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363A -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363A
KR20220044363A KR1020227009054A KR20227009054A KR20220044363A KR 20220044363 A KR20220044363 A KR 20220044363A KR 1020227009054 A KR1020227009054 A KR 1020227009054A KR 20227009054 A KR20227009054 A KR 20227009054A KR 20220044363 A KR20220044363 A KR 2022004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age
vehicle member
application
applica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643B1 (ko
Inventor
슈헤이 마에자와
타스쿠 이치노헤
Original Assignee
데어 윈 쓰리 서비스 코., 엘티디.
엠에스엠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어 윈 쓰리 서비스 코., 엘티디., 엠에스엠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데어 윈 쓰리 서비스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3700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6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4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2Providing warrant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손상 보증 서비스를 받는 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차량용 부재 손상 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는,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신청 화면을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신청 화면 전송 수단과,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보증 신청 접수 수단과,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과,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 특정 수단과,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청 판단 수단과,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판단 결과 전송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차량의 부재가 손상되었을 때에, 그 손상이 보증 대상에 해당할 경우, 그 부재를 교환 또는 수리하는 보증 서비스가 있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가 손상되었을 때에, 그 손상이 보증 대상에 해당할 경우, 프론트 글래스를 교환 또는 수리하는 보증 서비스가 있었다.
또한, 차량의 타이어가 1개 펑크된 때에, 그 펑크가 보증 대상에 해당할 경우, 타이어를 1개 또는 4개 모두 새로운 타이어로 교환하는 보증 서비스가 있었다.
제1 보증 서비스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프론트 글래스 손상의 보증 서비스에 가입한 차량의 구입자가, 프론트 글래스가 손상된 경우에, 차량의 판매점 등에 보증서와 차를 지참하여, 그 판매점 등의 점원이 보증 대상의 손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보증 대상이면 손상 개소의 사진을 찍어, 필요한 데이터를 보증 회사에 메일로 보냈었다. 보증 회사에서는, 그들 데이터로부터, 그 프론트 글래스 자체가 보증 대상인 것을 확인함과 함께, 그 손상이 보증 대상인지 여부를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의 사진을 눈으로 보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판매점 등에 보냈었다.
또한, 타이어 펑크 보증 서비스에 가입한 타이어의 구입자가, 1개의 타이어가 펑크된 경우에는, 타이어 펑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이어의 판매점 등(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점 등이면 되고, 타이어의 구입처일 필요는 없음)에 보증서와 차를 지참하여, 그 판매점 등의 점원이 보증 대상의 펑크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보증 대상이면 펑크 개소의 사진을 찍어, 필요한 데이터를 보증 회사에 메일로 보냈었다. 보증 회사에서는, 그들 데이터로부터, 그 타이어 자체가 보증 대상인 것을 확인함과 함께, 그 타이어의 펑크가 보증 대상인지 여부를 타이어의 펑크 사진을 눈으로 보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판매점 등에 보냈었다.
또한, 제2 보증 서비스로서는, 인터넷 상에서 타이어를 판매하는 회사도 있어, 그 곳에서도 같은 타이어 펑크 보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타이어의 판매 자체는 인터넷 상에서 행하지만, 타이어의 장착은 전국에 있는 제휴 타이어 판매점 등에서 행한다. 펑크 보증 서비스에 가입한 타이어의 구입자가, 1개의 타이어가 펑크된 경우에는, 먼저, 타이어를 구입한 회사에 펑크된 것을 설명하는 전화를 한 후에, 펑크의 사진과 보증서 겸 서비스 의뢰서를 메일로 그 회사에 보낸다. 그 회사에서는, 그것이 보증 대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보증 대상일 경우에는, 그 취지를 구입자에게 메일로 보낸다. 구입자는, 타이어의 교환을 희망하는 제휴 타이어 판매점 등을 지정함과 함께, 교환 일시를 제3지망까지 기재하여, 메일로 회신한다. 판매 회사는 그 정보를 바탕으로, 제휴 타이어 판매점 등과 교섭을 하고, 교환 일시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구입자에게 메일로 연락했었다.
그러나, 제1 보증 서비스에서는, 실제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이나 펑크가 보증 대상인지 판정하는 데는 5분 정도의 시간이면 되지만, 보증 신청의 수가 많을 경우에는 보증 회사에서의 판정에 시간이 걸리고, 보증 서비스에 가입한 차량의 구입자나 타이어의 구입자가 판매점에 프론트 글래스가 손상된, 또는 펑크된 차를 지참해도, 즉시 프론트 글래스를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없는 경우나, 당일에 타이어를 교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만일 판정이 즉시 끝났다고 해도, 교환해야 할 프론트 글래스나 타이어의 재고가 없는 경우도 있어, 그러한 경우, 타이어의 경우에는 대체품인 타이어와 교환하거나, 다른 날짜에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제2 보증 서비스에서는, 제1 보증 서비스와 같이 타이어의 판매점 등에서의 시간적인 구속이나 교환일의 변경은 발생하지 않지만, 타이어 교환 전에 전화, 메일로의 빈번한 교환이 필요해져, 펑크 보증 서비스를 이용하는 타이어의 구입자의 부담이 됐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부재의 손상 보증 서비스를 받는 차량의 구입자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차량용 부재 손상 판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시스템에 사용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상 신청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을 하는 신청자용 단말 및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 있어서, 신청자용 단말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고,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는,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신청 화면을 표시 단말에 전송하는 신청 화면 전송 수단과,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보증 신청 접수 수단과,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과,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 등의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의 상태를 식별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 특정 수단과, 특정된 차량용 부재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청 판단 수단과,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판단 결과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신청자용 단말은 신청 화면 등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과, 차량용 부재 등의 화상, 및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신청자는 신청자 단말로부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을 함으로써,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그 결과를 판매점 등에 지참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차량용 부재로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또한, 판매점 등에서 신청하는 경우에도, 판단 결과를 지체 없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즉시 차량용 부재를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서는, 신청 화면의 요구는 보증서에 기재된 URL을 신청자용 단말로부터 입력함으로써 행한다. 이로 인해, URL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신청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서는, 신청자용 단말은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보증서에 기재된 QR코드(등록상표)를 판독함으로써 신청 화면을 요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QR코드(등록상표)를 촬상 장치로부터 판독하는 것만으로, 신청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서는, 신청자용 단말은 메일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신청 화면을 요구하면, 먼저, 메일 어드레스 등록 화면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로부터 전송되고, 메일 어드레스의 등록이 완료되면 그 메일 어드레스에 신청 화면으로의 URL이 전송된다. 이로 인해, 메일을 등록함으로써, 신청 화면으로의 URL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입력을 중단했을 때에도, 즉시 신청 화면에 액세스 가능해진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서는, 판단 결과를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도 송신한다. 이로 인해, 메일을 검색함으로써, 판단 결과를 언제든지 표시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서는, 판단 결과는 QR코드(등록상표)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QR코드(등록상표)를 차량용 부재 판매점 등 또는 차량 판매점에서 판독하는 것만으로 필요한 정보를 판매점 등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차량용 부재로 즉시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차량용 부재는 프론트 글래스이며, 차량용 부재의 화상은 상기 차량의 프론트 그릴의 화상이다. 이로 인해, 프론트 글래스의 교환 또는 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 사용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이로 인해, 신청자로부터 신청 화면을 요구받아 신청 화면의 전송부터, 판단 결과의 신청자에 대한 전송 및/또는 송신까지 정확하게, 간결하게,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또는 이 차량 부재 손상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청 화면을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단계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신청자로부터 신청 화면을 요구받아 신청 화면의 전송부터, 판단 결과의 신청자에 대한 전송 및/또는 송신까지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에서는, 신청 화면을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기 전에, 메일 어드레스 등록 화면을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신청자 화면으로의 액세스용 URL을 송신하는 단계와,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메일 어드레스를 통하여, 신청자용 단말과의 교신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에서는, 판단 결과를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판단 결과를 신청자의 메일 어드레스에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에서는, 판단 결과에 QR코드(등록상표)를 포함하여 전송 및/또는 송신한다. 이로 인해, 판단 결과의 QR코드(등록상표)의 전송 및/또는 송신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이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또는 이 차량 부재 손상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청 화면을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단계와,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신청자로부터 신청 화면을 요구받아 신청 화면의 전송부터, 판단 결과의 신청자에 대한 전송 및/또는 송신까지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서는, 신청 화면을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기 전에, 메일 어드레스 등록 화면을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신청자 화면으로의 액세스용 URL을 송신하는 단계와, 신청자용 단말로부터 액세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메일 어드레스를 통하여, 신청자용 단말과의 교신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서는, 판단 결과를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판단 결과를 신청자의 메일 어드레스에 확실하게 송신할 수 있다.
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하는 프로그램에서는, 판단 결과에 QR코드(등록상표)를 포함하여 전송 및/또는 송신한다. 이로 인해, 판단 결과의 QR코드(등록상표)의 전송 및/또는 송신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의 신청자는 신청자 단말로부터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을 행함으로써,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를 수신할 수 있고,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그 결과를 판매점 등에 지참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차량용 부재로 교환 또는 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신청용 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차량의 프론트 그릴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6은,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프론트 글래스의 대표적인 손상 형태와, 손상 형태의 교정 요소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는,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 보증 신청을 인정하는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프론트 글래스의 손상 보증 신청을 인정할 수 없는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타이어의 측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며, 타이어를 특정하는 번호 등이 표시된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타이어 펑크 사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판단 결과 전송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타이어의 펑크의 보증 신청을 인정하는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타이어의 펑크의 보증 신청의 보류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으로부터 손상의 종류의 특정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19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100)은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을 하는 신청자용 단말(10)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를 구비한다. 신청자용 단말(10)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인터넷(3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신청자용 단말(10)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신청 화면을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하는 신청 화면 전송부(201)와, 신청자용 단말(10)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보증 신청 접수부(202)와,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저장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부(203)와,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50)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화상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 특정부(205)와,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청 판단부(206)를 구비한다. 그리고,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에 전송하는 판단 결과 전송 수단(20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신청용 단말의 소프트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신청자용 단말(10)은, 신청 화면 등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101)와, 차량용 부재의 화상(50), 및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부(102)를 구비한다.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의 신청 화면(도시 생략)을 전송함과 함께,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을 접수하고, 신청이 보증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장치이다.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신청자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신청자 단말(10)이 갖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신청 화면을 전송한다. 신청자 단말(10)은 화면 표시부(101)에 신청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가 웹 서버일 때에는, 전송되는 신청 화면은 웹 페이지이며, 신청자 단말(10)에 웹 브라우저 상에 웹 페이지가 표시되게 된다.
신청자 단말(10)은, 신청자(차량 또는 차량용 부재의 구입자, 판매점 등의 점원)가 이용하는 PC,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 단말이다. 웹 브라우저나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 신청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전에 인스톨되어 있다.
네트워크(30)는 유선, 무선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인터넷, 공중 회선망, WiFi(등록상표)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펑크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펑크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ROM(Read Only Memory)(22), RAM(Random Access Memory)(23), HDD(Hard Disk Unit)(24), 및 통신 수단(25)을 갖는다.
CPU(21)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이나 연산 처리를 행한다. ROM(22)은 기동 시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23)은 CPU(21)에서의 처리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데이터를 기억하는 작업 영역이다. HDD(24)에는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통신 수단(25)은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신청자 단말(10) 등의 장치와 통신을 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의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는, 주된 기능으로서, 신청 화면 전송부(201)와, 보증 신청 접수부(202)와, 저장부(203)와, 화상 처리부(204)와, 종류 특정부(205)와, 신청 판단부(206)와, 판단 결과 전송부(207)를 갖는다.
신청 화상 전송부(201)는, 신청자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차량용 부재 손상 신청 화면을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한다.
보증 신청 접수부(202)는, 신청자 단말(10)로부터의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을 접수한다.
저장부(203)에는, 차량용 부재 손상 데이터베이스가 있어, 다양한 종류의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이 저장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204)는, 신청자 단말(10)로부터 전송된 차량용 부재의 화상(50)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수신하면, 차량용 부재의 화상(50)으로부터 차량용 부재를 특정하는 정보를 인식함과 함께 그 정보를 취득하여 차량용 부재를 특정한다. 또한,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펑크 개소를 인식함과 함께 그 정보를 취득한다.
종류 특정부(205)는, 화상 처리부에서 취득한 차량용 부재의 펑크 개소(401)의 정보와 저장부(203)의 차량용 부재 손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펑크의 종류를 특정한다.
신청 판단부(206)는, 화상 처리부(204)에서 특정된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종류 특정부(205)에서 특정된 펑크의 종류로부터,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전송부(207)는, 신청 판단부(206)에서 판단된 신청 가능 여부의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한다.
신청자 단말(10)은, 주된 기능으로서, 화면 표시부(101)와,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부(102)와, 임의로 촬상부(103)를 갖는다.
화면 표시부(101)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로부터 전송된 신청 화면, 판단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화면 표시부(101)로부터 보증서에 기재된 신청 화면을 요구하는 URL을 입력한다.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부(102)는, 촬영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과, 펑크된 차량용 부재를 장착하고 있는 차를 나타내는 화상(도시 생략)이 저장되어 있다.
촬상부(103)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촬영하거나, 보증서에 기재된 신청 화면을 요구하는 QR코드(등록상표)를 판독하거나 할 때에 사용된다.
또한, 각 기능부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 및 신청자 단말(10)을 구성하는 컴퓨터의 CPU, ROM, RAM, HDD, 통신 수단 등의 하드웨어 자원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이들 기능부는, "수단", "모듈", "유닛" 또는 "회로"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의 각 기능부의 배치는 일례이며, 시스템의 구성 상,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 전체로서 각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20)의 저장부(203)를 다른 서버로 옮겨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100)의 정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펑크 수리 판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1: 신청 화면 전송부(201)는, 신청자 단말(10)로부터의 신청 화면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신청 화면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S2로 진행된다.
S2: 신청 화면을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한다.
신청자 단말(10)에서는, 신청 화면을 접수하면 신청 화면으로의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고, 보증서의 번호(예를 들어, TW-180617-152645-638497(기업 코드-날짜-시분초-콤마초)자동 채번)를 입력함으로써, 신청 화면에 로그인할 수 있다. 필요 사항, 예를 들어, 신청이 인정을 받은 경우의 차량용 부재를 교환하는 차량용 부재 판매점 등 또는 차량 판매점을 지정하고, 교환 희망일을 입력한다. 또한, 차량용 부재의 화상(50), 및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지정한다. 모든 필요 사항을 입력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지정한 후, 예를 들어 "신청"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신청이 완료된다.
S3: 신청용 단말(10)로부터의 신청을 접수하면 S4로 진행된다.
S4: 차량용 부재의 화상(50)을 화상 처리하고, 차량용 부재를 특정한다.
화상 처리부(204)에 차량용 부재 화상(50)을 입력하면, 화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추출한다. 이로 인해, 화상(50)에 표시된 정보를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차량용 부재를 특정한다. 차량용 부재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육안으로 판단하고 특정한다.
또한,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화상 처리하고, 저장부(203)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과 비교하여, 펑크의 종류를 특정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의 펑크된 차량용 부재에는, 측면에 펑크 개소(401)(원형의 구멍)이 비어 있는 경우가 있다. 화상 처리부(204)에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입력하면, 화상의 화소값에 기초하여 특징량을 추출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204)는 추출한 화상의 특징량과, 차량용 부재 손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학습 데이터에 등록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특징량을 비교함으로써, 소정 스코어 이상 근사하는 등록된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과 같다고 인식하여(패턴 인식), 손상의 종류를 특정한다. 손상의 종류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육안으로 판단하고 특정한다.
차량용 부재의 특정과 손상의 종류의 특정이 완료되면 S5로 진행된다.
S5: 차량용 부재의 화상(50)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특정된 차량용 부재가 보증서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용 부재와 일치할 경우에는, S6로 진행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S8로 진행된다.
또한, S4에서는 차량용 부재의 특정만을 행하고, S5에서 특정된 차량용 부재가 보증서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용 부재와 일치할 경우에,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S6: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40)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특정된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을 인정할 수 있는 사진 판별 시의 조건(예를 들어, 도 12, 도 17을 참조)을 만족시킬 경우에는, S7로 진행된다.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S9로 진행된다. 또한, 보증 신청을 인정할 수 없는 사진 판별 시의 조건(예를 들어, 도 13 참조)을 만족시킬 경우에도, S7로 진행된다.
S7: 보증 신청을 허가하는 취지의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한다. 허가하는 취지의 판단 결과와 함께, QR코드(등록상표)를 전송할 수도 있고, 판단 결과를 메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 메일에 의해 판단 결과와 함께 QR코드(등록상표)를 송신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에는, 교환하는 판매점 등, 및 교환 가능한 일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판매점 등에서 차량용 부재를 교환 또는 수리하게 되는데, 보류 조건(예를 들어, 도 18 참조)에 해당할 경우에는, 보증 대상이 아니라고 인정되어, 즉시 보증을 받을 수는 없다.
S8: 차량용 부재가 보증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신청을 인정할 수 없는 취지의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한다.
S9: 차량용 부재 손상이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보증 신청을 인정할 수는 없는 취지의 판단 결과를 신청자 단말(10)에 전송한다.
이 결과에 납득이 가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전화 등에 의해 고객 상담 창구나 판매점 등에 문의하거나, 판매점 등에 종래대로 보증서와 함께 차를 지참하게 된다.
차량용 부재가 프론트 글래스인 경우에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50)은 차량의 프론트 그릴의 화상(50)이 된다.
상기 S4에서는, 차량의 프론트 그릴의 화상(50)에는 넘버, 포름이 나타내어지며, 이들 모든 정보에 의해, 차종, 연식을 특정하고, 프론트 글래스를 특정 가능하다. 또한, 프론트 글래스를 특정할 수 있으면 되고, 이들 정보가 모두 필요하지 않아도 되며, 이들 정보 이외의 정보로부터 특정해도 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상기 S6에서는, 프론트 글래스 손상의 화상(40)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특정된 손상의 종류가 도 12의 "사진 판별 시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S7로 진행된다.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S9로 진행된다. 또한, 특정된 손상의 종류가 도 13의 "사진 판별 시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도, S7로 진행된다.
차량용 부재가 타이어인 경우에는, 차량용 부재 화상(50)은 타이어의 화상(50)이 된다.
상기 S2의 신청자 단말(10)에서의 화상의 지정 시에는, 펑크된 차량용 부재가 장착된 차량의 측면의 사진도 추가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S4에서는, 타이어의 화상(50)에는, A: 메이커 명칭, B: 타이어 시리즈 명칭, C: 타이어 사이즈, D: 타이어의 구조(예를 들어 TREAD PLIES: 1 POLYESTER + 2 STEEL + 1 POLYAMIDE SIDEWALL PLIES:1 POLYSTER), E: UTQG 마킹, F: 타이어 식별 번호(DOT 포함), G: 최대 하중, 최대 공기압(MAX LOAD: 8.25Kg MAX PRESS: 340KPa)이 나타내어지며, 이들 모든 정보에 의해, 타이어를 특정 가능하다. 또한, 타이어를 특정할 수 있으면 되고, 이들 정보가 모두 필요하지 않아도 되며, 이들 정보 이외의 정보로부터 특정해도 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상기 S6에서는, 타이어 펑크의 화상(40)을 화상 처리함으로써 특정된 펑크의 종류가 도 17의 "사진 판별 시의 조건 1", "사진 판별 시의 조건 2"를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S7로 진행된다.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S9로 진행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정도의 설계적 변경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10: 신청자용 단말
20: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
30: 네트워크
40: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
50: 차량용 부재의 화상
100: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101: 화면 표시부
102: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 저장부
103: 촬상부
201: 신청 화면 전송부
202: 보증 신청 접수부
203: 저장부
204: 화상 처리부
205: 종류 특정부
206: 신청 판단부
207: 판단 결과 전송부
401: 손상 개소
A: 메이커 명칭
B: 타이어 시리즈 명칭
C: 타이어 사이즈
D: 타이어의 구조
E: UTQG 마킹
F: 타이어 식별 번호(DOT 포함)
G: 최대 하중, 최대 공기압
H: 넘버
I: 포름

Claims (16)

  1. 차량용 부재 손상 보증 신청을 하는 신청자용 단말 및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용 단말과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는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는,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신청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신청 화면 전송 수단과,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보증 신청 접수 수단과,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과,
    상기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화상 처리 수단과,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 특정 수단과,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청 판단 수단과,
    판단 결과를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판단 결과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청자용 단말은,
    상기 신청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 수단과,
    차량용 부재의 화상, 및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 화면의 요구는, 보증서에 기재된 URL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 입력함으로써 행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용 단말은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보증서에 기재된 QR코드(등록상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신청 화면을 요구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용 단말은 메일 송수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청 화면을 요구하면, 먼저, 메일 어드레스 등록 화면이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로부터 전송되고, 메일 어드레스의 등록이 완료되면 그 메일 어드레스에 상기 신청 화면으로의 URL이 전송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를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도 송신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는 QR코드(등록상표)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부재는 프론트 글래스이며, 상기 차량용 부재의 화상은 차량의 프론트 그릴의 화상인,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스템에 사용하는,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스템, 또는 제8항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청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정 결과를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동 방법.
  10. 제4항 또는 제4항에 종속되는 제5항 내지 제8항에 종속되는 제9항에 있어서,
    신청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기 전에,
    메일 어드레스 등록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신청자 화면으로의 액세스용 URL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판정 결과를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정 결과에 QR코드(등록상표)를 포함하여 전송 및/또는 송신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스템, 또는 제8항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청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신청 내용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신청 내용에 포함되는 차량용 부재의 화상과,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으로부터 차량용 부재의 정보와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의 상태와 상기 차량용 부재 손상 화상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다수의 차량용 부재 손상의 화상을 비교하여,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를 특정하는 단계와,
    특정된 차량용 부재 손상의 종류가 보증 신청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정 결과를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14. 제4항 또는 제4항에 종속되는 제5항 내지 제8항에 종속되는 제13항에 있어서,
    신청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기 전에,
    메일 어드레스 등록 화면을 상기 신청자용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신청자 화면으로의 액세스용 URL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신청자용 단말로부터의 액세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15. 제14항에 있어서,
    판정 결과를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정 결과에 QR코드(등록상표)를 포함하여 전송 및/또는 송신하는, 프로그램.
KR1020227009054A 2019-08-30 2020-05-08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9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4058A KR102588648B1 (ko) 2019-08-30 2020-05-08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8705A JP6714253B1 (ja) 2019-08-30 2019-08-30 車両用部材損傷修理判定システム、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9-158705 2019-08-30
PCT/JP2020/018718 WO2021038971A1 (ja) 2019-08-30 2020-05-08 車両用部材損傷修理判定システム、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058A Division KR102588648B1 (ko) 2019-08-30 2020-05-08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363A true KR20220044363A (ko) 2022-04-07
KR102497643B1 KR102497643B1 (ko) 2023-02-08

Family

ID=711039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058A KR102588648B1 (ko) 2019-08-30 2020-05-08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7009054A KR102497643B1 (ko) 2019-08-30 2020-05-08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058A KR102588648B1 (ko) 2019-08-30 2020-05-08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00983A1 (ko)
EP (1) EP4024298A4 (ko)
JP (2) JP6714253B1 (ko)
KR (2) KR102588648B1 (ko)
CN (1) CN114710969A (ko)
AU (1) AU2020338598A1 (ko)
MY (1) MY193977A (ko)
WO (1) WO2021038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4253B1 (ja) * 2019-08-30 2020-06-24 ゼアーウィンスリーサービス株式会社 車両用部材損傷修理判定システム、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166A (ja) * 2001-10-22 2003-05-09 Tsubasa System Co Ltd 保険による修理見積検討システム
KR20070007169A (ko) * 2004-04-29 2007-01-1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전자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블리딩 방법
JP2019114059A (ja) * 2017-12-22 2019-07-11 三井住友海上火災保険株式会社 判定装置、修理費用判定システム、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7838A (ja) * 1996-05-08 1997-11-18 Casio Comput Co Ltd 画像処理装置
US20020072935A1 (en) * 2000-04-12 2002-06-13 Rowse William T. Method system and software for transmitting digital media between remote locations
JP2003050877A (ja) * 2001-08-06 2003-02-21 Canon Sales Co Inc 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機器保証システム、機器保証サーバ装置、機器保証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3141364A (ja) * 2001-10-29 2003-05-16 Ntt Docomo Inc 電子保険サービス証書システム、及び、電子保険サービス方法
JP3991675B2 (ja) * 2001-12-25 2007-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ユーザ登録支援システム
JP2004192075A (ja) * 2002-12-06 2004-07-08 Mitsui Sumitomo Insurance Co Ltd 証券
JP2007226516A (ja) * 2006-02-23 2007-09-06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保証書管理方法、保証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保証書管理装置
US20080281658A1 (en) * 2007-04-23 2008-11-13 Steven Siessma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reviewing vehicle damage repair estimates, and notifying entities of issues relating to manufacturer's warranty or repair content
US8510196B1 (en) * 2012-08-16 2013-08-13 Allstate Insurance Company Feedback loop in mobile damage assessment and claims processing
US8827149B1 (en) * 2013-03-14 2014-09-09 Dell Products L.P. Automated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omponent compatibility
US20150026074A1 (en) * 2013-07-22 2015-01-22 Roderick L. Cotten Consumer-centric product warranty management system
WO2018023019A1 (en) * 2016-07-28 2018-02-01 Snap-On Incorpora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otification pertaining to actionable condition of electrical shop tool
JP6578607B1 (ja) * 2018-07-18 2019-09-25 ゼアーウィンスリーサービス株式会社 タイヤパンク修理判定システム、タイヤパンク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及び、タイヤパンク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の作動方法
CN110009508A (zh) * 2018-12-25 2019-07-1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车险自动赔付方法和系统
JP6714253B1 (ja) * 2019-08-30 2020-06-24 ゼアーウィンスリーサービス株式会社 車両用部材損傷修理判定システム、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車両用部材損傷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の作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2166A (ja) * 2001-10-22 2003-05-09 Tsubasa System Co Ltd 保険による修理見積検討システム
KR20070007169A (ko) * 2004-04-29 2007-01-12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전자식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블리딩 방법
JP2019114059A (ja) * 2017-12-22 2019-07-11 三井住友海上火災保険株式会社 判定装置、修理費用判定システム、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00983A1 (en) 2022-09-22
KR102588648B1 (ko) 2023-10-12
EP4024298A4 (en) 2023-02-08
AU2020338598A1 (en) 2022-04-07
JP6714253B1 (ja) 2020-06-24
JPWO2021038971A1 (ko) 2021-03-04
KR20230021774A (ko) 2023-02-14
EP4024298A1 (en) 2022-07-06
CN114710969A (zh) 2022-07-05
WO2021038971A1 (ja) 2021-03-04
KR102497643B1 (ko) 2023-02-08
JP2021039427A (ja) 2021-03-11
MY193977A (en)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8607B1 (ja) タイヤパンク修理判定システム、タイヤパンク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及び、タイヤパンクの保証申請の可否を判断する装置の作動方法
US9723251B2 (en) Technique for image acquisition and management
US100957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dition reports for vehicles
CN103917854A (zh) 用于识别相关的修复信息和部件编号的方法及装置
US20130169813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ire parameters of a vehicle
US20050216152A1 (en) Vehicle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6569202A (zh) 二手车的智能型性能检查服务系统及其方法
US20200311694A1 (en) Method for Vehicle Specification Filtering In Response to Vehicle Inspection Results
CN113261025A (zh) 用于检测车辆中的伪造零件的系统和方法
KR20220044363A (ko) 차량용 부재 손상 수리 판정 시스템,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 차량용 부재 손상의 보증 신청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의 작동 방법, 및 프로그램
JP4179261B2 (ja) 車両の点検結果印刷システム、車両の点検結果印刷方法及び車両の点検結果印刷プログラム
WO20181029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rving and processing vehicle crash data evidence
CN114787523A (zh) 用于检测车轮紧固件松动的方法、设备、系统和计算机程序及存储计算机程序的计算机可读介质
CN105469265A (zh) 用于检测对于订立和执行维护和/或维修合同必需的信息的方法和系统
US11620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repair facility or a user of a vehicle regarding approved parts
JP5940232B1 (ja) 整備記録簿作成装置、整備記録簿作成システム、整備記録簿作成方法及び整備記録簿作成プログラム
JP7012314B1 (ja) 車両用部材損傷保険加入判定システム、判定システムに使用する装置、判定システム及び装置の作動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21148464A (ja)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検査プログラム
KR102217949B1 (ko) 이미지를 활용한 자동차검사 진단시스템 및 이에 의한 진단표시방법
JP7269685B1 (ja) 設置対象機材取付支援システム、及び、設置対象機材取付支援方法
CA3199219A1 (en) System for identification of tires and ongoing communication concerning safety issues therewith
CN117273583A (zh) 一种物流追踪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0241298A (ja) 検査システムおよび検査結果データの編集方法
JP2022102013A (ja) 車検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1350859A (ja) 顧客不具合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