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212B1 -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12B1
KR102654212B1 KR1020230180860A KR20230180860A KR102654212B1 KR 102654212 B1 KR102654212 B1 KR 102654212B1 KR 1020230180860 A KR1020230180860 A KR 1020230180860A KR 20230180860 A KR20230180860 A KR 20230180860A KR 102654212 B1 KR102654212 B1 KR 10265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ater
cherry extract
soluble collagen
colla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4204A (ko
Inventor
경서연
김하영
이은정
강승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8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12B1/ko
Publication of KR2023017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5Proteins from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살구앵두 추출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 관련 상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anking cherry extract and soluble collagen}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는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와 외부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외인성 노화로 구분된다. 외인성 노화는 노화의 원인이 외부에서부터 오는 것으로, 자외선, 환경오염 등에 의한 영향이 있을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 세안 등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유전적 요인 및 나이가 듦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며 신체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조직인 피부 등에서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피부 노화의 주요한 증상으로는 주름 및 탄력 저하가 있으며, 이는 진피 내 주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와 이들 탄력 섬유의 네트워크(network) 변형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피와 표피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 촘촘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하여서 피부 쿠션층을 유지하고 있으나, 노화에 의해 콜라겐 섬유의 수가 줄고 이들이 조각화되어 꼬이면서 탄력 섬유 네트워크 밀도가 감소하는바, 정상적인 피부 지탱력을 상실하게 된다.
콜라겐 합성에는 콜라겐 합성 유전자가 관여하며, 콜라겐을 비롯한 결합조직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가 존재한다. 노화에 의해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s 효소의 활성이 증가함으로써 콜라겐 분해가 증가하는바, 탄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주름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이렇듯 콜라겐 섬유는 피부 노화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물질이다.
앵두(Prunus tomentosa)는 장미과 벚나무 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의학에서는 열매와 가지를 약재로 사용한다. 특히, 앵두나무의 열매는 앵두, 앵도, 차하리, 천금이라고도 한다. 또한, 앵두는 식이섬유인 펙틴이 함유되어 있어 대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주고, 사과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 회복에 효과적이다. 특히, 앵두는 비타민 A 및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부 멜라닌 침착 방지에 도움을 준다.
최근에는 비건(Vegan), 클린 뷰티(Clean beauty) 등에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유기농 및 non-GMO 등과 같이 깨끗하고 안전한 천연 소재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먹는 피쉬 콜라겐, 먹는 히알루론산 등 건강기능식품 및 이너 뷰티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피부 미용 비용 분야 중 안티-에이징(anti-aging)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따라서,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면서 화학적 및 동물성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깨끗하고 안전한 식물성 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콜라겐"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종류에 따라 뼈나 피부, 연골, 결합 조직 등을 구성한다. 콜라겐 합성에는 수많은 콜라겐 합성 유전자가 관여하며, 콜라겐을 비롯한 결합조직 성분을 분해하는 MMPs(matris metalloproteinase)가 존재한다. 노화에 의해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고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s 효소의 활성 증가로 인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하여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주름이 증가한다. 상기 콜라겐은 다양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글리신, 프롤린,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수용성 콜라겐인 것일 수 있으며, 어류, 히알루론산, 포유동물(돼지, 소, 닭 등), 효모, 과일, 채소, 버섯 등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콜라겐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은 300 Da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콜라겐은 예를 들어, 300 Da 내지 100 KDa, 300 Da 내지 50 KDa, 300 Da 내지 10 KDa, 500 Da 내지 1 KDa, 700 Da 내지 1 KDa 또는 1 KDa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콜라겐 분자량의 크기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체내에 효율적으로 흡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앵두 추출물은 앵두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추출한 것으로, 상기 앵두 추출물은 앵두 과육, 씨 또는 이들의 혼합을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시, 건조된 앵두를 세절한 후,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앵두 무게의 2 배 내지 20배를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2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1 내지 1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냉침,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이 모두 이용 가능하며, 추출은 1 회 내지 5회 동안 반복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노화 및 항주름 인자, 예를 들어 COL1A1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앵두 추출물 또는 수용성 콜라겐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비교하여 상기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함께 포하는 조성물에서 MMP-1 발현 감소 또는 COLA1A 함량 증가 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앵두 추출물 또는 수용성 콜라겐을 별도로 포함할 때 보다 상승적 피부 미용 개선 효과, 예를 들어, 피부 노화 억제,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주름 억제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피부 상태 개선 또는 피부 미용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상태 또는 피부 미용 개선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 항 주름, 피부 탄력, 피부 재생, 피부 장벽 강화, 또는 피부 보습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 DNA 손상복구 능력, 세포교체주기, 상처 회복, 피부장벽기능, 표피의 수분 유지, 땀분비, 피지분비, 비타민D 생산, 물리적 손상방어, 화학물질 제거능력, 면역반응, 감각 기능, 체온조절의 감소를 말한다. 특히, 피부 노화의 주요한 증상으로 주름 및 탄력 저하가 있으며, 이는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elastin)의 감소와 이들 탄력 섬유의 네트워크 변형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피와 표피에 존재하는 엘라스틴,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 촘촘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피부 쿠션층을 유지하고 있으나, 노화에 의해 콜라겐 섬유의 수가 줄어들고 이들이 조각화되어 꼬이면서 탄력 섬유의 네트워크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정상적인 피부 지탱력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 조성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하고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노화 현상을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쳐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노화는 광노화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름"은 피부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느슨해진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피부가 접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이란 주름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주름을 방지 또는 개선하거나, 콜라겐 총량을 증가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은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피부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보습"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앵두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앵두 추출물은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 중량%, 1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5 내지 90 중량%, 5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40 내지 99 중량%, 또는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앵두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앵두 추출물에 의한 피부 상태의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앵두 추출물 내 유효성분이 변질되거나 공정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콜라겐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콜라겐은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 중량%, 1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5 내지 90 중량%, 5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40 내지 99 중량%, 또는 2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수용성 콜라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져 텍스처가 끈적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은 1:0.1 내지 9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은 예를 들어, 1:0.1 내지 99, 1:1 내지 99, 1:10 내지 90, 1:10 내지 95, 1:10 내지 80, 1:5 내지 95, 1:25 내지 75, 1:30 내지 70, 1:35 내지 65, 1:40 내지 60, 1: 0.1 내지 2 또는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 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처리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상태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미용 개선, 예를 들어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1 ㎎ 내지 1,000 ㎎, 예를 들면, 0.1 ㎎ 내지 500 ㎎, 0.1 ㎎ 내지 100 ㎎, 0.1 ㎎ 내지 50 ㎎, 0.1 ㎎ 내지 25 ㎎, 1 ㎎ 내지 1,000 ㎎, 1 ㎎ 내지 500 ㎎, 1 ㎎ 내지 100 ㎎, 1 ㎎ 내지 50 ㎎, 1 ㎎ 내지 25 ㎎, 5 ㎎ 내지 1,000 ㎎, 5 ㎎ 내지 500 ㎎, 5 ㎎ 내지 100 ㎎, 5 ㎎ 내지 50 ㎎, 5 ㎎ 내지 25 ㎎, 10 ㎎ 내지 1,000 ㎎, 10 ㎎ 내지 500 ㎎, 10 ㎎ 내지 100 ㎎, 10 ㎎ 내지 50 ㎎, 또는 10 ㎎ 내지 25 ㎎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 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앵두 추출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 관련 상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COL1A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5.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앵두를 240 시간 동안 자연 건조한 뒤 세척하였다. 이후, 건조한 앵두를 50℃의 물을 사용하여 앵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효모를 물로 세척하여 0.1N NaOH 용액에 12시간 정도 섞어서 단백질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불순물이 제거된 효모를 수득하여 증류수로 세척한 뒤, 10% 부틸 알코올에 24 시간 가량 넣어두어 지방질 부분을 제거하였다. 나머지 잔여물을 건져내어 0.5 M 아세트산과 10% (w/v) 펩신이 포함된 용액에 24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두었다. 이후, 상기 용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상층액에 NaCl을 첨가하여 침전물만을 분리, 투과시켜 수용성 콜라겐을 제조하였다. 상기 앵두 추출물과 효모로부터 수득한 수용성 콜라겐을 하기 표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함량은 중량%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앵두 추출물 50 10 30 70 90
수용성 콜라겐 50 90 70 30 10
[비교예]
비교예 1. 앵두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앵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용성 콜라겐의 제조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용성 콜라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항노화 활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노화 및 주름 생성과 관련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주(Human dermal fibroblast, Hs68)를 10% 우태아혈청(FBS) 및 1% 페니실린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은 37℃, 5% CO2 및 습도 95%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넣은 후 20 mJ/㎠의 UVB를 조사하거나 조사하지 않았다. UVB 조사 직후 DPBS를 제거하고 FBS가 없는 배지로 갈아 준 후,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2를 농도별(5 ppm, 10 ppm)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은 5 ppm으로 처리하고, 실시예 2 내지 5는 각각 10 ppm으로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순수 증류수 첨가 및 양성대조군으로서 1 μM EGCG 첨가군을 사용하였다. 이후, 각 배지의 세포를 수득하여 냉각된 PBS로 세척하고 RNAprep 키트(Monarch®Total RNAprep Kit, NEB, 미국)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뒤 nanodrop으로 260 ㎚에서 RNA를 정량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타겟 유전자인 COL1A1, 및 MMP-1에 대하여 사이버그린 (SYBR Green supermix, Applied Biosystems, USA)을 프라이머(하기 표 1 참조) 및 cDNA와 함께 첨가하여 실시간(real-time) PCR 기계 (Step One Plus, Applied Biosystems, 미국)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PCR 반응은 94℃에서 5분 동안 중합효소 활성화 후, 95℃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30초 반응의 사이클을 40 사이클로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COL1A1와 MMP-1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COL1A1 5'-GAGGGCCAAGACGAAGACATC-3' 5'-CAGATCACGTCATCGCACAAC-3'
MMP-1 5'-CGAATTGCCGACAGAGATGA-3' 5'-GTCCCTGAACAGCCCAGTACTT-3'
β-actin 5'-GGCCATCTCTTGCTCGAAGT-3' 5'-GAGACCTTCAACACCCCAGC-3'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COL1A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두 추출물(비교예 1) 또는 수용성 콜라겐(비교예 2),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 혼합물(실시예 1 내지 5)은 UVB 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앵두 추출물과 수용성 콜라겐을 동일한 함량 및 농도(5 ppm)로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MMP-1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교예 1 및 2의 농도를 각각 2배(10 ppm)로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도 실시예 1을 처리하였을 때 MMP-1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앵두 추출물과 수용성 콜라겐을 상이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에도 동일한 농도(10 ppm)로 처리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MMP-1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앵두 추출물과 수용성 콜라겐은 COL1A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및 2을 동일한 농도(5 ppm) 및 2배(10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COL1A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앵두 추출물과 수용성 콜라겐을 상이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에도 동일한 농도(10 ppm)로 처리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COL1A1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앵두 추출물과 수용성 콜라겐은 각각 처리하였을 때 보다 병용 처리하였을 때 콜라겐 분해를 감소 및 콜라겐 합성 증가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물을 용매로 사용한 앵두 추출물 및 효모에서 분리된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은 1:1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물을 용매로 사용한 앵두 추출물 및 효모에서 분리된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은 1:1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물을 용매로 사용한 앵두 추출물 및 효모에서 분리된 수용성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은 1:1 내지 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30180860A 2021-06-29 2023-12-13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0860A KR102654212B1 (ko) 2021-06-29 2023-12-13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747A KR20230001780A (ko) 2021-06-29 2021-06-29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80860A KR102654212B1 (ko) 2021-06-29 2023-12-13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47A Division KR20230001780A (ko) 2021-06-29 2021-06-29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204A KR20230174204A (ko) 2023-12-27
KR102654212B1 true KR102654212B1 (ko) 2024-04-05

Family

ID=84926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47A KR20230001780A (ko) 2021-06-29 2021-06-29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180860A KR102654212B1 (ko) 2021-06-29 2023-12-13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747A KR20230001780A (ko) 2021-06-29 2021-06-29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0178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80A (ko) 2023-01-05
KR20230174204A (ko)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734B1 (ko) 스타필로코커스속 균주 및 그의 용도
KR102273950B1 (ko)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아종 아크네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117218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394430B1 (ko) 연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 제조방법
KR102654212B1 (ko)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8136B1 (ko) 살구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560190B1 (ko)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7360A (ko) 히비스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72729B1 (ko) 오가노이드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1581B1 (ko)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이 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4346B1 (ko) 살구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TW202102239A (zh) 抗老化劑、抗氧化劑、抗炎症劑、及美白劑、以及化妝品
KR102578892B1 (ko) 식물 추출물을 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6653B1 (ko) 배초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86125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피부 항노화 조성물
KR102643886B1 (ko) 귀리 조청 또는 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69532B1 (ko) 스타필로코커스 속, 스트렙토코커스 속, 쿠티박테리움 속, 인하이드로박터 균주 및 dna 단편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0644B1 (ko)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6455B1 (ko)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34456B1 (ko) 판토에아 아나나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15074B1 (ko) 차즈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9520A (ko) 샤프란 꽃 추출물 및 단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