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56B1 -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 Google Patents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456B1
KR102466456B1 KR1020200165123A KR20200165123A KR102466456B1 KR 102466456 B1 KR102466456 B1 KR 102466456B1 KR 1020200165123 A KR1020200165123 A KR 1020200165123A KR 20200165123 A KR20200165123 A KR 20200165123A KR 102466456 B1 KR102466456 B1 KR 10246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ctus
honey
echinacea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580A (ko
Inventor
이원희
이찬우
김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그림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그림,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그림
Priority to KR102020016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56B1/ko
Priority to PCT/KR2021/017422 priority patent/WO2022114783A1/ko
Publication of KR2022007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이중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cactus honey and its use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이중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온 조절, 장벽 기능 및 여러 가지 생리 기능 등을 조절하는 인체의 중요 기관 중 하나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원인은 크게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누구나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탄력이 없어지며 피부 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고 각질층의 구조가 변한다. 반면, 외인성 노화는 환경적 요인 등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생기며, 그 중 자외선이 주원인으로 광노화 라고도 불린다.
한편, 피부 노화의 또 다른 현상은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게 변하는 것이다. 수분은 인체의 약 70%를 구성하며 피부의 촉촉함과 윤기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건강한 표피의 각질층은 15~20%의 수분을 함유하며, 10% 이하로 수치가 떨어지게 되면 피부 장벽에 이상이 생기고 피부가 건조해져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각질층의 수분 함량은 표피에서 생성 분비되는 지질 혼합체인 피지막과 각질층 내에 존재하는 수용성 성분인 자연 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에 의해 결정된다. 자연 보습인자 중 하나인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은 섬유아세포 및 각질형성세포에서 형성되며 점다당질의 구성 성분으로 다당류가 많이 들어있어 수분을 상당량 함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주기는 2~4.5일이며, 무게가 자신의 1,000배인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장벽 기능의 조절과 세포외기질을 수화시켜 조직 내 수분의 항상성을 유지시킨다. 따라서, 피부 내 수분 함량이 줄어들고 히알루론산 양이 감소하면, 피부노화로 직결된다.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an synthase, HAS)는 HAS-1, 2, 3이 있으며, 합성효소의 초기단계에 다당류에 글루쿠론산와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반복적으로 추가하여 히알루론산을 생성한다.
수분의 이동을 조절하는 단백질에는 아쿠아포린(aquaporin, AQP)이 존재한다. 표피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에 주로 존재하게 되며, 수분 및 글리세롤, 유레아 등이 이동하는 수분 통로인 아쿠아포린-3(AQP-3)은 세포 사이사이 원활한 수분을 공급한다.
이에, 피부 관련된 상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1036933 B1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이중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효량의 상기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유효량의 상기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조로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발효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피부 노화 또는 조로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발효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 양상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이중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이중 발효”란 발효 공정을 2회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발효 원료를 1차 발효하여 수득한 1차 발효물에 대해 2차 발효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와 2차 발효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1차 발효와 2차 발효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미용 개선용,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피부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 DNA 손상복구 능력, 세포교체주기, 상처 회복, 피부 장벽 기능, 표피의 수분 유지, 땀분비, 피지분비, 비타민D 생산, 물리적 손상방어, 화학물질 제거능력, 면역반응, 감각 기능, 체온조절의 감소를 말한다.
상기 발효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 노화 개선용, 또는 항노화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한다. 상기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노화 현상, 즉, 연령에 의한 피부 노화를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처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노화는 광노화일 수 있다.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 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B(ultraviolet B, UVB)에 의한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용어 "피부 주름 개선"은 피부의 주름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깊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주름 개선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용어 "피부 탄력 증진"은 노화 등의 원인에 의해 저하된 피부 탄력이 증가하거나 피부 탄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피부 보습" 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피부 보습 효과는 피부의 주름 개선, 탄력도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용어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피부 질환"은 피부 노화, 조로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노화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피부 노화는 광노화, 또는 연령에 의한 피부 노화일 수 있다.
용어 "조로증(progeria)"은 "허친슨 길포오드 조로증 증후군(Hutchinson-Gilford Progeria Syndrome)" 또는 "길포오드 증후군"이라고도 하며, 어린 아이들에게 조기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상기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은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피부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프로게린(Progerin)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프로게린은 조로증, 또는 허친슨 길포오드 조로증 증후군과 관련된 단백질로 라민A(LaminA) 단백질에 결함이 생겨 나타난다. 프로게린이 증가하면 세포핵이 불안정해지고, 노화 현상이 빨리 일어나게 된다. 상기 조성물은 프로게린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노화 방지 효과, 또는 조기 노화, 예컨대 조로증(또는 허친슨 길포오드 조로증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SIRT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SIRT1은 히스톤을 탈아세틸화시켜 크로마틴 변형 및 유전자 침묵에 관여하는 등 수명연장 효과에 연관이 되어있으며, 다양한 비히스톤 단백질, 특히, 전사인자들을 기질로 탈아세틸화시켜 생존 및 세포사멸, 염증, DNA손상반응 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SIRT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세포의 주름과 관련된 콜라겐은 프로콜라겐이라는 전구 물질의 형태로 합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프로콜라겐 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에서의 콜라겐 합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프로콜라겐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인자(Collagen, type 1, alpha 1,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COL1A1의 발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내에서의 콜라겐 합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아쿠아포린 3(aquaporin 3, AQP3)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AQP3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세포에 원활하게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 합성효소 3(hyaluronan synthase, HAS3)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HAS3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히알루론산 합성을 유도하여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필라그린은 피부 장벽을 이루는 보습 성분이다. 상기 조성물은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게린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SIRT1, 프로콜라겐, COL1A1, AQP3, HAS3, 및 필라그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피부 노화 방지, 조로증 예방 또는 치료,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은 i) 선인장꿀 추출물, 모하비유카 추출물, 또는 에키네시아 추출물이거나, 또는 ii)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 중 선택된 2종의 조합의 추출물이거나, 또는 iii)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조합의 추출물일 수 있다.
용어 “선인장(Cactus)”은 쌍떡잎식물 선인장목 선인장과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 상기 선인장은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보검선인장(Opuntia Ficus-Indica), 변경주선인장(Carnegiea gigantea), 프리클리페어선인장(Opuntia engelmannii, Engelmann Prickly Pear Cactus) 등일 수 있다. 상기 보검선인장은 백년초라고도 한다. 상기 변경주선인장은 사와로선인장(Saguaro cactus)이라고도 한다.
용어 “선인장꿀(Cactus honey)”은 선인장으로부터 채취한 꿀이다. 상기 선인장꿀은 선인장 꽃 또는 선인장 열매로부터 얻은 꿀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선인장꿀은 보검선인장꿀 또는 변경주선인장꿀일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선인장꿀은 미국 애리조나 소노라 지역의 농장에서 채취한 선인장꿀일 수 있으나, 이러한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선인장꿀 추출물”은 선인장꿀을 임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선인장꿀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용어 “모하비유카(Yucca schidigera)”는 “바나나유카(Banana yucca)”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하비유카는 미국 남서부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미국 아리조나 지역이 이 식물의 가장 큰 분포 중심이다. 모하비유카는 북아메리카 남서부 원주민들에게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온 가장 중요한 자원이었으며, 줄기, 잎, 꽃, 과일,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이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뿌리는 비누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되었는데, 미국 원주민들은 비듬과 탈모를 예방하기 위해서 사용했으며, 또한 두통, 출혈, 임질, 관절염, 류머티즘을 치료하는데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상기 “모하비유카 추출물”은 모하비유카를 임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또는 시판되는 제품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모하비유카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모하비유카의 추출 부위는 특정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모하비유카 추출물은 모하비유카 잎, 뿌리, 줄기에서 추출한 모하비유카 잎/뿌리/줄기추출물(Yucca Schidigera Leaf/Root/Stem Extract)일 수 있다.
용어 “에키네시아(Echinacea angustifolia)”는 국화과의 식물이다. 에키네시아의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초이다.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민간 약초로서 통증 완화 효과와 치통 등의 치료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후염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에키네시아는 에키나코시드(echinacoside)가 대표 성분이며, 이외에 카페인산유도체,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함유하여 면역 증진, 항염증,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을 한다.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Echinacea Angustifolia Extract)”은 에키네시아를 임의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또는 시판되는 제품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에키네시아의 추출 부위는 특정 부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키네시아 추출물은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모하비유카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할 수 있다.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조합을 사용할 경우,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를 포함하는 혼합물 또는 혼합추출물을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에 발효 원료로 사용되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또는 에키네시아는 원물을 분쇄 및 건조한 건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혼합 중량비는 특정 중량비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를 1~100:1~100:1~100의 중량비, 예를 들어, 1~50:1~50:1~50의 중량비, 1~20:1~20:1~20의 중량비, 1~10:1~10:1~10의 중량비, 1~5:1~5:1~5의 중량비, 1~2:1~2:1~2의 중량비, 또는 약 1: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시켜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를 1: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또는 에키네시아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중량비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피부 노화 방지, 조로증 예방 또는 치료,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1차 발효는 물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발효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과 물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천연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물일 수 있다. 상기 물은 중성 내지 약 알칼리수일 수 있다. 상기 물은 pH 7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물은 나트륨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물일 수 있다. 상기 물은 나트륨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일반 온천수 대비 미생물 배양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특징을 갖는 물을 사용하면, 1차 유산균 발효 후 약산성 조건(예: pH 4.5 내지 5.5)이 되어 2차 발효에 최적의 pH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과 '물'의 혼합 중량비는 3:7 내지 1:9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산균은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은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락토바실러스 델부르키 불가리쿠스(L. delbrueckii ssp.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 plantarumm), 락토바실러스 류테리(L. reut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 rhamnosus),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 salivari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미생물은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B. animalis ssp. lact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은 특정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 cerevisiae)일 수 있다.
상기 발효 조건은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효는 20 내지 4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효는 1 내지 72시간, 또는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액, 상기 발효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상기 발효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99.9999 중량%, 0.0001 내지 90 중량%, 0.0001 내지 50 중량%, 0.0001 내지 10 중량%, 0.01 내지 99.9999 중량%, 0.01 내지 9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99.9999 중량%, 0.1 내지 90 중량%, 0.1 내지 50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 내지 99.9999%(v/v), 0.0001 내지 90%(v/v), 0.0001 내지 50%(v/v), 0.0001 내지 10%(v/v), 0.01 내지 99.9999%(v/v), 0.01 내지 90%(v/v), 0.01 내지 50%(v/v), 0.01 내지 10%(v/v), 0.1 내지 99.9999%(v/v), 0.1 내지 90%(v/v), 0.1 내지 50%(v/v), 0.1 내지 10%(v/v), 또는 0.1 내지 1%(v/v)로 포함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본 명세서의 발효물이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약물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포뮬레이션(formulation)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앰플, 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은 예를 들어, 마스크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효소 가수분해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노화 또는 조로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노화는 광노화, 또는 연령에 의한 피부 노화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2차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발효물, 유산균, 및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선인장꿀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인장꿀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모하비유카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하비유카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키네시아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동시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의 혼합 중량비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1차 발효는 물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 발효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과 물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과 '물'의 혼합 중량비는 3:7 내지 1:9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산균 및 사카로마이세스 속 미생물은 각각 발효가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발효 원료의 양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발효 온도 및 시간은 발효가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한 온도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발효 원료의 양, 미생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발효 또는 2차 발효는 20 내지 4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1차 발효 또는 2차 발효는 1 내지 72시간, 또는 24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상기 1차 발효물을 2차 발효시키기 전에, 1차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2차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이후에, 2차 발효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2차 발효물을 탈취 및/또는 탈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 및/또는 탈색은 흡착제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는 공지된 통상적인 흡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활성탄, 제오라이트 등이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상기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상기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조로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발효물, 조성물,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노화, 및 조로증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용어 "유효량"이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정도로 유효한 양을 의미한다.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transdermal), 점막, 코안(intranasal), 기관내(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피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 상태 개선, 예를 들어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조로증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발효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피부 노화 또는 조로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상기 발효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 개선, 발효물, 피부 노화, 및 조로증에 관한 상세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일 양상에 따른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의 이중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 조로증 예방 또는 치료,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등 피부 관련 상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신생아 섬유아세포에서 프로게린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성인 섬유아세포에서 프로게린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SIRT1의 상대적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음성대조군 대비 프로콜라겐 생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COL1A1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은 AQP-3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HAS3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필라그린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5.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이중 발효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비로 발효 원료를 준비하였다. 발효 원료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각각의 원물을 분쇄 및 건조한 건조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선인장꿀은 미국 애리조나 소노라 지역의 농장에서 채취한 선인장꿀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를 1: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 원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는 선인장꿀 단독을 발효 원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은 모하비유카 단독을 발효 원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는 에키네시아 단독을 발효 원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를 1:0.5:0.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 원료로 사용하였다.
발효물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발효 원료와 물(제품명: Purely SEDONA Water, 제조사: Sedona Bottling Compony, 미국 아리조나)을 3:7 내지 1:9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30 내지 40℃에서 약 72시간 동안 1차 발효를 진행하였다. 1차 발효물을 여과한 다음,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aromyces cerevisiae)를 접종하여 20 내지 30℃에서 약 48시간 동안 2차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가 끝난 후, 1 um 및 0.45 um 필터로 여과하여 이중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1차 발효에서 사용한 물은 천연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고, pH 7 내지 8 수준의 중성 내지 약 알칼리수이며, 나트륨 성분이 함유되지 않아 일반 온천수 대비 미생물 배양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물을 사용함으로써 유산균 발효시 약산성(즉, pH 4.5 내지 5.5)으로 유지할 수 있어, 2차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배양에서 최적의 pH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선인장꿀 1 1 - - 1
모하비유카 1 - 1 - 0.5
에키네시아 1 - - 1 0.5
실험예 1. 발효물의 노화 방지 효과 확인
발효물의 노화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 처리에 따른 프로게린 생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생아 섬유아세포(neonatal fibroblast)와 성인 섬유아세포(adult fibroblast)를 배양한 다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0.5%(v/v)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고, ELISA assay을 수행하여 프로게린의 생산량을 확인하였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도 1은 신생아 섬유아세포에서 프로게린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성인 섬유아세포에서 프로게린 생산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생아 섬유아세포보다 성인 섬유아세포에서 프로게린 생산량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첨가한 경우, 신생아 섬유아세포와 성인 섬유아세포 모두에서 프로게린 생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를 1:1:1의 중량비로 사용한 실시예 1의 발효물은 신생아 섬유아세포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약 20%의 프로게린 합성을 감소시켰으며, 성인 섬유아세포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약 40%의 프로게린 합성을 감소시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은 프로게린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노화 방지 또는 조로증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발효물의 노화 방지 장수유전자(SIRT1) 발현 증가 효과 확인
노화 방지 장수유전자인 SIRT1의 발현 수준을 웨스턴블롯(WesternBlot)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s)를 24시간 배양한 다음,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0.5%(v/v)의 농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고, 20 mJ/cm2의 UV를 조사하여 24시간 반응하였다. 반응 종료 후, 세포를 수확하여 SDS-PAGE를 통해 단백질을 분리하고,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멤브레인으로 옮겨주었다. 그 후, 1차 항체는 단일클론 마우스 항-SIRT1 항체(Sigma)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고, 2차 항체는 염소 항-마우스 IgG-HRP(Santa Cruz)를 사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멤브레인은 1X TBS-T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여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용액으로 반응시켰다. 단백질은 Chemi-Doc을 이용하여 밴드를 확인하였고, image J 프로그램을 통하여 β-actin과 대비해 수치화 하였다. UV를 조사하지 않고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고, 20 mJ/cm2의 UV를 조사한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도 3은 SIRT1의 상대적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은 모두 SIRT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를 1:1:1의 중량비로 사용한 실시예 1의 발효물은 SIRT1 발현 수준을 약 1.33배 증가시켜 SIRT1 발현 증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은 SIRT1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노화 방지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발효물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 확인
발효물의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 처리에 따른 프로콜라겐 및 COL1A1의 생산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를 배양한 다음,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0.5%(v/v)의 농도로 첨가하고, 프로콜라겐의 상대적인 생산율을 ELISA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고, TGF-β 10 ng/ml을 첨가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도 4는 음성대조군 대비 프로콜라겐 생산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첨가한 경우 모두 프로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켰다. 특히, 실시예 1의 발효물은 프로콜라겐의 합성을 음성대조군 대비 약 25%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를 배양한 다음,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0.5%(v/v)의 농도로 첨가하고, COL1A1 mRNA의 발현 수준을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고, TGF-β 10 ng/ml을 첨가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명 서열 서열번호
Col1a1_forward AGGGCCAAGACGAAGACATC 1
Col1a1_reverse AGATCACGTCATCGCACAACA 2
도 5는 COL1A1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첨가한 경우 모두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실시예 1의 발효물은 COL1A1의 발현을 음성대조군 대비 약 1.38배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은 프로콜라겐 및 COL1A1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발효물의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 확인
발효물의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 처리에 따른 아쿠아포린-3(AQP-3),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an synthase 3, HAS3) 및 필라그린(Filaggrin) mRNA 발현 수준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형성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를 배양한 다음,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0.5%(v/v)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mRNA를 수득하여 AQP-3, HAS3, 필라그린 발현량을 Real-Time PCR을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하였고, 레티노산(Retinoic acid) 1 uM을 첨가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였다. 상기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프라이머명 서열 서열번호
AQP3_forward AGACAGCCCCTTCAGGATTT 3
AQP3_reverse TCCCTTGCCCTGAATATCTG 4
HAS3_forward CTTAAGGGTTGCTTGCTTGC 5
HAS3_reverse GTTCGTGGGAGATGAAGGAA 6
Filaggrin_forward AGTGCACTCAGGGGGCTCACA 7
Filaggrin_reverse CCGGCTTGGCCGTAATGTGT 8
도 6은 AQP-3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7은 HAS3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필라그린 mRNA의 상대적인 발현 수준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6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을 첨가한 경우 모두 AQP-3, HAS3,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특히, 실시예 1의 발효물은 AQP-3, HAS3, 필라그린 mRNA 발현 수준을 음성대조군 대비 각각 1.42배, 1.52배, 1.39배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은 AQP-3, HAS3 및 필라그린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하면, 실시예 1 내지 5의 발효물은 피부 노화 방지, 조로증 예방 또는 치료,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SEQUENCE LISTING <110> ELLI K PARK CORPORATION MIGLIM COMPANY LIMITED INTERCARE CO., LTD. <120>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cactus honey and its use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130> PN136007 <160> 8 <170> PatentIn version 3.2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ol1a1_forward primer <400> 1 agggccaaga cgaagacatc 20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Col1a1_reverse primer <400> 2 agatcacgtc atcgcacaac a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AQP3_forward primer <400> 3 agacagcccc ttcaggatt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AQP3_reverse primer <400> 4 tcccttgccc tgaatatct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AS3_forward primer <400> 5 cttaagggtt gcttgcttgc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AS3_reverse primer <400> 6 gttcgtggga gatgaaggaa 20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ilaggrin_forward primer <400> 7 agtgcactca gggggctcac a 21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Filaggrin_reverse primer <400> 8 ccggcttggc cgtaatgtgt 20

Claims (11)

  1.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부 상태 개선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로게린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SIRT1, 프로콜라겐, COL1A1, AQP3, HAS3, 및 필라그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및 에키네시아를 1~100:1~100:1~10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시켜 수득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 또는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 미생물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 cerevisiae)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9.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0.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고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로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을 유산균에 의해 1차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1차 발효물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aromyces sp.) 미생물에 의해 2차 발효시켜 2차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인장꿀, 모하비유카, 에키네시아,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조합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165123A 2020-11-30 2020-11-30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6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123A KR102466456B1 (ko) 2020-11-30 2020-11-30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PCT/KR2021/017422 WO2022114783A1 (ko) 2020-11-30 2021-11-24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123A KR102466456B1 (ko) 2020-11-30 2020-11-30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580A KR20220076580A (ko) 2022-06-08
KR102466456B1 true KR102466456B1 (ko) 2022-11-15

Family

ID=8175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123A KR102466456B1 (ko) 2020-11-30 2020-11-30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6456B1 (ko)
WO (1) WO20221147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368B2 (ja) * 1996-06-06 2000-06-19 ユシロ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6933B1 (ko) 2010-07-27 2011-05-25 김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9A (ko) * 2015-01-27 2016-08-05 인코스(주)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0486B1 (ko) * 2015-04-07 2017-09-21 유씨엘 주식회사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8341B1 (ko) * 2015-08-13 2022-08-02 인코스(주)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3600B1 (ko) * 2016-12-01 2018-12-31 이현기 벌꿀 발효물을 함유한 각질제거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R3061017B1 (fr) * 2016-12-22 2020-03-20 L V M H Recherche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 gelee royale d'abeille noire d'ouess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783A1 (ko) 2022-06-02
KR20220076580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6076B1 (ko) 스타필로코커스 갈리나룸 st-4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66456B1 (ko) 선인장꿀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66455B1 (ko)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67436B1 (ko) 어린탱자, 어린녹차 및 비터오렌지꽃의 혼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09655B1 (ko)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94429B1 (ko) 스노우베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09657B1 (ko) 코리네박테리움 제로시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09656B1 (ko)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15074B1 (ko) 차즈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6637B1 (ko) 병풀 유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16653B1 (ko)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9658B1 (ko) 쿠프리아비더스 메탈리듀란스 균주 및 그의 피부 항당화,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29325B1 (ko) 바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40016180A (ko)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4A (ko) 스트렙토코커스 룹네리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4018A (ko) 스트렙토코커스 이퀴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3A (ko) 스트렙토코커스 도우니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4024A (ko) 스트렙토코커스 오우스트랄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2A (ko)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제네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5A (ko)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4021A (ko)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4025A (ko) 스트렙토코커스 할리코에리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4026A (ko) 스트렙토코커스 마실리엔시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4019A (ko) 스트렙토코커스 엔지노서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