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6248A -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 Google Patents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6248A
KR20220046248A KR1020200129431A KR20200129431A KR20220046248A KR 20220046248 A KR20220046248 A KR 20220046248A KR 1020200129431 A KR1020200129431 A KR 1020200129431A KR 20200129431 A KR20200129431 A KR 20200129431A KR 20220046248 A KR20220046248 A KR 2022004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griddle
present
circular
stick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707B1 (ko
Inventor
조기남
Original Assignee
조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남 filed Critical 조기남
Priority to KR102020012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7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griddle)에 관한 것이다.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은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몸체(11);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2a, 12b); 몸체(11)의 뒤쪽 면에 형성된 유도 블록(14); 및 유도 블록(1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위(15_1 내지 15_N)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A Non Stick Coating Type of a Griddle for Cooking Various Stuff}
본 발명은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griddle)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비점착 코팅 층을 가지면서 다양한 식재료의 조리가 가능한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에 관한 것이다.
두꺼운 철판 소재로 테두리가 없는 형태로 만들어져 과자, 팬케이크 또는 고기와 같은 음식을 굽는 방식으로 만드는 그리들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번호 10-1899249는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리들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조리 기기의 경우 조리 재료에 따라 조리 면에 눌러 붙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점착 코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번호 10-1856100은 논스틱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조리기기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다양한 조리 재료의 조리가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는 가정에서 또는 야외에서 사용될 수 있으면서 휴대 편리성에 의하여 예를 들어 캠핑용 또는 이와 유사한 야외 조리 기기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동시에 하나의 조리 기기에 의하여 고기, 야채, 어류 또는 이와 유사한 다양한 조리재료의 조리가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 또는 그리들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10-1899249(엘지전자 주식회사, 2018.09.14. 공고)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10-1856100(주식회사 이룸쿡, 2018.05.09. 공고) 논스틱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 휴대 편의성을 가지고, 비점착 코팅이 되어 다양한 식재료의 조리가 가능한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은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몸체;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 몸체의 뒤쪽 면에 형성된 유도 블록; 및 유도 블록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몸체는 알루미늄 계통의 소재가 되고, 유도 블록은 인덕션 가열을 위한 강자성체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몸체의 적어도 조리 면은 비점착 코팅이 되고, 조리 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은 예를 들어 캠핑용 또는 이와 유사한 야외 조리에 적합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정용 또는 전문 음식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은 감바스, 조개구이, 파스타, 볶음밥, 삼겹살 구이, 스테이크, 곱창구이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은 조리 후 접시와 같은 식기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은 예를 들어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같은 소재로 표면 코팅이 되고, 선택적으로 나이테 형상의 눌어붙음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조리 과정에서 타거나, 눌러 붙음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세척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은 다양한 열원에 의하여 조리가 가능하면서 선택적으로 인덕션 방식으로 작동되어 야외에서 화재 위험이 예방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의 구조적 특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은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몸체(11);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2a, 12b); 몸체(11)의 뒤쪽 면에 형성된 유도 블록(14); 및 유도 블록(1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위(15_1 내지 15_N)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그리들은 다양한 종류의 조리 재료를 다양한 열원으로 조리하는 조리기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구이를 위한 판, 볶음을 위한 판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조리를 위한 판 형태의 조리 기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그리들은 명칭에 관계없이 전체적인 구조 또는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조리기기를 포함한다.
몸체(11)는 조리 재료가 놓이는 조리 면과 열원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조리 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오목한 원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1)은 오목 렌즈 형상이 되거나, 중심 부분은 평면 원형이 되면서 중심 부분의 바깥쪽 부분은 반지름 방향으로 경사진 원형이 될 수 있다. 몸체(1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일체형이 될 수 있다. 몸체(11)는 전체적으로 타원, 다각형 또는 원과 다각형의 복합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몸체(11)에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2a, 12b)가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몸체(11)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몸체(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손잡이(12a, 12b)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2a, 12b)는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1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관통 홀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손잡이(12a, 12b)는 그리들을 열원에 위치시키거나, 조리가 된 이후 그리들을 내려놓거나 또는 보관을 위하여 고정 수단에 걸어두는 것과 같은 그리들의 취급을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몸체(11)의 조리 면에 유도 홈(13)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도 홈(13)은 조리 전에 몸체(11)에 수용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하거나, 조리 과정 또는 조리 몸체(11)에 남은 액체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유도 홈(13)은 몸체(11)가 테두리 또는 가장자리에 액체의 배출이 가능한 홈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몸체(11)를 유도 홈(13)의 방향으로 기울이면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도 홈(13)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손잡이(12a, 12b)의 원주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테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반타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몸체(11)의 한쪽 면은 조리 면이 되고, 다른 쪽 면은 가열 면이 될 수 있다. 가열 면에 열이 가해지는 열이 조리 면으로 전달되어 조리 재료가 조리될 수 있다. 몸체(11)가 조리 과정에서 열원 또는 열원 관련 설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유도 블록(14)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 블록(14)은 전체적으로 가열 면의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심이 몸체(11)의 중심과 일치하면서 예를 들어 1 내지 30 ㎜의 높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이 될 수 있다. 유도 블록(14)의 끝 부분은 원형의 접촉면(141)을 형성할 수 있고, 원형의 접촉면(141)의 중심 부분에 원형의 안정 부분(142)이 형성될 수 있고, 안정 부분(142)의 바깥쪽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홈(15_1 내지 15_N)이 형성될 수 있다. 안정 부분(142)의 원형 평면 형상이 되면서 중심이 몸체(11)의 무게 중심 또는 기하학적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안정 부분(142)은 인덕션 가열을 위한 강자성체 층의 형성된 부분 또는 인덕션 가열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몸체(11)가 열원 또는 열원 설비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홈(15_1 내지 15_N)은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네 개의 고정 홈(15_1 내지 15_4)이 안정 부분의 둘레를 따라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고정 홈(15_1 내지 15_4)은 안정 부분(142)의 둘레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다. 고정 홈(15_1 내지 15_4)은 조리 과정에서 몸체(11)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조리가 완료되어 몸체(11)가 접시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고정물의 표면에 몸체(11)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열원 설비에 각각의 고정 홈(15_1 내지 15_4)이 수용되는 거치대가 형성되는 경우 그리들은 조리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열원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은 고정 홈(15_1 내지 15_N)이 결합될 수 있는 그리들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들은 다양한 열원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무와 같은 천연소재, 가스, 숯, 전기 또는 이와 유사한 조리의 열원으로 사용되는 열원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또는 그리들은 인덕션 조리 용기가 될 수 있다. 인덕션 조리 용기가 되는 경우 몸체(11)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유도 블록(14)이 강자성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의 표면은 비점착 코팅이 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그리들의 구조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의 구조적 특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1)는 알루미늄 계통의 소재가 되고, 유도 블록(14)은 인덕션 가열을 위한 강자성체 층을 포함한다. 몸체(11)는 전체적으로 오목 렌즈, 접시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이 될 수 있고, 손잡이(12a, 12b)는 몸체(11)의 곡면 형상이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몸체(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도 홈(13)은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폭이 넓어지는 반 깔때기 형상이 될 수 있다. 유도 블록(14)은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도 블록(14)이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유도 블록(14) 또는 유도 블록(14)과 몸체(11)의 가열 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덕션 방식의 가열을 위한 강자성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유도 블록(14)이 독립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유도 블록(14)이 강자성체로 만들어지거나, 유도 블록(14)에 강자성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 층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블록(14)은 원형의 접촉 면(141)의 둘레 면에 다수 개의 원형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 부분(143)이 형성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원형 띠는 몸체(11)의 가열 면으로부터 점차로 높이가 증가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접촉 면(141)은 결합 부분(143)의 내부에 형성된 원형 홈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고정 홈(15_1 내지 15_N)의 각각은 상대적으로 작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안정 부분(142)의 바깥쪽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결합 부분(143)을 향하여 연장되면서 점차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유도 블록(14) 전체가 강자성체가 되거나, 적어도 접촉 면(141) 또는 안정 부분(142)이 강자성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가열을 위한 강자성체 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1)의 적어도 조리 면은 비점착 코팅이 되면서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가 형성된다. 조리 과정에서 눌러 붙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의 조리 면이 비점착 코팅이 될 수 있다. 비점착 코팅은 예를 들어 불소 수지 계통의 소재 또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와 같은 소재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몸체(11) 전체가 비점착 코팅이 되거나, 조리 면이 코팅이 될 수 있고, 코팅 층은 여러 번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처럼, 몸체(11) 전체에 대하여 1차 코팅 층(33)이 형성될 수 있고, 조리 면에 2차 코팅 층(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조리 면에 다수 코팅 층(33, 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조리 면에 다수 코팅 층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코팅 안정성 및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리 면에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가 전체적으로 나이테 형상을 이루면서 조리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인접하는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 사이에 분리 면(32)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는 반지름이 점차로 커지는 원형 띠 형상으로 서로 분리되어 몸체(11)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에 의하여 조리 재료가 부분적으로 조리 면에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눌러 붙음 방지 효과가 향상되면서 조리 재료의 균일한 가열이 유도되도록 한다.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는 비점착 코팅 층이 형성되기 전에 미리 몸체(11)의 조리 면에 형성되거나, 비점착 코팅이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수 층의 코팅 층(33, 34)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 블록(14)은 몸체(11)와 일체로 또는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결합될 수 있다. 유도 블록(14)에 강자성체 층(35)이 형성될 수 있고, 강자성체 층(35)은 유도 블록(14)에 용사 코팅이 되거나, 강자성체 판을 압착시키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강자성체 층(35)은 유도 블록(14)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블록(14)의 바닥 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일정 부분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안정 부분(도 1의 142)에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 층(35)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몸체(11)는 2 내지 8 ㎜의 두께(T)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3.5 내지 4.5 ㎜의 두께가 될 수 있고, 비점착 코팅 층의 두께는 조리 면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30 ㎛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연장되면서 불규칙적인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조리 재료의 부분적 밀착 방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는 다양한 높이를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조리 면의 조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홈(13)은 조리 면의 테두리 부분으로 갈수록 폭과 깊이가 증가하면서 양쪽 연장 부위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유도 홈(13)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몸체 12a, 12b: 손잡이
13: 유도 홈 14: 유도 블록
31_1 내지 31_K: 분리 돌기

Claims (3)

  1. 중심 부분을 기준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몸체(11);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2a, 12b);
    몸체(11)의 뒤쪽 면에 형성된 유도 블록(14); 및
    유도 블록(1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위(15_1 내지 15_N)를 포함하는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1)는 알루미늄 계통의 소재가 되고, 유도 블록(14)은 인덕션 가열을 위한 강자성체 층을 포함하는 비점착 코팅 구조의 그리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1)의 적어도 조리 면은 비점착 코팅이 되고, 조리 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된 다수 개의 원형 분리 돌기(31_1 내지 31_K)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착 코팅 구조의 그리들.
KR1020200129431A 2020-10-07 2020-10-07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KR10239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31A KR102391707B1 (ko) 2020-10-07 2020-10-07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31A KR102391707B1 (ko) 2020-10-07 2020-10-07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48A true KR20220046248A (ko) 2022-04-14
KR102391707B1 KR102391707B1 (ko) 2022-04-27

Family

ID=8121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431A KR102391707B1 (ko) 2020-10-07 2020-10-07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7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235A (ko) * 2005-05-26 2006-11-30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9468A (ko) * 2010-06-23 2011-12-29 손차호 주름판식 구이판
JP2012254249A (ja) * 2011-06-10 2012-12-27 Sunrise Sangyo Co Ltd 調理用プレート
JP3196620U (ja) * 2015-01-09 2015-03-26 寧波立羊真空器皿有限公司 電磁調理器具
KR101856100B1 (ko) 2017-09-29 2018-05-09 주식회사 이룸쿡 논스틱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9249B1 (ko) 2017-06-12 2018-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235A (ko) * 2005-05-26 2006-11-30 주식회사 나토얀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9468A (ko) * 2010-06-23 2011-12-29 손차호 주름판식 구이판
JP2012254249A (ja) * 2011-06-10 2012-12-27 Sunrise Sangyo Co Ltd 調理用プレート
JP3196620U (ja) * 2015-01-09 2015-03-26 寧波立羊真空器皿有限公司 電磁調理器具
KR101899249B1 (ko) 2017-06-12 2018-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856100B1 (ko) 2017-09-29 2018-05-09 주식회사 이룸쿡 논스틱 코팅층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et blog, https://blog.naver.com/dldyddl/222004622879 (posted on June 18, 20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707B1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031B1 (en) Multi-purpose cookware
KR200479454Y1 (ko) 스마트 언더렌지용 조리기구
JP2009500109A (ja) 調理のための重量調節可能な食品プレス器
US1505675A (en) Cooking utensil
US6196120B1 (en) Steamer insert, steamer assembly and method
US8955426B2 (en) Efficient reversible grill
US20070295224A1 (en) Reversible grill
US20220015569A1 (en) Dutch ovens having lids with integral griddles
US5685217A (en) Meatball cooking device
KR102391707B1 (ko) 비점착 코팅 구조의 다용도 그리들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US20150216357A1 (en) Microwavable Egg Scrambling Tray
KR102177414B1 (ko) 구이용 불판
KR101598457B1 (ko) 요리시 기름이 튀지 않고 배출되며 연기가 나지 않는 양면을 활용하는 그릴팬
US4565122A (en) Cooking utensil having chamber beneath perforated cooking surface
US20060090743A1 (en) Combined griddle, wok and grill cookware
US20230142557A1 (en) Device and kit for cooking with frame and insert
KR102485949B1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0494731Y1 (ko) 다용도 구이용 조리기구
KR200391295Y1 (ko) 구이판 겸용 전골 냄비
KR101251739B1 (ko) 구이판
KR101682909B1 (ko) 중앙부 개방이 가능한 솥뚜껑 구이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JP6491252B2 (ja) フライパン
KR20240037541A (ko) 맥반석구슬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