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52A -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 Google Patents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52A
KR20220048152A KR1020200130958A KR20200130958A KR20220048152A KR 20220048152 A KR20220048152 A KR 20220048152A KR 1020200130958 A KR1020200130958 A KR 1020200130958A KR 20200130958 A KR20200130958 A KR 20200130958A KR 20220048152 A KR20220048152 A KR 20220048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s
dumpling
strawberry
making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564B1 (ko
Inventor
이진만
Original Assignee
이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만 filed Critical 이진만
Priority to KR102020013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를 만두 속재료로 사용하여 종래의 만두와는 차별화되는 맛을 가지며, 소비자들의 기호도도 높고 체중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등 건강에도 유익한 새로운 방식의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딸기를 으깨거나 믹서기로 갈아서 제1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감자, 고구마, 단호박 중의 하나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소금물에 절인 다음, 찌거나 구워서 익히는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만두피를 만드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만든 만두피에 상기 제1만두 속 만드는 과정 및 제2만두 속 만드는 과정에서 만든 제1, 2만두 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 과정; 및 빚은 만두를 익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Process for strawberry mandu and strawberry mandu thereby the same that}
본 발명은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에 관한 것으로서, 딸기를 만두 속으로 사용하여 종래의 만두와는 차별화되는 맛을 가지며, 소비자들의 기호도도 높은 새로운 방식의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에 관한 것이다.
만두는 밀가루반죽을 얇게 밀어서 만든 만두피에 만두 속을 넣고 만두피로 감싸서 만든 음식으로서, 만두 속재료에 따라 고기만두, 야채만두, 김치만두 등으로 나누어지진다. 그런데 만두 속으로 사용되는 재료가 고기, 야채, 김치 등으로 상당히 한정적이기 때문에 만두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의 만두로는 점차 까다로워지는 소비자들의 입맛을 만족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인 면이 있다.
한편, 딸기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신맛과 단맛이 잘 조화되어 있고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딸기는 비타민C가 레몬의 2배, 사과의 10배인 100g당 약 80mg 정도 함유하고 있어서 딸기 6∼7개 정도면 성인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비타민 섭취량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을 정도로 비타민C가 풍부하다. 또한, 쿼세틴(quercetin), 카페산(caffe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등의 폴리페놀류와 플라보놀(flavonol)류 등의 다양한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유기산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에도 좋다.
이러한 딸기는 대부분 생으로 그냥 먹거나 또는 갈아서 주스로 먹거나 또는 쨈으로 만들어 먹는데, 딸기의 활용범위를 넓혀서 딸기의 소비를 촉진시켜서 소비자들의 건강증진도 도모하고, 딸기농가의 소득증대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7489호(2017. 11. 0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09697(2020. 09. 2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33906호(2017. 12. 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딸기를 만두 속 재료로 사용하여 종래의 만두와는 차별화되는 맛을 가지며, 소비자들의 기호도도 높고 체중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등 건강에도 유익한 새로운 방식의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딸기를 으깨거나 믹서기로 갈아서 제1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감자, 고구마, 단호박 중의 하나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소금물에 절인 다음, 찌거나 구워서 익히는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만두피를 만드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만든 만두피에 상기 제1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및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에서 만든 제1, 2만두 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 과정; 및 빚은 만두를 익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만두는 빚는 과정에서는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1~1.5 : 1 부피비로 넣으며, 상기 만두를 익히는 과정에서는 만두를 오븐에서 구워서 익힌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자색돼지감자를 사용하여 제2만두 속을 만든다.
이상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만두 속 재료로 딸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만두들과는 차별화된 맛을 가지는 새로운 만두를 제공한다. 특히, 딸기를 만두 재료로 단독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감자, 고구마, 호박 등과 함께 사용하여, 이들 재료들이 딸기의 수분을 잡아서 만두 속이 적당한 수분기를 가지며, 적당히 씹히는 식감도 주어서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높으며, 만두 속으로 딸기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포만감을 주므로 식사대용 및 간식으로 손색이 없다.
또한, 딸기 소비가 촉진되어 딸기농가의 수입증대에도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제2만두 속 재료로 돼지감자, 특히, 자색돼지감자를 사용하면 자색돼지감자에 의한 건강증진도 꾀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만두를 빚는 과정을 보인 사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딸기를 만두 속으로 사용한 딸기만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제1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본 발명에서는 제1만두 속 재료로 딸기를 사용한다. 신선한 딸기를 준비하여 깨끗하게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딸기를 으깨거나 믹서기로 갈아서 제1만두 속을 만든다. 딸기가 수분함량이 높기 때문에 딸기를 곱게 갈면 물이 많이 생겨서 만두를 빚기 곤란해지므로 딸기를 믹서기로 갈아서 제1만두 속을 만들 때에는 딸기를 과도하게 곱게 갈지 말고 적당히 덩어리가 있는 상대로 적당히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제2만두 속 재료로 감자, 고구마, 단호박 중의 하나를 사용한다. 감자, 고구마, 단호박 중의 하나를 세척하여, 껍질을 제거한 다음, 0.5~1cm정도의 크기로 깍둑썰기를 한다. 썰어 놓은 것을 소금물에 절여서 간을 하고, 굽거나 쪄서 익힌다.
제2만두 속 재료로 사용되는 감자, 고구마, 단호박은 전분 함량이 높은 야채로서, 딸기의 수분을 흡수하여 만두 속의 수분을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만두 속으로 딸기만 사용하면 만두가 씹히는 맛이 없고 포만감도 주지 못하므로, 제2만두 속이 만두의 씹히는 맛을 향상시키고 포만감도 높이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감자, 고구마, 단호박은 모두 체중관리에 도움을 주는 식재료라는 점에서도 사용이 바람직하다.
제2만두 속 재료로 감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감자 중에서도 돼지감자를 사용한다. 돼지감자는 이눌린(inulin)은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장내환경을 개선시켜주며, 혈당을 안정화시키는 항당뇨활성을 가지며,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강력한 항산화기능도 가지며, 열량이 낮아 체중관리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돼지감자 중에서도 자색돼지감자를 사용하는데, 자색돼지감자는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어서 일반 돼지감자에 비해 항산화기능이 우수하므로 제2만두 속 재료로 자색돼지감자를 사용하면 제1만두 속인 딸기의 항산화기능에 자색돼지감자의 항산화기능이 더해져서 건강에 더욱 유익하며, 체중관리측면에서도 더 효과적이다.
3) 만두피를 준비하는 과정
밀가루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만두피를 만든다.
4) 만두빚는 과정
만두피에 익혀서 준비해 둔 부재료는 넣고 그 위에 만들어 놓은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다. 이때 만두의 맛과 더불어 만두 속의 수분감, 만두의 식감 등을 고려할 때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1∼1.5 : 1정도의 부피비로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만두를 익히는 과정
빚은 만두를 찌거나 구워서 익히는데, 바람직하게는 만두를 오븐에 구워서 익힌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만두 속이 제1만두 속, 즉, 딸기의 수분을 흡수하여 만두 속이 과도하게 질척하지 않도록 만두 속의 수분기를 어느 정도 잡아주기는 하나, 만두를 쪄는 경우에는 만두에 가해지는 증기에 의해 만두 속의 수분이 증가되어 만두 속이 과도하게 질척한 식감을 주므로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만두는 구워서 익히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만두를 오븐에서 구워서 익히는데, 만두가 오븐에서 구워지는 과정에서 만두 속의 수분이 증발되어 만두 속의 수분은 감소되어 만두 속이 적당한 수분기를 가지며, 증발되는 만두 속의 수분이 만두피에 흡수되어 만두를 굽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과도하게 딱딱해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딸기만두는 만두속재료로 딸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통상의 만두와는 차별화되는 독특한 풍미를 가진다. 한편, 제조된 딸기만두를 유통시키는 경우에는 급냉동시켜서 포장하여 유동시킨다.
실시예 1
딸기 꼭지를 따고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다음, 으깨서 제1만두 속을 만들었다. 돼지감자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한 다음, 0.5mm크기로 깍둑썰기하여, 소금물에 5분 정도 담가서 간을 하였다. 소금물로 간을 한 돼지감자를 찜솥에 찌고 식혀서 제2만두 속을 만들었다.
밀가루로 반죽을 하여 만두피를 만들고,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1 : 1 부피비로 넣고 만두를 빚어서, 170℃ 오븐에서 2분간 구워서 딸기만두를 만들었다. 도 1은 만두피에 제2만두 속을 올려놓은 사진이고, 도 2는 만두피에 올려진 제2만두 속 위에 제1만두 속을 올려놓은 사진이다.
이와 같이 만든 딸기만두를 각각 남녀 평가요원 30명에게 시식하게 한 후 5점 척도법(5점=아주 좋음, 4점=좋음, 3점=보통, 2점=나쁨, 1점=아주 나쁨)으로 관능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실시예 2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1.5 : 1 부피비로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딸기만두를 만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예 1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1 : 1.5 부피비로 넣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딸기만두를 만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비교예 2
시판되는 냉동 고기만두를 쪄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하였다.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의 부피비>
항 목 제1만두 속 : 제2만두 속
실시예 1 1 : 1
실시예 2 1.5 : 1
비교예 1 1 : 1.5
<관능평가 >
항 목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5 4.4 4.5
실시예 2 4.7 4.6 4.7
비교예 1 3.8 3.7 3.7
비교예 2 3.4 3.6 3.6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가 비교예 1, 2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Claims (4)

  1.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딸기를 으깨거나 믹서기로 갈아서 제1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감자, 고구마, 단호박 중의 하나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소금물에 절인 다음, 찌거나 구워서 익히는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
    만두피를 만드는 과정;
    상기 과정에서 만든 만두피에 상기 제1만두 속 및 제2만두 속을 넣고 만두를 빚는 과정; 및
    빚은 만두를 익히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만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는 빚는 과정에서는 제1만두 속과 제2만두 속을 1~1.5 : 1 부피비로 넣으며,
    상기 만두를 익히는 과정에서는 만두를 오븐에서 구워서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만두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만두 속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자색돼지감자를 사용하여 제2만두속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만두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만두.

KR1020200130958A 2020-10-12 2020-10-12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KR10257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58A KR102571564B1 (ko) 2020-10-12 2020-10-12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58A KR102571564B1 (ko) 2020-10-12 2020-10-12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52A true KR20220048152A (ko) 2022-04-19
KR102571564B1 KR102571564B1 (ko) 2023-08-28

Family

ID=8139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58A KR102571564B1 (ko) 2020-10-12 2020-10-12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447A (ko) * 2001-09-28 2003-04-07 김용국 단호박 만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92543A (ja) * 2004-01-06 2005-07-21 Kanemitsu Haraguchi さつま芋入り包皮食品用薄皮とそれで包んだ包皮食品
KR20130091477A (ko) * 2012-02-08 2013-08-19 (주)종로에프엔씨 돼지감자와 양파껍질을 이용한 만두 제조방법
CN105767608A (zh) * 2014-12-22 2016-07-20 哈尔滨天生态农副产品有限公司 一种草莓胡萝卜馅饺子及其制备方法
KR101797489B1 (ko) 2017-01-19 2017-11-14 나하나 냉동만두 제조방법
KR20170133906A (ko) 2016-05-27 2017-12-06 유남희 냉동 포장 만두의 제조 방법
KR20200109697A (ko) 2019-03-14 2020-09-23 김순태 맛경채 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경채 만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447A (ko) * 2001-09-28 2003-04-07 김용국 단호박 만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92543A (ja) * 2004-01-06 2005-07-21 Kanemitsu Haraguchi さつま芋入り包皮食品用薄皮とそれで包んだ包皮食品
KR20130091477A (ko) * 2012-02-08 2013-08-19 (주)종로에프엔씨 돼지감자와 양파껍질을 이용한 만두 제조방법
CN105767608A (zh) * 2014-12-22 2016-07-20 哈尔滨天生态农副产品有限公司 一种草莓胡萝卜馅饺子及其制备方法
KR20170133906A (ko) 2016-05-27 2017-12-06 유남희 냉동 포장 만두의 제조 방법
KR101797489B1 (ko) 2017-01-19 2017-11-14 나하나 냉동만두 제조방법
KR20200109697A (ko) 2019-03-14 2020-09-23 김순태 맛경채 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경채 만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564B1 (ko)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631B1 (ko) 동결건조물 스낵과 그 제조방법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KR20220069574A (ko) 고추장아찌 양념을 이용한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621B1 (ko) 즉석 조리용 갈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223390B1 (ko) 식이섬유를 함유한 빵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121792A1 (en) Ready to Cook Instant Cooking Indian Curry Masala Preparation
KR102571564B1 (ko) 딸기만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만두
KR102353805B1 (ko) 전복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85226B1 (ko)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소재를 포함하는 냉동 김밥의 제조방법
KR100846129B1 (ko)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수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4155B1 (ko) 백년초 함유 문어를 이용한 탕수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년초 함유 문어를 이용한 탕수육
KR102037760B1 (ko)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KR20170136118A (ko) 즉석 가열 가능한 간편대용식 갈비찜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즉석 가열 가능한 간편대용식 갈비찜 및 즉석 조리 가능한 간편대용식 갈비찜
KR20110138127A (ko)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KR100845965B1 (ko) 송이버섯을 함유한 기능성 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6067A (ko) 양파와 계란을 이용한 식품
KR102534958B1 (ko) 딸기빙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빙수
KR101546073B1 (ko) 히카마 스낵의 제조방법
KR101754320B1 (ko) 감자를 이용한 김말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감자 김말이
Raghuvanshi et al. 25 Food Preparation and Use
KR102588734B1 (ko) 짬뽕 감자 제조방법
KR102426773B1 (ko) 콩나물 당면 볶음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0622A (ko) 발효 찹쌀 풀을 이용한 김치부각의 제조방법
KR102029283B1 (ko) 식감이 향상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355186B1 (ko) 사과고기만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사과고기만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