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358B1 -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358B1
KR102510358B1 KR1020220060410A KR20220060410A KR102510358B1 KR 102510358 B1 KR102510358 B1 KR 102510358B1 KR 1020220060410 A KR1020220060410 A KR 1020220060410A KR 20220060410 A KR20220060410 A KR 20220060410A KR 102510358 B1 KR102510358 B1 KR 102510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device
extension
swap
fasten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임승학
Original Assignee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는 검체를 채취하는 채취부(110), 및 채취부(110)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된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스왑부(100), 및 연장부(120)에 체결되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Swab integrated diagnostic kit}
본 발명은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2019년 11월부터 중국에서 최초 보고되고 퍼지기 시작해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지속되고 있는 유행 전염병으로서 사람과 동물 모두 감염되는 인수공통전염병이다. 2019년 12월 1일자 최초 보고 내용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2019년 11월 17일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발생하였다. 2020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중국을 넘어 아시아권부터 퍼지기 시작해, 2월 중하순부터 전세계로 퍼졌고 3월 말까지 일부 국가 및 지역을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로 확산되어, 수많은 감염자와 사망자를 기록하였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감염 의심자를 조기에 검사하여 신속하게 확인한 후 격리 및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하기 선행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진단키트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진단키트는 면봉으로 검체를 채취하여, 면봉을 검체 추출 용액통에 담근 후 수회 휘젓은 후, 검체 추출 용액통에서 면봉을 제거하고, 검체 추출 용액통에 캡을 씌운다. 이후, 검체 추출 용액통의 검체 혼합액을 검사용 디바이스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진단키트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감염 여부를 파악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의 심각한 확산을 겪은 후 사전 진단검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감염병에 대해 사전검사에 대한 수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신속진단키트에서 진단하기 곤란한 수준의 감염 수위는 전문검사기관에 내방하여 전문가에 의해 검체를 채취한 후 PCR검사를 통해 그 결과를 통보받는 번거러운 과정을 거치고 있다. 따라서, 피검자는 본인의 감염 수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신속진단키트를 통해 검사를 받았다고 하더라도 전문기관에 방문하여 한번 더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을 거친 후 PCR검사를 통한 정밀 검사 결과를 통보받는 번거러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피검자의 이동에 의해서 감염병이 확산될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한번의 검체 채취를 통해 신속진단키트와 PCR검사를 모두 수행가능한 검체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선행 과제이다.
KR 10-2022-0060269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왑부에 검사용 디바이스를 체결함으로써, 스왑부로 검체 재취후, 스왑부와 검사용 디바이스를 한번에 튜브에 담가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검사용 디바이스로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튜브를 캡으로 밀폐한 상태로, 전문검사기관에 위탁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한 정밀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는 검체를 채취하는 채취부, 및 상기 채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스왑부, 및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검사용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상기 연장부 중 상기 채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따라 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감싸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말단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말단 사이에는 슬릿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상기 체결부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출부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돌기에 걸린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가 상기 돌기와 정렬되도록,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서 회동된 후,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연장부를 따라 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릿부를 통해서 상기 돌기가 통과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서 회동되면, 상기 함몰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슬릿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슬릿부가 상기 돌기와 정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된 후,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릿부를 통해서 상기 돌기가 통과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가 상기 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후, 상기 채취부와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튜브에 수용된 검체 추출 용액에 담기면, 상기 검체와 상기 검체 추출 용액이 혼합되어 검체 혼합액이 생성되고, 상기 검체 혼합액이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면,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왑부에 검사용 디바이스를 체결함으로써, 스왑부로 검체 재취후, 스왑부와 검사용 디바이스를 한번에 튜브에 담가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용 디바이스로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튜브를 캡으로 밀폐한 상태로, 전문검사기관에 위탁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한 정밀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로 바이러스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및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는 검체를 채취하는 채취부(110), 및 채취부(110)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된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스왑부(100), 및 연장부(120)에 체결되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스왑부(100)는 검체를 채취하고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왑부(100)는 검체를 채취하는 채취부(110), 및 채취부(110)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된 연장부(120)를 포함한다. 이때, 채취부(110)는 멸균 솜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장부(120)는 막대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통상, 사용자는 연장부(120)를 파지하고, 채취부(110)를 호흡기(비강 등)에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0)에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절단될 수 있는 절단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하우징(211), 및 하우징(211)의 내부 공간에 지지된 스트립(2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11)은 상호 결합된 제1 하우징(211a)과 제2 하우징(21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하우징(211a)과 제2 하우징(211b) 사이에 스트립(217)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211a)에는 검체 혼합액(검체+검체 추출 용액)이 유입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유입부(213), 및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스트립(217)이 노출되게 관통되어 형성된 확인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립(217)은 항체가 도포되고, 바이러스와 접촉되면 항원 항체 반응하여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립(217)은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시험선(T라인)과 검사 결과의 유무효를 판단할 수 있는 대조선(C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연장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연장부(120) 중 채취부(1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채취부(110)로부터 먼 연장부(120)의 말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채취부(110)로부터 먼 연장부(120)의 말단측(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므로, 채취부(110)가 호흡기(비강 등)에 삽입될 때(검체 채취시),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채취부(11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채취부(110)로 검체를 채취한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제1 위치로부터 연장부(120)를 따라 타방향(B, 일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는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채취부(110)와 접촉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채취부(110)의 바로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채취부(110)의 바로 후단(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이므로, 절단부(170)를 기준으로 연장부(120)의 일부를 제거한 후(도 3 참조), 채취부(110)와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함께 튜브(300)에 수용된 검체 추출 용액에 담길 수 있다(도 4 내지 도 5 참조). 이때, 채취부(110)에 존재하는 검체와 튜브(300)에 수용된 검체 추출 용액이 혼합되어 검체 혼합액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체 혼합액이 검사용 디바이스(200)에 전달되면,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체 혼합액은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유입부(213)를 통해서 유입된 후,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스트립(217)에 전달되어, 확인부(215)를 통해서 노출된 스트립(217)에 표시되는 시험선(T라인)과 대조선(C라인)으로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도 5 참조).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연장부(120) 중 채취부(1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제1 위치와 제1 위치보다 채취부(100)로부터 가까운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왑부(100)의 채취부(110)으로 검체를 재취한 후, 스왑부(100)의 채취부(110)와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한번에 튜브(300)에 담금으로써, 단순한 과정으로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삭제
한편, 검사용 디바이스(200)로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튜브(300)를 캡으로 밀폐한 상태로, 전문검사기관에 위탁하여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한 정밀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 즉, 튜브(300)에 수용된 검체 혼합액은 그대로 PCR 검사를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0)로부터 스왑부(100)와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제거한 후, 튜브(300)를 캡으로 밀폐한 상태로, 전문검사기관에 위탁하여 PCR을 통한 정밀검사를 의뢰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연장부(120)와 체결되기 위해서 체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220)는 본체(210)의 일면(연장부(1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연장부(120)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부(220)는 본체(210)로부터 연장부(120)를 감싸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1 체결부재(221)와 제2 체결부재(22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장부(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도록 제1,2 체결부재(221, 223) 역시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221)의 말단과 제2 체결부재(223)의 말단 사이에는 슬릿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최초,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연장부(120)에 체결될 때, 슬릿부(225)를 통해서 체결부(220)가 연장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스왑부(100)는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0)는 체결부(220)에 걸리도록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30)는 연장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0)에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체결부(220, 제1,2 체결부재(221, 223))가 걸림으로써,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의도치 않게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제1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제1 위치로부터 연장부(120)를 따라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될 때,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체결부(220, 제1,2 체결부재(221, 223))는 탄성 변형되면서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30)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채취부(110)의 바로 후단(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체결부(220)의 내부 직경은 채취부(110)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체결부(220)가 채취부(110)에 걸려 제2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본체(210)의 일면(연장부(12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연장부(120)에 체결되는 보조 체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220)가 본체(210)의 일단측(채취부(110)와 가까운 말단측)에 형성될 때, 보조 체결부(230)는 본체(210)의 타단측(채취부(110)와 먼 말단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국,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본체(210)는 2개의 구성(체결부(220), 보조 체결부(230))으로 연장부(120)에 체결되므로, 안정적으로 연장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왑부(100)는 보조 체결부(230)에 걸리도록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되는 보조 돌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돌출부(160)에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보조 체결부(230)가 걸림으로써,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의도치 않게 일방향(A)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제1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와 비교할 때, 스왑부(100)가 돌기(140)와 가이드부(150) 등을 포함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는 이전 실시예에 따른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과 상이한 돌기(140)와 가이드부(150) 등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제1 위치에 고정되도록, 스왑부(100)는 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40)는 체결부(220, 제1 체결부재(221)와 제2 체결부재(223)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40)는 연장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구형 또는 라운딩처리된 원뿔형 등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40)에 검사용 디바이스(200)의 체결부(220, 제1 체결부재(221)와 제2 체결부재(223) 중 어느 하나)가 걸림으로써, 검사용 디바이스(200)는 의도치 않게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제1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20)의 슬릿부(225)가 돌기(140)와 정렬되도록,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연장부(120)에 대해서 회동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연장부(120)를 따라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되면, 체결부(220)의 슬릿부(225)를 통해서 돌기(140)가 통과될 수 있다. 즉,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연장부(120)에 대해서 회동시켜, 체결부(220)의 슬릿부(225)를 통해서 돌기(140)가 통과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돌기(140)에 체결부(220)가 걸리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인가하지 않고 손쉽게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제1 위치로부터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시켜 최종적으로 제2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 체결부(230)에도 체결부(220)의 슬릿부(225)와 동일한 형태로 보조 슬릿부(235)가 형성되므로,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연장부(120)를 따라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되면, 보조 체결부(230)의 보조 슬릿부(235)를 통해서 돌기(140)가 통과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왑부(100)는 돌기(140)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120)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50)는 돌기(140)로부터 연장부(120)를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221)와 제2 체결부재(223)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연장부(120)와 마주보는 면)에는 함몰된 함몰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227)에는 가이드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부(227)에 가이드부(150)가 삽입되면,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연장부(120)에 대해서 의도치 않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되 바와 같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연장부(120)에 대해서 회동되면, 함몰부(227)가 가이드부(150)로부터 분리된 후, 체결부(220)의 슬릿부(225)에 가이드부(15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50)는 돌기(140)로부터 일방향(A)으로 연장되므로, 체결부(220)의 슬릿부(225)에 가이드부(150)가 삽입되면, 체결부(220)의 슬릿부(225)는 돌기(140)와 정렬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50)를 이용하여, 체결부(220)의 슬릿부(225)는 돌기(140)와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220)의 슬릿부(225)에 가이드부(150)가 삽입된 후(체결부(220)의 슬릿부(225)가 돌기(140)와 정렬된 상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용 디바이스(200)가 제1 위치로부터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되면, 체결부(220)의 슬릿부(225)를 통해서 돌기(140)가 통과될 수 있다. 이때, 돌기(140)에 체결부(220)가 걸리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인가하지 않고 손쉽게 검사용 디바이스(200)를 제1 위치로부터 타방향(B)으로 슬라이딩시켜 최종적으로 제2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바이러스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스왑부 110: 채취부
120: 연장부 130: 돌출부
140: 돌기 150: 가이드부
160: 보조 돌출부 170: 절단부
200: 검사용 디바이스 210: 본체
211: 하우징 211a: 제1 하우징
211b: 제2 하우징 213: 유입부
215: 확인부 217: 스트립
220: 체결부 221: 제1 체결부재
223: 제2 체결부재 225: 슬릿부
227: 함몰부 230: 보조 체결부
235: 보조 슬릿부 300: 튜브
A: 일방향 B: 타방향

Claims (11)

  1. 검체를 채취하는 채취부, 및 상기 채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스왑부; 및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어,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검사용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상기 연장부 중 상기 채취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에 비해서 상기 채취부로부터 가까운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며,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채취부로 상기 검체를 채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채취부와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튜브에 수용된 검체 추출 용액에 담기며,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감싸도록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말단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말단 사이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상기 체결부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체결부가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돌기에 걸리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가 상기 돌기와 정렬되도록,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서 회동된 후,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연장부를 따라 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릿부를 통해서 상기 돌기가 통과되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왑부는,
    상기 돌기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서 회동되면, 상기 함몰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슬릿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슬릿부가 상기 돌기와 정렬되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된 후,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타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슬릿부를 통해서 상기 돌기가 통과되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취부와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가 튜브에 수용된 검체 추출 용액에 담기면, 상기 검체와 상기 검체 추출 용액이 혼합되어 검체 혼합액이 생성되고,
    상기 검체 혼합액이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에 전달되면, 상기 검사용 디바이스는 바이러스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KR1020220060410A 2022-05-17 2022-05-17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KR102510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410A KR102510358B1 (ko) 2022-05-17 2022-05-17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410A KR102510358B1 (ko) 2022-05-17 2022-05-17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358B1 true KR102510358B1 (ko) 2023-03-17

Family

ID=8587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410A KR102510358B1 (ko) 2022-05-17 2022-05-17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3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0178A (en) * 1999-03-24 2000-11-21 Avitar, Inc. Diagnostic testing device
KR20210030549A (ko) * 2019-09-09 2021-03-18 이현숙 미생물 검출용 스왑장치
KR20210101986A (ko) * 2020-02-11 2021-08-19 휴마시스 주식회사 검체 수집 및 분석 일체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47125A (ko) * 2020-10-08 2022-04-15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KR20220060269A (ko) 2020-11-04 2022-05-11 인텔로스 주식회사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0178A (en) * 1999-03-24 2000-11-21 Avitar, Inc. Diagnostic testing device
KR20210030549A (ko) * 2019-09-09 2021-03-18 이현숙 미생물 검출용 스왑장치
KR20210101986A (ko) * 2020-02-11 2021-08-19 휴마시스 주식회사 검체 수집 및 분석 일체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정보 제공 방법
KR20220047125A (ko) * 2020-10-08 2022-04-15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KR20220060269A (ko) 2020-11-04 2022-05-11 인텔로스 주식회사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7023773A1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testing samples
US20090024058A1 (en) Device for Sampling Oral Fluid
JP7141554B1 (ja) 一体型自家検査キット
KR102289674B1 (ko) 혈액 채취 기구
US10730043B2 (en) Sample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JP2004537038A (ja) 生物学的測定システム
JP6104440B1 (ja) 血液採取器及び血液収容器を含む血液採取器具
JP2007159658A (ja) 採血針
JP2013500126A5 (ko)
CN110650689B (zh) 用于鼻窦炎诊断的装置和方法
WO2011033425A2 (en) Disposable cartridge and sample analyzer.
KR20210101986A (ko) 검체 수집 및 분석 일체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용 정보 제공 방법
JP2006280912A (ja) 採血用穿刺針
KR102510358B1 (ko)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KR20210132792A (ko)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WO2021221198A1 (ko)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WO2019220938A1 (ja) 血液検体案内器具、及び血液検査キット
JP2007159659A (ja) 採血用中空針
KR20200142323A (ko) 위점액 채취장치
CN109682975B (zh) 一种乙型肝炎检测试剂及其在乙型肝炎检测中的应用
JP2007159657A (ja) 採血用穿刺針
US11313815B2 (en) In vitro method for detecting active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hair small angle x-ray scattering profile
US20220011305A1 (en) Tuberculosis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Zulfiqar et al. CELIAC DISEASE: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OF ENDOSCOPIC DUODENAL (D2) BIOPSIES IN PATIENTS
Hon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Devices: The Pros and the C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