity)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을 측정한 결과이고, 도 3B는 두릅 추출물이 농도별로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 IL-1β의 생성 비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두릅 추출물이 농도별(50, 100, 150, 200 mg/L)로 처리된 직장암세포(Caco-2)에서 세포 독성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A는 정상 마우스에 두릅 추출물(250 mg/kg 또는 1000 mg/kg)을 급여한 후 간 조직을 채취하여 H&E 염색(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수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고, 도 5B는 정상 마우스에 두릅 추출물을 급여한 후 마우스의 몸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Sham: 정상 식이 급여군, Sham+saline: 식염수 처리군, A1: 두릅 추출물 250 mg/kg 처리군, A3: 두릅 추출물 1000 mg/kg 처리군.
도 6은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odium sulfate, DSS)으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모델에 두릅 추출물을 처리하고 변의 무른 정도, 혈변 정도, 체중 감소 정도 및 대장염 질병 활성 지수를 나타낸 결과이다. DSS: 대장염 유발군(두릅 추출물 무처리), DSS+A1: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250 mg/kg 처리군, DSS+A2: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500 mg/kg 처리군, DSS+A3: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1000 mg/kg 처리군.
도 7 내지 도 9는 DSS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모델에 두릅 추출물을 처리한 후, 간(lgiver; 도 7), 비장(spleen; 도 8) 및 대장(colon; 도 9)을 적출하여 H&E 염색법(Hematoxylin&eosin staining)을 수행하고 현미경(400 배율)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A: Sham(정상 식이 급여군), B: Sham+saline(식염수 처리군), C: DSS(대장염 유발군, 두릅 추출물 무처리), D: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250 mg/kg 처리군, E: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500 mg/kg 처리군, E: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1000 mg/kg 처리군.
도 10은 DSS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모델에 두릅 추출물을 처리한 후 대장(colon), 비장(spleen), 신장(kidney) 및 정소(testis)의 길이(length) 또는 무게(weight)를 측정한 결과이다. Sham: 정상 식이 급여군, sal: 식염수 처리군, A1: 두릅 추출물 250 mg/kg 처리군, A3: 두릅 추출물 1000 mg/kg 처리군, DSS: 대장염 유발군(두릅 추출물 무처리), DSS+DA1: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250 mg/kg 처리군, DSS+DA2: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500 mg/kg 처리군, DSS+DA3: 대장염 유발 후 두릅 추출물 1000 mg/kg 처리군.
도 11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및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를 대상으로 아가 웰 확산법(agar well diffusion assay)과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을 수행하여, 두릅 추출물의 농도별(100, 200, 300 mg/㎖)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MIC: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xoncentration), MBC: 최소살균농도(microbial bacteriocidal concentra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두릅순을 세척하고 58~62℃에서 열풍건조한 후 100 mesh 이하로 분쇄된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78~82℃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두릅순을 세척하고 60℃에서 열풍건조한 후 100 mesh 이하로 분쇄된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두릅 추출물은 추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대식세포(Raw264.7), 간암세포(HepG2) 및 직장암세포(Caco-2)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대식세포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및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고, 상기 두릅 추출물을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odium sulfate, DSS)으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모델에 경구투여한 경우, 주요 장기(대장, 비장, 신장 및 정소)의 무게와 혈청 내 주요 성분(알부민, 글로불린, ALP(alkaline phosphat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BUN(blood urea nitrogen), 크레아틴, 총 단백질 및 글로코오스)의 함량에 변화가 없으면서 변의 무른 정도, 혈변 정도 및 체중 감소 정도가 무처리 대조군에 현저히 감소하므로,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인 대장염에 대한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대장염을 예방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두릅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의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를 들어, 사과, 배,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저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대식세포(Raw264.7), 간암세포(HepG2) 및 직장암세포(Caco-2)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대식세포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및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고, 상기 두릅 추출물을 덱스트란 황산 나트륨(dextran sodium sulfate, DSS)으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모델에 경구투여한 경우, 주요 장기(대장, 비장, 신장 및 정소)의 무게와 혈청 내 주요 성분(알부민, 글로불린, ALP(alkaline phosphat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BUN(blood urea nitrogen), 크레아틴, 총 단백질 및 글로코오스)의 함량에 변화가 없으면서 변의 무른 정도, 혈변 정도 및 체중 감소 정도가 무처리 대조군에 현저히 감소하므로,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염증성 질환인 대장염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그람양성 세균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일 수 있고, 상기 그람음성 세균은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두릅 추출물은 상기 전술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므로, 상기와 같은 병원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이 사료첨가제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육상 또는 수상 동물에 대하여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사료에는 분말사료, 고형사료, 모이스트 펠릿사료, 드라이 펠릿사료, EP(Extruder Pellet) 사료, 날먹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두릅 추출물의 제조
두릅순을 증류수로 3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60℃에서 열풍건조한 후 100 mesh 이하로 분쇄하였고, 상기 두릅순 분말에 물을 첨가하고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고 감압 여과를 통해 고형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80℃ 동결건조를 통해 두릅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두릅 추출물의 세포 독성 및 항산화 효과 분석
1-1.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해 두릅 추출물 40 ㎕와 메탄올로 제조된 0.2 mM DPPH 용액 180 ㎕를 96-웰 플레이트에 혼합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Tecan Group LTD., Infinite M200 Pro)를 사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시료무 첨가군의 흡광도)*100.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기 위해 증류수로 제조된 7 mM ABTS 용액에 2.4 mM의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 1.0이 되도록 증류수로 조정하였다. 두릅 추출물 10 ㎕와 ABTS 용액 190 ㎕를 96-웰 플레이트에 혼합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시료무 첨가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두릅 추출물의 처리 농도(312.5, 625, 1250, 2500, 5000, 10000 mg/L)에 비례하여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두릅 추출물 5,000 mg/L 처리군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 mg/L 농도의 양성 대조군(Ascorbic acid 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도 1A).
1-2.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두릅 추출물 1 ㎖에 1 N Folin-Ciocalteu's reagent 0.5 ㎖을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한 다음 5% Na2CO3 1 ㎖을 첨가하여 암소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Agilent, Agilent 8453)를 이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분석하였다. 두릅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산(gallic acid)의 표준곡선(25-200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회귀식은 y=0.0055x-0.0318(R2=0.9969)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mg gallic acid equivalent(GAE)/g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0.5 ㎖에 10% 질산알루미늄(aluminum nitrate)의 0.1 ㎖과 1 M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의 0.1 ㎖을 순차적으로 첨가한 후 에탄올 4.3 ㎖을 가하여 혼합하고 4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415 nm에서 흡광도를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쿼세틴(quercetin)의 표준곡선(20-100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회귀식은 y=0.0014x+0.0011(R2=0.9989)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quercetin(QE)/g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두릅 추출물의 처리 농도(312.5, 625, 1250, 2500, 5000, 10000 mg/L)에 비례하여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B).
1-3. HepG2 세포에서 세포 독성 및 항산화 활성 측정
인간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두릅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 두릅 추출물의 처리 농도(100, 200, 300, 400 mg/L)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각각 102.5±5.6%, 103.3±3.5%, 101.6±3.2%, 97.5±4.2%이었으며, 400 mg/L 이하의 농도에서 HepG2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HepG2 세포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HepG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로 분주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한 후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50 ㎕로 2회 세척하였다. 100 ㎕의 MEM 배지(25 uM DCFH-DA;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농도별 추출물)을 처리하여 1시간 배양하였으며, 각 웰을 HBSS로 1회 세척한 다음 100 ㎕의 AAPH[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형광을 측정하였다(Emission: 538 nm, Excitation: 485 nm).
그 결과, RFU(Relative fluorescence units) 값이 두릅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각각 10.9±0.2, 6.1±0.2, 6.0±0.1, 5.7±0.1, 4.2±0.2 RFU로 나타났으며, 두릅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RFU 값이 감소함으로써 세포 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두릅 열수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대식세포 및 직장암세포에서 두릅 추출물의 항염 효과 분석
2-1. 대식세포(Raw264.7)에서 세포 독성 및 항염 효과 확인
대식세포에서 두릅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두릅 추출물 100 ㎕를 첨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0.5 mg/㎖의 MTT 용액을 웰 당 50 ㎕ 첨가하고 4시간동안 반응시킨 다음 용액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건조하였다. 이 후 DMSO 200 ㎕를 첨가하여 각 웰에 생성된 포마잔 결정을 완전히 용해시키고 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릅 추출물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은 각각 102.6±0.5%, 101.5±0.4%, 102.3±2.0%, 100.3±0.9%이었고, 100 mg/L 이하의 농도에서 대식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에서 두릅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RAW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5 cell/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두릅 추출물을 세포에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1 ㎍/㎖의 LPS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 후 세포배양 상등액 100 ㎕와 griess 시약(0.1% N-(1-naphtyl) ethylenediamine와 1% sulfanilamide 1:1) 100 ㎕를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혼합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ytokine 억제 활성 측정을 위해서는 RAW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5 cell/well이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두릅 추출물을 세포에 2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각 웰에 1 ㎍/㎖의 LPS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상층액을 수거하고, ELISA 키트(ELISA MAXTM Deluxe Set, BioLegend)를 이용하여 TNF-α, IL-1β 및 IL-6의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릅 추출물 처리군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활성은 각각 23.1±0.8%, 27.4±2.0%, 33.5±4.2%, 44.1±2.8%로, 두릅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그리고, 두릅 추출물 처리군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 IL-1β의 생성율은 TNF-α의 경우 97.2±7.2%, 82.8±9.7%, 73.8±3.6%, 69.2±0.8%이었고, IL-6의 경우 75.3±1.7%, 68.6±3.6%, 62.0±1.0%, 60.9±1.6%이었으며, IL-1β의 경우 57.5±4.9%, 51.3±0.3%, 45.2±3.7%, 39.0±2.8%로 확인되었다(도 3B).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대식세포 내 NO와 염증인자인 사이토카인을 생성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2-2. 직장암세포(Caco-2)에서 항염 효과 확인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직장암세포(Caco-2)에 두릅 추출물(50, 100, 150, 200 mg/L)을 전처리하고 LPS를 처리한 후 세포 독성 및 항염 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릅 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라 세포 생존율이 각각 101.2±0.2%, 103.5±4.6%, 104.3±2.4%, 103.2±0.6%이었고, 200 mg/L 이하의 농도에서 직장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두릅 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라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활성은 각각 38.5±2.4%, 37.6±2.1%, 46.5±1.6%, 52.4±3.5%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이 직장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시예 3. 두릅 추출물이 정상 마우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3-1. 마우스 준비
SPF(specific pathogen free) 마우스인 5주령의 C57BL/6 수컷 마우스 40마리를 한일실험동물센터에서 구입하고 1주일 동안 순화 기간을 거친 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사육환경은 온도 23±1℃, 습도 50±10%, 명암 12시간 주기 조건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모든 실험 과정은 전북대학교 동물실험윤리 위원회(IACUC) 심의(심의번호: CBNU 2020-0134)를 거친 후 심의규정을 준수하여 진행하였다.
3-2. 정상 마우스에서 두릅 추출물의 부작용 확인
두릅 추출물 처리에 따른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일반사료를 급여하는 마우스에 2주간 두릅 추출물(250mg/kg, 1000 mg/kg)을 존데(sonde)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한 후 체중 변화 및 간 조직 독성을 관찰하였다.
간 조직을 대상으로 H&E(Hematoxylin & eosin) 염색법을 수행한 결과, 정상 식이 급여군(Sham), 식염수 처리군(Sham+saline) 및 두릅 추출물 처리군(Sham+A3) 모두 간 세포 내 유의한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5A). 또한 주 3회 2주간 체중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정상 식이 급여군(Sham), 식염수 처리군(Sham+saline) 및 두릅 추출물 처리군(A1 또는 A3) 모두 체중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5B). 즉,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은 마우스에 대해 특별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3-3. 두릅 추출물의 소화기능 개선 효능 검증
2주 동안 두릅 추출물을 용량별로 투여하고 차콜(Charcoal)을 증류수에 녹여 만든 5% 차콜 용액 0.5 ㎖를 경구투여한 후, 40분 후에 30% 우레탄(urethane)을 1.5g/kg 복강 주사하여 소화기를 적출하여 차콜 용액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ham 실험군과 Sham+Saline 실험군에 비해 두릅 추출물 처리군에서 차콜 용액의 이동거리가 증가하였고, 특히 두릅 추출물 1000 mg/kg 처리군(Sham-A3)에서 차콜 용액의 이동 거리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1).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이 장의 연동 운동을 촉진시켜 소화기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두릅 추출물의 소화기능 개선 효과 확인
실험군 Charcoal 용액 이동거리(cm)
Sham 37.62±0.64
Sham-sal 39±1.07
Sham-A1 40.3±0.56
Sham-A3 45.73±5.78*
실시예 4. 두릅 추출물이 대장염 동물모델에 미치는 영향 분석
4-1. 대장염 동물모델 준비
C57BL/6 마우스에 DSS(Dextran Sodium Sulfate, MP biomedicals) 2.5%를 식수로 1주간 급여하여 대장염을 유발하였고, 1주일 후 희생하여 대장을 조직병리학적으로 관찰하여 대장염 발병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으로는 정상적으로 식이를 급여한 'Sham 실험군', 존데 스트레스 영향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sham 실험군에 식염수(saline) 100 ㎕를 투여한 'Sham+saline 실험군', 두릅 추출물(250 mg/kg) 25 ㎕를 투여한 'A1 실험군', 두릅 추출물(1000 mg/kg) 100 ㎕를 투여한 'A3 실험군', DSS를 급이하여 대장염을 유발한 'DSS 실험군(두릅 추출물 무처리)', 대장염 실험군에 두릅 추출물(250 mg/kg) 25 ㎕를 투여한 'DSS+A1 실험군', 대장염 실험군에 두릅 추출물(500 mg/kg) 50 ㎕를 투여한 'DSS+A2 실험군' 및 대장염 실험군에 두릅 추출물(1000 mg/kg) 100 ㎕를 투여한 'DSS+A3 실험군'으로 정하였다.
4-2.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대장염 개선 효과 확인(대장염 질병 활성 지수 측정)
DSS 실험군(대장염 유발, 두릅 추출물 무처리) 및 두릅 추출물 처리군(DSS+A1, DSS+A2 및 DSS+A3)의 변을 채취하여 변의 무른정도, 혈변 정도, 체중 감소 정도를 측정하여 대장염 질병 활성 지수를 측정하였다. 대장염 질병 활성 지수는 변의 무른정도(1~4점), 혈변 정도(1~4점) 및 체중 감소 정도(1~4점)를 합산한 값이다(표 2).
그 결과, 변의 무른 정도, 혈변 정도 및 체중 감소 정도를 포함하는 대장염 질병 활성 지수가 DSS 실험군에 비해 두릅 추출물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특히 두릅 추출물 1000mg/kg 처리군에서 더욱 유의성있게 감소하는 것을 학인하였다(표 3 및 도 6).
대장염의 질병 활성 지표
점수 세부 지표
변의 무른 정도 혈변 정도 체중 감소 정도a
0점 정상 정상 변화 없음
1점 모양은 정상이나 핀셋으로 눌렀을 때 무른 변 선홍색의 혈액이 소량 묻은 정도의 변 5% 미만
2점 모양이 유지된 채 무른 변 선홍색의 혈액이 다량 묻은 정도의 변 5% 이상 10% 미만
3점 형태가 흩어지면서 소량의 물과 함께 배설된 변 선홍색의 혈액과 다소 색이 검은 변 10% 이상 15% 미만
4점 무형태로 다량의 물과 함께 배설된 변 선홍색의 혈액과 색이 진하게 검은 변 15% 이상
a: (이전 체중-현재 체중)/현재 체중×100
Figure pat00001
4-3.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대장염 개선 효과 확인(조직학적 분석)
대장염 동물모델의 간, 비장 및 대장을 수집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4% PFA(Paraformaldehydeacid)에 저장한 후 파라핀에 포매하여 조직절편하고 H&E 염색(Hematoxyline-Eosin stain)을 수행하였다.
간 조직학적 분석 결과, Sham 실험군(도 7A)은 전형적인 간의 조직을 나타내고 있으나, DSS 실험군(도 7C)에서는 많은 염증세포들의 이주 현상이 관찰되었다. 반면에 두릅 추출물 처리군 DSS+A1(도 7D), DSS+A2(도 7E) 및 DSS+A3(도 7F)도 염증세포들의 이주 현상이 있었으나 DSS 실험군에 비해 그 정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비장 조직학적 분석 결과, Sham 실험군(도 8A)은 전형적인 비장의 조직을 나타내고, DSS 실험군(도 8C)과 두릅 추출물 처리군(도 D~F) 모두 약간의 종대가 관찰되었지만 Sham 실험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DSS 실험군과 두릅 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특별한 병소가 관찰되지 않았다.
대장 조직학적 분석 결과, Sham 실험군(도 9A)은 전형적인 대장의 조직을 나타내고 있으나, DSS 실험군(도 9C)은 점막의 움(crypt)이 소실되고 점막층 및 점막밑층에서 많은 염증세포들의 이주 현상과 근육층의 비대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두릅 추출물 처리군(도 9D, 9E 및 9F)은 조직의 손상이 있었으나 DSS 실험군에 비해 손상 정도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대장염이 유발된 DSS 실험군에서는 병소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두릅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조직의 손상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이 대장염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4. 대장염 동물모델의 체중 측정
C57BL/6 마우스에 DSS 2.5%를 식수로 1주간 급여하여 대장염을 유발하였고, 2주간 매일 일정한 시간에 존데를 이용하여 두릅 추출물 250 mg/kg(A1), 500 mg/kg(A2) 또는 1000mg/kg(A3)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을 대상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검 전날(15일째)에는 절식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체중이 감소하였고, DSS 실험군(대장염 유발, 두릅 추출물 무처리)에서는 체중 감소폭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으나, 두릅 추출물 처리군(DSS+A1, DSS+A2 및 DSS+A3)에서는 DSS 실험군에 비해 체중 감소폭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4).
Figure pat00002
4-5. 대장염 동물모델의 장기 무게 측정
우레탄(Urethane)을 1.5g/kg 복강 주사하여 대장(colon), 신장(kidney), 비장(spleen) 및 정소(testis)를 적출하여 무게 또는 길이를 측정하였다.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이 있는 경우 대장의 길이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발명의 DSS 실험군(대장염 유발, 두릅 추출물 무처리)의 대장 길이는 Sham 실험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두릅 추출물 처리군(DA1, DA2 및 DA3)은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없지만 DSS 실험군에 비해 대장 길이가 덜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대장 무게 측정 결과도 상기 대장 길이 측정 결과와 동일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장의 무게는 염증의 간접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데, DSS 실험군의 비장 무게는 Sham 실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두릅 추출물 처리군의 비장 무게는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없지만 DSS 실험군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신장 및 정소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표 5 및 도 10).
Figure pat00003
실시예 5. 두릅 추출물의 항균 활성 분석
두릅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아가 웰 확산법(agar well diffusion assay)과 디스크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디스크 확산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두릅 추출물을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에 100 ㎕씩 주입하고 30분간 건조한 다음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가 도말된 브루셀라 아가(brucella agar) 배지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 또는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이 도말된 LB 배지에 삽입한 후 37℃, 10%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두릅 열수 추출물에 의해 생성된 클리어 존(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아목시실린(amoxicillin)을 사용하였다.
두릅 추출물 처리에 따른 클리어 존을 관찰한 결과, 그람양성 세균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 monocytogenes)와 그람음성 세균인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 typhimurium) 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에 대하여 두릅 추출물의 클리어 존이 두릅 추출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또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두릅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xoncentration, MIC)와 최소살균농도(microbial bacteriocidal concentration, MBC)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96-웰 플레이트에 브루셀라 배지를 100 ㎕씩 분주하고 두릅 추출물을 50 ㎕ 분주한 다음 OD600 0.2로 조절한 균주액 50 ㎕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37℃의 10%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해 600 nm에서 균주의 생장이 검출되지 않는 농도를 구하였다. 최소살균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소저해농도의 값이 나타난 그 이상의 시료 배양액들을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BC를 결정하기 위해 병원성 미생물이 완전히 사멸하는 최소 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두릅 추출물의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및 살모넬라 티피무리움에 대한 최소농도억제(minimal inhibitory xoncentration, MIC)는 75 mg/㎖이고 최소살균농도(microbial bacteriocidal concentration, MBC)는 300 mg/㎖임을 확인하였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대한 최소농도억제는 150 mg/㎖이고 최소살균농도는 400 mg/㎖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두릅 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하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 살모넬라 티피무리움 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생장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이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두릅 추출물은 대식세포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및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항산화 활성을 갖는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양성 세균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이고, 상기 그람음성 세균은 살모넬라 티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람양성 또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8. 제6항의 항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0200142785A 2020-10-30 2020-10-30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7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85A KR20220057781A (ko) 2020-10-30 2020-10-30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785A KR20220057781A (ko) 2020-10-30 2020-10-30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81A true KR20220057781A (ko) 2022-05-09

Family

ID=8158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785A KR20220057781A (ko) 2020-10-30 2020-10-30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77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10206786A1 (en) Acai and Iridoid Based Formulations
US8790727B2 (en) Morinda citrifolia and iridoid based formulations
KR101647029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110217394A1 (en) Iridoid Based Formulations
US20150086655A1 (en) Morinda Citrifolia Juice Formulations Comprising Iridoids
KR20160005162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67826A (ko)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0164A (ko)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9574B1 (ko) 이고들빼기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KR101902932B1 (ko)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06103A (ko) 우엉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040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3455B1 (ko) 미나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220057781A (ko) 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9885B1 (ko) 살리드로사이드 또는 베툴린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102114271B1 (ko) 금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82356B1 (ko) 오가피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9105A (ko) 층꽃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1922B1 (ko) 수영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23638B1 (ko) 은 화합물과 착화제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삼칠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중 전립선 특이항원 안정화제
WO2023243855A1 (ko) 대홍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건강 개선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1075055B1 (ko) 캡사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72907B1 (ko) 더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또는 천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ordonaba et al. 14 Ribes and Rubus [Blackberry, Currants and Raspberry,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