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184A - 반동 브레이크 및 배럴형 총기 - Google Patents

반동 브레이크 및 배럴형 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184A
KR20220056184A KR1020227007480A KR20227007480A KR20220056184A KR 20220056184 A KR20220056184 A KR 20220056184A KR 1020227007480 A KR1020227007480 A KR 1020227007480A KR 20227007480 A KR20227007480 A KR 20227007480A KR 20220056184 A KR20220056184 A KR 2022005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essure side
recoil
hollow cylinder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슈비거
베르톨트 바우만
라인하르트 돌락
Original Assignee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5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02Fluid-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16Hybr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64Mounting of breech-blocks; Accessories for breech-blocks or breech-block mountings
    • F41A3/78Bolt buffer or recuperator means
    • F41A3/90Fluid 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11)가 유체로 채워지고 고압측(14) 및 저압측(12)을 갖는 중공 실린더(10), 중공 실린더(10)에 연결되는 단부(42)를 갖는, 중공 실린더(10) 내에 배열된 제어 로드(40), 제어 로드(40)를 둘러싸고 중공 실린더(10)의 축 방향(A)으로의 이동을 위해 중공 실린더(10)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로드(30), 피스톤 로드(30) 상에 형성되고, 축 방향(A)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되고 고압측(14)을 저압측(12)으로부터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피스톤(20)를 포함하는, 배럴형 총기의 반동 질량체들을 제동하기 위한 반동 브레이크(1)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20)이 축 방향(A)으로 변위할 수 있는 거리(L)는 적어도 배럴형 총기를 통해 총알이 통과하는 동안 반동 질량체들의 반동 거리만큼 크다.

Description

반동 브레이크 및 배럴형 총기
본 발명은 유체로 채워진 내부를 갖는, 중공 실린더, 중공 실린더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는, 중공 실린더 내에 배열된 제어 로드(rod), 제어 로드를 둘러싸고 중공 실린더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중공 실린더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배럴형 총기의 반동(recoil)질량체(mass)들을 제동하기 위한 반동 브레이크(brake)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또한 이러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반동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배럴형(barreled)총기, 특히 대구경(large-caliber)총기에 관한 것이다.
배럴형 총기들, 특히 대구경 총기들의 정밀도를 위해서는 총알이 통과하는 동안 총기 배럴(barrel)이 진동에 자극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늘날의 대구경 총기 배럴들에는 반동 브레이크들로 제동되는 총기 반동이 있다. 제동력은 일반적으로 총기 반동 거리에 따라 유압 브레이크에 의해 생성된다. 유압 유체는 제어 갭을 통해 가압된다. 제어 갭은 반동에 따라 가변적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동력을 제어한다.
반동 브레이크는 DE 10 2017 103 052 A1에서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는 유체로 채워진 중공 실린더가 포함된다.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 로드 내에 배열된 제어 로드가 중공 실린더 내에 위치한다. 제어 로드에는 가변 제어 프로파일이 있다.
반동 건(gun)용 수압(hydropneumatic) 회수기(recuperator) 및 반동 브레이크는 DE 30 15 126 A1에서 알려져 있으며, 피스톤 로드는 중공 실린더에 형성되며 피스톤 로드에 고정식으로 연결된 피스톤을 갖는다.
US 4,502,366 및 DE 29 43 083 B1은 유압 반동 브레이크를 개시하며, 이 브레이크는 유압 실린더 및 그 안에 배치된 피스톤 로드를 포함한다.
반동 브레이크는 EP 0 351 501 A1에서 알려져 있다. 반동 브레이크는 유체로 채워진 중공 실린더를 포함한다. 중공 실린더에는 제어 로드가 배치되고 제어 로드의 일 단부가 중공 실린더에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는 제어 로드 주위에 형성되며, 이는 피스톤과 단일 피스(piece)를 형성하고 중공 실린더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총알이 발사되어 총기 배럴을 통과하면 총기가 뒤로 움직인다. 피스톤 로드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 브레이크 피스톤은 그 동안 제동력을 생성한다. 반동 브레이크는 피스톤 뒤에 피스톤 링을 더 포함한다. 피스톤과 피스톤 링은 보어(bore)를 가지므로, 고압측과 저압측은 피스톤과 피스톤 링에 의해 아이들(idle) 위치에서 연결된다. 보어는 반동을 조절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알려진 총기 브레이크들의 설계로 인해, 총알이 총기 배럴을 통과하는 동안, 제동력이 생성되어 총기 배럴 상에 작용하여 총기 배럴이 진동에 자극된다. 이는 총기의 정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반동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며, 반동 브레이크는 총알이 여전히 총기 배럴 내에 있는 동안 총기 배럴의 자유로운 반동을 허용한다.
이 목표는 제 1항의 반동 브레이크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 및 개선들은 특정 하위 청구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동 브레이크는 유체로 채워진 내부를 갖는, 중공 실린더, 중공 실린더에 연결되는 단부를 갖는, 중공 실린더 내에 배열된 제어 로드, 제어 로드를 둘러싸고 중공 실린더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해 중공 실린더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로드, 축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배열되고 내부의 고압측(high-pressure side)과 저압측(low-pressure side)을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피스톤 로드 상에 형성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배럴형 총기의 반동 질량체들을 제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2항에 따른 배럴형 총기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는 이러한 유형의 또는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제된 적어도 하나의 반동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배럴형 총기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반동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총기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형의 총기는 중구경(medium-caliber) 또는 대구경 총기가 바람직하다.
반동 질량체들은 반동으로 인해 사격 방향에 대해 편향되는 총기의 일부들이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총기 배럴과 브리치블록(breechblock)이 포함된다.
제어 로드의 단부는 중공 실린더에 원주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실린더는 고압측과 저압측을 갖는다. 총기 배럴이 반동 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되고 피스톤 로드가 피스톤과 함께 중공 실린더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저압측보다 고압측의 압력이 더 높다.
반동 브레이크의 중공 실린더는 배럴형 총기의 크래들(cradle)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스톤 로드는 총기의 반동 질량에 연결된다. 그러나 반동 브레이크가 총기의 반동 질량체들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가 크래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피스톤 로드는 중공 실린더의 축 방향으로 중공 실린더 내에서 이동 가능하다.
피스톤은 중공 실린더의 축 방향으로의 변위(displacement)를 위해 피스톤 로드 상에 배열된다.
이것은 발사된 총알이 총기 배럴을 통과하는 동안 총기 배럴이 자유 반동을 수행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달성한다. 이 과정에서 반동 브레이크는 제동 효과가 없다. 반동 브레이크의 제동 효과는 총알이 총기를 떠난 후에만 설정된다. 반동 브레이크에 의해 낮은 잔류 제동력도 방지된다. 이것은 총기 배럴이 총알이 통과하는 동안 가능한 한 적은 진동에 자극된다는 사실을 달성한다. 이는 총기의 정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동 브레이크의 한 가지 유리한 개선에서, 피스톤을 통한 고압측과 저압측 사이에서, 특히 피스톤 로드의 외부 윤곽(contour)과 중공 실린더의 내부 윤곽 사이의 영역에서 유체 연통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저압측으로부터 고압측을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피스톤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유체가 피스톤 로드의 외부 윤곽과 중공 실린더의 내부 윤곽 사이에서 피스톤을 통해 흐를 수 없는 상태에서 피스톤이 피스톤 로드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달성한다. 피스톤은 피스톤로드의 외부 윤곽과 중공 실린더의 내부 윤곽 사이에서이 영역을 밀봉한다.
유체는 유압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동 브레이크는 피스톤에 의해 축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거리가 배럴형 총기를 통한 총알의 통과 동안 반동 질량체들의 반동 거리만큼 적어도 크다는 것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동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전에 총알이 총기 배럴을 떠났으므로, 배럴형 총기 배럴이 가능한 한 진동으로 자극된다.
반동 브레이크의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2개의 본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주행하는 단부면(end face)들을 갖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피스톤의 보다 콤팩트한 설계와 피스톤에 대한 균일한 압력 분포가 보장된다. 또한 구조적 약점을 피하고 우수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동 브레이크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이 고압측 단부면을 가지며, 그 전체 단부면은 아이들 위치에서 고압측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단부면은 정지 위치에서 고압측과 아이들 위치와 정지 위치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한 가지 유리한 개선에서, 반동 브레이크는 피스톤이 저압측 단부면을 가지며, 그 전체 단부면이 항상 저압측에 대응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본질적으로 원통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먼 거리에서 피스톤의 축 방향 변위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달성한다. 따라서 비교적 느린 총알은 반동 브레이크의 제동 효과가 시작되기 전에 총기 배럴을 떠날 수도 있다.
피스톤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 갭이 피스톤 로드 내에, 특히 피스톤 로드와 제어 로드 사이에 형성되어, 고압측과 저압측을 연결하고, 피스톤 로드는 고압측과 제어 갭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개구는 피스톤의 아이들 위치 앞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개구는 또한 피스톤의 아이들 위치 뒤에 배열될 수 있어서, 피스톤이 개구를 통과할 때만 개구가 노출된다.
이는 제동 작동 중에 유체가 고압측으로부터 저압측으로 제어 갭을 통해서만 흐를 수 있고, 제어 갭의 치수로 인해 정의된 제동 효과가 설정된다는 사실을 달성한다.
아이들 위치는 피스톤이 발사 전에 위치하는 변위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의 위치로 이해된다.
또한, 제어 갭이 피스톤의 아이들 위치에서 고압측 및 저압측과 연통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갭은 고압측에 연결되는 개구와 저압측에 연결되는 개구를 갖는다.
제어 갭과 피스톤은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피스톤의 경우 제어 갭이 피스톤에 의해 언제든지 닫히지 않도록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은 아이들 위치 또는 단부 위치 또는 아이들 위치와 단부 위치 사이의 위치에서 제어 갭을 폐쇄하지 않는다.
또한, 피스톤은 개구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고압측 단부면 상에 모따기(chamfer)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구의 윤곽은 아이들 위치에서 피스톤의 모따기에 의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이 그 아이들 위치에서 개구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이것은 개선된 유체역학이 제어 갭을 통한 관통 흐름 동안 개구의 영역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달성한다.
반동 브레이크의 한 정제에서, 반동 브레이크는 피스톤의 단부 위치에서 단부 정지를 제공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 상에 배열된 정지 요소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동 브레이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동 브레이크(1)의 개략적 단면 표현을 나타낸다. 반동 브레이크(1)는 배럴형 총기의 반동 질량을 제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반동 브레이크(1)는 유체로 채워진 내부(11)를 갖는 중공 실린더(10)를 포함한다. 내부(11)는 고압측(14)과 저압측(12)을 갖는다.
반동 브레이크(1)는 중공 실린더(10)에 배치된 제어 로드(40)를 더 포함한다. 제어 로드(40)는 중공 실린더(10)에 연결된 단부(42)를 갖는다. 제어 로드(40)와 중공 실린더(10)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로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 로드(40)는 장착 상태에서는 중공 실린더(10)에 대해 움직일 수 없다.
반동 브레이크(1)는 제어 로드(40)를 둘러싸고 중공 실린더(10)및 제어 로드(40)에 대해 중공 실린더(10)의 축 방향(A)으로 이동하기 위해 중공 실린더(10)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로드(30)를 더 포함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30)는 제어 로드(40)가 배열되는 관형 구성요소이다.
반동 브레이크(1)의 중공 실린더(10)는 배럴형 총기의 크래들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30)는 총기의 반동 질량체들에 연결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중공 실린더(10)가 총기의 반동 매스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30)가 크래들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축 방향(A)으로 변위 가능한 피스톤(20)은 중공 실린더(10)내에 추가로 배열된다. 외경은 중공 실린더(10)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서 간극(clearance)끼워맞춤(fit)을 형성하여 피스톤(20)이 중공 실린더(10)내에서 축 방향(A)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치수가 지정된다. 피스톤(20)은 밀봉부들을 더 포함하므로 외경에서 중공 실린더(10)에 대해 밀봉된다.
피스톤에 대해 변위 가능한 피스톤 로드(30)는 피스톤(20)내에서 지지되고, 축 방향(A)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되고 고압측(14)을 저압측(12)으로부터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피스톤(20)이 피스톤 로드(30)에 형성되도록 한다. 피스톤(20)은 아이들 위치(R)와 단부 위치(E)사이에서 피스톤 로드(30)를 따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또한, 정지 요소(50)는 피스톤(20)의 단부 위치(E)에 단부 정지를 제공하기 위해 일 단부에서 피스톤 로드(30)상에 배열된다. 정지 요소(50)는 또한 피스톤 로드(30)상에 탄성 수단(16)을 유지하고 탄성 수단(16)을 위한 단부 정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탄성 수단(16)의 다른 측면은 피스톤(20)상에 지지되고 피스톤(20)이 정지 요소(50)에 대해 규정된 사전 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수단(16)은 예를 들어 스프링이다. 이를 위해, 정지 요소(50)는 예를 들어 피스톤 로드(30)에 나사로 고정되거나 나사로 고정된다.
축 방향(A)으로의 변위를 위해 배열되고 저압측(12)으로부터 고압측(14)을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피스톤(20)이 피스톤 로드(30)상에 형성된다. 피스톤(20)은 아이들 위치(R)와 단부 위치(E)사이에서 피스톤 로드(30)를 따라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아이들 위치(R)는 총알이 발사되기 전의 피스톤(20)의 위치를 정의하고 피스톤(20)의 단부 위치(E)는 피스톤 로드(30)에 배치된 정지 요소(50)에 의해 정의된다. 피스톤(20)및 피스톤 로드(30)는 또한 중공 실린더(10)에 대해 함께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피스톤(20)을 통한 고압측(14)과 저압측(12)사이에서, 특히 피스톤 로드(30)의 외부 윤곽과 중공 실린더(10)의 내부 윤곽 사이의 영역(B)에서 유체 연통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피스톤(20)은 저압측(12)으로부터 고압측(14)을 유체적으로 분리한다. 대신, 유체 연통을 위한 유체는 고압측(14)을 저압측(12)에 연결하는 제어 갭(34)을 통해 유동해야 한다.
제어 갭(34)은 피스톤 로드(30)내에, 특히 피스톤 로드(30)와 제어 로드(40)사이에 형성된다 피스톤 로드(30)는 고압측(14)과 제어 갭(34)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2)를 가지며, 개구(32)는 피스톤(20)의 아이들 위치(R)앞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개구(32)는 피스톤 로드(30)(도시되지 않음)상의 피스톤(20)의 변위에 의해서만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어 갭(34)의 다른 쪽은 추가 개구를 통해 저압측(12)에 연결되어, 제어 갭(34)은 고압측(14)과 저압측(12)을 서로 연결된다.
피스톤(20)이 축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거리(L)는 배럴형 총기를 통해 총알이 통과하는 동안 반동 질량체들의 반동 거리만큼 크며, 즉, 총알이 총기 배럴을 떠날 때까지 반동 질량체들에 의해 덮인 거리이다.
총기 배럴이 반동 브레이크(1)에 의해 제동되고, 피스톤 로드(30)가 피스톤(20)과 함께 중공 실린더(10)를 통해 움직이는 동안, 압력은 저압측(12)보다 고압측(14)에서 더 높다.
피스톤(20)은 본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단부면(22, 24)들을 갖는다. 2개의 단부면(22, 24)들 중 하나는 고압측 단부면(24)이고, 그의 전체 단부면(24)은 아이들 위치(R)에서 고압측(14)에 대응한다. 다른 단부면은 항상 저압측(12)에 대응하는 저압측 단부면(22)이다.
피스톤(20)은 개구(32)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고압측 단부면(24)에 모따기(28)를 갖는다. 개구(32)의 윤곽(33)은 도 1에 도시된 아이들 위치(R)에서 피스톤(20)의 모따기(28)에 의해 연장한다.
저압측 단부면(22)에는 탄성 수단(16)이 지지되는 홈이 있다.
총알이 발사되어 총신을 통과하면, 배럴형 총기의 반동 질량체가 반동한다. 배럴형 총기의 반동 부분에도 연결된 피스톤 로드(30)도 반동하여 피스톤 로드(30)가 반동 브레이크(1)의 중공 실린더(10)내에서 축 방향(A)로 피스톤(20)에 대해 변위된다. 피스톤(20)은 질량 관성으로 인해 제자리에 남아 있다. 이 상대 변위는 총알이 배럴을 통과하는 동안 계속된다. 피스톤(20)이 피스톤 로드(30)상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거리(L)는 총알이 총기 배럴을 통과하는 데 필요한 전체 시간 길이 동안 피스톤 로드(30)가 피스톤(20)에 대해 이동하고 반동 질량이 제동되지 않고 반동한다. 다시 말해서, 피스톤 로드(30)상의 피스톤(20)의 아이들 위치(R)와 단부 위치(E)사이의 거리(L)의 크기는 피스톤(20)이 정지 요소(50)에 기대어 놓이기 전에 총알이 총기 배럴을 떠나도록 선택된다.
스프링, 특히 압력 스프링으로 설계된 탄성 수단(16)은 피스톤(20)이 피스톤 로드(30)상에서 리코일링되는 동안 압축된다. 총알이 총기 배럴을 떠날 때만 피스톤(20)이 정지 요소(50)에 도달하고 피스톤 로드(30)에 의해 운반되며, 피스톤(20)과 피스톤 로드(30)가 이 시점부터 반동 브레이크(1)의 중공 실린더(10)를 통해 함께 움직이고 반동 브레이크(1)의 제동 효과가 시작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유체는 고압측(14)에서 저압측(12)으로 제어 갭(34)에 의해 피스톤 로드(30)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32)를 통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브레이크 압력이 형성되고 반동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생성된다.
상기 개시 내용이 반동 브레이크(1) 그 자체에 관한 한, 이 유형의 반동 브레이크(1)를 포함하는 배럴형 총기에 대해 동시에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1: 반동 브레이크
10: 중공 실린더
11: 내부
12: 저압측
14: 고압측
16: 탄성 수단
20: 피스톤
22: 저압측 단부면
24: 고압측 단부면
28: 모따기
30: 피스톤 로드
32: 개구
34: 제어 갭
40: 제어 로드
42: 제어 로드의 고정된 단부
50: 정지 요소
A: 축 방향
B: 영역
E: 단부 위치
L: 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거리
R: 아이들 위치

Claims (12)

  1. 배럴형 총기의 반동 질량체들을 제동하기 위한 반동 브레이크(1)에 있어서,
    - 유체로 채워진 내부(11)를 갖는, 중공 실린더(10);
    - 상기 중공 실린더(10)에 연결되는 단부(42)를 갖는, 상기 중공 실린더(10) 내에 배열된 제어 로드(40);
    - 상기 제어 로드(40)를 둘러싸고 상기 중공 실린더(10)의 축 방향(A)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중공 실린더(10) 내에 배치되는 피스톤 로드(30);
    를 포함하고,
    상기 축 방향(A)으로 변위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11)의 저압측(12)으로부터 고압측(14)을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피스톤(20)이 상기 피스톤 로드(3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을 통한 상기 고압측(14)과 상기 저압측(12) 사이에서, 특히 상기 피스톤 로드(30)의 외부 윤곽과 상기 중공 실린더(10)의 내부 윤곽 사이의 영역(B)에서 유체 연통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저압측(12)으로부터 상기 고압측(14)을 유체적으로 분리하는,
    반동 브레이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이 상기 축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거리(L)는 상기 배럴형 총기를 통해 총알이 통과하는 동안 상기 반동 질량체들의 반동 거리만큼 큰,
    반동 브레이크(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2개의 본질적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단부면(22, 24)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단부면(24)은 고압측 단부면(24)이고, 상기 고압측 단부면(24)의 전체 단부면(24)은 아이들 위치(R)에서 상기 고압측(14)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단부면(22)은 저압측 단부면(22)이고, 상기 저압측 단부면(22)의 전체 단부면은 항상 상기 저압측(12)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30)는 전체 길이에 걸쳐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갭(34)이 상기 피스톤 로드(30) 내에, 특히 상기 피스톤 로드(30)와 상기 제어 로드(4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고압측(14)과 상기 저압측(12)을 연결하고, 상기 피스톤 로드(30)는 상기 고압측(14)과 상기 제어 갭(34)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32)를 갖고, 상기 개구(32)는 상기 피스톤(20)의 아이들 위치(R) 앞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갭(34)은 상기 피스톤(20)의 상기 아이들 위치(R)에서 상기 고압측(14) 및 상기 저압측(12)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상기 고압측 단부면(24)에 상기 개구(32)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모따기(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동 브레이크(1)는 상기 피스톤(20)의 단부 위치(E)에서 단부 정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 로드(30) 상에 배열된 정지 요소(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동 브레이크(1).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반동 브레이크(1)를 포함하는 배럴형 총기.
KR1020227007480A 2019-08-15 2020-07-21 반동 브레이크 및 배럴형 총기 KR20220056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1982.5 2019-08-15
DE102019121982.5A DE102019121982A1 (de) 2019-08-15 2019-08-15 Rohrbremse und Rohrwaffe
PCT/EP2020/070554 WO2021028165A1 (de) 2019-08-15 2020-07-21 Rohrbremse und rohrwaff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84A true KR20220056184A (ko) 2022-05-04

Family

ID=7173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480A KR20220056184A (ko) 2019-08-15 2020-07-21 반동 브레이크 및 배럴형 총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40049B2 (ko)
EP (1) EP4014003A1 (ko)
JP (1) JP2022543607A (ko)
KR (1) KR20220056184A (ko)
DE (1) DE102019121982A1 (ko)
IL (1) IL290349A (ko)
WO (1) WO20210281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607A (en) * 1896-08-11 deport
US2735670A (en) * 1956-02-21 Self-centering shock absorber
US782469A (en) * 1903-08-17 1905-02-14 Charles Prosper Eugene Schneider Control apparatus for recoiling guns.
GB191513247A (en) * 1915-09-16 1919-03-13 Arthur Trevor Dawson Improvements in Air Recuperator Apparatus for Storing Part of the Recoil Energy of Ordnance.
DE490157C (de) * 1928-06-02 1930-01-24 Rheinische Metallw & Maschf Geschuetzfluessigkeitsbremse mit Ausweichmoeglichkeit fuer die durch Erwaermung entstehende Volumenvergroesserung der Fluessigkeit
DE737376C (de) * 1933-10-19 1943-07-12 Rheinmetall Borsig Ag Fluessigkeitsbremse fuer Rohrruecklaufgeschuetze
DE710301C (de) * 1938-03-18 1941-09-10 Fried Krupp Akt Ges Rohrruecklaufbremse
DE1283706B (de) 1965-12-30 1968-11-21 Rheinmetall Gmbh Geschuetz-Fluessigkeitsbremse
DE2943083C2 (de) * 1979-10-25 1981-11-26 Rheinmetall GmbH, 4000 Düsseldorf Hydraulische Rohrrücklaufbremse
DE3015126C2 (de) * 1980-04-19 1984-04-19 Rheinmetall GmbH, 4000 Düsseldorf Hydropneumatischer Rohrvorholer und Rohrbremse für ein Rücklaufgeschütz
US4774873A (en) * 1986-09-15 1988-10-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leeve recuperator
DE3824153A1 (de) * 1988-07-16 1990-04-26 Rheinmetall Gmbh Waffenrohrruecklaufbremse mit vorlaufdaempfung
DE102017103052A1 (de) * 2017-02-15 2018-08-16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Rohrbremse zum Abbremsen des Rohres beim Rücklauf einer Rohrwaf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4003A1 (de) 2022-06-22
DE102019121982A1 (de) 2021-02-18
US11740049B2 (en) 2023-08-29
IL290349A (en) 2022-04-01
US20220325975A1 (en) 2022-10-13
JP2022543607A (ja) 2022-10-13
DE102019121982A8 (de) 2021-04-22
WO2021028165A1 (de)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4399C1 (ru) Газовый патрон
US3858481A (en) For: compensator system for sporting and target rifles
US7121032B2 (en) Hydraulastic recoil pad for a shoulder firearm
US5794374A (en) Gun barrel stabilizer
US10578394B2 (en) Firearm recoil absorber
US20160370135A1 (en) Recoil Impulse Reducing Bolt Carrier Group for Firearms
US2935000A (en) Combination torque and recoil compensator and barrel bushing for guns
US10422596B2 (en) Bolt carrier group for direct gas impingement system
US3251270A (en) Recoil absorber for an automatic weapon
US4867038A (en) Recoil brake for a gun
US4924751A (en) Gun barrel recoil brake with throttled counterrecoil
US11187478B2 (en) Barreled firearm, in particular pistol, having a recoil damper
US1469918A (en) Recoil-controlling device
US11054212B2 (en) External chassis device comprising an internal movable anchoring system for long firearms
WO2005080904A2 (en) Action rate control system
EP4038334B1 (en) Firearm with gas drive
KR20220056184A (ko) 반동 브레이크 및 배럴형 총기
US4785922A (en) Gun recoil mechanism
US20150330729A1 (en) Weapons system modification for improved piston system
US4502366A (en) Hydraulic recoil brake system for braking the gun barrel recoil movement after the firing traverse
US4207798A (en) Gas operating system for loading shot shell in an automatic gun
US4576086A (en) Hydropneumatic energy-recuperating recoil brake for artillery pieces and firearms
DE19524418C2 (de) Rückstoßverzögerung für Feuerwaffen
US4010673A (en) Small arm
EP2400255A2 (en) Recoil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