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269A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269A
KR20220060269A KR1020200146081A KR20200146081A KR20220060269A KR 20220060269 A KR20220060269 A KR 20220060269A KR 1020200146081 A KR1020200146081 A KR 1020200146081A KR 20200146081 A KR20200146081 A KR 20200146081A KR 20220060269 A KR20220060269 A KR 20220060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pecimen
analysis strip
strip
influenza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배재범
Original Assignee
인텔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0269A/ko
Publication of KR2022006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uspended solids or molecules independently from the bulk fluid flow, e.g. for trapping or sorting beads, for physically stretching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9Absorbents; Gels to retain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64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comprising only one inlet and multiple receiving wells, e.g. for separation, split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1 분석 스트립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2 분석 스트립과,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을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검체를 동시에 투입하기 위한 한 개의 검체 투입구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검체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도록 각각의 분석 스트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과 표시창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검체의 투입 시 검체를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검체 홀딩부와,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각각 검체를 보내기 위한 검체 이송통로를 포함함으로써, 한 개의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2가지의 감염증 진단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진단 과정과 절차를 크게 단축하여 검사시간과 검사자의 부담을 줄이고, 플라스틱 디바이스 등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의 배출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Contemporary diagnostic kit for corona virus infection and influenza virus infection}
본 발명은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개의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2가지의 감염증 진단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진단 과정과 절차를 크게 단축하여 검사시간과 검사자의 부담을 줄이고, 플라스틱 디바이스 등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의 배출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동시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바이이러스(CoV)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로서, 최근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라 함)는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코로나-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고,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도 드물게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대량 확산되는 상황에서 가을, 겨울 독감 대유행과 코로나-19 대유행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할 시, 이에 대처하는 데에 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병원에서는 고열이 발생하는 경우, 먼저 코로나-19를 검사를 진행하고 결과를 확인받은 다음에야 독감유무를 판별하도록 독감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자칫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군의 경우에는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의 문제 사항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사를 개별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 폐기물과 관련 액세서리들을 대량으로 사용하여 낭비되는 측면이 적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측면이 있다. 즉, 진단키트 플라스틱 디바이스, 드롭퍼, 버퍼 희석액, 설명서, 박스 등 진단 키트에는 관련 액세서리들이 많은데, 독감과 코로나-19 검사를 각각으로 진행할 경우, 의료 폐기물의 발생이 많게 되는 것이다.
즉,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인 큰 이슈가 발생하여 병원 진단 및 치료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린 경우에는 이를 해결하기 우한 가장 시급한 것은 의료진의 검사 편의성, 정확성, 시간이라고 볼 수 있는데, 현재의 기술로는 두 번의 개별적인 반복적 검사 수행뿐만 아니라 행정 절차도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함으로 편의성과 시간에 있어서 제약이 많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184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한 개의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독감과 코로나-19의 진단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진단 과정과 절차를 크게 단축하여 검사시간과 검사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단키트 플라스틱 디바이스 등 의료 폐기물과 관련 액세서리들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의 배출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1 분석 스트립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2 분석 스트립과,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을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검체를 동시에 투입하기 위한 한 개의 검체 투입구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검체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도록 각각의 분석 스트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과 표시창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검체의 투입 시 검체를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검체 홀딩부와,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각각 검체를 보내기 위한 검체 이송통로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검체를 흡수하는 검체 패드와, 검체의 코로나-19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선과 대조군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조선이 구비되는 멤브레인과, 잔량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석 스트립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검체를 흡수하는 검체 패드와, 검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A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B를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각각의 검사선과, 대조군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조선이 구비되는 멤브레인과, 잔량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흡수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문자 표시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체 홀딩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에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체 이송통로는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각각 검체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홀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충분하고 동일한 양의 검체가 전달되도록 각각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2개의 검체 이송통로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체 투입구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과 표시창은 검체 투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 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해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검사 시간의 단축: 종래의 과정과 절차를 절반 이하로 단축이 가능하다.
2) 편의성의 증대: 검사자의 부담을 줄이고, 절차를 간소화하여 한번의 검사로 두가지 결과를 동시 확인이 가능하다.
3) 의료폐기물 감소: 플라스틱 디바이스, 드롭퍼, 버퍼 희석액 등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의 배출을 동시 진단을 통해서 50% 가까이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시 진단키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상부 케이스와, 분석 스트립이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개의 분석 스트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시 진단키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상부 케이스와, 분석 스트립이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시 진단키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상부 케이스와, 분석 스트립이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2개의 분석 스트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독감) 진단키트와 코로나-19 진단키트를 한 개의 장치로 구성하여, 한 번의 검사를 통해서 각각의 결과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동시 진단키트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1 분석 스트립(40)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2 분석 스트립(20)과,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을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0)와,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2가지의 감염증을 동시에 진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에 검체를 동시에 투입하기 위한 한 개의 검체 투입구(12)와, 상기 검체 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된 검체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도록 각각의 분석 스트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과 표시창(14a)(14b)을 포함한다.
즉, 종래의 진단키트는 한 개의 디바이스 안에 한 개의 검사용 분석 스트립이 수용되거나, 개별적으로 검사 주입구를 만들어서 디바이스는 한 개를 사용하지만 검사 주입구가 다른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한 개의 검체 투입구(12)를 통해 검체를 투입하여, 2개의 진단 결과를 동시에 알 수 있도록 각각의 분석 스트립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과 표시창(14a)(14b)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검체 투입구(12)는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과 표시창(14a)(14b)은 검체 투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30)는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5a)(35b)(36a)(36b)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통해 2개의 분석 스트립을 하부 케이스(3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시 진단키트는 상기 한 개의 검체 투입구(12)를 통해서 주입된 검체를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에 동시에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30)에는 검체의 투입 시 검체를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검체 홀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검체 홀딩부(32)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에 각각 검체를 보내기 위한 검체 이송통로(34a)(34b)가 형성된다.
상기 검체 홀딩부(32)는 상기 하부 케이스(30) 상면에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체 이송통로(34a)(34b)는 상기 검체 홀딩부(30)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각각 검체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홀딩부와 상기 지지부(35a)(35b)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체 이송통로(34a)(34b)와 연통되는 지지부(35a)(35b)는 분석 스트립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구체적으로는 검체가 주입되는 일단에 형성되는 지지부이다.
여기서, 상기 검체 홀딩부(32)에서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에 충분하고 동일한 양의 검체가 전달되도록 각각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2개의 검체 이송통로(34a)(34b)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검체 투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검체를 흡수하는 검체 패드(42)와, 검체의 코로나-19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선(48)과, 대조군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조선(46)이 구비되는 멤브레인과, 잔량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석 스트립(20)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검체를 흡수하는 검체 패드(22)와, 검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A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B를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각각의 검사선(27)(28)과, 대조군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조선(26)이 구비되는 멤브레인과, 잔량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상부 케이스(10)는 상기 흡수 패드(24)(44)에 대응하는 위치에 문자 표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감염증의 감염여부를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검체 투입구(12)를 통해 주입된 검체가 상기 검체 홀딩부(32)에 담긴 후 상기 검체 이송통로(34a)(34b)를 통해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에 각각 보내짐으로써, 한 개의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독감과 코로나-19의 진단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진단 과정과 절차를 크게 단축하여 검사시간과 검사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진단키트 플라스틱 디바이스 등 의료 폐기물과 관련 액세서리들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물질의 배출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시 진단키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의 상부 케이스와, 분석 스트립이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체 홀딩부(52)와 검체 이송통로(54a)(54b)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검체 홀딩부(52)에 주입된 검체를 분석 스트립 방향으로만 흐르게 유도하고, 분석 스트립의 반대방향으로는 검체가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분석 스트립의 반대편 검체 홀딩부(52)의 높이를 보다 높게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각각의 분석 스트립으로 검체가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검체 이송통로(54a)(54b)를 형성할 수 있는 댐(52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도 상기 검체 투입구(12)를 통해 주입된 검체가 상기 검체 홀딩부(52)에 담긴 후 상기 검체 이송통로(54a)(54b)를 통해 상기 제1 분석 스트립(40)과 제2 분석 스트립(20)에 각각 보내짐으로써, 한 개의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독감과 코로나-19의 진단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상부 케이스 12: 검체 투입구
14a, 14b: 결과 표시창 20: 제2 분석 스트립
30: 하부 케이스 32: 검체 홀딩부
34a, 34b: 검체 이송통로 40: 제1 분석 스트립
52: 검체 홀딩부 52a: 댐
54a, 54b: 검체 이송통로

Claims (7)

  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1 분석 스트립;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을 진단하기 위한 제2 분석 스트립;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을 각종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검체를 동시에 투입하기 위한 한 개의 검체 투입구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검체의 진단 결과를 나타내도록 각각의 분석 스트립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과 표시창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
    검체의 투입 시 검체를 머금을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상기 검체 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 케이스에 형성되는 검체 홀딩부; 및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각각 검체를 보내기 위한 검체 이송통로;
    를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검체를 흡수하는 검체 패드와, 검체의 코로나-19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사선과 대조군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조선이 구비되는 멤브레인과, 잔량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석 스트립은 상기 검체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검체를 흡수하는 검체 패드와, 검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A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B를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각각의 검사선과, 대조군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조선이 구비되는 멤브레인과, 잔량의 검체를 흡수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흡수 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문자 표시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체 홀딩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상면에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체 이송통로는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상기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각각 검체를 보낼 수 있도록 상기 검체 홀딩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체 홀딩부에서 제1 분석 스트립과 제2 분석 스트립에 충분하고 동일한 양의 검체가 전달되도록 각각의 지지부에 연결되는 검체 이송통로는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체 투입구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과 표시창은 검체 투입구를 중심으로 좌우대칭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KR1020200146081A 2020-11-04 2020-11-04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KR20220060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81A KR20220060269A (ko) 2020-11-04 2020-11-04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81A KR20220060269A (ko) 2020-11-04 2020-11-04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69A true KR20220060269A (ko) 2022-05-11

Family

ID=8160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81A KR20220060269A (ko) 2020-11-04 2020-11-04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2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58B1 (ko) 2022-05-17 2023-03-17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479A (ko) 2013-04-01 2016-02-17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인플루엔자의 진단을 위한 방법 및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479A (ko) 2013-04-01 2016-02-17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인플루엔자의 진단을 위한 방법 및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58B1 (ko) 2022-05-17 2023-03-17 에스지메디칼 주식회사 스왑 일체형 진단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997B1 (ko)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060269A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CN111323511A (zh) 一种用于灭活新冠病毒的快速检测试剂盒及方法
Levy et al. Clinical issues and research in respiratory failure from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US7842454B2 (en) Kit for preparing cancer cell detection sample and kit for cancer cell detection using the same
Nkwoemeka et al. A scoping review on epidemiology, etiology, transmission, clinical presentation, treatment and management of Coronavirus Disease (COVID-19)
KR20210132792A (ko)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KR20210121672A (ko) 초간편 바이러스 자가 검체 채취 및 확인 스루 키트
Singh et al. Animal Models of COVID-19: Nonhuman Primates
WO2021221198A1 (ko)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Duman et al. The effects of COVID-19 Infection control measures on the frequency of rotavirus and enteric adenovirus in children
Li et al. Nucleic acid dete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influenza virus using exhaled breath condensate
CN114107558B (zh) 一种组织半数感染法染色测定鼠细小病毒滴度的方法
Sykes et al. Isolation in cell culture
CN213345748U (zh) 一种咽拭子采集防护隔离用具
KR102563212B1 (ko) 인체 바이러스 검사용 검체 채취 로봇
CN108743995A (zh) 一种无害化布鲁氏菌的检测方法
Zhao et al. Diagnostic value of using a combination of nucleic acid and specific antibody tests for SARS-CoV-2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arbone et al. Evaluation of manual cleaning of flex-ible bronchoscopes using biolumines-cence at
US20220390422A1 (en) Detection of testing errors in lateral flow assays
Srivastava et al. Protocols for dentists during Covid-19 pandemic
CN210221826U (zh) 一种软式内镜消毒效果辅助检测装置
Singh et al. Coronavirus: An emerging and future challenge for dental clinicians
WO2020032662A1 (ko) 타액 수집 장치
Kuru et al. Update on virological, epidemiological and diagnostic aspects of Sars-Corona Virus (SARS-CoV): A newly emerging 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