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951A -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51A
KR20220055951A KR1020200140565A KR20200140565A KR20220055951A KR 20220055951 A KR20220055951 A KR 20220055951A KR 1020200140565 A KR1020200140565 A KR 1020200140565A KR 20200140565 A KR20200140565 A KR 20200140565A KR 20220055951 A KR20220055951 A KR 2022005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edal
cable
base bracket
ped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욱
안병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951A/ko
Publication of KR2022005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G05G1/327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means disconnecting the pedal from its hinge or support, e.g. by breaking or bending the suppor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100) 및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부스터작동부(200)가 서로 분리되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페달부(100)와 브레이크부스터(200)가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며, 운전자가 페달패드(110)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페달패드(110)는 차량 실내 플로어로와의 이격된 거리가 커서 페달패드(110)의 아래쪽으로 카펫이나 이물질 등의 끼임 발생 우려를 없앨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BRAKE PEDA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 및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부스터작동부가 서로 분리 구성되고, 페달부와 브레이크부스터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브레이크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브레이크페달장치를 통해 작동하게 된다.
유압식인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발로 조작하면, 페달의 작동이 브레이크부스터로 전달되어서 페달의 밟는 힘이 증폭되고, 마스터실린더에서 유압으로 전환되며,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서 브레이크가 작동함에 따라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브레이크페달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페달이 푸시로드를 통해 브레이크부스터와 직접 연결된 구성으로, 충돌사고시 브레이크부스터가 실내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브레이크부스터의 밀림량이 푸시로드를 통해 페달로 그대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페달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이 푸시로드를 통해 브레이크부스터와 직접 연결됨에 따라, 차종별로 브레이크부스터의 위치가 정해지면 브레이크페달의 위치도 특정 위치에 한정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디자인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페달에서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는 패드가 차량 실내의 플로어와 근접되어서, 패드의 아래쪽으로 카펫(carpet)이나 이물질의 끼임 우려가 높고, 이럴 경우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에 오류가 생겨서 사고의 원인이 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152호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 및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부스터작동부가 서로 분리되고, 페달부와 브레이크부스터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로서, 충돌사고시 브레이크부스터가 실내방향으로 밀리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의 실내방향 밀림을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페달부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가중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부와 부스터작동부가 서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 페달부의 설치위치를 브레이크부스터와 상관없이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의 패드가 차량 실내 플로어로와의 이격된 거리가 큰 구성으로, 이를 통해 패드의 아래쪽으로 카펫이나 이물질의 끼임 발생 우려를 없앨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미작동에 의한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는,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를 구비한 페달부; 상기 페달부와 분리되어서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푸시로드를 구비한 부스터작동부; 및 상기 페달패드의 조작력이 푸시로드로 전달되기 위해 페달부와 부스터작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부는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페달패드를 연결하고, 페달패드의 조작시 회전하면서 페달패드를 베이스브라켓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링크기구; 및 일단은 링크기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블과 연결되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쪽으로 이동하도록 링크기구가 회전할 때에 케이블을 당기도록 작동하는 케이블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기구는 베이스브라켓과 페달패드사이에서 베이스브라켓과 평행하게 배치된 센터링크; 상기 센터링크와 페달패드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레버의 일단이 연결된 상부링크; 및 상기 센터링크와 베이스브라켓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과 하부링크의 상단은 센터링크측에서 서로 연결되어서 함께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 및 하부링크의 상단에는 각각 상부기어와 하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어와 하부기어가 서로 치합되어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함께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각각 2개 이상으로 구성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링크의 하단과 센터링크를 결합하는 상부링크 하단힌지는 상부링크의 상단과 페달패드를 결합하는 상부링크 상단힌지보다 케이블레버측으로 더 돌출되고, 하부링크의 상단과 센터링크를 결합하는 하부링크 상단힌지는 하부링크의 하단과 베이스브라켓을 결합하는 하부링크 하단힌지보다 케이블레버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은 외측튜브 및 외측튜브에 감싸여진 이너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튜브의 일단은 베이스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케이블의 일단은 케이블레버의 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센터링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페달패드는 상부링크의 상단에서 하부링크 하단까지의 총 길이만큼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스터작동부는 페달부와 이격되어서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하우징;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푸시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케이블이 연결된 회전암; 및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회전암에 양단이 결합되어서 회전암이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은 외측튜브 및 외측튜브에 감싸여진 이너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튜브의 타단은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된 케이블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케이블의 타단은 회전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패드를 밟아서 조작하면, 링크기구의 회전에 의해 페달패드는 베이스브라켓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링크기구의 회전에 의한 케이블레버의 이동으로 케이블이 당겨지고; 상기 케이블의 당김력이 회전암으로 전달되어서 회전암은 베이스하우징에 대해 전방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암의 전방 회전시 푸시로드가 브레이크부스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 및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부스터작동부가 서로 분리되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페달부와 브레이크부스터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충돌사고시 브레이크부스터가 실내방향으로 밀리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는 실내방향으로의 밀림이 방지되거나 또는 최소화되는 바, 이를 통해 페달부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가중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부와 부스터작동부가 서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 페달부의 설치위치를 브레이크부스터와 상관없이 필요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페달패드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페달패드는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상부링크 및 하부링크의 총 길이만큼 이격된 구성이고, 이로 인해 페달패드는 차량 실내 플로어로와의 이격된 거리가 큰 구성으로, 이를 통해 페달패드의 아래쪽으로 카펫이나 이물질 등의 끼임 발생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미작동에 의한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부의 도면으로 작동 전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기어구조로 치합된 부위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부의 작동 후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기어구조로 치합된 부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작동부의 도면으로 회전암이 회전되기 전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6에서 회전암이 회전된 작동 후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패널(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110)를 구비한 페달부(100); 상기 페달부(100)와 분리되어서 대시패널(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푸시로드(210)를 구비한 부스터작동부(200); 및 상기 페달패드(110)의 조작력이 푸시로드(210)로 전달되기 위해 페달부(100)와 부스터작동부(200)를 연결하는 케이블(300);을 포함한다.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부(100)는 운전석 하부공간에 위치하도록 대시패널(1)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부스터작동부(200)는 엔진룸에 위치한 브레이크부스터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대시패널(1)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페달부(100)와 부스터작동부(200)는 서로 분리되고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되어서 페달부(100)의 조작력이 부스터작동부(200)로 전달되는 구성으로, 페달부(100)와 부스터작동부(200)는 케이블(300)의 길이만큼 서로 이격되어서 설치될 수 있으며, 부스터작동부(200)는 페달부(100)와 같이 차량 실내측으로 위치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엔진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100) 및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부스터작동부(200)가 서로 분리되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되면, 충돌사고시 브레이크부스터가 실내방향으로 밀리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100)는 실내방향으로의 밀림이 방지되거나 또는 최소화되는 바, 이를 통해 페달부(100)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가중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페달부(100)와 부스터작동부(200)가 서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 페달부(100)의 설치위치를 브레이크부스터와 상관없이 필요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페달부(100)는 대시패널(1)에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브라켓(120); 상기 베이스브라켓(120)과 페달패드(110)를 연결하고, 페달패드(110)의 조작시 회전하면서 페달패드(110)를 베이스브라켓(120)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링크기구(130); 및 일단은 링크기구(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블(300)과 연결되며, 페달패드(110)가 베이스브라켓(120)쪽으로 이동하도록 링크기구(130)가 회전할 때에 케이블(300)을 당기도록 작동하는 케이블레버(140);를 포함한다.
링크기구(130)는 베이스브라켓(120)과 페달패드(110)사이에서 베이스브라켓(120)과 평행하게 배치된 센터링크(131); 상기 센터링크(131)와 페달패드(11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레버(140)의 일단이 연결된 상부링크(132); 및 상기 센터링크(131)와 베이스브라켓(1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133)를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페달패드(110)가 베이스브라켓(120)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운전자가 페달패드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는 센터링크(13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일렬로 배치되며, 따라서 페달패드(110)는 상부링크(132)의 상단에서 하부링크(133)의 하단까지의 총 길이만큼 베이스브라켓(120)으로부터 이격된 구조가 된다.
즉, 운전자가 페달패드(110)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페달패드(110)는 베이스브라켓(120)으로부터 상부링크(132) 및 하부링크(133)의 총 길이만큼 이격된 구성이고, 이로 인해 페달패드(110)는 차량 실내 플로어로와의 이격된 거리가 큰 구성으로, 이를 통해 페달패드(110)의 아래쪽으로 카펫이나 이물질 등의 끼임 발생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미작동에 의한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는 상부링크(132)의 하단과 하부링크(133)의 상단이 센터링크(131)측에서 서로 연결되어서 함께 회전 동작을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부링크(132)의 하단에는 상부기어(134)가 형성되고, 하부링크(133)의 상단에는 하부기어(135)가 형성되어서, 상부기어(134)와 하부기어(135)가 서로 외접기어 형태로 치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치합된 상부기어(134)와 하부기어(135)를 통해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가 함께 회전 동작을 하면, 페달패드(110)의 조작시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의 변화량을 같게 할 수 있어서 페달부(100)의 보다 안정된 작동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는 각각 2개 이상으로 구성되면서 평행하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페달부(100)의 보다 안정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는 각각 2개씩 구성된 것이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와 같이 페달패드(110)가 베이스브라켓(120)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운전자가 페달패드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링크(132)의 하단과 센터링크(131)를 결합하는 상부링크 하단힌지(151)는 상부링크(132)의 상단과 페달패드(110)를 결합하는 상부링크 상단힌지(152)보다 케이블레버(140)측으로 더 돌출되고, 하부링크(133)의 상단과 센터링크(131)를 결합하는 하부링크 상단힌지(153)는 하부링크(133)의 하단과 베이스브라켓(120)을 결합하는 하부링크 하단힌지(154)보다 케이블레버(140)측으로 더 돌출된 구조가 특징이다.
도 2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패드(110)를 발로 조작하면, 도 4와 같이 센터링크(131)는 케이블레버(140)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는 센터링크(131)와의 결합부위가 케이블레버(140)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해야 하는 바, 이와 같은 링크기구(1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부링크 하단힌지(151)는 상부링크 상단힌지(152)보다 케이블레버(140)측으로 더 돌출되고, 하부링크 상단힌지(153)는 하부링크 하단힌지(154)보다 케이블레버(140)측으로 더 돌출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케이블(300)은 외측튜브(310) 및 외측튜브(310)에 감싸여진 이너케이블(320)을 포함한다.
외측튜브(310)는 이너케이블(320)을 보호하고 이너케이블(3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외측튜브(310)의 일단은 베이스브라켓(120)에 고정되고, 이너케이블(320)의 일단은 케이블레버(140)의 하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작동부(200)는 페달부(100)와 이격되어서 대시패널(1)에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하우징(220); 상기 베이스하우징(220)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푸시로드(210)의 일단이 결합되며, 케이블(300)이 연결된 회전암(230); 및 상기 베이스하우징(220)과 회전암(230)에 양단이 결합되어서 회전암(230)이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240);을 포함한다.
회전암(230)은 상단이 힌지축(231)을 중심으로 베이스하우징(2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암(230)의 하단에는 케이블(300)의 타단이 연결된다.
즉, 케이블(300)의 외측튜브(310)의 타단은 베이스하우징(220)에 결합된 케이블홀더(250)에 고정되고, 케이블(300)의 이너케이블(320)의 타단은 회전암(230)의 하단측에 연결된 구조이다.
리턴스프링(24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페달패드(110)가 베이스브라켓(120)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운전자가 페달패드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패드(110)를 밟아서 조작하면, 도 4와 같이 센터링크(131)의 이동 및 상부링크(132)와 하부링크(133)의 회전에 의해 페달패드(110)는 베이스브라켓(120)쪽으로 이동하고, 또한 링크기구(130)의 회전에 의한 케이블레버(140)의 이동으로 케이블(300)이 당겨지고, 케이블(300)의 당김력이 회전암(230)으로 전달되면 회전암(230)은 도 6의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베이스하우징(220)에 대해 전방으로 회전하고, 회전암(230)의 전방 회전에 의해 푸시로드(210)가 전방으로 이동해서 브레이크부스터를 작동시킴으로써 브레이크장치의 제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100) 및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부스터작동부(200)가 서로 분리되어서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페달부(100)와 브레이크부스터(200)가 케이블(300)을 통해 연결된 구성으로, 충돌사고시 브레이크부스터가 실내방향으로 밀리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부(100)는 실내방향으로의 밀림이 방지되거나 또는 최소화되는 바, 이를 통해 페달부(100)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이 가중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부(100)와 부스터작동부(200)가 서로 분리 구성됨에 따라 페달부(100)의 설치위치를 브레이크부스터와 상관없이 필요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페달패드(110)를 조작하기 전의 상태를 기준으로, 페달패드(110)는 베이스브라켓(120)으로부터 상부링크(132) 및 하부링크(133)의 총 길이만큼 이격된 구성이고, 이로 인해 페달패드(110)는 차량 실내 플로어로와의 이격된 거리가 큰 구성으로, 이를 통해 페달패드(110)의 아래쪽으로 카펫이나 이물질 등의 끼임 발생 우려를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미작동에 의한 사고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대시패널 100 - 페달부
110 - 페달패드 120 - 베이스브라켓
130 - 링크기구 131 - 센터링크
132 - 상부링크 133 - 하부링크
134 - 상부기어 135 - 하부기어
140 - 케이블레버 151 - 상부링크 하단힌지
152 - 상부링크 상단힌지 153 - 하부링크 상단힌지
154 - 하부링크 하단힌지 200 - 부스터작동부
210 - 푸시로드 220 - 베이스하우징
230 - 회전암 231 - 힌지축
240 - 리턴스프링 250 - 케이블홀더
300 - 케이블 310 - 외측튜브
320 - 이너케이블

Claims (11)

  1.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페달패드를 구비한 페달부;
    상기 페달부와 분리되어서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부스터와 연결된 푸시로드를 구비한 부스터작동부; 및
    상기 페달패드의 조작력이 푸시로드로 전달되기 위해 페달부와 부스터작동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부는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페달패드를 연결하고, 페달패드의 조작시 회전하면서 페달패드를 베이스브라켓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동작하는 링크기구; 및
    일단은 링크기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블과 연결되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쪽으로 이동하도록 링크기구가 회전할 때에 케이블을 당기도록 작동하는 케이블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베이스브라켓과 페달패드사이에서 베이스브라켓과 평행하게 배치된 센터링크;
    상기 센터링크와 페달패드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레버의 일단이 연결된 상부링크; 및
    상기 센터링크와 베이스브라켓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과 하부링크의 상단은 센터링크측에서 서로 연결되어서 함께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 및 하부링크의 상단에는 각각 상부기어와 하부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기어와 하부기어가 서로 치합되어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함께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각각 2개 이상으로 구성되면서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링크의 하단과 센터링크를 결합하는 상부링크 하단힌지는 상부링크의 상단과 페달패드를 결합하는 상부링크 상단힌지보다 케이블레버측으로 더 돌출되고, 하부링크의 상단과 센터링크를 결합하는 하부링크 상단힌지는 하부링크의 하단과 베이스브라켓을 결합하는 하부링크 하단힌지보다 케이블레버측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외측튜브 및 외측튜브에 감싸여진 이너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튜브의 일단은 베이스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케이블의 일단은 케이블레버의 하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를 기준으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센터링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페달패드는 상부링크의 상단에서 하부링크 하단까지의 총 길이만큼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작동부는 페달부와 이격되어서 대시패널에 고정되게 결합된 베이스하우징;
    상기 베이스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푸시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케이블이 연결된 회전암; 및
    상기 베이스하우징과 회전암에 양단이 결합되어서 회전암이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외측튜브 및 외측튜브에 감싸여진 이너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튜브의 타단은 베이스하우징에 결합된 케이블홀더에 고정되고;
    상기 이너케이블의 타단은 회전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가 베이스브라켓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초기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패드를 밟아서 조작하면, 링크기구의 회전에 의해 페달패드는 베이스브라켓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링크기구의 회전에 의한 케이블레버의 이동으로 케이블이 당겨지고;
    상기 케이블의 당김력이 회전암으로 전달되어서 회전암은 베이스하우징에 대해 전방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암의 전방 회전시 푸시로드가 브레이크부스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KR1020200140565A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KR20220055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65A KR20220055951A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65A KR20220055951A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51A true KR20220055951A (ko) 2022-05-04

Family

ID=8158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65A KR20220055951A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9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152A (ko) 2010-11-03 2012-05-11 유한회사 삼풍금속 자동차용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152A (ko) 2010-11-03 2012-05-11 유한회사 삼풍금속 자동차용 브레이크페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60150A (ja)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US9821777B2 (en) Vehicle brake pedal device
JP5724969B2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US7267194B2 (en) Automotive pedal support structure
KR20220055951A (ko) 차량용 브레이크페달장치
JP2003025864A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の取付構造
JP3839976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の衝突時退避構造
JP4234033B2 (ja)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JP4968204B2 (ja) ブレーキペダル支持構造
JP2008225666A (ja) 車両用ペダル変位制御構造
US11156282B2 (en) Work vehicle
JP2004114793A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4014929B2 (ja)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JP2004210100A (ja) 車両のペダル前後位置調節装置
JP5516125B2 (ja) ブレーキペダル後退防止装置
JP3776225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構造
JP3628271B2 (ja) ペダルアームの移動防止機構
JP5135142B2 (ja) 車両用ペダル装置
JP2014186369A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3762201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ペダルの支持装置
JP6766765B2 (ja) ペダル後退抑制機構
JP6365201B2 (ja) ペダルアームの後退抑制機構
JPH0911826A (ja) ペダル引き込み装置
JP6920258B2 (ja) 車両用操作ペダル装置
JP2012121379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