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644B1 -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644B1
KR102650644B1 KR1020210123168A KR20210123168A KR102650644B1 KR 102650644 B1 KR102650644 B1 KR 102650644B1 KR 1020210123168 A KR1020210123168 A KR 1020210123168A KR 20210123168 A KR20210123168 A KR 20210123168A KR 102650644 B1 KR102650644 B1 KR 10265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ar
skin
plasma
cosmetic composition
a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412A (ko
Inventor
이예린
한상훈
한제희
이경은
정수경
윤석균
강승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알마스캐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알마스캐비아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644B1/ko
Priority to CN202280062796.6A priority patent/CN118043030A/zh
Priority to PCT/KR2022/013466 priority patent/WO2023043122A1/ko
Publication of KR2023004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노화 등 피부 관련 상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ubcritical extract of plasma-treated caviar}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나이가 들어 감에 따라 생리적 및 신체적으로 노화를 겪게 된다. 그 중, 노화된 피부의 대표적인 증상은 주름의 발생으로 피부가 위축되고 탄력이 감소되며 건조해지는 것이다. 피부 노화는 피부세포 및 조직의 구조적, 기능적인 변화로 인한 현상으로 그 원인은 크게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듦에 따라 누구나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주름이 생기고 피부의 탄력이 없어지며 피부 세포 내 수분이 손실되고 각질층의 구조가 변한다. 반면, 외인성 노화는 환경적 요인 등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생기며, 그 중 자외선이 주원인으로 광노화 라고도 불린다.
노화된 피부는 콜라겐(COL1A1; alpha-1 type I collagen)과 엘라스틴의 생성 기능이 저하되는 반면, 단백질분해효소(MMP; matrix metalloproteinase, collagenase 1)는 증가해 우리 피부를 지지하고 채워야 할 콜라겐을 분해, 피부를 손상시켜 탄력 저하 및 주름 생성에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단백질분해효소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노화된 피부는 점차 얇아지고 장력이 감소하여 힘이 없고 무르게 된다.
캐비어(Caviar)는 철갑상어의 알로, 캐비어 염장 식품은 세계 3대 진미 중 하나이며, 고급스러운 식재료로 잘 알려져 있다. 캐비어에는 단백질, 지방, 당, 비타민 등의 각종 영양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단백질 함량이 높은 완벽한 영양식품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히, 루신, 아르기닌, 라이신, 이소루신 등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글루타믹 애씨드, 세린, 알라닌 등 각종 아미노산들이 풍부하며 피부 속 깊은 곳까지 흡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캐비어에 함유된 지방은 대부분 콜레스테롤과 레시틴으로 구성되어 표피의 지질막을 재생시키는데 작용하며,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은 노화방지 효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일부 화장품 등에 캐비어는 고급스러운 성분으로 포함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기술에는 열수, 유기용매, 혹은 초임계 추출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식품, 화장품 등의 분야에서는 잔류용매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 때문에 물이나 유기용매로서 주정 및 초임계 이산화탄소 등이 추출용매로 사용됨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수 추출은 고온의 물을 이용하므로 대부분 극성물질의 추출에 이용되며, 이 방법은 고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열에 의해 추출하고자 하는 물질의 변성이 일어나는 점과 열수 추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이 일어나게 되어 추출물질이 변질되는 문제점들이 있다.
또한, 천연물의 추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기술의 경우 불순물의 혼입이 많고 유해물질인 용매의 잔존으로 인해 이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 만 아니라, 사용하는 유기용매 의한 이물질이 혼입 가능성, 추출물의 순도가 낮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피부 관련된 상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성분 추출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 양상은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관한 것이다.
일 양상은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저온/상압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저온/상압 플라즈마"는 열적 변화없이 대상 물체에 대한 화학적 반응성이 크고, 에너지가 안정할 뿐만 아니라 반응하는 물질의 표면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상호 작용하는 물질의 상태를 변화시기거나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저온/상압 플라즈마는 유전장벽 방전, 코로나 방전, 마이크로파 방전, 아크 방전 또는 공기 방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온/상압 플라즈마를 발생하는 장치는 교류전원을 이용한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방식으로, 기저 전극은 테프론 재질의 관 내부에 위치하고, 관 내부 중심에 테프론으로 둘러싸인 또 다른 전극봉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방전은 두 전극 사이의 공간에서 일어나며 두 원통 사이의 간격은 1 내지 10 ㎜ 이다. 원통형의 방전공간은 알곤 등의 방전 구동가스가 지나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중심부에 위치한 전극봉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데, 주파수는 5 ~ 350 kHz이고, 전압은 rms 값으로 10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저온/상압 플라즈마를 발생하는 장치의 플라즈마 불꽃 크기는 최대 10 ㎜이며, 구동가스 유입속도 5 L/min 이상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구동가스로는 캐비어 성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불활성기체로서 예를 들어, 아르곤, 산소, 헬륨 가스 등이 있으며, 주파수(Frequency) 20 내지 50 kHz, 입력 전압(Input voltage) 5 내지 10 V, 출력 전압 10 내지 30 W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온/상압 플라즈마는 10 내지 80℃의 온도 및 0.5 내지 10 기압(atm)의 압력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저온/상압 플라즈마는 예를 들어, 10 내지 80 ℃, 10 내지 70 ℃, 10 내지 50 ℃, 20 내지 60 ℃, 30 내지 50 ℃ 또는 4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플라즈마 수행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다양한 적용성(applicability) 및 안정성(stability)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용이 과다하게 투입되고 공정이 까다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저온/상압 플라즈마는 예를 들어, 0.5 내지 10 atm, 1 내지 10 atm, 1 내지 8 atm, 2 내지 7 atm, 3 내지 9 atm 또는 1 내지 5 atm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플라즈마 수행 압력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즈마 처리를 위한 별도의 진공 용기를 제작하고, 진공을 유지하기 위해 진공 펌프를 장착해야하는 등의 제약이 따르는 바, 장비 관리 및 작동 비용의 경제성 및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는 상기 온도 및 압력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 처리됨에 따라 캐비어의 유효성분을 고효율 및 고순도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노출 시간은 동결건조된 캐비어 분말의 플라즈마 1회 처리 시 노출 시간을 의미하고, 플라즈마 노출 횟수는 플라즈마의 반복노출 횟수를 뜻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플라즈마 노출 시간은 1회 처리 시 1분내지 3분일 수 있고, 노출 반복노출 횟수는 30분 마다 1분 내지 2분 간 2회 내지 10회, 또는 1시간 마다 2분 간 2회 내지 5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임계 추출"은 물의 임계점(374 ℃, 22.1 MPa) 이하의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이온화된 물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해하고 추출하는 방법으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PHWE) 또는 pressurized low polarity water extraction(PLPW) 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아임계 추출의 장점은 사용 용매가 물이라는 점과,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5 내지 30분 정도로 추출 시간이 짧은 것이 장점이며, 페놀 화합물 같은 비극성 물질을 추출하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4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임계 추출은 40 내지 120 ℃, 40 내지 100 ℃, 40 내지 80 ℃ 또는 8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아임계 추출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캐비어 추출물의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추출 압력은 0.5 내지 10 atm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예를 들어, 0.5 내지 10 atm, 0.5 내지 8 atm, 1 내지 7 atm, 3 내지 6 atm, 또는 4.5 내지 5.5 atm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아임계 추출 압력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기화점을 감소시켜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저온상압 플라즈마 처리 후, 아임계수로 추출한 캐비어 추출물이 항노화 및 항주름 인자, 예를 들어 COL1A1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기질 단백질 분해 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s-1(MMPs-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캐비어 저온상압 플라즈마 및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서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며, MMP-1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콜라겐와 엘라스틴의 분해를 억제하는 바, 피부 미용 개선 효과, 예를 들어, 피부 노화 억제,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주름 억제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피부 상태 개선 또는 피부 미용 개선용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 상태 또는 피부 미용 개선은 피부 노화 억제 또는 개선, 항 주름, 피부 탄력, 피부 재생, 피부 장벽 강화, 또는 피부 보습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부 노화"란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에 나타나게 되는 유형과 무형상의 변화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표피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진피의 세포 수나 혈관 수, DNA 손상복구 능력, 세포교체주기, 상처 회복, 피부장벽기능, 표피의 수분 유지, 땀분비, 피지분비, 비타민D 생산, 물리적 손상방어, 화학물질 제거능력, 면역반응, 감각 기능, 체온조절의 감소를 말한다. 특히, 피부 노화의 주요한 증상으로 주름 및 탄력 저하가 있으며, 이는 진피 내 주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elastin)의 감소와 이들 탄력 섬유의 네트워크 변형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피와 표피에 존재하는 엘라스틴,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 촘촘하게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피부 쿠션층을 유지하고 있으나, 노화에 의해 콜라겐 섬유의 수가 줄어들고 이들이 조각화되어 꼬이면서 탄력 섬유의 네트워크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정상적인 피부 지탱력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 조성물은 외인성 요인 또는 내인성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노화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외인성 요인은 여러 가지 외부 요인, 예컨대 자외선(광)을 말하고 내인성 요인은 연대기적 요인이라고도 지칭되며 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요인을 말한다. 즉, 상기 피부 노화는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한 외부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조기 노화 증상 뿐만 아니라, 나이가 들어감에 의해 피부세포의 증식이 감소함에 따라 발생하는 자연 노화 현상을 포함하며 주름, 탄력 감소, 피부 쳐짐 및 건조 현상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주름은 내ㆍ외부 요인의 변화에 의한 자극이 피부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변화시켜 주름을 유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노화는 광노화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현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는 자외선이 있다.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와 기질단백질의 사슬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의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가져오고, 이러한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으로도 확연한 피부노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름"은 피부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느슨해진 상태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피부가 접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이란 주름과 관련된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주름을 방지 또는 개선하거나, 콜라겐 총량을 증가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장벽 강화"는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장벽 기능 손상"은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어 피부에 나타나는 모든 변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주름 증가, 건조,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보습"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 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처리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피부 상태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피부미용 개선, 예를 들어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1 ㎎ 내지 1,000 ㎎, 예를 들면, 0.1 ㎎ 내지 500 ㎎, 0.1 ㎎ 내지 100 ㎎, 0.1 ㎎ 내지 50 ㎎, 0.1 ㎎ 내지 25 ㎎, 1 ㎎ 내지 1,000 ㎎, 1 ㎎ 내지 500 ㎎, 1 ㎎ 내지 100 ㎎, 1 ㎎ 내지 50 ㎎, 1 ㎎ 내지 25 ㎎, 5 ㎎ 내지 1,000 ㎎, 5 ㎎ 내지 500 ㎎, 5 ㎎ 내지 100 ㎎, 5 ㎎ 내지 50 ㎎, 5 ㎎ 내지 25 ㎎, 10 ㎎ 내지 1,000 ㎎, 10 ㎎ 내지 500 ㎎, 10 ㎎ 내지 100 ㎎, 10 ㎎ 내지 50 ㎎, 또는 10 ㎎ 내지 25 ㎎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 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캐비어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동결건조된 캐비어를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및 아임계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캐비어의 동결건조를 수행하는 단계 전, 캐비어를 탈지한 후,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항노화 등 피부 관련 상태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 추출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 추출물이 COL1A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캐비어 저온상압 플라즈마 및 아임계수 추출물의 제조
캐비어를 40℃ 및 5 기압(atm)의 조건으로 플라즈마 처리한 후, 아임계수 추출하여 캐비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캐비어 500 g을 탈지한 후, 열수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이후, 동결건조된 캐비어를 분해하여 저온상압 조건에서 플라즈마 처리하였다. 플라즈마 노출 조건은 헬륨가스 유입량 5 내지 10 L/min, 전압(rms) 1 내지 20 kV, 발생원과의 거리 5 내지 10 ㎜로 세팅하였고, 플라즈마 노출 시간은 1회 처리 시 1분~ 3분, 노출 반복노출 횟수는 30분 마다 1분 내지 2분 간 2회 내지 10회, 또는 1시간 마다 2분 간 2회 내지 5회로 수행하였다. 이후,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를 80 ℃의 온도 및 5 기압(atm)의 조건에서 아임계 추출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캐비어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
캐비어 500 g을 동결건조하여 캐비어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후, 캐비어 분말의 2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넣고, 80℃의 온도 및 5 기압(atm)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캐비어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캐비어 탈지·열수 추출물의 제조
동결건조된 분말 형태의 캐비어 50 g을 40 내지 50 ℃의 온도 및 30 내지 31 MPa의 압력 조건에서 3시간 동안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처리하여 탈지 캐비어를 제조하였다. 이후, 탈지 캐비어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넣고, 4시간 30분동안 열수 추출하여 캐비어 탈지·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항노화 활성
상기 실시예 1의 캐비어 저온상압 플라즈마 및 아임계수 추출물이 피부 노화 및 주름 생성과 관련된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섬유아세포 세포주(Human dermal fibroblast, Hs68)를 6-웰 플레이트에 3×105 개/웰의 수로 분주하여 10% 우태아혈청(FBS) 및 1% 페니실린를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고, 배양은 37℃, 5% CO2 및 습도 95%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DPBS를 넣어준 후 12 mJ/cm2의 UVB를 조사하거나 조사하지 않았다. UVB 조사 직후 DPBS를 제거하고 FBS가 없는 배지로 갈아 준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농도별(10ppm, 100ppm)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순수 증류수 첨가 및 양성대조군으로서 1 μM EGCG 첨가군을 사용하였다. 이후, 각 배지의 세포를 수득하여 냉각된 PBS로 세척하고 RNAprep 키트(Monarch® Total RNAprep Kit, NEB, 미국)를 이용하여 RNA를 분리한 뒤 nanodrop으로 260 ㎚에서 RNA를 정량한 후, 각각 2㎍의 RNA를 사용하여 증폭기에서 cDNA를 합성하였다(C1000 Thermal Cycler, Bio-Rad, 미국).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타겟 유전자인 COL1A1, HAS2에 대하여 사이버그린 (SYBR Green supermix, Applied Biosystems, USA)을 프라이머(하기 표 1 참조) 및 cDNA와 함께 첨가하여 실시간(real-time) PCR 기계 (Step One Plus, Applied Biosystems, 미국)에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실시간 PCR 반응은 94℃에서 5분 동안 중합효소 활성화 후, 95℃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30초 반응의 사이클을 40 사이클로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MMP-1와 COL1A1 유전자의 발현량은 β-actin 유전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MMP-1 5'-CGAATTGCCGACAGAGATGA-3' 5'-GTCCCTGAACAGCCCAGTACTT-3'
COL1A1 5'-TGACGTTCCCATTAGACAACTG-3' 5'-CCGTCTTTCATTACACAGGACA-3'
β-actin 5'-GGCCATCTCTTGCTCGAAGT-3' 5'-GAGACCTTCAACACCCCAGC-3'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 추출물이 M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 추출물이 COL1A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는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MMP-1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는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COL1A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COL1A1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캐비어 저온상압 플라즈마 및 아임계수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자외선에 의해 감소된 COL1A1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탄력 증진 및 주름 생성 억제 등과 같은 피부 노화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10 내지 80 ℃ 및 0.5 내지 10 기압(atm)의 조건에서 수행되고, 상기 아임계수 추출은 40 내지 120 ℃ 및 0.5 내지 10 기압(atm)의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는 피부 노화, 피부 주름, 또는 피부 탄력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MMP-1의 발현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COL1A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화는 광노화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동결건조된 캐비어를 10 내지 80 ℃ 및 0.5 내지 10 기압(atm)의 조건에서 플라즈마 처리하는 단계; 및
    40 내지 120 ℃ 및 0.5 내지 10 기압(atm)의 조건에서 아임계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캐비어를 탈지한 후,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청구항 5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캐비어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23168A 2021-09-15 2021-09-15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168A KR102650644B1 (ko) 2021-09-15 2021-09-15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2280062796.6A CN118043030A (zh) 2021-09-15 2022-09-07 包括经等离子体处理的鱼子酱的亚临界水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PCT/KR2022/013466 WO2023043122A1 (ko) 2021-09-15 2022-09-07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168A KR102650644B1 (ko) 2021-09-15 2021-09-15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12A KR20230040412A (ko) 2023-03-23
KR102650644B1 true KR102650644B1 (ko) 2024-03-26

Family

ID=8560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168A KR102650644B1 (ko) 2021-09-15 2021-09-15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50644B1 (ko)
CN (1) CN118043030A (ko)
WO (1) WO20230431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3434A (zh) 2020-07-27 2020-10-23 烟台鲟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鲟鱼子酱提取物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055A (ko) * 2016-08-12 2018-02-21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갑상어 유래 유용물질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그 유용물질의 수득방법과 그 유용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품 제조방법
CN110868972A (zh) * 2017-06-08 2020-03-06 杏子股份有限公司 用于皮肤护理和抗衰老的具有活性成分的硅酮垫
CN107582498A (zh) * 2017-08-30 2018-01-16 曾万祥 一种鱼子酱焕肤美白沐浴露
KR102034178B1 (ko) * 2018-01-19 2019-10-1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미백효과가 증진된 플라즈마 처리된 고춧잎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132705A (ko) * 2018-04-30 2019-11-29 코스맥스 주식회사 철갑상어 알 및 철갑상어 양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KR102097775B1 (ko) * 2018-11-20 2020-04-0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피부재생 효과가 증진된 단풍취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200108616A (ko) * 2019-03-11 2020-09-21 엔오스 주식회사 캐비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CN112791040B (zh) * 2021-02-07 2023-01-24 加来(济南)生活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鲟鱼子酱提取物的抗皱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3434A (zh) 2020-07-27 2020-10-23 烟台鲟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鲟鱼子酱提取物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122A1 (ko) 2023-03-23
CN118043030A (zh) 2024-05-14
KR20230040412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950B1 (ko) 큐티박테리움 아크네스 아종 아크네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93443B1 (ko) 친환경 천연 공융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7174B1 (ko) 큐티박테리움 그래뉼로섬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286077B1 (ko)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st-6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50644B1 (ko) 플라즈마 처리된 캐비어의 아임계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54B1 (ko) 코리네박테리움 투베르쿨로스테아리쿰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60190B1 (ko) 앵두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8136B1 (ko) 살구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4346B1 (ko) 살구 유래 콜라겐 성분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4212B1 (ko) 앵두 추출물 및 수용성 콜라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8892B1 (ko) 식물 추출물을 바실러스 균주로 발효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1581B1 (ko) 히알루론산 및 콜라겐이 결합하여 형성된 하이브리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83365B1 (ko) 마이크로코커스 안타르크티쿠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94429B1 (ko) 스노우베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609656B1 (ko)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34453B1 (ko) 코리네박테리움 크롭펜스테드티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528619B1 (ko) 포토박테리움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US11510853B2 (en) Composition for skin soothing containing liquid-phase plasma
KR20230119520A (ko) 샤프란 꽃 추출물 및 단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12961A (ko) 흑삼 유래 세포외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40002618A (ko) 마이크로코커스 플라버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0A (ko) 스트렙토코커스 상귀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79A (ko) 스트렙토코커스 베스티불라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1A (ko) 스트렙토코커스 인터메디어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