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674B1 - 혈액 채취 기구 - Google Patents

혈액 채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674B1
KR102289674B1 KR1020197033683A KR20197033683A KR102289674B1 KR 102289674 B1 KR102289674 B1 KR 102289674B1 KR 1020197033683 A KR1020197033683 A KR 1020197033683A KR 20197033683 A KR20197033683 A KR 20197033683A KR 102289674 B1 KR102289674 B1 KR 10228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sealing cover
receptor
collector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181A (ko
Inventor
하지메 이와사와
도모아키 니시무라
쇼타 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블러드 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블러드 사이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이크로 블러드 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20002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51Collection chamber divided into at least two compartments, e.g. for division of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267Modular design or construction, i.e. subunits are assembled separately before being joined together or the device comprises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1Caps, stoppers or lids for sealing or closing a blood collection vessel or container, e.g. a test-tube or syringe barr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755Blood sample preparation for further analysis, e.g. by separating blood components or by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32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cylindrical, tu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75Interchangeable or disposable dispensing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2001/1472Devices not actuated by pressure difference
    • G01N2001/149Capillaries; Spo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Bi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량의 혈액을 채취할 수 있어 혈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채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을 흡인하여 유지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피펫 팁 형상의 혈액 채취기와, 상기 혈액 채취기를 수용 가능한 통 형상의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캡 피스톤 형상의 밀폐 덮개를 구비하고, 수용기는 바닥부에 수용부와 상부 외측에 걸림부 및 나사부가 마련되며, 밀폐 덮개는 내측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심봉부와 내측 측면으로 돌기부 및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채취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혈액 채취 기구
본 발명은, 미량인 혈액의 채취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 있어서의 변조나 질환은, 생체 반응으로서 체액, 예를 들면, 혈액, 소변, 타액 등의 성분의 변화로 나타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체액 중에 포함되는 성분을 측정, 분석함으로써, 몸 상태의 변화를 모니터하거나, 질환을 검출하거나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히, 혈액 성분을 측정하는 혈액 검사는, 병상 등을 조사하기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서, 또한 건강 관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
미량의 말초혈을 채취하는 기구로서, 모세관으로 이루어지는 채혈관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또한, 모세관 내에 채취한 혈액을 리저버에 옮겨 담지 않고, 모세관에 유지한 혈액을 용이하게 취출하는 구조로서, 캐필러리 튜브 형상의 노즐 부분을 가진 실린더 형상 구조를 가지는 모세관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여기서는, 캐필러리 튜브의 노즐 부분에 마개를 하는 캡이 준비되어, 혈액을 채취한 후에 그 캡을 이용하여 모세관의 노즐에 마개를 하고, 실린더 형상의 외부 용기에 넣는다. 혹은, 외부 용기 내에 노즐의 캡 구조가 준비되어, 모세관을 외부 용기에 넣으면 노즐에 마개가 채워진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원심 분리하는 것이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해, 피펫 팁 형상의 시료 채취 기구와 검체 보관 도구와 검체 밀폐 덮개로 이루어지는 시료 채취 분리 기구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 거기서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채취한 혈액을 유지한 시료 채취 기구를 검체 보관 도구 내에 삽입하고, 이어서 검체 밀폐 덮개를 장착하는 시료 채취 분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시료 채취 기구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바닥 덮개에 하부 개구부와 밀착되는 돌기부를 마련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해, 피펫 팁 형상의 혈액 채취기와 혈액 수용기와 밀폐 덮개로 이루어지는 혈액 채취 기구가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3). 거기서는, 혈액 채취기를 이용하여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 채취기로부터 혈액 수용기로 혈액을 이동시켜 밀폐 덮개를 장착하는 혈액 채취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상기 시료 채취 분리 기구는, 미량의 혈액의 채취 기구로서 우수하다. 혈액 채취 전에는, 검체 보관 도구 내에 시료 채취 기구가 들어가 검체 밀폐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에게까지 수송된다. 그 후, 혈액 채취 시에 사용자는 검체 밀폐 덮개를 열어, 시료 채취 기구를 검체 보관 도구로부터 취출하여 혈액을 채취한 후, 다시 검체 보관 도구에 혈액 채취 기구를 넣고, 검체 밀폐 덮개를 닫아 밀폐 상태로 한다. 그 후, 혈액 검사를 위해, 혈액이 들어간 시료 채취 분리 기구가 수송된다.
상기 시료 채취 분리 기구에 있어서는, 혈액 채취 전이어도, 검체 보관 도구 내에 시료 채취 기구가 들어가 검체 밀폐 덮개가 닫힌 상태이기 때문에, 시료 채취 기구의 하부 개구부(선단부)는, 검체 보관 도구의 바닥부(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바닥 덮개)에 가압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수송 중 등에 있어서, 시료 채취 기구의 선단부가 변형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혈액을 채취한 후에, 다시 검체 보관 도구에 시료 채취 기구를 넣어 검체 밀폐 덮개를 닫아도 밀폐 상태가 불완전해질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불완전한 밀폐는, 혈액의 누설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특히, 시료 채취 기구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바닥 덮개에 하부 개구부와 밀착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돌기부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혈액을 채취한 후에, 다시 검체 보관 도구에 혈액 채취 기구를 넣어 검체 밀폐 덮개를 닫아도 돌기부가 시료 채취 기구의 하부 개구부에 잘 끼워지지 않아 혈액의 누설을 일으키기 쉽다.
혈액의 수송은 다양한 환경하에서 행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대기압하뿐만 아니라 음압(陰壓)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혈액의 종류나 검사 목적에 따라서는, 대기압하에 더해 음압하에서도 혈액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미국 특허공보 제4,007,639호 명세서 WO2016/147748호 공보 WO2018/03403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혈액의 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혈액 채취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하나의 양태는, 혈액을 흡인하여 유지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피펫 팁 형상의 혈액 채취기와, 상기 혈액 채취기를 수용 가능한 통 형상의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캡 피스톤 형상의 밀폐 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은, 하부 개구부 및 상부 개구부가 연락하고 있으며, 혈액 유지부를 구성하는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는 하부 개구부로부터 상부 개구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혈액 채취기는, 그 하부 개구부를 혈액에 접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을 내부 공간에 흡인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기가 삽입 가능한 내부 공간, 및, 바닥부에 상기 혈액 채취기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고 있다. 수용기의 상부 외측에는, 손톱 형상의 돌기부를 가지는 걸림부 및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와 나사부는 수용기 위로부터 그 순서대로 종(縱)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밀폐 덮개는, 밀폐 덮개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심봉부(心棒部)를 구비하고, 심봉부는 수용기에 혈액 채취기를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밀폐 덮개의 내측 측면에는, 상기 수용기의 걸림부의 돌기부와 걸어맞춰지는 돌기부 및 상기 수용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와 나사부는 밀폐 덮개의 위에서부터 그 순서대로 종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혈액 채취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혈액 채취기, 수용기, 및 밀폐 덮개를 별개의 상태에서 일괄하여 세트로서 보관 및 수송할 수도 있지만,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에 수용하고, 수용기 상부에 밀폐 덮개를 덮은 상태로 보관 및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채취기를 삽입한 상태의 수용기의 상단부에 밀폐 덮개를 장착하면, 밀폐 덮개의 나사부와 수용기의 나사부는 서로 접촉하여 밀폐 덮개에 더 이상 수용부를 감입할 수 없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한편, 수용기의 걸림부의 돌기부와 밀폐 덮개의 돌기부는, 서로 걸어맞춰져 밀폐 덮개의 빠짐 방지가 되어, 밀폐 덮개는 수용기의 상단부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이와 같은 상태로, 보관 및 수송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혈액 채취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 후, 혈액을 유지한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에 삽입하고, 이어서, 밀폐 덮개를 덮어 돌림으로써, 수용기의 나사부와 밀폐 덮개의 나사부가 나사 결합하면, 혈액 채취기가 수용기의 수용부 내로 더 삽입되고, 또한, 밀폐 덮개의 내측의 심봉부가 혈액 채취기의 상부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혈액 채취기의 상부 개구부 및 하부 개구부가 막혀짐과 함께, 수용기가 밀폐되어, 혈액의 충분한 밀폐가 달성된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채취된 혈액의 보존 및/또는 수송을 행할 수 있다. 혈액 채취 전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가,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에 수용한 상태로 밀폐 덮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혈 및 수용은, 느슨하게 끼운 상태의 밀폐 덮개를 열어 수용기로부터 혈액 채취기를 취출하고, 혈액을 채취 후, 상기와 마찬가지의 공정을 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기 상부에 구비된 걸림부와 나사부, 및 상기 밀폐 덮개에 구비된 돌기부와 나사부가,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걸림부끼리, 2개의 돌기부끼리, 2개의 나사부끼리는, 중심선에 대하여 반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수용부의 바닥면에 상기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서, 혈액 채취 기구의 하부 개구부의 밀폐가 보다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수용부는 그 일부에 약제를 유지하고, 혈액을 유지한 상기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에 강하게 삽입하면, 당해 약제 중 적어도 일부가 혈액 채취기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채취한 혈액을 유지하는 혈액 유지부를 구성하는 상기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의 하부는, 그 내벽이 친수성 처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채취한 혈액을 유지하는 혈액 유지부를 구성하는 상기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의 하부의 내벽에 약제가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기가 그 상부에 U자형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기가 그 상부에 상기 U자형의 돌기부와 감합되는 U자형의 슬릿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다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기의 혈액 유지부의 상부 부근의 외주에 단차가 마련되고, 당해 외주의 단차와 상기 수용기의 수용부의 상단부의 내주가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혈액 채취 전에 있어서, 수용기 내에 혈액 채취기가 삽입되어 밀폐 덮개가 장착된 상태라도,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선단부)는, 수용기의 바닥부(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수용부 바닥부)에 가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혈액 채취기의 선단부(하부 개구부)가 변형될 걱정이 없다. 또한, 수용기 바닥부(수용부 바닥부)에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와 밀착하는 돌기부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라도, 돌기부가 가압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돌기부가 변형될 걱정이 없다. 그 결과, 혈액을 채취 후에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에 넣어 밀폐 덮개를 나사 결합하여 덮개를 닫고, 그 후 보관이나 수송해도 혈액이 누설될 걱정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채혈 전의 혈액 채취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채혈 후의 혈액 채취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혈액 채취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수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의 밀폐 덮개를 나타내는 측면도, C-C 단면도, 및 C-C면으로부터 90℃ 어긋난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의 혈액 채취기를 나타내는 정면 및 가로에서부터의 측면도이다. 혈액 채취기의 상부에 U자형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의 수용기를 나타내는 정면 및 가로에서부터의 측면도이다. 수용기의 상부에 U자형 슬릿부가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여, 혈액 채취기와 수용기를 조합한 채혈 도구를 이용하여 채혈하는 모습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여, 수용기의 수용부에 약제를 첨가한 경우의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된 혈액 채취 기구, 및 혈액 채취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 양태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 및 재료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글 중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이용하는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등 또는 동일한 임의의 재료 및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 중에서 인용되는 모든 간행물 및 특허는,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나 재료 그 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혈액의 시험에 있어서는, 목적에 맞게 원심 분리에 의해 혈액의 조제가 행해지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전체 혈액 시료를 원심 분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상청 성분의 것을 혈청이라고 하고, 항응고제를 첨가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상청 성분을 혈장이라고 한다. 또한, 혈청 또는 혈장을 얻기 위해 행하는 원심 분리에 의해 발생되는 침전 성분을 혈구라고 한다.
이하, 도 1~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제 1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100)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는, 혈액 채취기(10)와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에 의해 구성된다. 3개의 부품은, 각각 별개의 상태에서 하나로 합쳐진 세트로서 혈액 채취 기구를 구성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기(20) 내에 혈액 채취기(10)가 수납되어 밀폐 덮개(30)가 세팅된 한 세트의 상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채혈 전의 혈액 채취 기구(1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혈액 채취기(10)가 수용기(20) 내에 삽입되어 느슨하게 고정되고, 또한,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혈액 채취기(10)의 선단부는 수용기(20)의 수용부(21)의 바닥면과는 밀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혈액 채취기(10)의 하부 개구부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아, 하부 개구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기(20)의 걸림부(22)의 돌기부와 밀폐 덮개의 돌기부(32)는, 서로 걸어맞춰져 밀폐 덮개(30)의 빠짐 방지로 되어 있다. 추가해, 밀폐 덮개의 심봉부(31)는, 혈액 채취기의 상부 개구부 내에 삽입되어, 수송 시의 안정성에 기여하고 있다.
도 2는, 혈액 채취 후의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수용기(20) 내에 채혈 후의 혈액 채취기(10)를 넣고 밀폐 덮개(30)를 끼워,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를 나사 결합한 상태이다. 혈액 채취기(10)의 선단부와 수용기(20)의 수용부(21)의 바닥면과의 밀착에 의해 혈액 채취기(10)의 하부 개구부가 밀폐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또한, 혈액 채취기(10)의 상부 개구부 내에 밀폐 덮개(30)의 심봉부(31)가 강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혈액 채취기(10)의 상부 내측과 심봉부(31)가 밀착됨으로써 혈액 채취기(10)의 상부 개구부가 밀폐된다. 추가해,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가 나사 결합되어 밀폐 상태를 충분한 것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혈액 채취기(10)를 나타내고 있다. 혈액 채취기(10)는, 피펫 팁 형상이며, 선단을 향해 가늘게 되어 있다. 혈액 채취기(10)의 내부 공간은, 하부 개구부 및 상부 개구부를 가지고, 그들은 연락하고 있다. 내부 공간의 하부는, 혈액을 유지하는 혈액 유지부(11)를 구성하고, 혈액 유지부(11)는, 하부 개구부로부터 상부 개구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혈액 유지부의 비율은, 목적으로 하는 채취량의 혈액을 유지 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1/30~4/5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1/10~3/5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전체의 1/5~1/2 정도이다. 혈액 채취기(10)의 상단부에 가까운 상부(12)는, 그 내측이 밀폐 덮개의 심봉부(31)의 근본 부분과 밀착할 수 있도록, 그리고, 그 외측이 수용기와 감합되기 쉽도록, 통 형상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 형상의 형상은, 채취한 혈액으로의 상부 개구부로부터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혈액 채취기의 상부(12)의 외측에는, 또한, 볼록부(13) 및 오목부(14)를, 선단부로부터 그 순서대로 마련할 수 있다. 볼록부(13) 및 오목부(14)는, 바람직하게는, 중심선에 대하여 각각 반대의 위치가 되도록 배치된다. 도 3의 측면도에서는, 수용기의 수용부(21)의 상단 근방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혈액 채취기(10)의 하부의 외주(15)는 구배가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구배가 없는 외주부(15)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혈액 채취기(10)의 재질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지만, 혈액 채취 시의 조작성이나 파지성, 수송 등을 고려하면 투명도가 높은 경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채취기는, 가공성·조작성 등의 점에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화합물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혈액 채취기(10)의 혈액 유지부(11)의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200μ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μL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μL 이하이다. 혈액 채취기(10)의 하단 개구부의 내경, 및 혈액 유지부인 동체 부분의 내경은, 모세관 현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임의로 정할 수 있다. 혈액 채취기(10)의 하단 개구부의 내경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 이상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1.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0.9㎜ 미만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부 개구부로부터 혈액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혈액 유지부(11)는, 그 내벽이,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내벽이 친수성 처리되어 있으면, 혈액을 채취할 때에 혈액이 원활하게 유입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며, 모세관 현상과 내벽의 친수성 처리의 효과가 조합되어, 목적량의 혈액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혈액 유지부의 내벽의 친수성 처리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표면의 에칭, 불소 처리, 혹은, 촉매를 통해 표면에 친수성의 관능기를 도입함으로써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재질,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카보네이트의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처리는 공지이며, 그들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불소 가스와 산소 가스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에노모토 히데히코, 무라타 토시야, 표면 기술, Vol. 59, No. 5, p282-287(2008)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혈액 채취기(10)의 내벽, 바람직하게는 혈액 유지부(11)의 내벽은, 필요에 따라 약제를 도포할 수 있다. 내벽에 약제를 도포한 혈액 채취기(10) 내에 혈액을 채취함으로써, 약제의 첨가 작업을 별도 행하지 않고, 혈액으로의 약제의 첨가가 가능해진다.
혈액 채취기(10)를 이용하여, 모세관 현상이나 액체의 자중(自重)을 이용하여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로부터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 끝이나 귓불로부터 말초혈을 채취하는 경우는, 손 끝이나 귓불에 천자(穿刺)를 한 후, 나온 혈액에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를 접촉시킴으로써 모세관 현상이나 액체의 자중에 의해 혈액 채취기 내로 혈액이 유도되어, 혈액의 채취가 가능하다.
혈액의 채취에 있어서는, 상기 혈액 채취기의 혈액 채취량에는 제한이 없고, 사용하는 기기, 약제나 검사 항목 등의 목적에 따라 채취하는 혈액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면, 미량의 혈액을 임의의 양, 예를 들면 10μL~300μL까지의 임의의 양을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수용기(20)를 나타내고 있다. 수용기(20)는, 통 형상의 형상이며 혈액 채취기(10)가 삽입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진다. 바닥부에는, 혈액 채취기(10)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기(20)를 가진다. 수용부(21)는, 상단부 내경과 하단부 내경이 대략 동일한 통 형상의 형상이어도, 또한, 혈액 채취기(10)의 끝 부분에 맞춰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경이 작아지고 있는 형상이어도 된다. 수용기(20)는, 상부 외측에, 손톱 형상의 돌기부를 가지는 걸림부(22) 및 나사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부와 나사부는, 수용기(20)의 상단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종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수용기(20)의 상부 내측에는, 추가로 볼록부(24)를 가져도 된다. 볼록부(24)는,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위치에 2개 배치된다. 수용기(20)는, 또한, 밀폐 덮개와 수용기를 나사 결합할 때의 과도한 비틀어 넣기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25)를 외측에 가지고 있어도 된다. 스토퍼(25)는, 외주부에 덮도록 배치 되어도 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심선에 대하여 각각 반대의 위치가 되도록 2개 배치되어도 된다. 스토퍼의 길이 또는 크기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달성하면, 돌기물과 같은 작은 것이어도 된다.
수용기(20)는, 그 재질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지만, 혈액 채취기의 수용에 있어서의 조작성이나 파지성, 수송 등을 고려하면 투명도가 높은 경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기는, 가공성·조작성 등의 점에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등의 고분자 화합물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밀폐 덮개(30)를 나타내고 있다. 밀폐 덮개(30)는, 캡 피스톤 형상을 가진다. 밀폐 덮개의 내측 상면으로부터는 심봉부(31)가 연장되고 있다. 심봉부의 상단부는 개구되어 있어도 닫혀 있어도 된다. 심봉부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이 없고, 밀폐 덮개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근본 부분과 선단 부분의 직경이 대략 동일한 통 형상의 형상이어도, 혹은, 근본 부분의 직경이 선단 부분의 직경에 비해 크게 되어 있는 단차 형상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후자이다. 후자의 경우, 채혈 후에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 내에 수용한 상태로, 심봉부의 근본 부분을 혈액 채취기의 상부 내측과 밀착시킴과 함께, 심봉부의 선단부가 혈액 채취기 내에 강하게 밀어넣을 수 있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밀폐 덮개의 내측 측면에는, 돌기부(32) 및 나사부(33)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32)와 나사부(33)는 밀폐 덮개의 상단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종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밀폐 덮개는, 그 재질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지만, 조작자에 의한 파지성이나 수송 등을 고려하면 투명도가 높은 경질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 덮개는, 가공성·조작성 등의 점에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고분자 화합물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기(20) 내에 혈액 채취기(10)가 수납되어 밀폐 덮개(30)가 세팅된 한묶음의 상태인 혈액 채취 전의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의 조립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혈액 채취 전의 혈액 채취 기구(100)는,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하고, 혈액 채취기(10)가 수용기(20) 내에 느슨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로 밀폐 덮개(30)를 수용기(20)에 느슨하게 끼움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혈액 채취기의 상부 외측에 볼록부(13) 및 오목부(14)를, 수용기의 상부 내측에 볼록부(24)를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하면, 혈액 채취기의 볼록부(13)가 수용기의 볼록부(14)에 부딪혀, 혈액 채취기가 과도하게 수용기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에 느슨하게 끼울 수 있다.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 후, 수용기(20)의 나사부(23)와 밀폐 덮개(30)의 나사부(33)를, 혹은 걸림부(22)와 돌기부(32)를 위치 맞춤하여, 밀폐 덮개(30)를 수용기(20)에 끼우면, 밀폐 덮개 내측의 돌기부(32)가 수용기 외측의 걸림부(22)에 부딪힌다. 또한 밀폐 덮개를 압입하면, 밀폐 덮개 내측의 나사부(33)가 수용기 외측의 나사부(23)와 충돌하여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밀폐 덮개가 더 이상 압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돌기부(32)와 걸림부(22)는 서로 걸어맞춰져 있으므로, 밀폐 덮개의 빠짐 방지의 역할을 하고,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가, 서로 느슨하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밀폐 덮개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심봉부(31)는, 혈액 채취기(10)의 내부 공간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밀폐 덮개의 누락이 없고, 혈액 채취기, 수용기, 밀폐 덮개의 각각이 느슨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혈액 채취 전의 혈액 채취 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로 합쳐져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는, 혈액 채취 전에는, 혈액 채취기(10)와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의 3개가 분리된 상태로 놓여 있어도 되고, 그것도 본 발명의 혈액 채취기 도구에 포함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의 부품이 고정 가능한 케이스 등에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혈액의 채취에 대하여 설명한다. 혈액의 채취는, 상기의 혈액 채취 전의 혈액 채취 기구(100)로부터, 혈액 채취기(10)를 취출하거나, 혹은, 각각의 부품이 분리되어 케이스에 보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채취기(10)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하여, 선단부를 혈액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8을 이용하여, 혈액 채취기(10)에 의한 혈액 채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혈액 채취기(10)와 수용기(20)를 조합한 경우의 혈액의 채취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혈액 채취기(10)만을 이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혈액 채취기(10)를 이용한 혈액의 채취는, 혈액 채취기의 상부 개구부의 외주를 손가락으로 집어 하부 개구부를 혈액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혹은,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혈액 채취기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로 혈액 채취기의 상단부를 수용기의 상단부에 감합함으로써, 혈액 채취기(10)와 수용기(20)로 이루어지는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채혈 도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채혈 도구에 있어서는, 수용기의 외주를 손가락으로 집어 하부 개구부를 혈액에 접촉시킴으로써 채혈을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취급하기 쉽다.
혈액의 채취를 행하는 때에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혈액 채취기(10)의 선단부를 혈액(1)에 접촉시킴으로써, 모세관 현상이나 액체의 자중에 의한 혈액 흡인이 개시되어, 혈액 유지부(11)에 혈액이 흡인·충전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혈액 채취기(10)를 수평으로 기울이고 있는데, 이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보다 많은 양의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그러나, 목적량의 혈액을 채취 가능한 경우에는,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여 채취되는 혈액은, 바람직하게는 말초 혈액이다.
채취하는 혈액의 양은, 목적으로 하는 검사, 측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그에 따라 혈액 유지부(11)의 길이 및 직경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채취하는 혈액의 양은, 10μL~300μL, 바람직하게는 10μL~200μL, 더 바람직하게는 50μL~100μL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혈액 채취기에, 특정 양의 혈액이 채취된 것을 나타내는 가이드선을 구비함으로써, 특정 양의 혈액의 채취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채취한 혈액은, 혈액 유지부(11) 내에 유지된다. 혈액 유지부(11)의 내부의 중공 구조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이 테이퍼 형상에 의해 하부로부터의 혈액 채취 시에 모세관 현상에 더해 액체의 자중을 유발함으로써 혈액의 흡인이 양호해진다. 혈액 유지부(11)는, 모세관 현상 및 액체의 자중의 기능을 가지고, 상부로부터의 혈액 회수가 가능한 직경이면, 외형, 내형, 소재는 따지지 않지만, 내면에 친수성의 또는 친수성 처리되어 있는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모세관 현상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혈액을 채취 후,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 내에 삽입한다. 혈액 채취 후에는, 혈액 채취기를 수용기 내에 강하게 압입함으로써, 혈액 채취기의 하부가 수용기의 수용부(21) 내에 끼워 넣어짐과 함께, 혈액 채취기의 상부가 수용기의 상부 내측에 감합된다. 수용부(21)가, 상단부 내경과 하단부 내경이 대략 동일한 통 형상의 형상인 경우에는, 수용부(21)의 상단 근방부와 혈액 채취기(10)의 하부의 일부가 밀착되어 감합되면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밀착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수용부(21)의 상단 근방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혈액 채취기(10)의 하부의 외주(15)를 구배가 없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혈액 채취기의 상부 외측에 볼록부(13) 및 오목부(14)가, 수용기의 상부 내측에 볼록부(24)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 내에 삽입히여 강하게 압입함으로써, 오목부(14)와 볼록부(24)가 감합된다. 이어서, 밀폐 덮개(30)를 끼우고, 추가로 비틀어 넣는다. 이 상태에서,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가 수용부(21)에 의해 완전히 막히고, 한편 상부 개구부는 밀폐 덮개의 심봉부(31)에 의해 완전히 막혀, 혈액을 혈액 유지부에 유지한 혈액 채취기가 완전히 밀폐된다. 이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를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혈액 채취 후의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 내에 강하게 압입하지 않아도, 밀폐 덮개(30)를 끼워 더 비틀어 넣음으로써, 혈액 채취기의 하부가 수용기의 수용부(21) 내에 끼워 넣어짐과 함께 혈액 채취기의 상부가 수용기의 상부 내측에 감합되고, 또한,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가 수용부(21)에 의해 그리고 상부 개구부는 밀폐 덮개의 심봉부에 의해 완전히 막혀, 혈액을 혈액 유지부에 유지한 혈액 채취기가 완전히 밀폐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혈액 채취 기구(100)의 제 2 양태의 혈액 채취기(10) 및 수용기(20)를 나타낸 도이다. 제 2 양태에서는, 혈액 채취기(10)는, 그 상부에 U자형 돌기부(16)를 가지고, 한편, 수용기(20)는, 그 상부에 돌기부(16)와 감합되는 U자형 슬릿부(26)를 가진다. U자형 돌기부(16) 및 U자형 슬릿부(26)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2개씩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혈액 채취 전의 혈액 채취 기구(100)에 있어서, U자형 돌기부(16)의 일부와 U자형 슬릿부(26)의 일부가 걸어맞춰져, 혈액 채취기와 수용기가 느슨하게 고정되는 것을 돕는다. 그리고, 혈액 채취 후의 혈액 채취 기구(100)에 있어서, U자형 돌기부(16)와 U자형 슬릿부(26)가 걸어맞춰져, 혈액 채취기와 수용기가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을 돕는다.
제 2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에 있어서는, 혈액의 채취는,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로부터 취출하고, 반대로 하여, 혈액 채취기(10)의 U자형 돌기부를 수용기(20)의 U자형 슬릿부에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U자형의 돌기부의 일부와 U자형의 슬릿부의 일부가 서로 감합된 채혈 도구를 만들 수 있다. 혈액 채취기(10)와 수용기(20)가 조합된 채혈 도구는, 파지하기 쉬워 보다 용이한 조작으로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단, 제 2 양태의 혈액 채취 기구(100)에 있어서, 혈액 채취기(10)만을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있어서의 혈액 채취 기구(100)의 제 3 양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양태에 있어서는, 수용기(20)의 수용부(21)의 바닥면에, 혈액 채취기(10)의 하부 개구부의 직경에 맞춘 돌기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채혈 전의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혈액 채취기(10)가 수용기(20)에 삽입되어 느슨하게 고정되어, 수용기(20)와 밀폐 덮개(30)가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혈액 채취기(10)의 하부 개구부는 돌기부와는 밀착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채혈 전에, 하나로 합쳐진 상태로 보관하고 수송을 실시해도, 돌기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채혈 후, 수용기(20)에 혈액 채취 기구(10)를 삽입하여 밀폐 덮개(30)를 끼워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는, 돌기부(27)는 혈액 채취기(10)의 하부 개구부에 삽입되어 하부 개구부가 돌기부(27)와 밀착된다. 그 결과, 보다 양호한 밀폐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혈액이 든 혈액 채취기가 수용기에 삽입된 상태로 보존 및/또는 수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혈액 채취기가 수용기에 삽입된 상태로 원심 분리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 중에 혈액이 유지된 상태로 원심 분리하여, 혈청 또는 혈장과, 혈구로 분리할 수 있으며, 그대로 보존 및/또는 수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는, 원심 분리 조작을 행한 후에, 밀폐 덮개를 개구하여, 얻어진 상청(혈청 또는 혈장)을 채취 수단(예를 들면, 마이크로 피펫)에 의해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는, 혈액을 채취한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하고 밀폐 덮개(30)를 끼워 나사 체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혈액은 밀폐되며, 대기압하뿐만 아니라, 음압하에서도 충분한 밀폐를 달성한다. 또한, 이 상태로, 보관 또는 수송이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원심 분리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는, 혈액의 채취 조건에 맞춰, 미리 수용부(21)에 약제를 첨가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혈액을 채취한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하여 압입하거나, 혹은, 혈액을 채취한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하여 밀폐 덮개를 끼워 나사 고정하면, 약제(29)가 혈액 채취기 내로 흘러 들어 온 후에 혈액 채취기의 선단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약제의 첨가 작업을 별도 행하지 않고, 약제가 첨가된 혈액을 조제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수용부(21)에 약제(29)가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에 록 기구(28)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 기구를 마련함으로써, 혈액 채취기(10)의 선단부를 수용기(20)의 수용부(21) 내에 삽입할 때에, 약제의 수용기 내로의 누설을 방지함과 함께 혈액 채취기 내로의 약제의 유입을 충분하게 할 수 있다.
약제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분리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용할 수 있는 분리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리콘, α-올레핀-말레산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염소화 폴리부텐, 시클로펜타디엔 수지, 또는, 시클로펜타디엔 수지에 수산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및 에폭시기 등을 도입한 변성 시클로펜타디엔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는, 혈액의 채취 조건에 맞춰, 미리 혈액 채취기(10)의 내벽, 바람직하게는 혈액 유지부(11)의 내벽에 약제를 도포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도포할 수 있는 약제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항응고제, 응고 촉진제, 해당(解糖)저지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항응고제는, 혈장의 채취를 목적으로 하였을 때에 첨가해 두는 것으로 생각되며, 응고 촉진제는, 혈청 채취 시에 응고 시간의 단축을 목적으로 하여 첨가해 두는 것으로 생각되며, 해당저지제는, 적혈구 등의 세포가 존재하는 경우에 혈액 중의 글루코오스를 소비하고, 이들의 해당을 저지하기 위해 첨가해 두는 것으로 생각된다.
혈액 채취기(10)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면, 혈액이 내벽에 도포된 약제와 접촉하여 약제가 혈액 중에 확산된다. 약제와 혈액의 혼화를 촉진하기 위해, 혈액 채취기(10)를 수용기(20)에 삽입하여 밀폐 덮개(30)를 나사 고정한 후, 전도 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 혼화의 횟수는, 혼화가 충분히 달성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수회, 바람직하게는 5회 이상 행한다. 내벽에 약제를 도포함으로써, 채혈 후에 약제의 첨가 작업을 별도 행하지 않고, 약제가 첨가된 혈액을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응고제를 첨가한 양태에 있어서는, 항응고제에 의해 혈구의 응고가 저해되기 때문에, 원심 분리에 의한 혈장과 혈구의 분리를 행하지 않아도, 채혈 직후의 상태로 보관 또는 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심 분리를 행하여, 혈장과 혈구를 분리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용할 수 있는 항응고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4 아세트산(EDTA)의 알칼리 금속염, 헤파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구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응고 촉진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 미립자, 트롬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해당저지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불화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100)에 있어서는, 채취한 혈액에 영향이 없는 한, 수용기(20)나 밀폐 덮개(30)에 혈액 채취 기구(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개개의 혈액 채취 기구(100)를 식별하기 위해 ID를 프린트한 시일이나 ID를 기초로 제작된 1차원 바코드 등을 수용기(20) 또는 밀폐 덮개(30)에 부착해 둠으로써, 채혈 후 또는 채혈 전에 혈액 채취 기구(100)에 대하여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면, 손 끝이나 귓불 등으로부터 채취한 미량의 말초 혈액이어도, 혈액 분석에 적합한 양호한 혈액을 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혈액은, 희석하여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채혈관 등으로 채혈한 상완 정맥혈의 분석에 이용하고 있는 관용의 프로토콜이나 발명자들이 보고한 방법 등(예를 들면, 이와사와 하지메 등, 신규 채혈용 도구에 의해 채취한 손가락 끝 미량혈과 통상의 정맥혈을 시료로 하는 혈액 검사값의 상관에 대하여, 임상 병리 2017; 65(3):252-259., 및, Shihoko Namba et al., A New Hepatitis Virus Test with Microliter-scale Fingertip Blood Collection in Japan, Acta Med. Okayama 208;72(3):283-287 참조)을 이용하여, 또한, 기존의 분석 장치로 분석할 수 있다. 즉, 손 끝이나 귓불 등으로부터 채취한 미량의 말초 혈액을 이용하여, 종래와 마찬가지의 혈액 분석을 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전혈 60μL를 손 끝으로부터 채취하고,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여 혈청 또는 혈장을 조제한 경우, 약 30μL의 혈청 또는 혈장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을 희석 완충액(예를 들면, 생리 식염수)로 10배로 희석하면, 300μL의 혈액 시료를 조제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통상의, 혈액의 생화학 분석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또한, 손 끝 또는 귓불 등으로부터 채취한 미량(예를 들면, 300μ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μ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μL 이하)의 말초 혈액을 이용하여, 혈액 분석을 행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혈액 채취 기구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혈액 채취 기구를 이용하여 채취한 혈액은, 혈액 검사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일반의 생화학 항목 및/또는 면역 항목의 검사, 이른바, 혈액 생화학 검사에 더해, 암 마커나 알레르기와 같은 특수 검사 항목에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기재는, 본 발명의 목적 및 대상을 단순히 설명하는 것이며, 첨부의 특허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의 특허 청구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기재된 실시 양태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치환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교시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1. 혈액
10. 혈액 채취기
11. 혈액 유지부
12. 혈액 채취기 상부
13. 혈액 채취기 볼록부
14. 혈액 채취기 오목부
15. 혈액 채취기 하부 외주
16. U자 돌기부
20. 수용기
21. 수용부
22. 걸림부
23. 나사부
26. U자 슬릿부
27. 돌기부
28. 록 기구
29. 약제
30. 밀폐 덮개
31. 심봉부
32. 돌기부
33. 나사부
100. 혈액 채취 기구

Claims (13)

  1. 혈액을 흡인하여 유지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피펫 팁 형상의 혈액 채취기와,
    상기 혈액 채취기를 수용 가능한 통 형상의 수용기와,
    상기 수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캡 피스톤 형상의 밀폐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은, 하부 개구부 및 상부 개구부가 연락하고, 혈액 유지부를 구성하는 당해 내부 공간의 하부는 상부 개구부로부터 하부 개구부를 향해 가늘어지며, 그리고, 하부 개구부를 혈액에 접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혈액을 내부 공간에 흡인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기는, 상기 혈액 채취기가 삽입 가능한 내부 공간, 바닥부에 상기 혈액 채취기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부를 가지고, 또한, 수용기의 상부 외측에는, 손톱 형상의 돌기부를 가지는 걸림부 및 나사부가 마련되며, 당해 걸림부와 당해 나사부는 수용기 위에서부터 그 순서대로 종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덮개는, 밀폐 덮개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기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심봉부를 구비하고, 또한, 밀폐 덮개의 내측 측면에 상기 수용기의 걸림부의 돌기부와 걸어맞춰지는 돌기부와 상기 수용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부가 마련되며, 당해 돌기부와 당해 나사부는 밀폐 덮개 위에서로부터 그 순서대로 종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혈액 채취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걸림부와 나사부, 및 상기 밀폐 덮개의 돌기부와 나사부는, 상기 수용기의 상단부에 상기 밀폐 덮개를 장착하면, 상기 밀폐 덮개의 나사부와 상기 수용기의 나사부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밀폐 덮개가 더 이상 상기 수용기를 밀폐 덮개에 끼워 넣을 수 없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상기 걸림부의 돌기부는 밀폐 덮개의 돌기부와 걸어맞춰져 밀폐 덮개의 빠짐 방지가 되어, 상기 밀폐 덮개는 상기 수용기의 상단부에 느슨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혈액 채취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혈액을 채취한 혈액 채취기를 상기 수용기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밀폐 덮개를 상기 수용기의 상부에 끼워 넣고 이어서 상기 밀폐 덮개의 나사부와 상기 수용기의 나사부를 나사 결합하면, 상기 혈액 채취기의 선단부가 상기 수용기의 수용부 내에 더 끼워 삽입되고, 또한 밀폐 덮개의 상기 심봉부가 혈액 채취기의 상부 개구부에 삽입되어 혈액 채취기의 상부 개구부 및 하부 개구부가 막혀짐과 함께, 혈액을 유지한 혈액 채취기가 삽입된 수용기가 밀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혈액 채취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부와 나사부, 및 상기 밀폐 덮개에 구비된 돌기부와 나사부가, 각각 2개씩 배치되어 있는 혈액 채취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기가 그 상부에 U자형의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기가 그 상부에 상기 U자형의 돌기부와 감합되는 U자형의 슬릿부를 가지는 혈액 채취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액 유지부를 구성하는 상기 혈액 채취기의 내부 공간의 하부는, 그 내벽이 친수성 처리되어 있는 혈액 채취 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기의 친수성 처리가, 에칭 또는 불소 처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혈액 채취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가, 내경이, 0.5㎜ 이상 1.0㎜ 미만의 개구부인 혈액 채취 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수용부의 바닥면에, 상기 혈액 채취기의 하부 개구부에 끼워 넣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혈액 채취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기의 수용부에 약제가 들어가 있는 혈액 채취 기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분리제인 혈액 채취 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채취기의 혈액 유지부의 내벽에 약제가 도포되어 있는 혈액 채취 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항응고제, 응고 촉진제 및 해당저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인 혈액 채취 기구.
KR1020197033683A 2018-08-30 2019-06-11 혈액 채취 기구 KR1022896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1403 2018-08-30
JP2018161403A JP6444560B1 (ja) 2018-08-30 2018-08-30 血液採取器具
PCT/JP2019/023139 WO2020044722A1 (ja) 2018-08-30 2019-06-11 血液採取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181A KR20200026181A (ko) 2020-03-10
KR102289674B1 true KR102289674B1 (ko) 2021-08-13

Family

ID=6489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683A KR102289674B1 (ko) 2018-08-30 2019-06-11 혈액 채취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22706B2 (ko)
EP (1) EP3644057B1 (ko)
JP (1) JP6444560B1 (ko)
KR (1) KR102289674B1 (ko)
CN (1) CN111133311B (ko)
SG (1) SG11201910487QA (ko)
WO (1) WO2020044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0855B2 (ja) * 2020-02-28 2023-03-0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230856B2 (ja) * 2020-02-28 2023-03-0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230854B2 (ja) * 2020-02-28 2023-03-0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230858B2 (ja) * 2020-02-28 2023-03-0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7230859B2 (ja) * 2020-02-28 2023-03-0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2041A1 (ja) 2005-06-08 2006-12-14 Nipro Corporation 検体採取液容器
JP2009042081A (ja) 2007-08-09 2009-02-26 Mizuho Medy Co Ltd 試料抽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79870C (nl) * 1974-08-16 1986-12-01 Sarstedt Kunststoff Vat voor het afnemen van bloed met een capillair mondstuk.
JP4007639B2 (ja) 1997-05-19 2007-11-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下水返流水の処理方法と装置
KR101759995B1 (ko) * 2008-10-31 2017-07-31 바이오메리욱스, 인코포레이티드. 미생물의 분리, 특성규명 및/또는 동정에 사용하기 위한 분리 장치
JP6704851B2 (ja) * 2014-01-20 2020-06-03 アボゲ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サンプル収集のためのデバイス、溶液、および方法
WO2016073832A1 (en) * 2014-11-07 2016-05-12 Theranos, Inc. Improved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ixing fluids
US10730043B2 (en) 2015-03-17 2020-08-04 Micro Blood Science Inc. Sample collection and separation device
DE102016002588A1 (de) * 2016-03-03 2017-09-07 Kathrein-Werke Kg Mobilfunkantenne
ITUA20161845A1 (it) * 2016-03-21 2017-09-21 Kaltek S R L Dispositivo di contenimento per campioni biologici
JP6104440B1 (ja) 2016-08-17 2017-03-29 株式会社エム・ビー・エス 血液採取器及び血液収容器を含む血液採取器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2041A1 (ja) 2005-06-08 2006-12-14 Nipro Corporation 検体採取液容器
JP2009042081A (ja) 2007-08-09 2009-02-26 Mizuho Medy Co Ltd 試料抽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22706B2 (en) 2023-04-11
KR20200026181A (ko) 2020-03-10
WO2020044722A1 (ja) 2020-03-05
SG11201910487QA (en) 2020-04-29
US20220257156A1 (en) 2022-08-18
EP3644057A1 (en) 2020-04-29
JP6444560B1 (ja) 2018-12-26
EP3644057B1 (en) 2021-08-11
CN111133311A (zh) 2020-05-08
EP3644057A4 (en) 2021-01-27
JP2020034427A (ja) 2020-03-05
CN111133311B (zh)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674B1 (ko) 혈액 채취 기구
JP6104480B2 (ja) 試料採取分離器具
KR100617443B1 (ko) 시료 방출구를 갖춘 일회용 시험약병
US6203503B1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EP0901823A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6104440B1 (ja) 血液採取器及び血液収容器を含む血液採取器具
JP5318746B2 (ja) 採集容器アッセンブリ
WO2019107509A1 (ja) 血液検査用容器
US5924594A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4647730B2 (ja) 採集容器アッセンブリ
US5948365A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US5975343A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EP0901822A2 (en) Collection container assembly
JP2024510424A (ja) 少量収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