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583A -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583A
KR20230167583A KR1020220067603A KR20220067603A KR20230167583A KR 20230167583 A KR20230167583 A KR 20230167583A KR 1020220067603 A KR1020220067603 A KR 1020220067603A KR 20220067603 A KR20220067603 A KR 20220067603A KR 20230167583 A KR20230167583 A KR 2023016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gent container
reagent
fitting
test ki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유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호 filed Critical 유진호
Priority to KR102022006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583A/ko
Publication of KR2023016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5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체인 콧물의 채취시 통증을 줄이고, 채취봉 및 시약통의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후 처리가 용이한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스트기, 멸균면봉, 시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멸균면봉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도록 소정 외경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중공되어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비강 내벽의 분비물을 채취하는 솜뭉치로 이루어진 채취부와; 상기 튜브부의 타단 외측에는 상기 시약통에 상기 채취부와 상기 튜브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약통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시약통의 입구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약통의 입구에 끼워지는 끼움고정부와;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내측면 일부분이 일정 거리 만큼 돌출되어 상기 분비물이 섞인 상기 시약통의 시약이 상기 튜브부의 유로를 지나 배출될 때 흘리지 않고 상기 테스트기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SELF TEST KIT FOR DETECTING VIRUS}
본 발명은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 등 호흡기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를 자가 검사하기 위해 검체인 콧물의 채취시 통증을 줄이고, 채취봉 및 시약통의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후 처리가 용이한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전염되어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며, 일단 감염되어 코로나 확진되면 인후통,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거쳐 심한 경우 폐렴으로 발전하여 사망하게 된다.
이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염속도를 차단하기 위해 확진검사를 통해 코로나 확진환자를 발견하고 비확진환자와 격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확진검사는 실제 감염이 이루어지는 비강이나 구강의 내벽 점막으로부터 채취봉에 의해 검체인 분비물을 채취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루어지는데, RT-PCR 검사와 자가진단 키트에 의한 방법이 있다.
RT-PCR 검사는 기관에서 검사하는 것으로 검사 정확도가 높고 장시간이 걸리는 반면, 자가검사 키트는 피검사자가 스스로 간편하게 검사하는 것으로 검사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나 15분여 만에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자가검사 키트는 검사의 간편함과 단시간에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RT-PCR 검사 이전에 사전 검사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자가검사 키트는 테스트기, 멸균면봉, 시약통, 노즐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검사자는 채취봉인 멸균면봉을 콧구멍으로 깊숙히 집어넣고 내벽 점막을 문질러 분비물을 채취한 다음, 멸균면봉을 시약통에 넣어 분비물이 시약과 잘 섞이도록 저어준다. 시약통을 눌러 멸균면봉을 짠 다음 멸균면봉을 시약통으로부터 분리한다. 시약이 흐르지 않도록 시약통 입구를 노즐캡으로 닫은 뒤, 테스트기에 시약을 몇 방울 떨어트리고 15분여 후에 테스트기를 확인하여 감염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가검사 키트는 멸균면봉이 가느다란 막대 끝에 솜뭉치가 붙어 있는 구조로, 멸균면봉에 의한 분비물 채취시 솜뭉치가 내벽 점막에 가압밀착된 상태에서 막대를 다수 번 휘저으면 솜뭉치가 내벽 점막의 내주면을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민감한 비강의 내벽에 송뭉치가 국부적으로 밀착되어 상당한 통증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솜뭉치가 국부적으로 비강 내벽에 접촉되기 때문에, 충분한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해 멸균면봉을 다수 번에 걸쳐 휘저어야 되는 불편함과 이로 인한 통증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멸균면봉에 채취된 분비물을 시약통에 넣어 시약과 잘 섞이도록 한 다음 멸균면봉을 짜서 시약통으로 분리하여 별도의 배출봉지에 넣어서 처리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멸균면봉을 짜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송뭉치로부터 시약이 뚝뚝 떨어져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종래의 멸균면봉에는 콧구멍으로 얼마나 집어넣어야 되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면에 표시가 되어 있으나, 이는 성인기준으로 표시된 것으로 피검사자가 영/유아 또는 유소년인 경우에는 멸균면봉을 표시된 부분까지 넣을 수 없는 것이어서 검사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4712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470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면봉의 구조를 개선하여 비강 내벽과의 접촉면적을 늘려 분비물의 채취가 용이하고, 분비물 채취량을 늘릴 수 있으며, 접촉압력을 분산시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멸균면봉을 시약통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시약을 테스트기에 떨어트려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과정이 간편하고 청결한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는 테스트기, 멸균면봉, 시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멸균면봉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도록 소정 외경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중공되어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비강 내벽의 분비물을 채취하는 솜뭉치로 이루어진 채취부와; 상기 튜브부의 타단 외측에는 상기 시약통에 상기 채취부와 상기 튜브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약통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시약통의 입구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약통의 입구에 끼워지는 끼움고정부와;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내측면 일부분이 일정 거리 만큼 돌출되어 상기 분비물이 섞인 상기 시약통의 시약이 상기 튜브부의 유로를 지나 배출될 때 흘리지 않고 상기 테스트기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소정 메시로 이루어지며 일정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메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시부의 외면에 상기 채취부가 구비된다.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피검사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고정부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플랜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부의 외면에는 상기 멸균면봉이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는 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이 표시된 눈금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중앙이 관통되고, 일측은 상기 끼움고정부의 내측에 끼워지며, 타측은 내경이 점점 작아지게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튜브부의 유로를 지나 배출되는 시약을 안내하는 노즐이 형성된 노즐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노즐캡의 일측과 상기 끼움고정부의 외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멸균면봉의 채취부에 의해 분비물의 채취시 비강 내벽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통증을 감소시키고 용이하게 분비물을 채취할 수 있으며, 메시형의 채취부에 의해 호흡시 비강내의 공기가 멸균면봉의 중공된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므로 분비물 이외에 공기중의 바이러스도 채취할 수 있어 채취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면봉의 상대적으로 큰 외경의 플랜지를 파지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멸균면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분비물을 채취한 멸균면봉을 시약통과 따로 분리하여 후처리하지 않고 시약통에 인입한 상태에서 분비물이 섞인 시약을 테스트기에 배출할 수 있고, 결합된 상태로 후처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멸균면봉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채취부와 메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면,
도 4는 도 1에서 시약통과 멸균면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멸균면봉에 노즐캡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멸균면봉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채취부와 메시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시약통과 멸균면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서 멸균면봉에 노즐캡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는 테스트기(100), 멸균면봉(200), 시약통(300) 및 노즐캡(400)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자가검사 키트에서 멸균면봉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상의 편의와 제조공정 간소화 및 후처리가 쉽도록 한 것이다.
또한, 노즐캡(40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시약통(300)의 시약을 테스트기(100)에 안전하게 떨어트릴 수가 있는 것으로 노즐캡(400)의 구성이 제외될 수 있어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멸균면봉(200)은 중앙부가 중공되어 유로(211)가 형성된 튜브부(210)와, 튜브부(210)의 일단에 구비된 채취부(220)와, 튜브부(210)의 타단에 구비되어 시약통(300)에 튜브부(210)가 인입될 때 끼움고정되는 끼움고정부(230)와, 끼움고정부(230)에서 돌출되어 시약통(300)의 시약이 튜브부(210)의 유로를 지나 배출될 때 흘리지 않고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240)로 이루어져 있다.
튜브부(210)는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어 내벽의 분비물을 채취할 수 있도록 소정 외경으로 형성되고 충분한 길이를 가진 원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또한, 튜브부(210)가 시약통(300)에 인입될 때 시약통(300)의 내면과 튜브부(210)의 외면과의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튜브부(210)와 시약통(300)은 적정 외경과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시약통(300)을 기울일 때, 분비물이 섞인 시약이 튜브부(210)의 선단 유로(211) 입구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튜브부(210)는 채취부(220)로부터 끼움고정부(230)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도록 하여 피검사자의 콧구멍과 시약통(300)으로의 인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약통(300)에 인입된 상태에서 채취부(220) 주위 부분이 시약통(300)의 내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시약이 적정량 담길 공간 및 시약과 분비물이 섞일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튜브부(210)의 외면에는 멸균면봉(200)이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는 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이 표시된 눈금표시부(212)가 구비되어 있다.
눈금표시부(212)는 영/유아의 경우 인입되는 깊이, 유소년의 경우 인입되는 깊이, 성인의 경우 인입되는 깊이가 각각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채취부(220)는 비강 내벽의 분비물을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흡습성이 좋은 솜뭉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튜브부(210)의 일단에 소정 메시(mesh)로 이루어진 메시부(250)가 더 구비되고, 채취부(220)인 솜뭉치가 메시부(250)의 외면에 구비된다.
메시부(250)는 일정 외경을 갖으며 선단은 볼록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외경은 피검사자의 비강 내벽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피검사자의 비강 내경에 상응하는 5~7mm로 형성되고, 길이는 10~1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메시부(250)는 원통형 외면 대부분이 비강 내벽에 면접촉됨으로써, 종래의 멸균면봉에 비해 접촉면적의 증가로 분비물 채취시 외력을 분산시켜 통증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메시부(250)는 외력에 의해 변형 및 복원이 쉽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인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부(250)의 탄성에 의해 비강 내벽과의 접촉시 탄성 변형으로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분비물의 채취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외력을 분산시켜 통증을 줄일 수가 있다.
끼움고정부(230)는 시약통(300)의 입구에 끼워져 고정되고 입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튜브부(210)의 끝단으로부터 시약통(300)의 입구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고정부(230)의 중간부분에는 외경이 확장된 플랜지(23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31)는 끼움고정부(230)가 시약통(300)의 입구에 인입될 때, 시약통(300) 입구 전면에 밀착되어 차폐능력을 향상시키고 끼움고정부(230)의 인입깊이를 결정하여 인입이 올바르게 되어 있는 지를 쉽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외경을 갖는 플랜지(231)는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멸균면봉(200)의 제어가 쉽고 분비물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안내홈부(240)는 끼움고정부(230)의 내측면인 내경의 일부분이 일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부(240)는 중앙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튜브부(210)의 유로(211)로부터 배출되는 시약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노즐캡(40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노즐캡(400)은 중앙이 관통되고 일측은 끼움고정부(230)의 내측에 끼워지고 타측은 내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연장된 노즐(41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캡(400)은 연결부재(500)에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노즐캡(400)이 구비된 경우에는 안내홈부(24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는 피검사자가 멸균면봉(200)을 사용하여 비강 내벽의 분비물을 채취하게 된다.
즉, 피검사자는 멸균면봉(200)의 끼움고정부(230)에 구비된 플랜지(231)를 파지한 상태에서 반대측인 채취부(220)가 비강 내벽에 도달할 때까지 콧구멍을 통해 멸균면봉(200)을 깊숙이 넣는다.
이때, 튜브부(210)의 외면에 표시된 눈금표시부(212)를 확인하여 피검사자가 영/유아, 유소년, 성인에 따라 해당 눈금표시부가 콧구멍의 입구에 도달될 때까지 멸균면봉(200)을 넣게 된다. 이에, 멸균면봉(200)을 피검사자인 영/유아, 유소년, 성인에 맞추어 손쉽게 적정 깊이만큼 넣을 수가 있다.
채취부(220)는 소정 외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메시부(250)의 외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비강 내벽에 국부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면적으로 접촉되어 압력을 분산시키기 때문에 통증이 완화된다. 또한, 접촉면적이 넓기 때문에 작은 움직임에도 분비물의 채취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메시부(250)는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고 복원되는 탄성력에 의해 분비물의 채취시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접촉면적을 늘려 압력분산을 돕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플랜지(231)는 끼움고정부(230)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끼움고정부(23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으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피검사자의 파지시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멸균면봉(200)을 회전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취부(220)에 분비물이 채취되면 시약통(300)에 멸균면봉(200)을 인입시킨다.
시약통(300)에 인입된 멸균면봉(200)은 끼움고정부(230)가 시약통(300) 입구 내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인입된 멸균면봉(200)의 채취부(220)는 시약통(300)에 저장된 시약에 잠기게 되는데, 시약통(300)을 흔들거나, 채취부(220)가 잠긴 시약통(300)의 끝부분을 외력으로 주물러 분비물과 시약을 섞는다. 이때, 분비물과 시약은 메시 형태의 메시부(250)를 여러번 지나면서 교반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분비물과 시약의 혼합이 보다 잘 이루어진다.
시약과 분비물을 섞는 과정에서 분비물이 섞인 시약은 메시부(250)를 통해 튜브부(210)의 유로(211)로 유입된다. 그리고, 시약통(300)을 기울이면 튜브부(210)의 유로(211)상에 있는 시약이 외부로 배출된다. 끼움고정부(230)에 구비된 안내홈부(240)에 의해 시약은 흘림이 없이 적정량이 배출된다.
한편, 노즐캡(400)이 구비된 경우에는 시약통(300)을 기울이기 전에 노즐캡(400)을 끼움고정부(230)에 끼워 고정시킨다. 그리고, 시약통(300)을 기울이고 시약통(300)의 외면을 가압하여 조이면 튜브부(210)의 유로(211)상에 있는 시약이 노즐캡(400)의 노즐(410)을 통해 방울져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시약을 테스트기(100)에 떨어트리고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시약을 배출한 이후, 시약통(300)은 멸균면봉(200)이 인입된 상태로 수거용 봉투에 담아 후처리를 하게 된다. 노즐캡(400)이 구비된 경우에는 시약통(300), 멸균면봉(200), 노즐캡(400)이 모두 결합된 상태로 후처리를 하게 된다.
종래에는 멸균면봉과 시약통을 따로 분리하여 배출하였으나,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후처리를 할 수가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테스트기 200 : 멸균면봉
210 : 튜브부 211 : 유로
212 : 눈금표시부 220 : 채취부
230 : 끼움고정부 231 : 플랜지
240 : 안내홈부 250 : 메시부
400 : 노즐캡 410 : 노즐
500 : 연결부재

Claims (3)

  1. 테스트기, 멸균면봉, 시약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에 있어서,
    상기 멸균면봉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도록 소정 외경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중공되어 유로가 형성된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비강 내벽의 분비물을 채취하는 솜뭉치로 이루어진 채취부와;
    상기 튜브부의 타단 외측에는 상기 시약통에 상기 채취부와 상기 튜브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약통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시약통의 입구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시약통의 입구에 끼워지는 끼움고정부와;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내측면 일부분이 일정 거리 만큼 돌출되어 상기 분비물이 섞인 상기 시약통의 시약이 상기 튜브부의 유로를 지나 배출될 때 흘리지 않고 상기 테스트기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의 일단에 소정 메시로 이루어지며 일정 외경을 갖는 원통형의 메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시부의 외면에 상기 채취부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피검사자의 손에 파지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고정부의 외경보다 확장된 외경을 갖는 플랜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부의 외면에는 상기 멸균면봉이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에 인입되는 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이 표시된 눈금표시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중앙이 관통되고, 일측은 상기 끼움고정부의 내측에 끼워지며, 타측은 내경이 점점 작아지게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튜브부의 유로를 지나 배출되는 시약을 안내하는 노즐이 형성된 노즐캡이 더 구비되고,
    상기 노즐캡의 일측과 상기 끼움고정부의 외측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KR1020220067603A 2022-06-02 2022-06-02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KR20230167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03A KR20230167583A (ko) 2022-06-02 2022-06-02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03A KR20230167583A (ko) 2022-06-02 2022-06-02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583A true KR20230167583A (ko) 2023-12-11

Family

ID=8916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603A KR20230167583A (ko) 2022-06-02 2022-06-02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5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705A (ko) 2020-07-29 2022-02-07 최영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KR20220047125A (ko) 2020-10-08 2022-04-15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705A (ko) 2020-07-29 2022-02-07 최영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KR20220047125A (ko) 2020-10-08 2022-04-15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검출용 디바이스와 검체 채집도구가 일체화된 진단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268B2 (en) Oral fluid collector
CA1274739A (en) Lavage device for obtaining a fluid specimen from a body cavity for disease diagnosis
KR20090031763A (ko) 일체로된 혈액 샘플링 및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2023001223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iratory secretion collection and analysis
CN208851525U (zh) 一种唾液采集装置
CN105675352A (zh) 一种泪液采集器
KR20230167583A (ko) 바이러스 자가검사 키트
KR20220008457A (ko) 검체 채취용 면봉
CN208481356U (zh) 一种防感染采血器皿
AU2018231811B2 (en) Fluid collection unit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CN208988888U (zh) 女性生殖道分泌物便捷检测装置
JP4609252B2 (ja) 検体採取液容器
JP2007159659A (ja) 採血用中空針
CN110200660A (zh) 一种唾液微生态标本精准采集仪
CN2938095Y (zh) 一次性尿液吸液化验器
CN205785930U (zh) 一种泪液采集器
KR20200142323A (ko) 위점액 채취장치
WO2023087171A1 (zh) 采检棒容置构件及包含其的离心管
CN219782539U (zh) 一种呼吸过滤器用保护套和呼吸过滤器
KR102518189B1 (ko) 비강체액 검체채취용구조물을 이용한 일체형 항원항체 검사키트
US3186236A (en) Capillary tube blood collector
CN218773903U (zh) 一种用于咽拭子的采样装置
TWM623797U (zh) 採檢棒容置構件及包含其的離心管
EP41158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and handling a saliva sample
CN210812855U (zh) 一种婴儿经口鼻吸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