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458A - 모터 구동 장치 및 냉동 기기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장치 및 냉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458A
KR20220049458A KR1020210132821A KR20210132821A KR20220049458A KR 20220049458 A KR20220049458 A KR 20220049458A KR 1020210132821 A KR1020210132821 A KR 1020210132821A KR 20210132821 A KR20210132821 A KR 20210132821A KR 20220049458 A KR20220049458 A KR 2022004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nverter
permanent magnet
magnet synchronous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148B1 (ko
Inventor
동승 이
레이 가사하라
가즈히로 우에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achine parameters, e.g. flux,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6Rotor flux based control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achine parameters, e.g. flux, current or voltage
    • H02P21/18Estimation of position or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4Vector control not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4Vector control not involving the use of rotor position or rotor speed sensors
    • H02P21/32Determining the initial rotor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otor parameters, e.g. rotor time constant, flux, speed,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22Synchronous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02P6/18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without separate position det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or
    • H02P2207/05Synchronous machines, e.g. with permanent magnets or DC exci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대한 단락 전류를 흘리지 않고, 고정밀도로 회전자의 상태를 산출할 수 있는 모터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냉동 기기를 제공한다. 입력된 직류 전력으로부터 변환한 교류 전력을 영구 자석 동기 모터(3)로 출력하는 인버터(2)와, 인버터(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를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5)는, 영구 자석 동기 모터(3)가 공전 상태인 경우에, 인버터(2)에 의한 PWM 제어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검출되는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의 모터 전류에 기초하여, 공전 상태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의 회전자의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영구 자석 동기 모터(3)가 공전 상태로부터 회전을 개시하도록 인버터(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장치 및 냉동 기기{MOTOR DRIVING APPARATUS AND FREEZING EQUIPMENT}
본 발명은, 모터가 공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재시동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냉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영구 자석 동기 모터로 구성되는 모터 구동 시스템이 가전 제품이나 산업 기기 분야에 있어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냉동 기기 등의 분야에서는, 이와 같은 모터 구동 시스템에 의해 기기의 고효율화가 도모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구 자석 동기 모터를 고효율로 구동하기 위해서, 모터의 회전자 위치 정보가 필요해진다. 모터의 회전자 위치는, 인코더 등의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지만, 비용과 신뢰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리스 제어가 제안되어,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위치 센서리스 제어에 있어서의 과제의 하나는, 회전자가 공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재시동하는 방법(「프리런 기동」이라고 칭함)이다. 예를 들어, 팬 등의 구동 모터는, 부하의 관성이나 외력(외풍)에 의해, 기동전에 이미 회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공전 상태의 회전자 위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 등의 정보가 없으면, 모터가 정지할 때까지 대기하거나, 강제적으로 브레이크 제어를 걸어 회전을 정지시키고, 그 후 정지 상태로부터 재기동해야 하기 때문에, 재기동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반하여, 모터 공전 시에 발생하는 유기 전압을 이용하여, 모터의 권선을 인버터에 의해 순간적으로 단락시켜, 이때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회전자의 위치 등을 산출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모터 구동용 인버터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 중, 3개의 하부 암 소자를 동시에 온으로 하여, 모터 권선에 단락 전류를 흘리고, 3상의 모터 전류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자의 위치와 회전 속도를 산출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모터 구동용 인버터의 2상분의 서로 다른 암의 소자를 동시에 온/오프 동작시켜, 인버터의 직류측의 모선(션트) 전류를 검출하고,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회전 속도를 산출한다.
일본 특허 제41030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7092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모터 권선의 단락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전류 센서를 사용하고, 적어도 2상분의 모터 전류를 검출할 필요가 있어, 회로 비용이 든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는, 모선(션트) 저항에 흘리는 전류의 검출에 의해, 각 상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가 불필요해지지만, 특수한 PWM 제어 모드와 전류 검출 처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연산이 복잡해져, 추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모선(션트) 저항에 흘리는 전류를 검출 방식에 대응할 수 있고, 특수한 PWM 제어 모드나 전류 검출 처리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 회전자의 위치와 속도를 고정밀도로 산출할 수 있는 모터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냉동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모터 구동 장치는,
입력된 직류 전력으로부터 변환한 교류 전력을 영구 자석 동기 모터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공전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버터에 의한 PWM 제어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검출되는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모터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공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회전자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회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상기 공전 상태로부터 회전을 개시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전 중의 모터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센서나 유기 전압 검출 회로 등이 불필요해짐으로써, 회로 비용, 기판 면적 및 마이크로컴퓨터의 A/D 포트 사용 수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회전자 위치와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기간에 과대한 모터 전류를 흘리지 않고, 고정밀도로 회전자의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는 냉동 기기의 기동 제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모터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제어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위상과 속도 산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위상과 속도 산출 시의 PWM 신호와 션트 저항 전류의 시간 파형도이다.
도 5는 공전 시에 있어서의 모터 구동 장치의 운전 상태의 천이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모터 기동 시의 전류 명령값과 회전 속도 명령값을 나타내는 개략 파형도이다.
도 7은 모터 기동 시의 전류 명령값과 회전 속도 명령값을 나타내는 개략 파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냉동 기기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장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모터 구동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모터 구동 장치는, 직류 전원(1)과, 직류 전원(1)으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2)와, 구동 대상이 되는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와,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기계적인 모터 부하(4)와, 인버터(2)를 제어하는 제어부(5)와, 직류 전원(1)과 인버터(2) 사이에 있는 션트 저항(6) 및 션트 저항(6)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7)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 부하(4)는 냉동 기기용 팬이다.
직류 전원(1)으로서는, 도시되지 않는 상용 교류 전원 등의 교류 전원으로부터 수전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예를 들어, 다이오드 정류기나 안정화 전원 등) 혹은 전지 등이 적용된다.
인버터(2)에 있어서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본 실시예에서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와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접속되는 2개의 암 회로, 즉 상부 암과 하부 암이 직렬로 접속되는 직렬 접속 회로가, 직류 전원(1)의 한 쌍의 정부(正負) 단자 간에 접속된다. 인버터(2)는, 3상 인버터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직렬 접속 회로를 교류의 상 수분 즉 3개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부 암 및 하부 암은, 각각, 직류 전원(1)의 고전위측 및 저전위측에 접속된다. 상하 암의 직렬 접속점은 교류 단자에 접속되고, 교류 단자에는 영구 자석 동기 모터(3)가 접속된다.
인버터(2)의 저전위측의 모선은, 전류 검출용 션트 저항(6)을 개재하여 직류 전원(1)의 부단자에 접속된다. 션트 저항(6)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 검출 신호는, 증폭기(7)를 통해 제어부(5)에 입력된다. 여기서, 션트 저항(6) 대신에, 전류 센서 등의 다른 전류 검출 수단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에 있어서의 디지털 연산을 위해서, 증폭기(7)의 출력 신호는, 샘플링 및 홀드 회로와 A/D 변환기 등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제어부(5)로서는, 마이크로컴퓨터 혹은 DSP(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등의 반도체 연산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5)가, 위치 검출기를 사용하지 않고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여 동기를 행하고, 위치 센서리스 제어를 실행하기 때문에,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에는, 회전자나 회전축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 소자 등의 자극 위치 검출 수단은 마련하고 있지 않다.
<전체 제어의 설명>
도 2는,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어부(5)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5)는, 반도체 연산 장치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블록이 나타내는 각 기능을 구비한다.
제어부(5)는, d-q축 벡터 제어에 의해, 모터에 인가하는 전압 명령 신호를 연산하고, 인버터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제어부(5)는, 속도 제어기(10)와, d축 전류 명령 발생기(11)와, 전압 제어기(12)와, 2축/3상 변환기(13)와,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와, 3상/2축 변환기(15)와, 전류 재현 연산기(16)와, 공전 상태 산출기(17)와, 전압 명령 전환기(18)와, PWM 제어기(19)를 구비한다. 또한, 공전 시에 있어서의 기동 제어에 관련된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류 재현 연산기(16)는, 증폭기(7)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검출 신호(ish)와, 3상 전압 명령(vu *, vv *, vw *)을 사용하여 인버터(2)로부터의 3상 모터 전류(iu, iv, iw)를 재현한다. 션트 저항의 전류 신호로부터 3상 모터 전류를 재현하는 방법은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에서는, 비용 저감을 위해서, 션트 저항(6)에 의해 검출되는 전류 검출 신호(ish)로부터 3상 전류를 재현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특별히 실시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션트 저항(6) 대신에 전류 센서 등의 전류 검출 수단을 사용하여 인버터 회로(2)의 출력인 교류 전류를 검출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그 전류 검출 수단이 검출한 3상 전류를 3상/2축 변환기(15)에 입력하면 된다.
3상/2축 변환기(15)는, 재현된 3상 출력 전류(iu, iv, iw)와,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에 의해 추정된 위상 정보 θdc에 기초하여, dc축 전류(idc)와 qc축 전류(iqc)를 수식 (1) 및 수식 (2)에 기초하여 연산한다. 수식 (1)은, 소위 3상/2축 변환을 나타내고, 수식 (2)는 회전 좌표계로의 변환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dc-qc축은, 추정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벡터 제어계의 추정축, d-q축은 모터 회전자축이며, 여기에서는 d-q축과 dc-qc축의 축 오차는 Δθc라고 정의한다.
도 2에 있어서, 속도 제어기(10)는, 외부로부터의 속도 명령값(ω*)에 기초하여, 속도 명령값과,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에 의해 추정되는 추정 속도의 편차를 0에 근접하도록, 즉 추정 속도를 속도 명령값에 근접하도록, qc축 전류 명령값(iqc *)을 작성한다. 또한, 모터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전류 명령 발생기(11)는, dc축 전류 명령값(idc *)을 발생한다.
도 2에 있어서의 전압 제어기(12)는, 전류 명령 발생기(11)로부터 부여되는 dc축 전류 명령값 idc *과, 속도 제어기(10)로부터 부여되는 qc축 전류 명령값 iqc *과, 3상/2축 변환기(15)로부터 부여되는 dc축 전류 검출값 idc 및 qc축 전류 검출값 iqc와, 속도 명령값 ω* 및 모터 상수를 사용하여, dc축 전압 명령값 vdc * 및 qc축 전압 명령값 vqc *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2축/3상 변환기(13)는, 전압 제어기(12)에 의해 산출된 dc-qc축의 전압 명령(vdc *, vqc *)과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로부터의 위상 정보(θdc)를 사용하여, 수식 (3) 및 수식 (4)에 기초하여, 3상 전압 명령(vu *, vv *, vw *)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또한, 수식 (3)은, 회전 좌표계로부터 고정 좌표계로의 변환을 나타낸다. 또한, 수식 (4)는, 소위 2축/3상 변환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또한,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는, dc축 전류 검출값(idc) 및 qc축 전류 검출값(iqc)과, dc-qc축의 전압 명령(vdc *, vqc *)을 사용하여, 회전자의 위치나 회전 속도를 추정하고, 위상 정보(θdc) 및 추정 속도(ω)로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 1에서는, 위치 센서리스 제어가 가능해져서, 구동 시스템 전체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추정 수단은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공전 시의 위상 검출의 설명>
영구 자석 동기 모터(3)가 공전 상태로부터 재시동하는 경우,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는, 회전자 위치와 회전 속도 정보를 취득하지 않으면, 도 2에 도시한 제어에 의한 모터 기동이 어려워진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 1은, 영구 자석 동기 모터(3)가 공전 상태에서의 회전자 위치와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그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구 자석 동기 모터(3)가 공전하면 권선으로부터 유기 전압을 발생한다. 유기 전압은,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와 인버터의 접속부인 U상, V상, W상의 교류 단자에 인가된다.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의 전기 위상(θd)의 기준을 U상 권선 위치로 하고, 또한,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의 3상 권선의 중성점을 기준 전위로 하면, U상, V상, W상의 상 유기 전압(eu, ev, ew)은, 수식 (5)로 표현된다. 수식 (5)의 ω는 모터 속도이며, Ke는 모터 유기 전압 상수이다.
Figure pat00005
도 3은, 공전 상태의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회전 속도를 산출하는 공전 상태 산출기(17)의 구성도이다. 공전 상태 산출기(17)는, 온/오프 신호 생성기(20)와, 전류 위상 연산기(21)와, 속도 연산기(22)와, 모터 위상 연산기(23)와, 전압 명령 생성기(24)로 구성된다.
온/오프 신호 생성기(20)에서는, PWM 신호의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인버터의 PWM 동작을 온 상태로 하는 구간(이하, 「온 상태 구간」으로서 참조함)과 오프 상태로 하는 구간(이하, 「오프 상태 구간」으로서 참조함)을 설정한다. PWM 동작의 온 상태에 있어서는, 인버터의 모든 구성 소자가 PWM 신호에 따라서 온/오프의 전환 동작을 하고, 전압 명령 생성기(24)로부터의 전압 명령값은, 전압 명령 전환기(18)를 통해 인버터(2)로부터 전압(vu, vv, vw)을 출력한다. 본 상태에서는, 인버터(2)의 출력 전압과 각 상의 유기 전압과의 전압차가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의 각 고정자 권선에 인가된다. 이때, 권선의 인덕턴스(L)와 권선 저항(R)이 있기 때문에, 모터 전류는 0부터 증가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권선 저항의 영향이 인덕턴스보다 충분히 작기 때문에, 그 영향을 무시하면, 수식 (6)에 의해 모터 전류와 인버터(2)의 출력 전압(vu, vv, vw) 및 유기 전압(eu, ev, ew)의 관계가 표현된다.
Figure pat00006
상기한 바와 같이 처음의 모터 전류가 0의 상태이면, 인버터(2)의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t_on) 중에 인버터(2)의 출력 전압(vu, vv, vw)과 유기 전압(eu, ev, ew)이 거의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이 종료 시의 모터 전류(iu, iv, iw)는 수식 (7)에 의해 표현된다.
Figure pat00007
수식 (7)에 의해, PWM 동작의 온 상태가 종료 시의 모터 전류(iu, iv, iw)는 온 구간의 시간 폭(t_on)과 비례 관계에 있다.
<PWM 온/오프 동작과 온 상태 구간 조정>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PWM 동작의 온 상태의 모터 전류는 유기 전압과 관계도 있다는 점에서, 공전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유기 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과대한 모터 전류가 발생하여, 반도체 스위칭 소자 혹은 다이오드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한편, 공전 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유기 전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모터 전류도 작아져서, 충분한 정밀도로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온/오프 신호 생성기(20)는, 인버터(2)의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t_on)을 조정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공전 속도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에 있어서, 전류 재현 연산기(16)를 사용하여 3상 모터 전류를 재현한다. 온/오프 신호 생성기(20)로 3상 전류의 재현값을 사용하여,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의 시간 폭을 조정한다. 일례로서, 전류 재현 연산기(16)로부터 재현된 모터 전류가 사전에 설정한 전류 레벨값과의 비교에 의해, 온/오프 신호를 제어한다. 여기에서의 전류 레벨값은, 전류 검출값의 검출 오차나 노이즈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정격 전류의 약 20% 이상 8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PWM 동작의 온 구간의 전류 검출값이 전류 레벨값을 초과하면, 모든 PWM 신호를 오프로 하여, 오프 상태 구간으로 이행한다.
PWM 동작의 오프 상태 구간에 있어서, 모터 전류는, 오프하고 있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에 역병렬로 접속되는 다이오드를 통해 직류 전원으로 환류한다. 이때, 직류 전원 전압도 각 고정자 권선에 인가되기 때문에, 모터 전류가 0까지 감쇠된다. 또한, PWM 동작의 오프 상태 구간 폭은, 매회 모터 전류가 0으로 되돌아가도록 설정한다. 온 상태 구간을 경과한 후에, 다시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으로 이행하고, 다시 모터 전류를 0부터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PWM 동작에 오프 상태 구간을 마련함으로써, 과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과 오프 상태 구간의 각 상의 하부 암의 PWM 신호(30, 31, 32)와 션트 저항 전류 파형(33)의 시간 파형도이다. 도 4에 도시하지 않은 각 상의 상부 암 소자의 PWM 신호는,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에서는, 대응하는 하부 암의 PWM 신호(30, 31, 32)의 역상 신호이며, PWM 동작의 오프 상태 구간에서는, 하부 암과 동일한 오프 신호이다. 또한, 도 4 하부의 시간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에 있어서, 3상의 PWM 신호는, 각 상의 상승 및 하강의 타이밍이 어긋나도록 하기 때문에, PWM 신호의 레벨 변화(하이 레벨로부터 로우 레벨 혹은,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로 전환)하는 시점 부근에, 션트 저항 전류 파형(33)이 발생한다.
<전류로부터 위상 산출>
전류 위상 연산기(21)에서는, 온/오프 신호 생성기(20)로부터의 온/오프 신호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변화할 때 3상 모터 전류의 마지막 재현값(iu, iv, iw)으로부터, 수식 (8)을 사용하여 전류 위상(θi)을 연산한다.
Figure pat00008
<위상차로부터 속도 연산>
또한, 전류 위상(θi) 연산의 2회째 이후에는, 수식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의 전류 위상의 연산 결과의 차분과 시간차(Δt)로부터, 속도 연산기(22)로 초기 회전 속도(ω0)를 연산한다.
Figure pat00009
또한, 회전 속도의 정부로부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판정하여, 수식 (10)을 사용하여, 모터 위상 연산기(23)로 모터 회전자의 초기 위상 θdc를 연산한다.
Figure pat00010
또한, 회전 속도의 연산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 복수회의 연산 결과를 평균화하는 등, 각종 통계적인 처리를 해도 된다.
속도 연산기(22)와 모터 위상 연산기(23)로부터의 초기 회전 속도와 모터 회전자의 초기 위상은, 도 2에 있는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의 초깃값으로 설정하여, 도 2의 제어를 기동한다.
또한, 전압 명령 생성기에서는, 온 상태 구간의 3상 전압 명령값을 생성한다. 이론상은, 3상 전압 명령이 인버터 출력할 수 있는 범위의 임의값이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연산 처리의 편리를 위해서, 3상 전압 명령을 0 혹은 동일값으로 하면 된다. 단, 션트 전류로부터 3상 전류를 재현하기 위해서, 3상 전압 명령값에, 삼각파의 캐리어 웨이브 상승판과 하강판에 시프트량을 가산과 감산 등의 처리를 행한다. 션트 전류로부터 3상 전류의 재현 기술은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기동 시퀀스>
도 5는, 공전 시에 영구 자석 동기 모터(3)를 재기동할 때의 모터 구동 장치의 운전 상태의 천이를 나타내는 상태 천이도이다.
공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 정보(회전자 위상,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가 산출되고, 산출된 회전 속도 ω에 따라서 운전 상태가 천이한다. 회전자가 역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회전 속도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한 위치 센서리스 최저 속도값을 초과하면, 산출된 회전자 위상과 속도를 속도 및 위상 추정기(14)의 초깃값으로 설정하여, 도 2의 제어를 기동하고, 역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 역전 동기 운전 모드, 정전(正轉) 동기 운전 모드, 정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의 순으로,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서대로 운전 상태가 천이한다.
예를 들어, 공전 상태에 있는 모터가, 제1 임계값 ωth1 이상의 회전 속도 ω로 역회전하고 있다고 산출된 경우에는, 역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로 천이하고, 그 후 순차 다른 운전 모드로 천이한다.
또한, 공전 상태에 있는 모터가, 제2 임계값 ωth2보다도 크고, 제1 임계값 ωth1보다도 작은 회전 속도 ω로 역회전하고 있다고 산출된 경우에는, 역전 동기 운전 모드로 천이하고, 그 후 순차 다른 운전 모드로 천이한다.
또한, 공전 상태에 있는 모터가, 제2 임계값 ωth2보다도 크고, 제1 임계값 ωth1보다도 작은 회전 속도 ω로 정회전하고 있다고 산출된 경우에는, 정전 동기 운전 모드로 천이하고, 그 후 순차 다른 운전 모드로 천이한다.
또한, 공전 상태에 있는 모터가, 제1 임계값 ωth1 이상의 회전 속도 ω로 정회전하고 있다고 산출된 경우에는, 정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로 천이한다. 도 6은, 모터가 정회전 중에 산출된 회전 속도가 위치 센서리스 최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모터 기동 시의 전류 명령값과 회전 속도 명령값을 나타내는 개략 파형도이다. 공전 상태의 회전 속도가 위치 센서리스 최저 속도값을 초과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전 상태 산출 모드에서 정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로 천이한다. 이때, dc축 전류 명령값 Idc *는 0으로 추이하고, 정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로 이행하면 dc축 전류 명령값 Idc *가 부여되고, 모터는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또한, 산출된 회전 속도가 설정한 최저 레벨(제2 임계값 ωth2) 이하인 경우(예를 들어 공전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가 정전·역전을 막론하고 거의 제로인 경우 등)에는, 운전 상태는, 우선 위치 결정 모드로 천이하고, 그 후, 정전 동기 운전 모드, 정전 위치 센서리스 운전 모드의 순으로 천이한다. 도 7은, 이 케이스의 모터 기동 시의 전류 명령값과 회전 속도 명령값을 나타내는 개략 파형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모드는, 소정의 모터 권선에 흐르는 dc축 전류 명령값 Idc *를 점차 증가함으로써, 회전자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 모드와, 소정의 dc축 전류 명령값 Idc *과 회전 속도 명령값 ω1*에 따라서 영구 자석 동기 모터(3)에 인가하는 인가 전압을 제어하는 동기 운전 모드와, dc축 전류 명령값 Idc *는 0으로 감쇠시켜, 축 오차 Δθc가 소정값이 되도록 qc축 전류 명령값 Iqc *과 인버터 주파수를 조정하는 위치 센서리스 모드의 3종류의 운전 모드가, 이 순서로 설정되어 실행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공전 중의 위상 검출 시에, PWM 동작의 온 상태 구간과 오프 상태 공간을 마련하여, 온 상태 구간의 조정에 의해, 전류 검출에 충분한 크기의 모터 전류를 흘리면서, 모터 전류의 크기를 억제 할 수 있다. 따라서, 과대한 전류를 흘리지 않고, 센서리스로 고정밀도로 회전자의 회전 상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회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써, 영구 자석 동기 모터는, 효율적으로 공전 상태로부터 회전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는, 공전 시 기동 제어를 위해서, PWM 제어 신호 발생 및 회전자 정보 추정 기능을 추가할 정도의 소규모의 기능 추가(프로그램 추가)가 이루어지는 것뿐이며, 대폭의 회로 추가를 요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 사이즈나 비용의 증대를 수반하지 않고, 기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인 냉동 기기의 구성도이다. 여기서, 냉동 기기는, 온도를 조화하는 장치이며, 공기 조화기나 냉동기 등이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상술한 실시예 1에 의한 모터 구동 장치에 의해, 팬 모터가 구동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 기기(300)는, 열교환기(301 및 302)와, 이들 열교환기에 대한 송풍을 행하기 위한 팬(303 및 304)과, 팬(304)을 구동하는 팬 모터(305)와, 냉매를 압축해서 순환시키는 압축기(306)와, 열교환기(301)와 열교환기 (302) 사이, 및 압축기(306)와 열교환기(301 및 302)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가 흐르는 배관(307)과, 모터 구동 장치(308)로 구성되어 있다. 팬(303, 304)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305)로서,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사용된다. 모터 구동 장치(308)는,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직류 전원 회로, 이 직류 전원 회로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팬 모터(305)에 공급하는 모터 구동용 인버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모터 구동 장치(308)에 있어서의 팬 모터 구동용 인버터가 실시예 1에 의한 제어부(5)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 2에 의하면, 팬 모터가 외부의 바람 등에 의해 공전하고 있어도, 위치 센서를 마련하지 않고 확실하게 모터를 재시동할 수 있으므로, 냉동 기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예 2의 형태는, 냉동 기기에 대한 적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냉동 기기 이외의 영구 자석 동기 모터를 사용하는 기기에 대해서, 본 실시예 2를 적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과대한 단락 전류를 흘리지 않고, 고정밀도로 회전자의 상태를 산출할 수 있는 모터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냉동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형태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가 추고할 수 있는 실시 양태의 범위 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예의 구성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류 검출 수단은, 션트 저항 대신에, 전류 트랜스(CT)에 의해 검출해도 된다. 이 경우, 전류 검출 개소를 인버터 출력부로 해도 된다. 또한, 영구 자석 동기 모터는, 매립 자석형이어도 되고, 표면 자석형이어도 된다.
1: 직류 전원
2: 인버터
3: 영구 자석 동기 모터
4: 모터 부하
5: 제어부
6: 션트 저항
7: 증폭기
10: 속도 제어기
11: d축 전류 명령 발생기
12: 전압 제어기
13: 2축 3상 변환기
14: 속도 및 위상 추정기
15: 3상 2축 변환기
16: 전류 재현 연산기
17: 공전 상태 산출기
18: 전압 명령 전환기
19: PWM 제어기
20: 온/오프 신호 생성기
21: 전류 위상 연산기
22: 속도 연산기
23: 모터 위상 연산기
24: 전압 명령 생성기
30: U상 하부 암 소자의 PWM 신호
31: V상 하부 암 소자의 PWM 신호
32: W상 하부 암 소자의 PWM 신호
33: 션트 저항 전류 파형
40: dc축 전류 명령 파형
41: qc축 전류 명령 파형
42: 회전 속도 명령 파형
300: 냉동 기기
301, 302: 열교환기
303, 304: 팬
305: 팬 모터
306: 압축기
307: 배관
308: 모터 구동 장치

Claims (7)

  1. 입력된 직류 전력으로부터 변환한 교류 전력을 영구 자석 동기 모터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에 의한 PWM 동작이 온 상태인 경우에, 각 상의 신호의 상승 및 하강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공전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버터에 의한 PWM 제어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검출되는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모터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공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회전자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회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상기 공전 상태로부터 회전을 개시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2. 입력된 직류 전력으로부터 변환한 교류 전력을 영구 자석 동기 모터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모터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공전 상태인 경우에, 상기 인버터에 의한 PWM 제어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검출되는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모터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공전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의 회전자의 상태를 산출하고,
    상기 모터 전류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인버터에 의한 PWM 제어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산출된 상기 회전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영구 자석 동기 모터가 상기 공전 상태로부터 회전을 개시하도록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버터에 의한 PWM 제어를 오프 상태로 할 때, 상기 모터 전류가 0으로 감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직류측의 모선에 션트 저항 또는 전류 센서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션트 저항 또는 상기 전류 센서에 의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전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자의 상태로서 상기 회전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시점에 있어서 산출된 상기 회전자의 위치의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자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7. 열교환기와, 냉매를 압축해서 순환시키는 압축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대한 송풍을 행하는 팬과, 상기 팬을 구동하는 영구 자석 동기 모터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냉동 기기.
KR1020210132821A 2020-10-14 2021-10-07 모터 구동 장치 및 냉동 기기 KR102580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73412 2020-10-14
JP2020173412A JP6884916B1 (ja) 2020-10-14 2020-10-14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冷凍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458A true KR20220049458A (ko) 2022-04-21
KR102580148B1 KR102580148B1 (ko) 2023-09-20

Family

ID=7621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821A KR102580148B1 (ko) 2020-10-14 2021-10-07 모터 구동 장치 및 냉동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884916B1 (ko)
KR (1) KR102580148B1 (ko)
CN (1) CN1143743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4797B2 (ja) 2021-03-31 2024-05-1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タ制御装置
JP7034368B1 (ja) * 2021-12-06 2022-03-1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駆動制御方法および冷凍空調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0928A (ja)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タ制御装置
JP2018204878A (ja) * 2017-06-06 2018-12-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3127B2 (ja) * 2012-03-07 2016-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580899B2 (ja) * 2015-08-26 2019-09-25 株式会社東芝 ドライブシステム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0928A (ja) 2017-03-30 2018-11-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モータ制御装置
JP2018204878A (ja) * 2017-06-06 2018-12-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4916B1 (ja) 2021-06-09
CN114374349B (zh) 2024-04-09
KR102580148B1 (ko) 2023-09-20
JP2022064662A (ja) 2022-04-26
JP2022064817A (ja) 2022-04-26
CN114374349A (zh)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7102B1 (en) Motor controller,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and electric oil pump
JP4906369B2 (ja) 同期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972124B2 (ja) 同期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JP4406552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3610897B2 (ja) インバータ装置、圧縮機駆動装置、冷凍・空調装置、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H1175394A (ja) 交流回転機用電力変換装置
WO2001015311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controle du moteur synchrone
KR102580148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냉동 기기
JP2013106424A (ja) モータ制御装置
KR101514391B1 (ko) 벡터 제어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모터 제어 장치, 공조기
JP2009077503A (ja) 電動機の制御装置,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6463966B2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駆動用モジュール並びに冷凍機器
JP2013207973A (ja) 同期モータの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風装置
JP4590761B2 (ja) 永久磁石形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2013146162A (ja) 同期モータの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装置、空気調和機、冷蔵庫、並びに同期モータの駆動方法
JP5250603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19208329A (ja) センサレスベクトル制御装置及びセンサレスベクトル制御方法
JP2004064902A (ja) 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とこれを用いた機器
CN110114969B (zh) 动力产生装置
Vinatha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control schemes of BLDC motors
JP2003111490A (ja) インバータ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9244193A1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3225979A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それを適用した圧縮機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熱交換器
JP7473440B2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機器
JP2022161101A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