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7125A -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7125A
KR20220047125A KR1020210021139A KR20210021139A KR20220047125A KR 20220047125 A KR20220047125 A KR 20220047125A KR 1020210021139 A KR1020210021139 A KR 1020210021139A KR 20210021139 A KR20210021139 A KR 20210021139A KR 20220047125 A KR20220047125 A KR 20220047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diagnostic kit
sample
detection devic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403B1 (ko
Inventor
조영식
김정호
박효림
김동혁
Original Assignee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주식회사 바이오노트 filed Critical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877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4226865A1/en
Priority to AU2021355853A priority patent/AU2021355853A1/en
Priority to PCT/KR2021/003416 priority patent/WO2022075539A1/ko
Priority to CA3194452A priority patent/CA3194452A1/en
Priority to BR112023006365A priority patent/BR112023006365A2/pt
Priority to CN202180068628.3A priority patent/CN116348037A/zh
Priority to US18/030,997 priority patent/US20230338011A1/en
Priority to JP2023520475A priority patent/JP2023544773A/ja
Publication of KR2022004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ther than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with a sample being transported to, and subsequently stored in an absorbent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6Cards, e.g. flat sample carriers usually with flow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Vir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검체를 채집할 수 있는 검체 채집부; 하우징과 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검체 채집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연결하며, 용액을 이동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Diagnostic kit with integrated detection device and specimen collection tool}
본 발명은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기 감염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체 채집도구를 검출용 디바이스와 일체화 시킴에 따라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감염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는 침, 콧물 등의 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검체를 통해 필요한 검사가 진행된다. 도 1은 종래의 진단키트와 이를 이용하는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진단키트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 채집도구와 검사를 진행하는 검출용 디바이스가 분리되어 있다.
종래의 진단키트를 통한 검사 과정을 살펴보면, 검체를 채집하는 도구를 통해 검체를 채집하고 이를 전개액이 담긴 튜브에 삽입한다. 전개액이 담긴 튜브에서 검체의 타겟 물질을 추출하고, 이를 분리되어 있는 검출용 디바이스에 떨어뜨리면서 검사가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단키트로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진단키트로 검사를 진행하는 방법은, 검체 채집도구와 검출용 디바이스가 분리됨에 따라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이 연속적이지 않고 분리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이 분리되어 있으면,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다른 오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정확한 검사를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검체 채집도구에서 채집한 검체를 희석액으로 추출하고 이를 검출용 디바이스에 옮기는 과정에서 오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검체 채집도구는 검체를 채집하고 전개액이 담긴 튜브에 담겨진 이후 검출용 디바이스와는 별도로 버려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검체 채집도구에 남아있는 감염원이 외부로 누출될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흡기 감염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체 채집도구를 검출용 디바이스와 일체화 시킴에 따라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표적물질을 진단하는 진단키트로써, 검체를 채집할 수 있는 검체 채집부; 하우징과 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검체 채집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연결하며, 용액을 이동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검체는 비강 안쪽의 분비물이며, 상기 진단키트는 호흡기 감염 검사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검체 채집부의 머리 부분은,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검체 채집부는 상기 연결체에 끼워지도록 타측이 열려 있으며, 상기 검체 채집부의 타측의 폭은 상기 연결체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검체 채집부의 타측에는 탄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연결체는, 용액이 이동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연결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체의 외측에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검체 채집부가 전개액이 저장되는 튜브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체를 통해 상기 검체 채집부와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에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검출용 스트립은,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와, 상기 샘플 패드 하단에 위치하며,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 패드(Conjugation pad)와,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검사선과 대조군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대조선을 포함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원료 물질은, 나노 크기의 나노 파티클과 결합되면서 상기 접합 패드에 함침되며, 상기 나노 파티클은, 금입자, 은입자, 라텍스, 셀룰로오스, 형광 입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접합 패드는, 폴리에스에테르 또는 유리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접합 패드와 상기 멤브레인에서 반응하지 않은 시료를 흡수할 수 있는 흡습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타겟 물질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추출되는 물질이거나 호흡기 감염원에서 추출되는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호흡기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체 채집도구를 검출용 디바이스와 일체화 시킴에 따라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검사 단계를 단축시켜 소비자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를 함께 폐기함에 따라 검체 채집도구에서 감염원이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으며, 검사 과정에서 오염원에 노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연결체에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걸림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우징에 걸림홈을 구비함에 따라 연결체를 따라 이동하는 용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진단키트를 통해 검사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를 통해 검사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스트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스트립에 복수 개의 검사선과 대조선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나노 파티클을 통해 원료 물질을 결합하고, 이를 타겟 물질과 반응시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에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하우징에 걸림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호흡기 감염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체 채집도구를 검출용 디바이스와 일체화 시킴에 따라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호흡기 감염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감염성 질환 검사, 항체 검사, 호르몬 검사, 마약류 검사 등에도 확장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100)는 검체 채집부(110), 연결체(120),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는 검체를 채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검체 채집부(110)가 채집하는 검체는 비강 안쪽의 분비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100)는 호흡기 감염 검사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검체 채집부(110)는 비강 안쪽의 분비물을 검체로써 채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100)는 감염성 질환 검사, 항체 검사, 호르몬 검사, 마약류 검사 등에도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체는 뇨, 분변, 눈물, 혈액, 침, 콧물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머리 부분은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머리 부분은 검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비강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머리 부분은 비강의 점막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검체를 채집하기 위해 스펀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머리 부분은 스펀지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공성의 폴리머, 스펀지, 종이, 면, 솜, 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200)는 하우징(210)과 검출용 스트립(2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200)는 타겟 물질에 대한 검사가 진행되는 곳이다.
상기 연결체(12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디바이스(200)와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체(12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200)와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검체 채집부(110)-상기 연결체(120)-상기 디바이스(200)가 일체화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도 2와 같이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검체 채집부(110)-상기 연결체(120)-상기 디바이스(200)의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이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20)는 고체재질이 아닌 용액이 이동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체(120)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검액이 검사용 디바이스에 잘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친수성의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20)의 외부 돌출부에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검체 채집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120)는 진단키트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질수 있다.
확인하고자 하는 타겟 물질은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체(120)를 통해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검체채집 과정과 검사 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검체 채집부(110)는 상기 연결체(120)에 끼워지도록 타측이 열려 있을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열려 있으면서,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120)는 열려 있는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을 통해 상기 검체 채집부(110)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되면서, 상기 검체 채집부(110)가 상기 연결체(120)에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일측이라 함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이라 함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부분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설명에서 상기 연결체(120) 및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이라 함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20) 및 상기 하우징(210)의 타측이라 함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우측 부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의 폭은 상기 연결체(120)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가 상기 연결체(120)에 끼워진 이후, 상기 검체 채집부(110)가 상기 연결체(120)에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의 폭을 상기 연결체(120)의 폭 보다 작게 형성하면서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상기 연결체(120)에 억지 끼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상기 연결체(120)에 억지 끼움하기 위해,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에는 고무 밴드와 같은 탄성체(11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검체 채집부(110)의 타측에 탄성체(111)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상기 연결체(120)에 쉽게 끼울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상기 연결체(120)에 끼움으로써, 상기 검체 채집부(110)가 상기 연결체(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바이스(200)는 타겟 물질에 대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200)는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외부로 열려있는 표시창(211)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표시창(211)의 하부에는 후술할 검사선(231)과 대조선(232)이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211)을 통해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은 샘플 패드(sample)(221), 접합 패드(Conjugation pad)(222), 멤브레인(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샘플 패드(221)는 시료(검액)가 흡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시료는 상기 연결체(120)로부터 이동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샘플 패드(221)는 시료가 잘 흡수될 수 있다록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접합 패드(222)는 상기 샘플 패드(221)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샘플 패드(221)에서 흡수된 시료는 상기 접합 패드(222)로 이동되며, 상기 시료에 타겟 물질이 있으면, 상기 접합 패드(222)의 원료 물질과 반응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 패드(222)에 구비되는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140)은 나노 크기의 나노 파티클(141)과 결합되면서 상기 접합 패드(222)에 함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 패드(222)는 폴리에스에테르 또는 유리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나노 파티클(141)은 금입자, 은입자, 라텍스, 셀룰로오스, 형광 입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파티클(141)과 결합된 상기 원료 물질(140)을 폴리에스테르 또는 유리 섬유에 함침시킨 이후 이를 건조시키면, 상기 원료 물질(140)을 포함하는 상기 접합 패드(222)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타겟 물질(142)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추출되는 물질이거나 호흡기 감염원에서 추출되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타겟 물질(142)은 호흡기 병원체의 특이 항원일 수 있으며,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이 항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 물질(140)은 상기 타겟 물질(142)과 반응하는 단클론 항 코로나 바이러스 항체일 수 있으며, 상기 호흡기 병원체의 항체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멤브레인(230)은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검사선(231)과 대조군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대조선(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조선(232)은 가시성(눈에 보이는)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검사선(231)은 반응에 의해 가시성(눈에 보이는) 밴드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멤브레인(230)은 나이트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을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 코팅하여 건조시키고, 대조군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을 상기 대조선(232) 위치에 코팅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상기 멤브레인(230)이 제작된다. 상기 멤브레인(230)이 재질은 나이트로 셀룰로오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샘플 패드(221)의 시료 중에 타겟 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접합 패드(222)에 구비된 원료 물질이 타겟 물질과 1차적으로 결합하게 되며, 이후 상기 결합체는 면역 크로마토그라피법 원리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멤브레인(230)으로 이동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서 타겟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원료 물질을 만나 2차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서 2차적으로 결합이 일어나면, 상기 대조선(232)과 함께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 가시성(눈에 보이는) 밴드가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합 패드(222)와 상기 검사선(231)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접합 패드(222)는 상기 샘플 패드(221) 하부에서 복수 개가 적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접합 패드(222)는 서로 다른 타겟 물질과 결합될 수 있는 원료 물질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접합 패드(222)에 대응되도록 상기 멤브레인(230)에는 복수 개의 상기 검사선(23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이 각각의 검사선 위치에 코팅된 이후 건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검사선(23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은, 상기 접합 패드(222)와 상기 멤브레인(230)에서 반응하지 않은 시료를 흡수할 수 있는 흡습 패드(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흡습 패드(223)는 상기 멤브레인(230)에 구비된 대조선과 근접한 영역에서 접촉되면서 상기 접합 패드(222)와 상기 멤브레인(230)에서 반응하지 않은 시료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습 패드(223)는 셀룰로오스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흡습 패드(223)는 시료가 잘 흡수될 수 있도록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상기 샘플 패드(221), 상기 접촉 패드(222), 상기 흡습 패드(223), 상기 멤브레인(230)은, 일측에서부터 상기 샘플 패드(221), 상기 접촉 패드(222), 상기 멤브레인(230), 상기 흡습 패드(223)가 중첩되도록 결합된 이후,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은 하판(212)과 상판(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샘플 패드(221), 상기 접촉 패드(222), 상기 멤브레인(230), 상기 흡습 패드(223)를 중첩한 이후 절단하여 상기 하우징(210)의 하판(212)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표시창(211) 하부에는 상기 멤브레인(230)의 상기 검사선(231)과 상기 대조선(232)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하판(212)에 형성된 삽입홀에 맞추어 결합시키고, 상기 하우징(210)의 상판을 덮음으로써 도 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키트(10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하판(212)에 형성된 삽입홀에 맞추어 결합시킬 때, 상기 연결체(120)는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적층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체(120)는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의 상기 샘플 패드(221) 상부에 적층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결합시킬 때, 전기 화학적으로 융착시키는 방법은 제조가 어려우며, 수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리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리적인 방법으로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결합시킬 때, 일자형 물림핀을 사용하는 경우 전개속도나 흐름이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핀을 통해서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핀은 사각핀과 같이 각이 있는 핀이 아닌 원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핀과 같이 각이 있는 경우 시료의 흐름에 편향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체(120)는 원형핀을 통해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에는 원형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체(120)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핀의 구멍에 상기 원형핀을 끼우면서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형핀의 지름과 상기 연결체(120)에 형성되는 구멍의 지름은 0.5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진단크기의 규격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체(120)는 핀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핀이 원형핀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핀에 의해 상기 연결체(120)를 따라 이동하는 시료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체(120)에는 상기 연결체(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 돌기(121)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체(120)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체(120)에 상기 걸림 돌기(12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체(120)는 십자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21)는 상기 하우징(210)에 형성된 걸림홈(214)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걸림홈(214)은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 돌기(121)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일 수 있다.
상기 걸림홈(214)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파여진 홈일 수 있으며, 상기 걸림홈(214)은 상기 하우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14)은 상기 하우징(210)의 하판(212)과 상판(213)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121)를 상기 걸림홈(214)에 끼우고, 상기 하우징(210)의 하판(212)과 상판(213)을 결합하면, 상기 연결체(120)가 상기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 돌기(121)와 상기 걸림홈(214)을 통해 상기 연결체(120)를 상기 하우징(210)에 고정하면, 핀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연결체(12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핀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연결체(120)를 따라 이동하는 시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면서,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일단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5)는 상기 연결체(120)의 외측에 접촉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체(120)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우징(210)의 일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5)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판(212)과 상판(213)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15)는 상기 연결체(12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120)의 길이가 긴 경우 좌굴에 의해 상기 연결체(120)가 부러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5)를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15)를 상기 연결체(120)에 접촉시켜 상기 지지대(215)를 통해 상기 연결체(120)를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연결체(120)가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를 통한 검사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전개액(희석액, 버퍼액)이 담겨 있는 튜브(130)를 이용하여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의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통해 인체의 비강에서 검체를 채집한다. 이후, 전개액이 저장되는 상기 튜브(130)에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삽입하면, 상기 연결체(120)를 통해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200)에서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통해 검체를 채집한 이후, 상기 튜브(130)에 상기 검체 채집부(110)를 삽입하면, 상기 전개액과 검체가 혼합된 시료(검액)가 상기 연결체(120)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200)의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검출용 스트립(220)으로 이동된 시료(검액)는 상기 샘플 패드(221)에서 흡수되면서 상기 접합 패드(222)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샘플 패드(221)에서 흡수된 시료(검액) 중에 타겟 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접합 패드(222)에 구비된 원료 물질이 타겟 물질과 1차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결합체는 면역 크로마토그라피법 원리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2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멤브레인(230)으로 이동된 상기 결합체는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서 타겟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원료 물질을 만나 2차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서 2차적으로 결합이 일어나면, 상기 대조선(232)과 함께 상기 검사선(231) 위치에 가시성(눈에 보이는) 밴드가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경우는 시료(검액)에 타켓 물질이 있는 경우의 과정이며, 시료(검액)에 타겟 물질이 없는 경우에 상기의 반응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의 반응이 발생하여 상기 검사선(231)이 형성되면 검체에 타겟 물질이 있다고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검사선(231)이 형성되지 않으면 검체에 타겟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2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전개액(희석액, 버퍼액)이 담겨 있는 튜브(130)를 이용하여 검사가 진행된다.
이때,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튜브(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10)에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삽입부(2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6)는,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튜브(13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튜브(130)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튜브(130)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부(216)의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튜브(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삽입부(216)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삽입부(216)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상기 튜브(130)에 억지끼움 되면서 상기 하우징(210)이 상기 튜브(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덮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40)는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상기 연결체(120)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21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를 운반할 때, 외부 오염원에 의해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상기 연결체(1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상기 덮개부(240)는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부(240)가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상기 연결체(120)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210)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검체 채집부(110)와 상기 연결체(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호흡기 검사,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체 채집도구를 검출용 디바이스와 일체화 시킴에 따라 검체 채집과정과 검사 과정을 분리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검사 단계를 단축시켜 소비자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진단키트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검체 채집도구와 검출용 디바이스를 일체화 시킴에 따라 검체 채집에 사용되는 검체 채집부를 따로 폐기하지 않고,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를 함께 폐기함에 따라 검체 채집도구에서 감염원이 유출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는 연결체에 걸림 돌기를 구비하고, 걸림 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우징에 걸림홈을 구비함에 따라 연결체를 따라 이동하는 용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진단키트 110...검체 채집부
111...탄성체 120...연결체
121...걸림 돌기 130...튜브
140...원료 물질 141...나노 파티클
142...타겟 물질 200...디바이스
210...하우징 211...표시창
212...하판 213...상판
214...걸림홈 215...지지대
216...삽입부 220...검출용 스트립
221...샘플 패드 222...접합 패드
223...흡습 패드 230...멤브레인
231...검사선 232...대조선
240...덮개부

Claims (16)

  1. 표적물질을 진단하는 진단키트에 있어서,
    검체를 채집할 수 있는 검체 채집부;
    하우징과 검출용 스트립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검체 채집부와 상기 디바이스를 연결하며, 용액을 이동시키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는 비강 안쪽의 분비물이며,
    상기 진단키트는 호흡기 감염 검사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 검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집부의 머리 부분은, 스펀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집부는 상기 연결체에 끼워지도록 타측이 열려 있으며,
    상기 검체 채집부의 타측의 폭은 상기 연결체의 폭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집부의 타측에는 탄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용액이 이동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는, 상기 연결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체의 외측에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채집부가 전개액이 저장되는 튜브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체를 통해 상기 검체 채집부와 연결된 상기 디바이스에서 검사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기 검출용 스트립은,
    시료가 흡수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와,
    상기 샘플 패드 하단에 위치하며,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 패드(Conjugation pad)와,
    타겟 물질과 반응하는 원료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검사선과 대조군에 사용되는 원료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대조선을 포함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물질은, 나노 크기의 나노 파티클과 결합되면서 상기 접합 패드에 함침되며,
    상기 나노 파티클은, 금입자, 은입자, 라텍스, 셀룰로오스, 형광 입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패드는, 폴리에스에테르 또는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패드와 상기 멤브레인에서 반응하지 않은 시료를 흡수할 수 있는 흡습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물질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추출되는 물질이거나 호흡기 감염원에서 추출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KR1020210021139A 2020-10-08 2021-02-17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KR102580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77794.4A EP4226865A1 (en) 2020-10-08 2021-03-19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AU2021355853A AU2021355853A1 (en) 2020-10-08 2021-03-19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PCT/KR2021/003416 WO2022075539A1 (ko) 2020-10-08 2021-03-19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CA3194452A CA3194452A1 (en) 2020-10-08 2021-03-19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BR112023006365A BR112023006365A2 (pt) 2020-10-08 2021-03-19 Kit de diagnóstico
CN202180068628.3A CN116348037A (zh) 2020-10-08 2021-03-19 检测装置和样本采集工具一体化的诊断试剂盒
US18/030,997 US20230338011A1 (en) 2020-10-08 2021-03-19 Diagnostic kit in which detection device and sampling tool are integrated
JP2023520475A JP2023544773A (ja) 2020-10-08 2021-03-19 検出用デバイスと検体採集ツールとが一体化された診断キ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77 2020-10-08
KR20200130477 2020-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125A true KR20220047125A (ko) 2022-04-15
KR102580403B1 KR102580403B1 (ko) 2023-09-20

Family

ID=8121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139A KR102580403B1 (ko) 2020-10-08 2021-02-17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4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014B1 (ko) 2022-04-19 2022-09-23 주식회사 웰에이블 저시력자용 진단키트 전용 커버
KR102477102B1 (ko) * 2022-09-02 2022-12-13 한경준 진단키트내장형 검체용기용 진단키트
KR102495470B1 (ko) * 2022-05-17 2023-02-06 신은지 간편 신속 진단키트
KR102510358B1 (ko) * 2022-05-17 2023-03-17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KR20230167583A (ko) 2022-06-02 2023-12-11 유진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754Y1 (ko) * 2000-10-25 2001-04-02 이형구 다기능성 진단기
JP2004534944A (ja) * 2001-05-31 2004-11-18 エンビテック−ウィスマ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液体サンプルの採取用器具
KR200407584Y1 (ko) * 2005-11-23 2006-02-01 최세묵 일자형 다중 진단키트
JP2018515785A (ja) * 2015-02-17 2018-06-14 バイオ−マーケティング−ティ・リミテッド(ビーエムティ)Bio−Marketing−T,Ltd.(BMT) 生体サンプルの収集および分析デバイス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KR20190027755A (ko) * 2017-09-07 2019-03-15 (주)프로테옴텍 다수의 검사선을 구비한 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이를 포함하는 진단 키트 및 다수의 경쟁적 반응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정성, 반정량, 정량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754Y1 (ko) * 2000-10-25 2001-04-02 이형구 다기능성 진단기
JP2004534944A (ja) * 2001-05-31 2004-11-18 エンビテック−ウィスマール ゲー・エム・ベー・ハー 液体サンプルの採取用器具
KR200407584Y1 (ko) * 2005-11-23 2006-02-01 최세묵 일자형 다중 진단키트
JP2018515785A (ja) * 2015-02-17 2018-06-14 バイオ−マーケティング−ティ・リミテッド(ビーエムティ)Bio−Marketing−T,Ltd.(BMT) 生体サンプルの収集および分析デバイス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KR20190027755A (ko) * 2017-09-07 2019-03-15 (주)프로테옴텍 다수의 검사선을 구비한 크로마토그래피용 스트립, 이를 포함하는 진단 키트 및 다수의 경쟁적 반응 측정 단계를 포함하는 정성, 반정량, 정량 분석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014B1 (ko) 2022-04-19 2022-09-23 주식회사 웰에이블 저시력자용 진단키트 전용 커버
KR102495470B1 (ko) * 2022-05-17 2023-02-06 신은지 간편 신속 진단키트
KR102510358B1 (ko) * 2022-05-17 2023-03-17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KR20230167583A (ko) 2022-06-02 2023-12-11 유진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KR102477102B1 (ko) * 2022-09-02 2022-12-13 한경준 진단키트내장형 검체용기용 진단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403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7125A (ko)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JP3529388B2 (ja) 改良された検診器具
JP4623536B2 (ja) 口腔液の検定用採集装置
JP5630936B2 (ja) ヒトの体液中のターゲットを特定することにより疾病を高速に検出する方法
KR102130186B1 (ko) 전환 구역을 이용한 다면 측방향 유동 분석
US20100068826A1 (en) Hybrid phase lateral flow assay
US20150212081A1 (en) Disposable test device
KR102425258B1 (ko) 검체 수집 및 분석 일체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정보 제공 방법
CA2752700A1 (en) Device for assaying analytes in bodily fluids
EP1723423A1 (en) Sampling device, the method and use thereof
JP2023544773A (ja) 検出用デバイスと検体採集ツールとが一体化された診断キット
CN218755748U (zh) 一种具备样本质控功能的采样拭子
US20030129673A1 (en) Test apparatus for the detection of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saliva
KR200357469Y1 (ko)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 분석용 진단키트
CN106796224A (zh) 测试带组件
CN219201613U (zh) 一种单联双孔试剂卡
KR200246866Y1 (ko) 여성들의 생리 혈액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할 수 있게하여주는 면역 자가진단기
KR200394358Y1 (ko) 다수의 면역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면역분석장치
JP2005030994A (ja) 微生物抗原回収方法
KR20020035912A (ko) 다기능성 플라스틱 디바이스
JP3717936B6 (ja) サンプル収集装置
KR20190082582A (ko) 시료분석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시료분석장치
KR20010070898A (ko) 생리 혈액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할 수 있게 하여주는면역 자가진단기
KR20030064987A (ko) 다기능성 진단용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