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218A -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 Google Patents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218A
KR20220053218A KR1020200137408A KR20200137408A KR20220053218A KR 20220053218 A KR20220053218 A KR 20220053218A KR 1020200137408 A KR1020200137408 A KR 1020200137408A KR 20200137408 A KR20200137408 A KR 20200137408A KR 20220053218 A KR20220053218 A KR 2022005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tteokbokki
weight
parts
red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018B1 (ko
Inventor
우병임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지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지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지공
Priority to KR1020200137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0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은 재료들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물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혼합물 숙성 단계(S300); 상기 숙성된 혼합물에 스팀을 공급하여 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하는 혼합물 증숙 단계(S400);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여 펀칭하는 혼합물 펀칭 단계(S500); 및 상기 펀칭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은 홍고추 등을 포함하여 떡볶이의 특성인 매운맛을 제공하는 양념과 쌀가루를 혼합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함으로써, 떡볶이 요리나 조리를 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양념이 떡볶이용 떡에 깊이 배여 떡볶이의 맛과 향을 배가시키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떡볶이용 떡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METHOD FOR PRODUCING RICE CAKE FOR TTEOKBOKKI USING RED PEPPER AND RICE CAKE FOR TTEOKBOKKI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홍고추 등을 포함하여 떡볶이의 특성인 매운맛을 제공하는 양념과 쌀가루를 혼합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함으로써, 떡볶이 요리나 조리를 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양념이 떡볶이용 떡에 깊이 배여 떡볶이의 맛과 향을 배가시키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에 관한 것이다.
떡볶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가래떡을 주재료로 하고 고추장 기타 양념을 가래떡과 함께 혼합하고 이를 프라이팬 기타 조리 기구에서 가열하여 먹는 음식이다.
하지만, 종래의 떡볶이는 고추장 양념으로 떡볶이의 맛과 향을 내어 완성된 떡볶이를 먹게 되고, 고추장 양념의 맛에 따라 떡볶이의 맛이 다르게 되었다. 양념이 떡볶이 전체적인 맛을 좌우하게 되고 각종 채소와 혼합하여 완성되는 떡볶이에 고추장을 너무 많이 투여하면 물을 더 붓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로인해, 떡볶이의 맛을 내는 고추장 양념이외에 떡볶이용 떡을 자체적으로 다양한 맛을 낼 수 있는 떡볶이용 떡에 대하여 종래부터 많은 연구들이 있어 왔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출원번호 20-2002-0033754(실) 통상의 떡볶이에 있어서 떡의 외면에 도포하는 양념을 떡볶이 떡의 내부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중공에 함유하고 있는 떡볶이용 떡 및 외부에 떡볶이용 양념을 도포하지 않아도 떡볶이 고유의 빨강색을 띠는 새로운 떡볶이 떡을 제공한다.
출원번호 10-2002-0067754 (특) 정백한 쌀을 물로 2~3회 수세하고 침지한 다음, 롤러 분쇄기로 분쇄하여 쌀가루를 준비하고, 상기의 쌀가루에 저온도 호화제인 알파미분, 변성전분, 보존제인 프로필렌글리콜, 알콜, 산미료, 유화제, 정제염, 물 등을 가해 45%의 수분함량으로 조절하도록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 40~42%의 수분함량으로 조절하도록 증기를 유입시켜 15~20분간 증숙하는 단계 상기의 증숙된 조성물을 교반기에서 10~15분간 교반하여 1차 압출기로 다공질을 형성시킨 후, 2차 압출성형기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의 2차 압출성형기에서 토출된 떡볶이를 급냉시킨 후, 롤러 절단기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아 보는 떡볶이용 떡을 중심적으로 기재 하고 있다. 이는 고추장 양념으로 완성된 모든 떡볶이와 다를 바가 없으며 기본적으로 떡볶이용 떡 자체적으로의 효능은 전무한 관계이다.
다른 형태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쌀떡볶이 떡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긴 하지만 쌀떡볶이는 대체적으로 많이 알려졌으며 즉석식품용 쌀떡볶이 떡이라 사용자들의 건강에 해로움을 끼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음자들의 편리성만을 부여하기 위한 것들이다.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경우 그 매운 맛 때문에 고추장에 대한 선호도가 낮으며 성인들도 자극적인 것이 건강에 해롭다고 인식되어 매운맛을 개선한 제품을 원하고 있으며 떡볶이에 대한 것은 단지 매운맛에 대한 영양적인 요소를 부각하지 않은 미각적인 방법에 의해 요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된 떡볶이를 제조 시에 전체적으로 고추장 양념에 의해 맵고, 짠 맛이 결정되는 떡볶이 이외에 떡볶이용 떡 자체적으로 다양한 색상과 맛을 낼 수 있는 떡볶이용 떡이 제조되어 단순한 편리성만 부여되는 것뿐만 아니라 시음 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고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제품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52213호(2014년 01월 09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344550호(2013년 12월 17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937534호(2019년 01월 04일 등록)
본 발명은 홍고추 등을 포함하여 떡볶이의 특성인 매운맛을 제공하는 양념과 쌀가루를 혼합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함으로써, 떡볶이 요리나 조리를 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양념이 떡볶이용 떡에 깊이 배여 떡볶이의 맛과 향을 배가시키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은 재료들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물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혼합물 숙성 단계(S300); 상기 숙성된 혼합물에 스팀을 공급하여 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하는 혼합물 증숙 단계(S400);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여 펀칭하는 혼합물 펀칭 단계(S500); 및 상기 펀칭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상기 혼합물은 홍고추 가루 3 내지 7 중량부, 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강황 0.5 내지 2.5 중량부, 마늘 0.1 내지 1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0.1 내지 1.5 중량부, 황칠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멥쌀가루 80 내지 120 중량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찹쌀가루 3 내지 7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1 내지 5 중량부, 파인애플 농축액 0.5 내지 1.5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계량된 후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숙성 단계(S300)에서 상기 혼합물의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4 내지 8℃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증숙 단계(S400)에서는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압력 스팀기에 투입한 후 스팀을 공급하여 증숙하되, 상기 압력 스팀기에 공급되는 스팀은 5 내지 7kgf/cm2의 압력 및 125 내지 135℃ 온도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은 홍고추 등을 포함하여 떡볶이의 특성인 매운맛을 제공하는 양념과 쌀가루를 혼합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함으로써, 떡볶이 요리나 조리를 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양념이 떡볶이용 떡에 깊이 배여 떡볶이의 맛과 향을 배가시키며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떡볶이용 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은 재료 준비 단계(S100), 혼합 단계(S200), 혼합물 숙성 단계(S300), 혼합물 증숙 단계(S400), 혼합물 펀칭 단계(S500) 및 성형 단계(S600)를 포함한다.
1.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재료 준비 단계(S100)는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재료 준비 단계(S100)에서 상기 재료들로는 홍고추 가루, 마 분말, 강황, 마늘, 스테비아 추출액, 황칠 추출물, 멥쌀가루, 소금, 찹쌀가루, 타피오카 전분, 파인애플 농축액, 크릴새우 오일 및 정제수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홍고추 가루는 홍고추를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고추는 김치, 국, 찌게, 고추장, 장아찌, 나물 등 우리나라의 식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매운맛을 내는 향신료로서 고추에는 비타민 A, C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 특히, 풋고추 한 개에는 귤의 네 배 정도의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으며,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은 지방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어 다이어트에도 좋은 식품이다.
고추의 매운맛 성분은 캅사이신과 디히로캅사이신으로 품종 등 유전적 요인, 재배환경, 가공방법에 따라 함량에 차이가 있으며, 고추의 색소는 캅산틴과 카로틴이며 이중 카로틴은 우리 몸에 들어가 비타민 A로 바뀐다. 고추는 일반적으로 8~10월 사이에 수확되는데, 수분함량이 많아 저장성이 약하므로 건조한 다음 건조고추로 저장했다가 필요시에 분쇄하여 양념원료인 고춧가루로 이용한다.
상기 마 분말은 마를 분쇄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마(산약: Dioscorea batatas)는 백합목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1m 정도이며, 그 지상부는 덩굴이며, 지하부 뿌리는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마는 장마, 단마, 환마, 마, 산마, 부채마, 단풍마 등 600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10 여종이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마는 그 원산지는 중국이며, 한국, 중국, 타이완, 일본 등지의 산지에서 자생하기도 하며, 국내에서는 식약청이 식품원료로 지정한 한약제로, 특히 마의 뿌리를 건조시켜 말린 것을 한방에서는 산약 또는 서예라고 부르며, 당뇨, 설사, 대하증 등에 이용된다.
국내에서 식용하는 마는 디오스코레아 바타타스(Dioscorea batatas)로 분류되는 재배종이며, 일반적으로 줄기는 가늘고 길며 성기게 가지가 갈라지며,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는데 삼각형으로서 잎 밑은 심장형이며 끝이 날카롭다.
마의 성분으로는 수분함량 74~76%, 전분 15~20%, 단백질 1~1.5%, 총지질 ~1%, 회분 ~1.25%, 총질소함량 ~0.4%이며, 점질다당류(acetylated glucomannan), 비타민, 미네랄, 기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고된 약용성분으로는 아밀로스(Amylose), 콜린(Cholin), 사포닌(Saponin), 뮤신(Mucin), 알라기닌(Araginine), 요노게닌(Yonogenin), 다오스게닌(Diosgenin), 크립토게닌(Kryptogenin) 등의 다양한 약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마 분말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마 분말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마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마의 세척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마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마를 제1 건조하여 상기 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햇빛 건조시 상기 마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되고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진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마의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마를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3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제1 건조된 마의 껍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1 건조된 마 껍질의 제거는 작업자가 칼 등으로 깎아 내거나, 전용 박피기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껍질이 제거된 마를 혼합용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껍질이 제거된 마를 혼합용액에 침지시킨 후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유지시켜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레몬 과즙 및 죽염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용액에서 상기 레몬 과즙은 비타민 C의 함량이 많고 산미가 강하며 피부건강, 피로회복, 감기예방, 두통 등에 효능이 좋으며, 상기 죽염수는 상기 마를 살균하여 쉽게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마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혼합용액은 레몬 과즙 1 중량부 및 죽염수 9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죽염수는 농도가 1 내지 2 중량%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용액에 침지된 마를 꺼내어 분리한 후 상기 마를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레몬 과즙 및 죽염수의 성분이 침투된 마를 계피가루 및 설탕의 혼합물과 혼합한 후, 증숙기에서 찌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 상기 계피가루 및 설탕은 계피가루 10 내지 20 중량부 및 설탕 1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증숙기에서 120 내지 130℃의 수증기로 30 내지 6O분 동안 가열하여 찜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계피가루는 면역력을 높이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혈관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주며 식중독 예방 및 살균, 살충 효과가 있으며, 상기 설탕은 침지된 마의 표면 윤기 및 당도를 증진시키고 방부 효과가 있어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마를 절단한 후 제2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증숙된 마를 절단한 후 제2 건조함으로써 상기 마의 건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마를 1 내지 20mm의 크기로 절단한 후, 상기 절단된 마를 25 내지 30℃에서 30 내지 50 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2 건조된 마를 분쇄하여 분말화함으로써 마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제2 건조된 마를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입경이 10 내지 300메쉬 범위인 마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강황(畺黃)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한다.
상기 강황은 뿌리줄기와 덩이뿌리를 모두 한약재로 쓰는데, 뿌리줄기를 강황이라고 하고 덩이뿌리를 쪄서 말린 한약재를 울금이라고 한다. 강황과 울금은 서로 다르지만 시중에 강황이라며 판매되는 제품들은 보통 울금을 말하며 약재로서의 가치는 울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강황은 카레가루로 많이 쓰이고 간 해독기능과 항암작용, 상처치료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어깨 통증, 생리통, 산통(疝痛)의 치료에 처방하는데, 산통(疝痛)이란 갑자기 심하게 일어나는 간헐적 복통으로 복부 내장의 여러 질환에 따르는 증후로 대개 담석증 발작, 신석 발작(腎石發作), 장폐색 등의 경우에 나타난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은 스테비아를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쌍떡잎 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숙근(宿根) 다년초 여러해살이풀로서, 남미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국경 산간지 하천, 습지대주변에 서식하며 허브차, 음료, 한약조제, 천연감미료, 당뇨, 다이어트, 건강보조식품 등에 사용한다.
상기 스테비아 잎에는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와 레바우디오사이드 단성분이 있는데, 이는 설탕의 약 200~300배 당도가 높고 쓴맛이 없으며, 칼로리는 설탕의 90분의 1로 낮아 약용, 한약조제, 차, 간장, 고추장 등에 천연 감미료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최근 인공합성 감미료 섭취로 발암의 원인이 되고 또한 칼로리 과다로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어 천연 당류 물질인 스테비아가 주목받고 있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스테비아 추출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아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스테비아 생잎을 준비한 후 상기 스테비아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준비된 스테비아 생잎을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로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지는데, 상기 스테비아 생잎을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써,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상기 스테비아 생잎을 살균함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스테비아 생잎을 자연 건조시켜 상기 스테비아 생잎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된 상황버섯을 30 내지 35℃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한 범위로 스테비아 생잎을 건조함으로써 스테비아 생잎의 향이 은은하게 살아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자연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을 감압분위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진공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50 내지 60mbar의 압력하에서 자연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는 40 내지 45℃의 온도에서 30 내지 100초 동안 수행되고, 상기 자연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에 2 내지 2.2GHz의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는 스테비아 생잎의 내부까지 침투하여 가열하는 체적가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면 스테비아 생잎 내부의 물 분자가 마이크로웨이브의 극성 변환에 따라 진동 또는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은 분극 진동이 분자간의 마찰로 이어져 발열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감압하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스테비아 생잎을 건조해주면, 스테비아 생잎 내부의 가열에 의한 팽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순간적인 내부가열과 팽화에 의해 스테비아 생잎 내부의 세포막이 파괴됨으로써 살균효과도 발생하고, 또한, 스테비아 생잎 내부 가열에 의한 팽화에 의해 추후 스테비아 추출액 제조시 스테비아의 성분이 효과적으로 침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진공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을 추출하여 스테비아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공지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상기 진공 건조된 스테비아 생잎을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추출법으로 열수 추출, 환류 추출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추출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의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 오갈피속의 상록활엽교목으로 높이 15m 이상까지 자라는 한국 고유의 토종나무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광택이 있고, 꽃은 6월에 피며, 길이 7~19mm의 열매가 검게 익는다. 최저기온이 영하 2℃ 이상, 연 평균기온이 12~15℃ 이상인 지역에서 자라는 난대성 식물이다.
황칠은 일반적으로 황금색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 성분인 비휘발 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고형분 14.4%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방향 성분은 주로 세스퀴테르펜류의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 (cadinene)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에 포함된 방향 성분은 심신을 맑고 편안하게 해주는 안식향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향수, 화장료나 기능성 식음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황칠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황칠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황칠나무 생잎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세척은 상기 준비된 황칠나무 생잎을 2 내지 4(w/w)% 농도 및 30 내지 35℃의 온도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침지시켜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황칠나무 생잎을 건조기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황칠나무 생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유용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황칠나무 생잎을 온도 18 내지 22℃ 및 습도 35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을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황칠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타피오카 전분은 높은 점성으로 인하여 떡이 장시간 점력 및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통상의 전분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타피오카 전분은 카사바(cassava)의 뿌리에서 채취한 식물성 전분(=녹말)을 말하는데, 카사바의 뿌리는 20~30%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것을 짓이겨 녹말을 물로 씻어내 침전시킨 후, 건조시켜 타피오카를 만든다. 동남아시아에서 중요한 식용자원으로 녹말당, 캐러멜, 과자제조에 사용하며, 그 외에 방직용 풀로도 이용된다. 방직용 풀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점력이 매우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타피오카 전분의 점력 및 탄성을 이용하여 쫀득쫀득하고 촉촉한 식감을 가지는 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은 파인애플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파인애플은 열대식물인 아나나스의 열매로서, 향기가 매우 뛰어날 뿐 아니라 달콤하고 새콤한 맛을 가지고 있어 누구나 즐겨 먹고 있으며, 특히 브로멜라인이라고 하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육류를 섭취한 다음에 후식으로 먹게 되면 소화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
또한, 파인애플은 비타민 A, B, C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비타민들은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감기나 각종 성인병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색이 좋고 맛과 향이 달콤하면서 신맛으로 식욕을 증진시키며 몸속의 나트륨 배출에 칼륨의 함유로 각종 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고 망간이 들어있어 골다공증 예방과 풍부한 섬유질로 소화기관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인애플 발효 농축액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파인애플을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1 내지 3(w/w)% 농도 범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파인애플의 표면을 살균 및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인애플은 파인애플의 열매 및 뿌리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인애플을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파인애플을 효소 분해하기 위한 효소로는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펙티나제(Pectinase), 자일라나제(Xylanase) 및 셀룰라제(Cellulase)가 이용되고, 상기 파인애플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알파아밀라아제(α-Amyl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2 내지 0.04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및 셀룰라제(Cellulase) 0.02 내지 0.04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고, 38 내지 42℃의 온도에서 상기 효소가 혼합된 파인애플을 30 내지 6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효소 분해된 파인애플을 저장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효소 분해된 파인애플을 8 내지 12℃의 온도에서 10 내지 50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단계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이 충분히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파인애플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숙성된 파인애플을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된 파인애플을 여과하여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파인애플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여과는 판형 가압 여과기 또는 카트리지 여과기 등과 같은 공지된 다양한 여과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발효하여 파인애플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파인애플 발효액을 농축하고 살균하여 파인애플 발효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파인애플 발효액은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액 100 중량부에 대해 식물성 유산균을 0.1 내지 0.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18 내지 22℃의 온도에서 2 내지 6일 동안 발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파인애플 발효 농축액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인애플 발효액을 농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식물성 유산균은 상기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발효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상기 식물성 유산균으로는 여과된 파인애플액을 발효시킬 수 있는 공지된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식물성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400 × 109CFU/g)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크릴새우 오일은 크릴새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크릴새우는 인체 세포막 구성 성분과 유사한 구조의 인지질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크릴새우로부터 추출되는 오일은 인체로의 흡수가 다른 어류 오일에 비하여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크릴오일에는 오메가-3 등의 지질 외에 비타민 A, E, D가 함유되어 있고,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이라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크릴오일의 항산화 기능은 일반 생선오일의 48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크릴새우는 영양학적으로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신선한 크릴새우에는 약 10%까지의 지질을 함유하며, 크릴새우의 지질은 고도불포화지방산 오메가-3인 에이코사펜타에노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이 약 40% 함유되어 있고, 인지질(phospholipids)이 약 40~50%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지용성 카로틴노이드(carotenoid)의 항산화물질인 아스타잔틴(astaxanthin)이 함유되어 있어 유용하다.
상기 크릴새우 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크릴새우를 준비하여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의 건조는 제1 건조 및 제2 건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 건조는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를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5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세척된 크릴새우에 잔류하는 수분을 1차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크릴새우를 열풍으로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건조는 상기 제1 건조된 크릴새우를 110 내지 130℃ 온도의 열풍을 30 내지 50분 동안 가하여 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숙성하여 크릴새우 숙성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의 분쇄는 상기 제2 건조된 크릴새우를 5 내지 10mm의 입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크릴새우의 숙성은 상기 분말화된 크릴새우를 6 내지 8℃의 온도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보관하여 효소 분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에 효소와 산을 혼합한 후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을 36 내지 38℃의 온도에서 10 내지 30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효소 분해할 수 있는데,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의 효소 분해는 상기 크릴새우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나 키틴, 면역활성 다당체를 분리해낼 수 있는 효소를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효소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된 프로테아제(Protease), 키티나제(chitinase), 펙티나제(Pectinase) 및 자일라나제(Xylanase)가 이용되고, 상기 산으로는 구연산 및 아스코르빈산이 이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크릴새우 숙성분말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프로테아제(Protease) 0.01 내지 0.03 중량부, 키티나제(chitinase) 0.03 내지 0.05 중량부, 펙티나제(Pectinase) 0.005 내지 0.009 중량부, 자일라나제(Xylanase) 0.008 내지 0.012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1 중량부 및 아스코르빈산 0.01 내지 0.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효소 및 산이 혼합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의 pH가 3.5 ~ 6.5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효소 분해된 크릴새우 숙성분말을 압착하여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크릴새우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크릴새우 발효물을 착유기를 이용하여 압착, 오일 분리 등의 구성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 단계(S200)는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상기 혼합물은 홍고추 가루 3 내지 7 중량부, 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강황 0.5 내지 2.5 중량부, 마늘 0.1 내지 1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0.1 내지 1.5 중량부, 황칠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멥쌀가루 80 내지 120 중량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찹쌀가루 3 내지 7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1 내지 5 중량부, 파인애플 농축액 0.5 내지 1.5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계량된 후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3. 혼합물 숙성 단계(S300)
상기 혼합물 숙성 단계(S500)는 상기 혼합물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물 숙성 단계(S300)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숙성함으로써 상기 재료들이 혼합된 혼합물의 물성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의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4 내지 8℃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4. 혼합물 증숙 단계(S400)
상기 혼합물 증숙 단계(S400)는 상기 숙성된 혼합물에 스팀을 공급하여 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물 증숙 단계(S400)에서는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압력 스팀기에 투입한 후 스팀을 공급하여 증숙할 수 있는데, 상기 압력 스팀기에 공급되는 스팀은 5 내지 7kgf/cm2의 압력 및 125 내지 135℃ 온도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할 수 있다.
5. 혼합물 펀칭 단계(S500)
상기 혼합물 펀칭 단계(S500)는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여 펀칭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물 펀칭 단계(S500)에서는 상기 증숙된 혼합물이 소량인 경우에는 손으로 압력을 가하거나(치대기), 반죽물의 양에 따라 공지된 반죽기 등을 이용하여 펀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압력을 가하여 펀칭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되는 떡볶이용 떡의 쫀득한 식감 및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성형 단계(S600)
상기 성형 단계(S600)는 상기 펀칭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성형 단계(S600)에서는 상기 펀칭된 혼합물을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떡볶이용 떡의 구성 및 형상은 공지의 기술인 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먼저, 홍고추 가루, 마 분말, 강황, 마늘, 스테비아 추출액, 황칠 추출물, 멥쌀가루, 소금, 찹쌀가루, 타피오카 전분, 파인애플 농축액, 크릴새우 오일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재료들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홍고추 가루 5 중량부, 마 분말 1.5 중량부, 강황 1.5 중량부, 마늘 0.5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1 중량부, 황칠 추출물 1 중량부, 멥쌀가루 100 중량부, 소금 1 중량부, 찹쌀가루 5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3 중량부, 파인애플 농축액 1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3 중량부 및 정제수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6℃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보관하여 숙성하였고,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증숙한 후 펀칭하고 성형함으로써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홍고추 가루 6 중량부, 마 분말 0.6 중량부, 강황 2.3 중량부, 마늘 0.2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1.5 중량부, 황칠 추출물 0.7 중량부, 멥쌀가루 115 중량부, 소금 0.5 중량부, 찹쌀가루 7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1 중량부, 파인애플 농축액 0.6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4 중량부 및 정제수 19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홍고추 가루 3 중량부, 마 분말 2.4 중량부, 강황 0.6 중량부, 마늘 0.9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0.3 중량부, 황칠 추출물 1.4 중량부, 멥쌀가루 85 중량부, 소금 1.5 중량부, 찹쌀가루 3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5 중량부, 파인애플 농축액 1.4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15 중량부 및 정제수 1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시판되고 있는 떡볶이용 떡을 준비한 후 이를 비교예 1에 따른 떡볶이용 떡으로 사용하였는데, 비교예 1에 따른 떡볶이용 떡은 밀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 비교예 2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홍고추 가루, 마 분말, 스테비아 추출액, 황칠 추출물, 크릴새우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떡볶이용 떡과,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떡볶이용 떡의 맛, 향, 조직감,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맛(풍미) 향(냄새) 조직감(물성) 식감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1 8.0 8.2 8.2 8.1 8.1
실시예 2 8.1 8.1 8.0 8.1 8.1
실시예 3 8.1 8.3 8.1 8.2 8.2
비교예 1 6.3 6.2 6.1 6.2 6.2
비교예 2 6.5 6.3 6.4 6.3 6.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떡볶이용 떡의 맛(풍미), 향(냄새), 조직감(물성), 종합적 선호도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떡볶이용 떡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재료들을 준비하는 재료 준비 단계(S100);
    상기 준비된 재료들을 일정한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혼합물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혼합물 숙성 단계(S300);
    상기 숙성된 혼합물에 스팀을 공급하여 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하는 혼합물 증숙 단계(S400);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압력을 가하여 펀칭하는 혼합물 펀칭 단계(S500); 및
    상기 펀칭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떡볶이용 떡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상기 혼합물은 홍고추 가루 3 내지 7 중량부, 마 분말 0.5 내지 2.5 중량부, 강황 0.5 내지 2.5 중량부, 마늘 0.1 내지 1 중량부, 스테비아 추출액 0.1 내지 1.5 중량부, 황칠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멥쌀가루 80 내지 120 중량부, 소금 0.5 내지 1.5 중량부, 찹쌀가루 3 내지 7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1 내지 5 중량부, 파인애플 농축액 0.5 내지 1.5 중량부, 크릴새우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및 정제수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계량된 후 혼합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숙성 단계(S300)에서 상기 혼합물의 숙성은 상기 혼합물을 4 내지 8℃의 온도에서 3 내지 7시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되고,
    상기 혼합물 증숙 단계(S400)에서는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압력 스팀기에 투입한 후 스팀을 공급하여 증숙하되, 상기 압력 스팀기에 공급되는 스팀은 5 내지 7kgf/cm2의 압력 및 125 내지 135℃ 온도로 50 내지 10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
KR1020200137408A 2020-10-22 2020-10-22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KR102450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08A KR102450018B1 (ko) 2020-10-22 2020-10-22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08A KR102450018B1 (ko) 2020-10-22 2020-10-22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18A true KR20220053218A (ko) 2022-04-29
KR102450018B1 KR102450018B1 (ko) 2022-10-04

Family

ID=8142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08A KR102450018B1 (ko) 2020-10-22 2020-10-22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0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446A (ko) * 2008-04-11 2009-10-15 이해극 컬러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가래떡
KR101344550B1 (ko) 2011-12-30 2013-12-26 박양수 매운맛을 함유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KR101352213B1 (ko) 2012-02-16 2014-01-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청고추를 재료로 이용한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KR20140030004A (ko) * 2012-08-31 2014-03-11 김종성 솔잎과 당조고추를 이용한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KR20140001487U (ko) * 2012-08-29 2014-03-12 유현덕 떡볶이 양념 소스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반죽하여 제조하는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KR101937534B1 (ko) 2016-11-03 2019-01-1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떡볶이 떡 제조방법
KR20200017688A (ko) * 2018-08-09 2020-02-19 사임당푸드 영농조합법인 쌀가루를 주재로 한 조리떡볶이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446A (ko) * 2008-04-11 2009-10-15 이해극 컬러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가래떡
KR101344550B1 (ko) 2011-12-30 2013-12-26 박양수 매운맛을 함유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KR101352213B1 (ko) 2012-02-16 2014-01-16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청고추를 재료로 이용한 떡볶이용 떡 제조방법
KR20140001487U (ko) * 2012-08-29 2014-03-12 유현덕 떡볶이 양념 소스를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반죽하여 제조하는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KR20140030004A (ko) * 2012-08-31 2014-03-11 김종성 솔잎과 당조고추를 이용한 떡볶이 떡의 제조방법
KR101937534B1 (ko) 2016-11-03 2019-01-11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떡볶이 떡 제조방법
KR20200017688A (ko) * 2018-08-09 2020-02-19 사임당푸드 영농조합법인 쌀가루를 주재로 한 조리떡볶이떡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018B1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123B1 (ko)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KR102311303B1 (ko)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KR101170698B1 (ko) 즉석 국수용 분말 조미식품
KR101919476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조미료 제조방법
KR102139951B1 (ko)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KR102266142B1 (ko) 직화 핫도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화 핫도그
KR101933148B1 (ko) 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자
KR102248555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KR101927193B1 (ko) 식용곤충을 포함하는 부각의 제조방법
KR102450018B1 (ko) 홍고추를 이용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볶이용 떡
KR102175589B1 (ko) 귤과 사과를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KR102037760B1 (ko)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KR102344663B1 (ko) 비빔면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KR102397024B1 (ko) 김치 테이스트 분말형 천연 샐러드 시즈닝
KR102554494B1 (ko)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KR102544817B1 (ko) 동충하초 추출물을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떡
KR102374319B1 (ko)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KR102302950B1 (ko) 돈가스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돈가스 소스
KR102470191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간편식 한우 스테이크
KR102609869B1 (ko) 조리용 양념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리용 양념 분말
KR102170381B1 (ko) 고기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기만두
KR102437148B1 (ko) 산양삼 원재료 가공 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0916B1 (ko) 울금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