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770A -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770A
KR20220052770A KR1020200137086A KR20200137086A KR20220052770A KR 20220052770 A KR20220052770 A KR 20220052770A KR 1020200137086 A KR1020200137086 A KR 1020200137086A KR 20200137086 A KR20200137086 A KR 20200137086A KR 20220052770 A KR20220052770 A KR 2022005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echohyang
skin
protein hydrolyzate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653B1 (ko
Inventor
이예린
최수영
윤석균
정수경
경서연
김민지
강승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protein hydrolysate of Agastache rugosa}
배초향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온 조절, 장벽 기능 및 여러 가지 생리 기능 등을 조절하는 인체의 중요 기관 중 하나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원인은 크게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누구나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탄력이 없어지며 피부 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고 각질층의 구조가 변한다. 반면, 외인성 노화는 환경적 요인 등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생기며, 그 중 자외선이 주원인으로 광노화 라고도 불린다.
노화된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두께가 감소한다. 또한 피부 탄력과 인장을 담당하는 진피의 세포외기질(ECM; extracellular matrix) 성분의 변화가 생긴다. 세포외기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라겐과 탄력섬유(Elastin fiber)는 피부 장력과 탄력을 부여하고, 피브릴린 1(FBN1; fibrilin 1) 또한 진피의 섬유아세포에 의해 생성되어 주로 엘라스틴과 같은 탄력섬유가 형성될 때 뼈대 형성 기능을 담당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 기능이 저하되는 반면, 단백질분해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 collagenase 1)는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단백질분해효소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노화된 피부는 얇아지고 장력이 감소하여 힘이 없고 무르게 된다.
한편, 피부 노화의 또 다른 현상은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게 변하는 것이다. 수분은 인체의 약 70%를 구성하며 피부의 촉촉함과 윤기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건강한 표피의 각질층은 15~20%의 수분을 함유하며, 10% 이하로 수치가 떨어지게 되면 피부 장벽에 이상이 생기고 피부가 건조해져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각질층의 수분 함량은 표피에서 생성 분비되는 지질 혼합체인 피지막과 각질층 내에 존재하는 수용성 성분인 자연 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에 의해 결정된다. 자연 보습인자 중 하나인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은 섬유아세포 및 각질형성세포에서 형성되며 점다당질의 구성 성분으로 다당류가 많이 들어있어 수분을 상당량 함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주기는 2~4.5일이며, 무게가 자신의 1,000배인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장벽 기능의 조절과 세포외기질을 수화시켜 조직 내 수분의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 수분 함량이 줄어들고 히알루론산 양이 감소하면, 피부노화로 직결된다.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AS3; Hyaluronan synthase 3)는 HAS-1, 2, 3이 있으며, 합성효소의 초기단계에 다당류에 글루 쿠론산와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반복적으로 추가하여 히알루론산을 생성한다.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는 단백질에는 아쿠아포린(AQP; aquaporin)과 밀착 연접(tight junction)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 중 클라우딘(CLD; claudin)이 존재한다. 표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주로 존재하게 되며, 수분 및 글리세롤, 유레아 등이 이동하는 수분 통로인 아쿠아포린-3(AQP3; aquaporin3)은 세포 사이사이 원활한 수분을 공급한다. 밀착 연접 단백질인 클라우딘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이에, 피부 관련된 상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1686399 B1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효량의 상기한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양상은 배초향(Agastache rugosa)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초향(Agastache rugosa)"은 "방아" 또는 "방애"라고도 하고, 여름과 초가을에 채취한 배초향을 말린 것을 "곽향"이라고도 한다. 배초향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가 푸르고 잎이 많아 특유의 짙은 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동북아시아 및 한국의 특히 남부지방 등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분포한다. 배초향의 줄기는 어두운 갈색이고 세로로 된 무늬와 마디가 있으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미용 개선용,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항노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피부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 DNA 손상복구 능력, 세포교체주기, 상처 회복, 피부 장벽 기능, 표피의 수분 유지, 땀분비, 피지분비, 비타민D 생산, 물리적 손상방어, 화학물질 제거능력, 면역반응, 감각 기능, 체온조절의 감소를 말한다.
상기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개선용 또는 항노화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하고,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노화 현상을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처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노화는 광노화일 수 있다.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 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B(ultraviolet B, UVB)에 의한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일 수 있다.
용어 "피부 주름 개선"은 피부의 주름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깊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용어 "피부 탄력 증진"은 노화 등의 원인에 의해 저하된 피부 탄력이 증가하거나 피부 탄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피부 보습" 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 개선, 탄력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용어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피부 질환"은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은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피부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배초향을 단백질 분해효소와 효소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효소 반응은 배초향, 단백질 분해효소, 및 정제수의 혼합물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초향은 배초향의 전초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잎, 줄기, 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특정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초향은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 반응은 효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소 반응은 25 내지 70℃, 30 내지 70℃, 35 내지 70℃, 40 내지 70℃, 45 내지 70℃, 50 내지 70℃, 또는 55 내지 65℃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 반응은 효소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소 반응은 1분 내지 24시간, 1분 내지 20시간, 1분 내지 16시간, 1분 내지 12시간, 1분 내지 8시간, 30분 내지 24시간, 30분 내지 20시간, 30분 내지 16시간, 30분 내지 12시간, 30분 내지 8시간, 1시간 내지 24시간, 1시간 내지 20시간, 1시간 내지 16시간, 1시간 내지 12시간, 또는 1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 peptidase, proteinase)"는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아미노산간의 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 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엔도펩티다제일 수 있다. 용어 "엔도펩티다제(endopeptidase)"는 "펩티드내부가수분해효소"라고도 하며, 단백질의 중간을 자르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이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EC 3.4.21 또는 EC 3.4.16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Serine protease)일 수 있다. 상기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는 미생물 유래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일 수 있다. 상기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는 미생물 유래 알칼리성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알칼라제일 수 있다. 상기 "알칼라제(Alcalase)"는 "서브틸리신(Subtilisin)"이라고도 하며, 바실러스 속(Bacillus sp.) 미생물 유래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배초향을 단백질 분해효소와 효소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은 단백질 가수분해액, 단백질 가수분해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단백질 가수분해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당단백질(glycoprotein)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식물성 당단백질은 식물 세포에서 1차 세포벽에 존재하면서 식물이 성장하거나 세포벽이 손상되는 경우 세포벽을 보호한다. 식물성 당단백질은 동물성 콜라겐보다 더 많은 양의 당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저분자량이어서 피부에 잘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생물학적 물질인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피부에 안전하게 흡수되면서, 피부에 직접 아미노산을 제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아가스타코시드(agastachoside), 아카세틴(acacetin), 티리아닌(tirian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메틸카비콜(methylchavicol), 리모넨(limonene) 등의 정유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collagenase 1, MMP-1)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분해효소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피부가 얇아지고 장력이 감소하여 탄력이 감소하게 만든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인자(Collagen, type 1, alpha 1,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브릴린 1(fibrillin 1, FBN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FBN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엘라스틴과 같은 탄력섬유가 형성될 때 뼈대를 형성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MMP-1의 발현 억제, COL1A1의 발현 증가, FBN1의 발현 증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피부 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3(aquaporin 3, AQP3)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AQP3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에 원활하게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AS3)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HAS3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히알루론산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클라우딘 1(CLD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CLD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AQP3의 발현 증가, HAS3의 발현 증가, CLD1의 발현 증가,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분해효소(MMP-1)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콜라겐 합성 인자(COL1A1), 피브릴린(FBN1), 아쿠아포린 3(AQP3),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AS3) 및 클라우딘 1(CLD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배초향의 열수 추출물, 배초향의 에탄올 추출물, 또는 당 결합을 분해하는 복합효소 처리에 의한 배초향의 당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등에 의한 항노화 효과와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0.1 ppm 내지 1000 ppm, 0.1 ppm 내지 500 ppm, 0.1 ppm 내지 100 ppm, 1 ppm 내지 1000 ppm, 1 ppm 내지 500 ppm, 1 ppm 내지 100 ppm, 10 ppm 내지 1000 ppm, 10 내지 500 ppm, 또는 10 내지 100 ppm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1 ppm 또는 10 ppm 농도로 세포에 직접 처리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등에 의한 항노화 효과와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화장료 조성물 제형에 적용할 때는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상기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의 농도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화장료 조성물 제형에 적용할 때는 세포 실험 시 사용한 농도에 비해 10배 또는 100배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0.0001 내지 10 중량%, 0.0001 내지 5 중량%, 0.0001 내지 1 중량%, 0.0001 내지 0.5 중량%, 0.0001 내지 0.1 중량%, 0.001 내지 10 중량%, 0.001 내지 5 중량%, 0.001 내지 1 중량%, 0.001 내지 0.5 중량%, 또는 0.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본 명세서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약물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포뮬레이션(formulation)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앰플,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효소 가수분해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배초향, 단백질 분해효소, 및 정제수의 혼합물을 인큐베이션하여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초향, 단백질 분해효소,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배초향은 배초향의 전초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잎, 줄기, 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특정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배초향은 예를 들어 건조 분말 형태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효소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배초향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0 중량부, 0.1 내지 5.0 중량부, 0.1 내지 3.0 중량부, 1.0 내지 10.0 중량부, 1.0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약 2.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정제수는 효소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제수는 배초향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내지 100000 중량부, 100 내지 10000 중량부, 100 내지 5000 중량부, 100 내지 3000 중량부, 100 내지 2000 중량부, 1000 내지 100000 중량부, 1000 내지 10000 중량부, 1000 내지 5000 중량부, 1000 내지 3000 중량부, 약 200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 반응은 효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소 반응은 25 내지 70℃, 30 내지 70℃, 35 내지 70℃, 40 내지 70℃, 45 내지 70℃, 50 내지 70℃, 또는 55 내지 65℃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효소 반응은 효소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효소 반응은 1분 내지 24시간, 1분 내지 20시간, 1분 내지 16시간, 1분 내지 12시간, 1분 내지 8시간, 30분 내지 24시간, 30분 내지 20시간, 30분 내지 16시간, 30분 내지 12시간, 30분 내지 8시간, 1시간 내지 24시간, 1시간 내지 20시간, 1시간 내지 16시간, 1시간 내지 12시간, 또는 1시간 내지 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여과 후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및 농축 방법은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얻은 농축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 방법은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에 의해 분말상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수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상기한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항노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유효량"이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transdermal), 점막,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피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미용 개선, 예를 들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항노화,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 및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양상에 따른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항노화,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등 피부 관련 상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콜라겐 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one, 비처리군; UV, UVB 조사군; EGCG, 양성대조군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처리군; 배초향 DW_1,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DW_10,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0,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GP_1,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GP_10,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0,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도 2는 콜라겐 합성 인자(Collagen, type 1, alpha 1, COL1A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one, 비처리군; UV, UVB 조사군; EGCG, 양성대조군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처리군; 배초향 DW_1,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DW_10,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0,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GP_1,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GP_10,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0,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도 3은 피브릴린(Fibrillin 1, FBN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one, 비처리군; UV, UVB 조사군; EGCG, 양성대조군으로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처리군; 배초향 DW_1,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DW_10,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0,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GP_1,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GP_10,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0,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도 4는 아쿠아포린 3(Aquaporin 3, AQP3)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one, 비처리군; RA, 양성대조군으로서 레티노산(retinoic acid) 처리군; 배초향 DW_1,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DW_10,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0,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GP_1,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GP_10,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0,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도 5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yaluronan synthase 3, HAS3)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one, 비처리군; RA, 양성대조군으로서 레티노산(retinoic acid) 처리군; 배초향 DW_1,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DW_10,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0,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GP_1,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GP_10,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0,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도 6은 클라우딘 1(claudin-1, CLD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None, 비처리군; RA, 양성대조군으로서 레티노산(retinoic acid) 처리군; 배초향 DW_1,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DW_10,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EtOH_10,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GP_1,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GP_10,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 배초향 복합효소_10,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해, 배초향을 자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원물을 분말 형태로 준비하였다. 100g의 분쇄된 배초향 원물을 20배 중량에 해당하는 2.0kg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NaOH를 첨가하여 pH를 7.0으로 조절하였다. 배초향 원물 100 중량부(100g)를 기준으로 알칼라제(Alcalase) 효소를 2 중량부(2g)를 첨가한 뒤, 60℃에서 5시간 동안 효소 추출을 진행하였다. 상기 알칼라제 효소는 단백질 분해효소 중 엔도펩티다제(Endopeptidase)에 해당한다. 효소 추출 진행이 종료되면 90℃에서 1시간 동안 실활 처리를 진행하고, 여과지(0.5㎛ 공극도)로 여과한 후, 그 여액을 감압농축하였다. 감압농축이 진행된 여액에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배초향 열수 추출물의 제조
배초향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배초향을 자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원물을 분말 형태로 준비하였다. 100g의 분쇄된 배초향 원물을 20배 중량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 90℃의 온도로 4시간 30분 동안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한 다음,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농축이 진행된 여액에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배초향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배초향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배초향을 자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원물을 분말형태로 준비하였다. 100g의 분쇄된 배초향 원물을 20배 중량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에 침적하여 48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를 한 다음, 여과액을 회전식 증발 건조기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농축이 진행된 여액에 남아있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의 제조
당 결합을 분해하는 β-글루코시다제(glucosidase), α,β-아라비노시다제(arabinosidase) 및 α,β-라모시다제(rhamosidase)를 함유하는 복합효소제를 사용하여 효소 분해 방법을 통해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을 제조하였다.
실험 방법
(1) 단백질 정량법
단백질 정량법 중 하나인 Lowry assay를 수행하였으며, Bio-Rad의 DC Protein Assay(500-0116) 제품을 사용하였다. Reagent A:Reagent S = 50:1로 하여 반응시켜준 후, Reagent B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ELISA reader (Thermo, 51119300)로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총 단백질의 양은 소 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으로부터 얻은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2) 총 플라보노이드 정량법
플라보노이드 정량법은 Moreno 등의 방법(Moreno et al., J Ethnopharmacol. 2000; 71:109-114)을 사용하였다. 0.5 mL 검액에 10% 질산알루미늄(aluminium nitrate) 0.1 mL과 1 M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 0.1 mL 및 에탄올을 차례로 첨가한 후, 혼합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방치하고 ELISA reader(Thermo, 51119300)를 이용하여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퀘르세틴(Quercetin)을 정확히 취해, 검액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 검량선에서 원료 중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정량 하였다.
(3) 총 폴리페놀 정량법
Folin-Denis법(Folin et al., 1912)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Folin-Ciocalteu(F-C)시약은 몰리브덴산나트륨(sodium molybdate)과 텅스텐산나트륨(sodium tungstate)을 인산 용액과 반응시켜 제조하며, 이는 다양한 페놀성 물질들을 알칼리 조건에서 F-C시약의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complex에 전자를 공여하여 청자색 환원물을 생성하게 된다.
측정할 검액과 2N Folin-Ciocalteu 시약을 반응시켰다. 바로 증류수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20% Na2CO3를 첨가하고, 이 혼합액을 교반한 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발색시켰다. ELISA reader(Thermo, 51119300)를 사용하여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갈산(Gallic acid)을 정확히 취해, 검액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 검량선에서 원료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정량 하였다.
(4) 총 당 정량법
총 당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페놀-황산(Phenol-sulfuric acid)법을 수행하였다. 페놀-황산법은 환원당을 진한 황산으로 처리하면 탈수되어 푸르푸랄(furfural) 또는 그 유도체가 형성되는데 이 유도체의 흡광도를 485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으로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검액 1ml에 5% 페놀(phenol)을 1ml 가한 후 황산 5ml를 넣는다. 그 후 볼텍스 믹서(vortex mixer)를 사용하여 30초간 볼텍싱(vortexing) 후, 30℃에서 30분간 방치하고 ELISA reader(Thermo, 51119300)를 이용하여 48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글루코스(Glucose)을 정확히 취해, 검액과 동일하게 조작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 검량선에서 원료 중의 총 당 함량을 정량 하였다.
(5) UV 조사
섬유아세포주 Hs68을 6-웰 플레이트에 3x105의 수만큼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넣어준 후 UVB 비조사군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군에 12 mJ/cm2의 UVB를 조사하였다.
(6) RNA 분리 및 실시간 RT-PCT 분석
인간 섬유아세포주 Hs68 또는 인간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Hacat을 이용하여 항노화, 피부 수분, 피부 장벽 강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각 샘플을 처리한 세포에서 트리졸(RNA iso, DAKARA, 일본)을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뒤 나노드롭(nanodrop)을 이용하여 260 nm에서 RNA를 정량한 후, 각각 2 ㎍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 합성된 cDNA에 타겟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와 시아닌 염료인 사이버그린(SYBR Green supermis,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첨가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실시간(real-time) PCR 기계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타겟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프라이머의 서열과 반응 조건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전자 프라이머 방향 서열(5'→3') 서열번호 반응 조건
MMP-1 F 5'-CGAATTGCCGACAGAGATGA-3' 1 94℃, 5분 동안 중합 효소 활성화 후, 95℃ 30초, 55℃ 30초, 72℃ 30초 조건에서 40 사이클로 중합 반응
R 5'-GTCCCTGAACAGCCCAGTACTT-3' 2
COL1A1 F 5'-TGACGTTCCCATTAGACAACTG-3' 3
R 5'-CCGTCTTTCATTACACAGGACA-3' 4
CLD1 F GCTCTAGAATTCCGAGCGAGTCATGGCCAACGC 5
R GCTCTAGAATTCTCACACGTAGTCTTTCCCGCT 6
FBN1 F AATGTCAGACGAAGCCAGGG 7
R GATTTGGTGACGGGGTTCCT 8
HAS-3 F CTTAAGGGTTGCTTGCTTGC 9
R GTTCGTGGGAGATGAAGGAA 10
AQP3 F GTCACTCTGGGCATCCTCAT 11
R CTATTCCAGCACCCAAGAAGG 12
β-actin F 5'-GGCCATCTCTTGCTCGAAGT-3' 13
R 5'-GAGACCTTCAACACCCCAGC-3' 14
실험예 1. 단백질, 당,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 분석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에 대하여 단백질, 당,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은 총 단백질, 당,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이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단백질 함량 14% 20%
당 함량 16% 21%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1.8% 2.7%
총 폴리페놀 함량 4.1% 5%
실험예 2. 항노화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및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을 각각 Hs68 섬유아세포주에 첨가하고, 항노화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1은 콜라겐 분해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콜라겐 합성 인자(Collagen, type 1, alpha 1, COL1A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피브릴린(Fibrillin 1, FBN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 조사군에서 MMP-1의 발현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에 반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처리군에서 MMP-1 발현 억제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 조사군에서 COL1A1의 발현량이 급격히 감소한 것에 반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0 ppm 처리군에서 COL1A1 발현 증가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B 조사군에서 FBN1 발현량이 급격히 감소한 것에 반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1 ppm 및 10 ppm 처리군에서 FBN1 발현 증가능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등에 의해 피부 세포에 대한 항노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능 확인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비교예 1의 배초향 열수 추출물, 비교예 2의 배초향 70% 에탄올 추출물, 및 비교예 3의 배초향 당 가수분해물을 각각 HaCaT 세포주에 첨가하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관련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4는 아쿠아포린 3(Aquaporin 3, AQP3)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yaluronan synthase 3, HAS3)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클라우딘 1(claudin-1, CLD1)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처리군은 수분 채널인 AQP3의 발현 증가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처리군은 HAS3의 발현 증가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 처리군은 CLD1의 발현 증가능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시예 1의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EQUENCE LISTING <110> Cosmax, INC. <120>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protein hydrolysate of Agastache rugosa <130> PN135837 <160> 14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MP-1 forward primer <400> 1 cgaattgccg acagagatga 2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MMP-1 reverse primer <400> 2 gtccctgaac agcccagtac tt 22 <210> 3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OL1A1 forward primer <400> 3 tgacgttccc attagacaac tg 22 <210> 4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OL1A1 reverse primer <400> 4 ccgtctttca ttacacagga ca 22 <210> 5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LD1 forward primer <400> 5 gctctagaat tccgagcgag tcatggccaa cgc 33 <210> 6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LD1 reverse primer <400> 6 gctctagaat tctcacacgt agtctttccc gct 33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BN1 forward primer <400> 7 aatgtcagac gaagccagg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BN1 reverse primer <400> 8 gatttggtga cggggttcct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AS-3 forward primer <400> 9 cttaagggtt gcttgcttg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AS-3 reverse primer <400> 10 gttcgtggga gatgaaggaa 20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AQP3 forward primer <400> 11 gtcactctgg gcatcctcat 20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AQP3 reverse primer <400> 12 ctattccagc acccaagaag g 21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beta-actin forward primer <400> 13 ggccatctct tgctcgaagt 20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beta-actin reverse primer <400> 14 gagaccttca acaccccagc 20

Claims (10)

  1. 배초향(Agastache rugosa)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배초향을 단백질 분해효소와 효소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엔도펩티다제(endopeptidase)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Serine protease)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알칼라제(Alcalase)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콜라겐 분해효소(MMP-1)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콜라겐 합성 인자(COL1A1), 피브릴린(FBN1), 아쿠아포린 3(AQP3),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AS3) 및 클라우딘 1(CLD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배초향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0.1 ppm 내지 1000 ppm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배초향(Agastache rugosa)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배초향(Agastache rugosa), 단백질 분해효소, 및 정제수의 혼합물을 인큐베이션하여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137086A 2020-10-21 2020-10-21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86A KR102416653B1 (ko) 2020-10-21 2020-10-21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086A KR102416653B1 (ko) 2020-10-21 2020-10-21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770A true KR20220052770A (ko) 2022-04-28
KR102416653B1 KR102416653B1 (ko) 2022-07-05

Family

ID=8144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086A KR102416653B1 (ko) 2020-10-21 2020-10-21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795A (ja) * 1995-02-16 1996-08-27 Chiba Seifun Kk 溶解性に優れた小麦蛋白加水分解物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透明性化粧料。
KR20080049352A (ko) * 2006-11-30 2008-06-04 (주)아모레퍼시픽 틸리아닌( tilianin) 또는아카세틴(acac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20077357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해이래 곽향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및 항산화제 조성물
KR101686399B1 (ko) 2015-11-26 2016-12-15 코스맥스 유에스에이, 코퍼레이션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025A (ko) * 2015-06-25 2017-01-0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7795A (ja) * 1995-02-16 1996-08-27 Chiba Seifun Kk 溶解性に優れた小麦蛋白加水分解物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透明性化粧料。
KR20080049352A (ko) * 2006-11-30 2008-06-04 (주)아모레퍼시픽 틸리아닌( tilianin) 또는아카세틴(acac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20077357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해이래 곽향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및 항산화제 조성물
KR20170001025A (ko) * 2015-06-25 2017-01-0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86399B1 (ko) 2015-11-26 2016-12-15 코스맥스 유에스에이, 코퍼레이션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윤만석. 배초향 추출물과 활성성분 Tilianin의 MAPK/AP-1과 TGF- β /Smad 경로 조절을 통한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억제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바이오소재공학, 2020.08월*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653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443B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55B1 (ko) 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16653B1 (ko)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4168B1 (ko)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렌티스페라 아라네오사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394429B1 (ko) 스노우베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34346B1 (ko) 살구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6455B1 (ko)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88136B1 (ko) 살구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7436B1 (ko) 어린탱자, 어린녹차 및 비터오렌지꽃의 혼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60190B1 (ko)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6456B1 (ko)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54212B1 (ko)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609655B1 (ko)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15074B1 (ko) 차즈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6637B1 (ko) 병풀 유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21581B1 (ko)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이 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8892B1 (ko) 식물 추출물을 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56B1 (ko) 판토에아 아나나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68736B1 (ko)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28619B1 (ko) 포토박테리움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54213B1 (ko) 나사균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30147250A (ko) 모나스커스 속 (Monascus sp.) 균주로 고체발효시킨 발효 쌀 추출물 유래 아미노산 농축액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