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0164A -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0164A
KR20100080164A KR1020080138808A KR20080138808A KR20100080164A KR 20100080164 A KR20100080164 A KR 20100080164A KR 1020080138808 A KR1020080138808 A KR 1020080138808A KR 20080138808 A KR20080138808 A KR 20080138808A KR 20100080164 A KR20100080164 A KR 20100080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ion
aptosimmon
aptosimon
disease
asth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718B1 (ko
Inventor
안경섭
이형규
이미영
박보영
권옥경
오세량
이상구
이중구
육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8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7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23K20/126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토시몬[(-)-aptosimo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로부터 분리한 (-)-압토시몬[(-)-aptosimon]이 염증 유발에 의해 급격히 증가한 NO, PGE2(prostaglandin E2) 및 TNF-α 생성, iNOS 및 COX-2 발현 및 NF-κB 활성 억제 및 Th 2 유형 IL-4와 IL-13 사이토카인의 양을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가지며, 식물로부터 분리한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사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압토시몬,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 염증, NO, PGE2, TNF-α, iNOS, COX-2, NF-κB, IL-4, IL-13

Description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ptosim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본 발명은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이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세균이 특정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을 하게 되면 생체의 백혈구가 이를 인지하여 증식된 외부 세균을 활발히 공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 중 발생되는 백혈구의 사해가 균에 의하여 침입받은 조직에 축적됨과 동시에 백혈구에 의하여 사멸된 침입균의 세포 파괴물이 침입받은 조직 내로 융해되어 농양이 형성된다. 염증에 의한 농양의 치료는 소염작용을 통하여 촉진될 수 있는데, 소염작용이란 항균제를 이용하여 침입균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농양중에 축적된 이물질들을 탐식하는 대식세포(macrophage)를 활성화 하여 상기 이물질들을 소화 및 배설하는 대식세포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등의 염증치료 촉진작용이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으로 인한 손상을 수복 및 재생하기 위한 생체방어 반응과정이고, 이 반응과정에는 국소의 혈관, 체액의 각종 조직세포 및 면역세포 등이 작용한다. 정상적으로 외부 침입균에 의하여 유도되는 염증반응은 생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 시스템인 반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염증반응이 유도되면 다양한 질환들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질환들을 염증질환이라 총한다. 상기 염증질환은 외부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표적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다양한 염증 매개물질이 염증을 증폭 및 지속시켜 인체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서 급성염증,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관절내에서의 질환, 건선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질환 및 기관지 천식 등의 알러지성 염증질환 등을 포함한다.
많은 염증관련 질환의 발병에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이에 따른 염증관련 인자들의 과도한 생성이 연관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염증관련 인자들로는 IL-1β, TNF-α 및 일산화질소(nitrogen oxide; NO) 등이 있다. 염증반응 중 활성화된 백혈구(monocytes) 및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이 강력한 염증반응을 개시하고, 세균 병원체에 대한 초기 면역 반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Bogdan C, Nat.Immunol., 2:907-916, 2001). 또한, 염증반응의 결과로서, 유도성 일산화질소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에 의해 생성된 NO의 상기 생리학적 농도(supraphysiological concentrations)가 다양한 염증질환의 병리생물학에 있어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Clancy RM et al., Arthritis. Rheum., 41:1141-1151, 1998).
염증반응의 유도물질들 중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는 백혈구와 같은 면역세포와 상호 작용을 하며, 단핵세포의 식세포들에 있어서 NOS 이소형태의 활성화에 의한 NO 농도의 증대에 의한 염증반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ManMicking J et al., Annu. Rev. Immunol., 15:323-350, 1997).
생체에 있어서 염증의 발생원인으로서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NO를 발생시키는 효소인 NOS(nitric oxide synthase)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의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은 염증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NOS나,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를 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시콜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는 염증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주된 목표가 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NOS는 몇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신경계에 존재하는 nNOS(neuronal NOS), 혈관계에 존재하는 eNOS(endothelial NOS) 등은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소량 생성되는 NO는 신경전달이나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등 정상적인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반하여, 인터페론γ,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에 의해 급격히 과량 발생되는 NO는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만성염증은 iNOS의 증가와 관련 있다는 연구 가 보고되었다(Miller MJ et al., Mediators of inflammation, 4:387-396, 1995: Appleton L et al., Adv. Pharmacol., 35:27-28, 1996). 또한 COX도 두 종류가 존재하는데, COX-1은 세포내에 항상 존재하여 세포보호작용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을을 합성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반하여, COX-2는 염증 반응 시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eisz A., Biochem. J., 316:209-215, 1996). NO와 PGs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iNOS 및 COX-2를 포함하는 전사 염증인자는 염증을 포함하는 질병의 병인에 관련되어 있다.
NF-κB(nuclear factor-kappa B)는 Rel 유전자계(Rel gene family)의 핵단백질로서, 세포질에서는 IκB(inhibitory kappa B)와 결합되어 불활성인 형태로 존재하나, 유해산소(reactive oxygen), TNF-α(tumor necrosis factor-a), IL-1(Interleukin-1)과 같은 케모카인(chemokines) 및 LPS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IκB 키나제가 활성화된 후 인산화 과정을 통해 IκB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p50과 p65의 헤테로다이머(heterodimer)로 구성된 NF-κB는 활성화 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Oh GT et al., Artherosclerosis, 159(1):17-26, 2001; Epstein FH et al.,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6(15):1066-1071, 1997; Zhang WJ et al., FASEB J, 15(130):2423-2431, 2001; Denk A et al., J. Biol. Chem., 276(30):28451-28458, 2001; Sahnoun Z et al., Phsiology, 53(4):315-339, 1998; Lindner V Pathobiology, 66(6):311-320, 1998; Landry DB et al., Am. J. Pathol., 151(4):1085-1095, 1997; Gerritsen ME et al., Am. J. Pathol.,147(2):p278-292, 1995).
현재 염증치료제로는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을 이용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코티손(cortison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염증 치료제로서 작용을 하기는 하나, 독성이 강하며 부작용으로서 부종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염증 원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심한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Check WA & Kaliner MA, Am. Rev. Respir. Dis., 141:44-51. 1990). 현재까지 존재하는 항염증제는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을 이용한 스테로이드 약제로 부종과 같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부작용이 없는 비 스테로이드 성분의 약제가 절실히 요청된다.
원화(무궁화; Hibiscus syriacus 'Wonhwa')에 대해 《동의보감》<턍액편> 목근조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무궁화의 약성은 순하고 독이 없으며, 장풍과 사혈을 멎게 하고, 설사한 후 갈증이 심할 때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는데, 졸음이 온다. 꽃은 약성이 냉하고 독이 없으며, 적이질·백이질을 고치는데, 장풍·사풍·사혈에는 볶아서 먹거나, 또는 차처럼 달여서 수시로 마시면 낫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구황작물로 익힌 잎을 사용하였고, 유럽 및 중국에서는 잎과 꽃을 허브차로 이용(100여년의 역사)하였다. 또한, 일본은 궁중요리의 향신료로 익힌 꽃봉오리를 사용하였다. 원화의 주성분은 꽃잎은 항산화물질인 사포나린(Saponarin)으로 거담, 갈증해소, 구토 및 식욕 회복 효능을 가지고, 뿌리와 껍 질의 주성분은 탄닌산(Tannic acid)으로 무좀 및 치질진통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원화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분리한 (-)-압토시몬[(-)-aptosimon]이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는 아직까지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원화로부터 분리한 (-)-압토시몬[(-)-aptosimon]이 염증 유발에 의해 급격히 증가한 NO, PGE2(prostaglandin E2) 및 TNF-α 생성, iNOS 및 COX-2 발현 및 NF-κB 활성 억제 및 Th 2 유형 IL-4와 IL-13 사이토카인의 양을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가지며, 식물로부터 분리한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토시몬[(-)-aptosimon]을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토시몬을 이용한 다양한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토시몬을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토시몬을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토시몬을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토시몬[(-)-aptosimo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이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 등 인체에 유해한 염증반응을 의미하며, "항염증" 또는 "염증억제"란 상기 염증반응의 억제를 의미한다.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염증 질환에는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다양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aptosimo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화로부터 분리한 (-)-압토시몬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또는 콘카나발린 A(ConA)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LPS에 의해 생성이 증가한 대표적인 염증관련 인자인 일산화질소(nitrogen oxide; NO), PGE2(prostaglandin E2)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a)를, NO는 약 10 ~ 44% 정도(표 1 및 도 1 참조), PGE2는 30 ~ 54% 정도(표 2 및 도 2 참조) 및 TNF-α는 약 10 ~ 60%(표 3 및 도 3 참조)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및 염증 반응 시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COX-2(cyclo-oxygenase-2)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하였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활성화 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NF-κB(nuclear factor-kappa B)의 활성을 억제하였다(도 6 참조). 또한, IL-4와 IL-13의 생산도 각각 약 55 ~ 95% 및 40 ~ 60% 정도로 현저하게 저해함으로써 염증 및 알러지에 관련된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도 7, 도 8, 표 4 및 표 5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는, 특히 50 μM의 농도 또는 그 이상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타는 기재안함). 이에,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 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에서 분리 및 동정한 화학식 1로 기재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시판되는 화합물을 구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1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압토시몬을 0.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부가염이 유용하다. 적합한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tartariac acid), 말레인산, 푸 마르산(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조제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및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혼합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토시몬은 LPS 또는 ConA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염증관련 인자인 NO, PGE2 및 TNF-α의 생산을 억제하였고(도 1 내지 도 3 및 표 1 내지 표 3 참조). 또한, iNOS 및 COX-2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하였고(도 4 및 도 5 참조),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다(도 6 참조). 또한, IL-4와 IL-13의 생산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도 7, 도 8, 표 4 및 표 5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는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타는 기재안함). 이에,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 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또한,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자궁내 경막 주사,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증 억제용 조성물은 통증 억제를 위하여 상기 개체에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기간, 투여방법,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토시몬은 LPS 또는 ConA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염증관련 인자인 NO, PGE2 및 TNF-α의 생산을 억제하였고(도 1 내지 도 3 및 표 1 내지 표 3 참조). 또한, iNOS 및 COX-2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하였고(도 4 및 도 5 참조),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다(도 6 참조). 또한, IL-4와 IL-13의 생산도 현저 하게 저해하였다(도 7, 도 8, 표 4 및 표 5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는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타는 기재안함). 이로 보아,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외용제는 화장품으로 제형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압토시몬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 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토시몬은 LPS 또는 ConA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염증관련 인자인 NO, PGE2 및 TNF-α의 생산을 억제하였고(도 1 내지 도 3 및 표 1 내지 표 3 참조). 또한, iNOS 및 COX-2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하였고(도 4 및 도 5 참조),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다(도 6 참조). 또한, IL-4와 IL-13의 생산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도 7, 도 8, 표 4 및 표 5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는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타는 기재안함). 이로 보아,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압토시몬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압토시몬은 LPS 또는 ConA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인자의 생성, 발현 및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염증관련 인자인 NO, PGE2 및 TNF-α의 생산을 억제하였고(도 1 내지 도 3 및 표 1 내지 표 3 참조). 또한, iNOS 및 COX-2의 발현도 현저히 감소하였고(도 4 및 도 5 참조),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다(도 6 참조). 또한, IL-4와 IL-13의 생산도 현저하게 저해하였다(도 7, 도 8, 표 4 및 표 5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항염증 효과를 유도하는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데이타는 기재안함). 이로 보아, 본 발명의 (-)-압토시몬은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가금류, 가축 등이 꾸준히 섭취하게 함으로써 염증을 예 방할 수 있고, 이미 발생한 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에는 (-)-압토시몬이 0.1 ~ 2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가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이 1 ~ 20% 중량부, 비타민 E가 0.01 ~ 0.1% 중량부, 효소분말이 1 ~ 10% 중량부, 유산균이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이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은 20 ~ 9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토시몬이 유효량으로 첨가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로서 가능하다.
상기 유효량이란, 가금류, 가축 등이 꾸준히 섭취하게 함으로써 염증을 예방하거나, 이미 발생한 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또한, 첨가에 의한 이익을 넘는 악영향이 생기지 않는 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추가적으로 가금류 및 가축 등에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료첨가제를 그대로 또는 공지의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금류 및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로부터 분리한 (-)-압토시몬 [(-)-aptosimon]이 염증 유발에 의해 급격히 증가한 NO, PGE2(prostaglandin E2) 및 TNF-α 생성, iNOS 및 COX-2 발현 및 NF-κB 활성 억제 및 Th 2 유형 IL-4와 IL-13 사이토카인의 양을 현저하게 낮추는 효과를 가지며, 식물로부터 분리한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이므로,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사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압토시몬의 제조
건조시켜 약 1 ㎜의 크기로 분쇄한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 칠성약품) 11.7 ㎏을 12 ℓ의 메틸알콜로 4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모아 감압농축하여 1.5 ㎏의 원화 메틸알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메틸알콜 추출물을 증류수 1 ℓ에 현탁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감압농축시켜 얻은 클로로포름 분획물 150.0 g 중 74.0 g을 실리카겔(0.040~0.063 ㎜; silicycle, Canada)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틸알콜=100:1→90:1→80:1→70:1→60:1→50:1→40:1→30:1→20:1→10:1)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분 획들 중 3번째 분획 20.0 g을 다시 역상 C-18 컬럼(50 ㎜; Nacalai tesque, JAPAN) 크로마토그래피(메틸알콜:물=70:30)를 실시하여 10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이들 중 두번째 분획을 또 다시 실리카겔(0.040~0.063 ㎜)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에틸아세테이트=5:1→4:1→3:1→2:1)로 분리한 결과 하기 화학식 1의 (-)-압토시몬 (60.0 ㎎)을 얻을 수 있었다.
(-)-압토시몬: 하얀색 분말; 녹는점 114~116℃; ESI-MS m/z:391.5[M+Na]+; [α]27 D:-13.3°(c 0.1,CHCl3). 스펙트럼 데이터는 문헌과 같다(Lin R-W et al., Planta Med., 19:234~238, 2004).
[화학식 1]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2
<실시예 2> (-)-압토시몬의 처리
<2-1> LPS 처리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 (-)-압토시몬의 처리
10% 우태아혈청(FBS), 2 mM 글루타민, 페니실린(100 U/㎖)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μg/㎖)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Invitrogen, USA) 배지에 BALB/c 마우스 유래의 RAW 264.7 대식세포주(ATCC TIB71)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1×106 세포의 농도로 접종하여 하룻밤 동안 5% CO2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압토시몬을 6.25, 12.5, 25 및 50 μM의 농도로 전처리 하였고, 그 후 24시간 동안 100 ng/㎖의 농도로 LPS로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부형제로 전처리하였다.
<2-2> LPS 처리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대식세포에 (-)-압토시몬의 처리
DMEM 배지에 RAW 264.7 대식세포주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1×106 세포의 농도로 접종하여 하룻밤 동안 5% CO2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LPS(100 ng/㎖) 및 (-)-압토시몬(12.5, 25 및 50 μM)을 1시간 동안 동시에 처리하였다. 음성대조군은 부형제로 전처리하였다.
<2-3> 콘카나발린 A 처리로 염증이 유도된 비장 세포 현탁액에 (-)-압토시몬의 처리
BALB/c 마우스(오리엔트, 대한민국)에서 비장을 무균적으로 떼어내어 10% 우태아혈청(FBS), 1M HEPES, 2 mM 글루타민(glutamine), 페니실린(100 U/㎖)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μg/㎖)을 포함하고 있는 RPMI 1640 배지(GibcoBRL, USA)에서 갈아 서 단일세포현탁액(single cell suspension)으로 만들었다. 준비된 비장 세포 현탁액은 실온에서 1500 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한 뒤 상층액을 버리고 적혈구 분해용액(Red blood cell lysis buffer) 1 ㎖을 넣고 37℃ 에서 10분간 분해시켰다. 이 용액에 10 ㎖ PBS를 더하여 섞은 후, 실온에서 1500 rpm으로 5분간 원심 분리한 뒤 상층액을 버리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마지막에 PBS 대신 10% 우태아혈청(GIBCO BRL, USA)을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 하여 부유시켰다. 세포수를 1 × 106 세포/㎖로 맞춘 후 세포부유액 200 ㎕/웰을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분주하였고, (-)-압토시몬 5 ㎕/웰을 첨가한 후 5% CO2, 37℃ 습윤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에서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을 유도하기 위해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Con A, 40 ㎍/㎖, Sigma, USA) 를 5 ㎕/웰 첨가하였고, 5% CO2, 37℃ 습윤배양기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Con A를 처리하지 않았다.
<실험예 1>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 처리로 유도된 NO 생성에 대한 (-)-압토시몬의 억제 효과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처리된 세포를 24시간 후에, 배양 상등액에 포함된 NO 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0 ㎕의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동일 부피의 그리에스(Griess) 시약과 혼합한 후 550 ㎚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 배지에 녹인 여러 농도의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시료의 아질산염(nitrite) 양을 정량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tudent's t-test로 수행하였으며 유의성 판별은 p 값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LPS 처리군에서의 아질산염의 양은 21.41 μM로 부형제를 처리한 음성대조군(0.7 μM)에 비하여 약 30배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LPS 처리된 대식세포에 본 발병의 (-)-압토시몬을 처리한 경우는 19.2, 15.6 및 11.9 μM 정도로 LPS만 처리한 군보다 현저히 아질산염의 생산을 저해하였다.
종류 Nitrite (μM)
음성대조군 0.7 이하
양성대조군(LPS) 21.41 ± 1.31
(-)-aptosimon 6.25 μM 처리군 22.03 ± 1.64
(-)-aptosimon 12.5 μM 처리군 19.25 ± 1.73
(-)-aptosimon 25 μM 처리군 15.68 ± 0.21
(-)-aptosimon 50 μM 처리군 11.96 ± 0.54
<실험예 2>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 처리로 유도된 PGE 2 방출에 대한 (-)-압토시몬의 억제 효과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처리된 세포를 24시간 후에, 배양 상등액에 포함된 PGE2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0 ㎕의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PGE2 ELISA 키트(Assay Designs, USA)를 이용하여 제조업자의 방법대로 측정하였다. 상기 상등액을 96 웰 플레이트에 처리한 후,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하였고, 다음날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에 발색용액으로 1 시간 동안 반응한 후, ELISA Reader로 430 ㎚에서 측정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tudent's t-test로 수행하였으며 유의성 판별은 p 값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LPS 처리군에서의 PGE2의 양은 206.25 pg/㎖로 부형제를 처리한 음성대조군(47.49 pg/㎖)에 비하여 약 5배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LPS 처리된 대식세포에 본 발병의 (-)-압토시몬을 처리한 경우는 180, 92, 45 및 26 pg/㎖ 정도로 LPS만 처리한 군보다 현저히 PGE2의 생산을 저해하였다.
종류 PGE2 (pg/㎖)
음성대조군 47.49 ± 8.5
양성대조군(LPS) 206.25 ± 6.98
(-)-aptosimon 12.5 μM 처리군 180.05 ± 4.06
(-)-aptosimon 25 μM 처리군 92.10 ± 2.08
(-)-aptosimon 50 μM 처리군 45.18 ± 7.10
<실험예 3>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 처리로 유도된 TNF-α 방출에 대한 (-)-압토시몬의 억제 효과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처리된 세포를 24시간 후에, 배양 상등액에 포함된 TNF-α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0 ㎕의 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TNF-α ELISA 키트(assay design; USA)를 이용하여 제조업자의 방법대로 측정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Student's t-test로 수행하였으며 유의성 판별은 p 값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표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LPS 처리군에서의 TNF-α의 양은 1018.96 pg/㎖로 부형제를 처리한 음성대조군(0에 근접한 값)에 비하여 약 1000배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LPS 처리된 대식세포에 본 발병의 (-)-압토시몬을 처리한 경우는 892, 710 및 399 pg/㎖ 정도로 LPS만 처리한 군보다 현저히 TNF-α의 생산을 저해하였다.
종류 TNF-α (pg/㎖)
음성대조군 0 근접
양성대조군(LPS) 1018 ± 80.71
(-)-aptosimon 6.25 μM 처리군 1038.03 ± 71.94
(-)-aptosimon 12.5 μM 처리군 892.90 ± 38.19
(-)-aptosimon 25 μM 처리군 710.54 ± 40.19
(-)-aptosimon 50 μM 처리군 399.83 ± 46.76
<실험예 4>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 처리로 유도된 iNOS 및 COX-2 발현에 대한 (-)-압토시몬의 억제 효과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처리된 세포를 24시간 후에, 배양 상등액에 포함된 iNOS 및 COX-2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4-1>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
약 1×106 세포를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서 배지를 제거한 다음 50 mM 트리스(Tris) pH 8.0, 150 mM NaCl, 0.02%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0.2% SDS, 1 mM PMFS, 10 ㎕/㎖ 아프로티닌(aprotinin), 1% 이가펠 630(igapel 630, Sigma Chem.Co. USA), 10 mM NaF, 0.5mM EDTA, 0.1 mM EGTA와 0.5% 소듐 이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를 포함한 단백질 용출용액을 사용하여 균질화 하였다. 추출액은 20분 동안 14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과 불용성 응집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는 바이오-라드 단백질 분석 키트(Bio-Rad protein assay kit, Bio-Rad,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등액을 5×SDS(0.156M Tris-HCl, pH 6.8, 2.5% SDS, 37.5% 글리세롤, 37.5 mM DTT)와 1:4로 섞어 100℃에서 10분간 끓였다. 끓인 시료에서 40 ㎍ 단백질을 SDS 4-12% SDS-PAGE겔의 웰에 로딩하고 125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였고, 상기 단백질을 20V, 400A이하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PVDF 막으로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에서 단백질이 없는 부분을 스킴 밀크로 차단시킨 다음,
1차 항체[항-iNOS 항체(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항-Cox-2 항체(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또는 항-β-액틴 항체(Santa Cruz, USA)] 및 2차 항체(항토끼-IgG-HRP; Santa Cruz Biotechnology, USA)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후, ECL 검출 키트(Amersham Biosciences, UK)로 발광반응을 유발하였고 X-ray 필름에 노출시켜 감광하였다. 단백질 밴드의 상대적인 밀도는 이미지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감광의 정도를 검출하고, Tina 2.0 소프트웨어(//linux.softpedia.com/get/System/Operating-Systems/Linux-Distributions/TINA-KNOPPIX-Live-CD-5172.shtml)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4-2> 면역형광염색(Immunofluoresence)
약 1×106 세포를 퍼머녹스 챔버 플라스틱 슬라이드(Permanox chambered plastic slides; Nunc, USA)에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4℃에서 30분간 에탄올로 고정하였고, 인산완충액(PBS)으로 세척한 후, 3%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으로 실온에서 30분간 차단하였다. 차단 후 1차 항체[항-iNOS 항체(1:500) 또는 항-Cox-2 항체(1;500)]를 4℃에서 하루동안 반응시켰다. 인산완충액으로 3번 세척한 이후에 텍사스레드(Texas red; Santa Cruz Biotechnology, USA))가 연결된 2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USA)를 실온의 암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인산완충액으로 프로롱 골드 안티페드 용액(ProLong Gold Antifade reagent, Invitrogen, USA)으로 3번 마운팅한 후 공초점 현미경(LSM510m Carl Zeiss, Germany)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식세포에 LPS와 본 발병의 (-)-압토시몬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iNOS와 COX-2의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실험예 5> RAW264.7 대식세포에서 LPS 처리로 유도된 NF-κB 활성화에 대한 (-)-압토시몬의 억제 효과
LPS는 많은 유전자의 발현의 유도를 나타내는 NF-κB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Baeuerle P, Biochim. Biophys. Acta. 1072:63-80, 1991).
실시예 2-2의 방법으로 처리된 세포를 1시간 후에, 상기 세포의 핵(nuclear)과 세포질(cytosol)로부터 단백질 키트(Pierce,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한 방법대로 단백질을 각각 분리하였다. 상기 실험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1차 항체로 항-NF-κB 항체(1:500, Assay Designs, USA)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팅과 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여, LPS로 유도된 NF-κB 활성화에 대한 (-)-압토시몬의 억제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때, PARP는 핵단백질에 대한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압토시몬이 있는 상태에서 p65의 핵내 유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LPS는 세포에서 IκBa의 분해를 유도하였고, (-)-압토시몬을 처리한 군에서는 IκBa의 분해가 본 발명의 (-)-압토시몬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 6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세포질에서만 p65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지만 LPS 처리 후 핵으로 이동을 하는데, (-)-앱토시몬의 처리에 의해 p65의 핵 내로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참고로, NF-κB는 핵단백질로서, 세포질에서는 IκB와 결합되어 불활성인 형태로 존재하나, LPS와 같은 다양한 자극에 의해 IκB 키나제가 활성화된 후 인산화 과정을 통해 IκB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p50과 p65의 헤테로다이머로 구성된 NF-κB는 활성화 된 후,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예 6> 비장세포(splenocytes)에서 ConA 처리로 유도된 IL-4와 IL-13의 생산에 대한 (-)-압토시몬의 저해 효과
실시예 2-3의 방법으로 처리된 비장 세포 현탁액을 1시간 후에, IL-4와 IL-13의 생성량을 ELISA 키트(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 도 8, 표 4 및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LPS 처리군에서의 IL-4와 IL-13의 양은 217.3 및 4986 pg/㎖로 부형제를 처리한 음성대조군(0 및 481 pg/㎖)에 비하여 약 200배 및 60배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LPS 처리된 대식세포에 본 발병의 (-)-압토시몬을 처리한 경우는 IL-4는 76.02, 87.36, 60.39 및 40.66 pg/㎖이었고 IL-13은 1701, 1726, 1558 및 936 pg/㎖은 정도로 ConA만 처리한 군보다 현저히 IL-4와 IL-13)의 생산을 저해하였다.
종류 IL-4 (pg/㎖)
음성대조군 0 근접
양성대조군(ConA) 217.3 ± 12.88
(-)-aptosimon 6.25 μM 처리군 76.02 ± 8.58
(-)-aptosimon 12.5 μM 처리군 87.36 ± 26.9
(-)-aptosimon 25 μM 처리군 60.39 ± 2.90
(-)-aptosimon 50 μM 처리군 40.66 ± 4.79
종류 IL-13 (pg/㎖)
음성대조군 481 ± 98.99
양성대조군(ConA) 4986 ± 7.07
(-)-aptosimon 6.25 μM 처리군 1701 ± 113.1
(-)-aptosimon 12.5 μM 처리군 1726 ± 233.3
(-)-aptosimon 25 μM 처리군 1558 ± 45.96
(-)-aptosimon 50 μM 처리군 936 ± 353
<실험예 7> 세포독성 실험
실시예 2-1의 방법으로 처리된 세포를 24시간 후에, Cell Proliferation Assay Kit(Roche, 스위스)를 이용하여 MTT 검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액을 제거하고 MTT 시약을 첨가한 다음 4시간 동안 37℃ 세포배양기에서 반응시킨 후 MTT 시약을 제거하였다. 이후 100 ㎕ DMSO를 첨가한 후 ELISA 리더기(reader)를 이용하여 54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식세포에서 상기 (-)-압토시몬은 50 μM의 농도로 처리하여도,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압토시몬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압토시몬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압토시몬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압토시몬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압토시몬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 하였다.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압토시몬을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압토시몬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압토시몬(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압토시몬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2.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 ㎖에 가하여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화장품의 제조
본 발명의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4-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압토시몬 0.0001 1 10
<4-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7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압토시몬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제제예 5> 사료첨가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을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사료첨가제의 조성>
(-)-압토시몬: 0.1 ~ 2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부,
비타민 E: 0.01 ~ 0.1% 중량부,
효소 분말: 1 ~ 10% 중량부,
유산균: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 20 ~ 90% 중량부.
도 1은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LPS: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6.25: (-)-압토시몬을 6.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12.5: (-)-압토시몬을 1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도 2는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PGE2의 생성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LPS: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12.5: (-)-압토시몬을 1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도 3은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TNF-α의 생성에 대한 (-)-압토시몬 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LPS: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6.25: (-)-압토시몬을 6.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12.5: (-)-압토시몬을 1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도 4는 LPS로 유도된 iNOS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LPS: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a: 웨스턴 블랏팅; 및
b: 면역형광분석.
도 5는 LPS로 유도된 COX-2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LPS: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a: 웨스턴 블랏팅; 및
b: 면역형광분석.
도 6은 LPS로 유도된 NF-κB의 활성화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LPS: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12.5: (-)-압토시몬을 1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LPS로 유도;
a: 웨스턴 블랏팅; 및
b: 면역형광분석.
도 7은 비장세포에서 ConA로 유도된 IL-4 생성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 를 나타낸 도이다(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ConA: ConA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6.25: (-)-압토시몬을 6.25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12.5: (-)-압토시몬을 12.5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도 8은 비장세포에서 ConA로 유도된 IL-13 생성에 대한 (-)-압토시몬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값(*)와 (**)은 0.05 이하):
NC: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ConA: ConA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6.25: (-)-압토시몬을 6.25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12.5: (-)-압토시몬을 12.5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25: (-)-압토시몬을 25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및
50: (-)-압토시몬을 50 μM 투입한 후 ConA로 유도.

Claims (20)

  1. (-)-압토시몬[(-)-aptosimo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압토시몬은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에서 분리된, 화학식 1로 기재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3
    .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 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압토시몬은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에서 분리된, 화학식 1로 기재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4
    .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방 또는 치료 방법.
  9.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압토시몬은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에서 분리된, 화학식 1로 기재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5
    .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13.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압토시몬은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에서 분리된, 화학식 1로 기재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6
    .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7. (-)-압토시몬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18. 제 17항에 있어서, (-)-압토시몬은 원화(Hibiscus syriacus 'Wonhwa')에서 분리리된, 화학식 1로 기재된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첨가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91145361-PAT00007
    .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천식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첨가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첨가제.
KR1020080138808A 2008-12-31 2008-12-31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65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08A KR101065718B1 (ko) 2008-12-31 2008-12-31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808A KR101065718B1 (ko) 2008-12-31 2008-12-31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164A true KR20100080164A (ko) 2010-07-08
KR101065718B1 KR101065718B1 (ko) 2011-09-19

Family

ID=4264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808A KR101065718B1 (ko) 2008-12-31 2008-12-31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7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0353B1 (ja) * 2016-10-19 2018-03-07 オッペン化粧品株式会社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産生抑制剤
KR20190037879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KR20190037881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KR101977954B1 (ko) * 2018-10-26 2019-05-13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19066252A3 (ko) * 2017-09-29 2019-05-16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또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KR102180960B1 (ko) * 2019-06-28 2020-11-19 주식회사 라피끄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포함하고 아토피 방지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41401A (ko) * 2019-10-07 2021-04-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tlr4-md2 저해제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0353B1 (ja) * 2016-10-19 2018-03-07 オッペン化粧品株式会社 プロスタグランジンe2産生抑制剤
KR20190037879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KR20190037881A (ko) * 2017-09-29 2019-04-08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WO2019066252A3 (ko) * 2017-09-29 2019-05-16 (주)아모레퍼시픽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또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CN111432798A (zh) * 2017-09-29 2020-07-17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木槿花提取物的用于护理由微尘引起的皮肤细胞损伤或用于抑制抗菌肽的组合物
US11433110B2 (en) 2017-09-29 2022-09-06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treating fine dust-caused skin cell damage or for inhibiting antimicrobial peptide, comprising Hibiscus syriacus extract
KR101977954B1 (ko) * 2018-10-26 2019-05-13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180960B1 (ko) * 2019-06-28 2020-11-19 주식회사 라피끄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포함하고 아토피 방지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41401A (ko) * 2019-10-07 2021-04-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tlr4-md2 저해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718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65718B1 (ko) (―)―압토시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8729B1 (ko) 유데스만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96134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66308B1 (ko) 지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67677B1 (ko) 엘리오카퍼스 페티오라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31889B1 (ko) 주오닌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0268B1 (ko) 오배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100066075A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6467B1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0198B1 (ko) 조뱅이(소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101091148B1 (ko) 후라 크레피탄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2067B1 (ko)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4908B1 (ko)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0836711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용 약학적조성물
KR101333715B1 (ko) 마스티시아 알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9747B1 (ko) 워크리아 인시그니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39197A (ko) 향청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패혈증 및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6B1 (ko) 여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14B1 (ko) 해방풍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3862A (ko) 산수유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65719A (ko) 위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