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822A -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 Google Patents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3822A
KR20220043822A KR1020210028568A KR20210028568A KR20220043822A KR 20220043822 A KR20220043822 A KR 20220043822A KR 1020210028568 A KR1020210028568 A KR 1020210028568A KR 20210028568 A KR20210028568 A KR 20210028568A KR 20220043822 A KR20220043822 A KR 2022004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egreasing
furnace body
monit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4377B1 (en
Inventor
스구루 다나카
나오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4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8Removal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6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characterised by specific heating conditions during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65Aspects relating to heat treatments of ceramic bodies such as green ceramics or pre-sintered ceramics, e.g. burning, sintering or melting processes
    • C04B2235/658Atmosphere during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greasing furnace and a degreasing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degreasing at a proper time. The degreasing furnace (10) comprises: a furnace body (14) which accommodates a degreased object (12); a gas source (16) of inert gas which i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14); a heating device (30) which heats the inert gas; and a gas monitor (18) which detects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ed object (12). The degreasing method comprises: a step of storing the degreased object (12) in the furnace body (14); a step of increasing a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a step of degreasing the degreased object (12) with the heated inert gas; and a step of detecting the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ed object (12) with a gas monitor (18).

Description

탈지로 및 탈지 방법{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DEGREASING FUNACE AND DEGREASING METHOD

본 발명은, 탈지로 및 탈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greasing furnace and a degreasing method.

종래, 세라믹스를 포함하는 피탈지물이 탈지로에서 탈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의 탈지로는,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노(爐) 본체, 피탈지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비한다. 탈지에 의해 발생한 가스는 가열되고, 분해되어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로 변환된다. 특허문헌 1은 그 분해 등이 이루어진 가스의 일부를 다시 노 본체로 유도하고 있다. 산소 가스 농도가 저농도로 유지되어, 피탈지물의 크랙이 방지되는 것이 특허문헌 1에 설명되어 있다.Conventionally, an object to be degreased containing ceramics is degreased in a degreasing furnace. For example, the degreasing method of Patent Document 1 described below includes a furnace main body for hous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and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object to be degreased. The gas generated by the degreasing is heated, decomposed, and converted into a gas such as carbon dioxide. In Patent Document 1, a part of the decomposed gas is guided back to the furnace body. Patent Document 1 describes that the oxygen gas concentration is maintained at a low concentration and cracks in the degreased material are prevented.

국제 공개 번호 WO2005/047207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05/047207

적절한 탈지 조건을 구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탈지할 필요가 있다. 피탈지물의 재료 및 형상 등이 다르면 탈지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새롭게 탈지 조건을 구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탈지 조건을 구하기 위해서 막대한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탈지 조건을 구했다고 해도, 탈지를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요구한 조건보다도 장시간 탈지하는 경우가 있다. 탈지에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나빠진다. 적절한 시간으로 탈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허문헌 1은 탈지 조건을 구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In order to obtain an appropriate degreasing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degrease under various conditions. Since the degreasing conditions are different when the material, shape, etc. of the object to be degreased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newly obtain degreasing conditions. In order to obtain suitable degreasing conditions, an enormous amount of labor is required. Even if the degreasing condition is obtained, in order not to fail degreasing, degreasing may be perform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requested condition. It takes time to degrease, and work efficiency worsens. It is desirable to degrease at an appropriate time. 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does not demonstrate about calculating|requiring degreasing conditions.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절한 시간으로 탈지할 수 있는 탈지로 및 탈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greasing furnace and a degreasing method capable of degreasing in an appropriate time.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지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탈지로는,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의 가스원과, 상기 불활성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를 포함한다.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포화 증기 생성 장치, 액체의 액체원 또는 그 양쪽과,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생성하는 과열기를 포함해도 된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a gas source for an inert ga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ert gas, and a gas monitor for detecting a gas generated from the object to be degreased includes A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aturated steam, a liquid source of liquid or both, and a superheater for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from saturated steam or liquid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탈지 방법은,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승온시키는 공정과, 상기 승온된 불활성 가스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과열 증기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The degrea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stor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in a furnace body, a step of raising a temperature of an inert gas, a step of degreasing the object to be degreased with the elevated temperature inert gas, and a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ed object using a gas monitor. It includes the process of detecting. A step of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from saturated steam or liquid and a step of degreas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with the superheated steam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의하면, 본원은 가스 모니터로 탈지되었을 때 발생한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탈지가 개시되었거나, 또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탈지 조건을 구할 필요는 없으며, 누구나 동일하게 탈지할 수 있다. 탈지된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 또는 검출량이 저하된 뒤에, 설정된(또는 규정된) 온도까지 다시 승온하는 것을 반복하고, 최종적으로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 탈지를 종료함으로써, 불필요한 장시간의 탈지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determine whether degreasing has started or has been completed by detecting a gas generated when degreasing with a gas monitor. It is not necessary to obtain conditions for degreasing, and anyone can perform degreasing in the same way. The quality of the degreased product can be kept constant. When gas is no longer detected or after the detection amount has de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long-term degreasing by repeatedly raising the temperature to a set (or prescribed) temperature, and finally terminating degreasing when no gas is detected. can

도 1은 본 발명의 탈지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FTIR로 검출된 가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복수의 가스를 검지하면서 탈지할 때의 노 본체의 분위기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과열기를 구비한 탈지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가스원과 과열기를 구비한 탈지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통신 장치를 구비한 탈지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배기 통로에 가스 모니터 및 온도계를 배치한 탈지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egreaser of this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a gas detected by FTIR.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furnace main body at the time of degreasing, detecting a some gas.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greasing furnace equipped with a superheater.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greasing furnace equipped with a gas source and a superheater.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kim paper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greasing furnace in which a gas monitor and a thermometer are disposed in an exhaust passage.

본 발명의 탈지로 및 탈지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지만, 다른 실시 형태여도 동일한 수단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A degreasing furnace and a degrea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lthough some embodiment is described, even if it is another embodiment, the same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means, and description may be abbreviate|omitted.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에 도시한 본원의 탈지로(10)는, 피탈지물(12)이 수용되는 노 본체(14), 불활성 가스의 가스원(16), 피탈지물(12)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18)를 구비한다.The degreasing furnace 10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wn in FIG. 1 includes a furnace body 14 in which an object to be degreased 12 is accommodated, a gas source 16 of an inert gas, and a gas monitor that detects gas generated from the object 12 to be degreased. (18) is provided.

[피탈지물][Remove material]

피탈지물(12)은 세라믹스 성형체를 포함한다. 세라믹스는 질화물계 세라믹스(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등), 알루미나, 지르코늄 등을 포함한다. 피탈지물(12)에 바인더가 포함된다. 바인더는 피탈지물(12)을 성형할 때 세라믹스에 혼합되는 것이다. 피탈지물(12)이 승온됨으로써, 바인더가 분해되어 가스로서 방출된다. 바인더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 비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The degreased material 12 includes a ceramic molded body. Ceramics include nitride-based ceramics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etc.), alumina, zirconium, and the like. A binder is included in the degreased material 12 . The binder is to be mixed with the ceramics when forming the degreased material 12 . As the temperature of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raised, the binder is decomposed and released as a gas. Examples of the binder include polybutyl methacrylate, polyvinyl alcohol, methyl cellulose, vinyl acetate, and polyethylene glycol.

[노 본체][oar body]

노 본체(14)는 SUS310S 또는 SUS316L 등의 내열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노 본체(14)는 용기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 공간(20)에 피탈지물(12)이 수용된다.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피탈지물(12)을 배치하기 위한 선반(22)을 구비해도 된다. 노 본체(14)는 공급구(24) 및 배기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불활성 가스가 공급구(24)로부터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공급된다. 피탈지물(12)이 탈지되었을 때 발생한 가스는 배기구(26)로부터 배기된다.The furnace body 14 is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such as SUS310S or SUS316L. The furnace body 14 has a container shape, and the degreasing material 12 is accommodated in its inner space 20 . In the inne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a shelf 22 for arranging the material to be removed 12 may be provided. The furnace body 14 is provided with a supply port 24 and an exhaust port 26 . An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inne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from the supply port 24 . Gas generated when the object 12 to be degreased is degreased is exhausted from the exhaust port 26 .

[가스원][Gas source]

가스원(16)은 불활성 가스의 저장, 생성 또는 그 양쪽을 행하는 장치이다. 불활성 가스는 질소, 아르곤, 헬륨 등이다. 승온된 불활성 가스가 노 본체(14)에 공급된다. 노 본체(14)와 가스원(16)이 배관(28)에서 접속되어 있다.The gas source 16 is a device for storing, generating, or both of an inert gas. The inert gas is nitrogen, argon, helium, or the like. The heated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14 . The furnace body 14 and the gas source 16 are connected by a pipe 28 .

가스를 승온시키는 가열 장치(30)가 배관(28)의 도중에 배치되어 있다. 또는, 가스원(16)과 가열 장치(30)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가열 장치(30)는 전기 히터, 가스 버너 또는 중유 버너 등이다. 승온된 불활성 가스의 온도는 50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이다. 고온의 불활성 가스에 의해 피탈지물(12)이 승온되어, 탈지된다. 배관(28)의 노 본체(14)와 가열 장치(30) 사이의 부분은 내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장치(30)는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마련되어, 내부 공간(20)에서 가스를 승온시켜도 된다.A heating device 30 f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pipe 28 . Alternatively, the gas source 16 and the heating device 30 may be integrated. The heating device 30 is an electric heater, a gas burner, a heavy oil burner, or the like. The temperature of the elevated inert gas is 500°C or higher, preferably 600 to 1200°C. The temperature of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raised by the high-temperature inert gas and is degreased. The portion of the piping 28 between the furnace body 14 and the heating device 30 is preferably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In addition, the heating device 30 may b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main body 14, and you may raise the temperature of gas in the internal space 20. As shown in FIG.

[가스 모니터][Gas Monitor]

피탈지물(12)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18)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인더가 승온되어 가스로 되고, 그 가스가 가스 모니터(18)로 검출된다. 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가스 모니터(18)가 설치되는 장소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 본체(14)의 배기구(26) 부근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가스 모니터(18)를 설치한다. 가스 모니터(18)는 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 GC(가스 크로마토그래프), FID(수소염 이온화 검출기), TOC계(전유기 탄소계) 등이다. 가스 모니터(18)가 가스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탈지의 진행 상황을 구할 수 있다. 가스가 검출되면 탈지되어 있으며, 그 후에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탈지가 종료된다.A gas monitor 18 for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provided. The above-described binder is heated to become a gas, and the gas i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 The place where the gas monitor 18 is installed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gas can be detected. For example, the gas monitor 18 is provided so that gas in the vicinity of the exhaust port 26 of the furnace body 14 can be detected. The gas monitor 18 is 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GC (gas chromatograph), FID (hydrogen salt ionization detector), TOC system (all organic carbon system), or the like. When the gas monitor 18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gas, the progress of degreasing can be calculated|required. When gas is detected, degreasing is performed, and when no gas is detected thereafter, degreasing is terminated.

하나의 탈지로(10)에 구비되는 가스 모니터(18)는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가스 모니터(18)가 구비되어도 된다.The gas monitor 18 provided in one degreasing furnace 10 is not limited to one, and a plurality of gas monitors 18 may be provided.

[온도계][thermometer]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의 분위기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온도계(32)를 구비한다. 온도계(32)는 열전대 온도계를 이용한다. The thermometer 32 for measuring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main body 14 is provided. The thermometer 32 uses a thermocouple thermometer.

[제어 장치][controller]

가스 모니터(18)로 검출된 가스에 대응하여 가스원(16) 및 가열 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4)를 구비한다. 가스 모니터(18)로 검출된 값이 제어 장치(34)에 입력된다. 또한, 제어 장치(34)에는 온도계(32)로 계측된 온도가 입력된다. 제어 장치(34)는, 가스가 검출되면, 그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노 본체(14)에 불활성 가스가 공급되며, 또한,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소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가스원(16) 및 가열 장치(30)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3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의 연산 장치를 포함한다.and a control device (34) for controlling the gas source (16) and the heating device (30) in response to the ga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The value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34 . In addition,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hermometer 32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34 . The control device 34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 gas is detected, an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14 until the gas is no longer detected, an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gas source 16 and the heating device 30 are controlled. The control device 34 includes an arithmetic unit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배기 가스 연소로][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배기 가스 연소로(36)가 노 본체(14)의 배기구(26)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 가스 연소로(36)는 단열체(38)를 통 형상으로 하여 형성한 배기 통로(40) 및 가열 장치(도시생략)를 구비한다. 그 가열 장치는, 전기 히터, 가스 버너 또는 중유 버너 등이다. 배기 가스 연소로(36)는 탈지에 의해 피탈지물(12)로부터 방출된 가스를 가열하고, 분해되어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로 변환하여 배기한다.An 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36 is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26 of the furnace body 14 . The 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36 is provided with the exhaust passage 40 formed by making the heat insulating body 38 into a cylindrical shape, and a heating device (not shown). The heating device is an electric heater, a gas burner, or a heavy oil burner. The 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36 heats the gas emitted from the object 12 to be degreased by degreasing, decomposes, and converts it into a gas such as carbon dioxide for exhaust.

[기타][Other]

본원은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불활성 가스를 흡인하기 위한 팬, 탈지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으로부터 배기하기 위한 팬이 구비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a fan for sucking an inert gas into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and a fan for exhausting a gas generated by degreasing from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may be provided.

[탈지 방법][How to degrease]

다음으로 탈지로(10)를 사용한 탈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피탈지물(12)을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수용한다. 예를 들어 피탈지물(12)은 세라믹스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성형품이다.Next, a degreasing method using the degreasing furnace 10 will be described. (1) The material to be removed 12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 For example,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a molded product including ceramics and a binder.

(2) 가스원(16)으로부터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는 질소이다. 불활성 가스는 가열 장치(30)에 의해 승온되어,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상승되고, 노 본체(14)에 수용되어 있는 피탈지물(12)이 승온된다. 예를 들어,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의 분위기 온도가 50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까지 승온된다.(2) An inert gas is supplied from the gas source 16 to the inne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 For example, the inert gas is nitrogen. The inert gas is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30 ,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rises, and the degreased material 12 accommodated in the furnace body 14 rises. For example,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main body 14 is 500 degreeC or more, Preferably it heats up to 600-1200 degreeC.

(3)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의 분위기 온도가 올라감으로써, 피탈지물(12)이 탈지된다. 탈지 시에 피탈지물(12)은 바인더를 가스로서 방출한다. 그 가스를 가스 모니터(18)가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2는, 가스 모니터(18)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FTIR)이며, 가스 중에 메타크릴산에틸이 포함되는 경우의 검출 결과이다. 가스에 포함되는 관능기에 의해 파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설정된 파수의 강도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탈지가 종료되면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본원은, 가스 모니터(18)로 가스가 검출되는 동안, 불활성 가스를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 공급한다.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여 피탈지물(12)을 탈지한다. 그 후,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정지한다.(3) Whe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rises,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degreased. Upon degreasing, the degreased material 12 releases the binder as a gas. The gas i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 For example, FIG. 2 shows a detection result when the gas monitor 18 is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and ethyl methacrylate is contained in gas. Since the wave number is determined by the functional group contained in the gas, it can be seen that whether gas is generated is detected by the intensity of the set wave number. When the degreasing is complete, no gas is detect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n inert gas is supplied to the interio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while the gas i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 The object 12 to be degreased is degreased by mak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inert gas constant. After that, when no gas is detected, it stops.

피탈지물(12)을 탈지했을 때 발생한 가스는, 배기구(26)로부터 배기 가스 연소로(36)에 공급된다. 배기 가스 연소로(36)의 배기 통로(40) 중에서, 가스가 승온되고, 분해되어 이산화탄소 등이 되어 배기시킨다.The gas generated when the degreasing object 12 is degreased is supplied from the exhaust port 26 to the 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36 . In the exhaust passage 40 of the 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36, the gas is heated up and decomposed to become carbon dioxide or the like, and exhausted.

(4) 가스원(16) 및 가열 장치(30)를 정지시켜, 노 본체(14)에 대한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의 분위기 온도가 저하되어, 피탈지물(12)의 온도가 내려간다. 피탈지물(12)의 온도가 내려가면, 노 본체(14)로부터 피탈지물(12)을 취출한다. 그 후, 피탈지물(12)은 임의의 소결로에 넣어져 소결되어도 된다.(4) The gas source 16 and the heating device 30 are stopped, and the supply of the inert gas to the furnace body 14 is stoppe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main body 14 falls, and the temperature of the to-be-removed material 12 falls.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egreased material 12 decreases,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taken out from the furnace body 14 . After that, the degreased material 12 may be put into an arbitrary sintering furnace and sintered.

이상과 같이, 본원은 가스 모니터(18)로 탈지되었을 때 발생한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탈지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탈지 조건을 구할 필요는 없다.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었을 때 탈지를 종료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탈지를 종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greasing is completed by detecting the gas generated when the degreasing is performed with the gas monitor 18 . There is no need to ask for degreasing conditions. By terminating the degreasing when the gas is no longer detected,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degreasing in an optimal time.

[실시 형태 2][Embodiment 2]

피탈지물(12)로부터 방출되는 가스는 1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피탈지물(12)에 포함되는 바인더에 따라서는 복수의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스 모니터(18)는 복수의 가스를 검출해도 된다.The gas emitted from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not limited to one type. A plurality of gases may be generated depending on the binder contained in the degreased material 12 . The gas monitor 18 may detect a plurality of gases.

예를 들어, 가스 모니터(18)가 3종류의 가스 A, B, C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다. 첫 번째의 가스 A를 검출했을 때의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TA, 두 번째의 가스 B를 검출했을 때의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TB, 세 번째의 가스 C를 검출했을 때의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TC인 것으로 한다. 그 분위기 온도는 TA<TB<TC인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 번째의 가스 A를 검출한 상태에서 분위기 온도를 TA로 유지해서 탈지한다. 첫 번째의 가스 A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또는 검출량이 감소하면), 분위기 온도를 높인다. 분위기 온도가 TB가 되면 두 번째의 가스 B가 검출된다. 분위기 온도를 TB로 유지해서 탈지한다. 두 번째의 가스 B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또는 검출량이 감소하면),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를 높인다. 분위기 온도가 TC가 되면 세 번째의 가스 C가 검출된다. 분위기 온도를 TC로 유지해서 탈지한다. 세 번째의 가스 C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또는 검출량이 감소하면), 불활성 가스의 공급을 정지하여, 탈지를 종료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gas monitor 18 detects three types of gases A, B and C.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when the first gas A is detected is TA,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when the second gas B is detected is TB, and the third gas C is detected. Let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furnace main body 14 at the time be TC. The atmospheric temperature shall be TA<TB<TC. As shown in Fig. 3,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gas A is detecte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TA to degrease. When the first gas A is not detected (or the detection amount decreases), the ambient temperature is raised. Whe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becomes TB, the second gas B is detected. Degrease by maintaining the ambient temperature at TB. When the second gas B is not detected (or the detection amount decreas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raised. When the atmospheric temperature becomes TC, the third gas C is detected. Degrease by maintaining the ambient temperature at TC. When the third gas C is not detected (or the detected amount decreases), the supply of the inert gas is stopped to complete degreasing.

이상과 같이, 가스가 검출될 때마다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를 유지하고,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를 상승시킨다. 제어 장치(34)는 가스 모니터(18)로 가스가 검출될 때마다 가스원(16)과 가열 장치(30)를 제어하고, 온도계(32)로 계측되는 온도가 일정해지도록 한다.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또는 검출량이 감소하면), 가스원(16)과 가열 장치(30)를 제어하고, 온도계(32)로 계측되는 온도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한다. 탈지했을 때 피탈지물(12)로부터 방출되는 가스가 차례로 방출되어 간다. 피탈지물(12)이 불완전 탈지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든 바인더를 탈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maintained whenever gas is detected, and when gas is not detected,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raised. The control device 34 controls the gas source 16 and the heating device 30 whenever gas i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 so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hermometer 32 becomes constant. When the gas is not detected (or the detected amount is decreased), the gas source 16 and the heating device 30 are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hermometer 32 is gradually increased. When degreasing, the gases released from the degreased material 12 are sequentially rel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 12 from being degreased from being incompletely degreased, so that all binders can be degreased.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불활성 가스 대신에 과열 증기를 이용하여 탈지해도 된다. 도 4의 탈지로(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과열기(46)(superheater)를 구비한다. 노 본체(14)와 포화 증기 성 장치(44)가 배관(28)에서 접속되고, 배관(28)의 도중에 과열기(46)가 구비된다.You may degrease using superheated steam instead of an inert gas. As shown in the degreasing furnace 42 of FIG. 4 , a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4 for generating saturated steam and a superheater 46 for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are provided. The furnace body 14 and the saturated steam forming apparatus 44 are connected in a pipe 28 , and a superheater 46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pipe 28 .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는 과열기(46)에 포화 증기를 공급한다.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는 순수 등의 액체를 비등시켜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를 포함한다.Saturated steam generator 44 supplies saturated steam to superheater 46 . The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4 includes a boiler that boils a liquid such as pure water to generate saturated steam.

과열기(46)는 포화 증기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과열기(46)로서 접촉 과열기, 방사 과열기, 매달림 과열기, 판형 과열기, 가로 배치 과열기 등을 들 수 있다. 과열기(46)는 장관(長管)을 구비하고, 그 안을 포화 증기가 흐른다. 장관의 안을 흐르는 포화 증기가 가열되어, 과열 증기로 된다. 생성된 과열 증기가 노 본체(14)에 공급된다. 이때의 과열 증기는 상압에서 100℃의 포화 증기를 더 고온으로 한 무색 투명의 물(H2O)을 포함하는 기체이다. 과열 증기의 온도는 50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이다. 배관(28)의 노 본체(14)와 과열기(46) 사이의 부분은 내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열 증기는 열용량이 커서,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피탈지물(12)을 단시간에 승온시켜 탈지할 수 있다.Superheater 46 is a device for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from saturated steam. Examples of the superheater 46 include a contact superheater, a radiant superheater, a hanging superheater, a plate superheater, and a transverse superheater. The superheater 46 has a long tube through which saturated steam flows. The saturated steam flowing through the intestinal tract is heated and becomes superheated steam. The produced superhe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14 . At this time, the superheated steam is a gas containing colorless and transparent water (H 2 O) obtained by heating saturated steam at 100° C. to a higher temperature at normal pressure. The temperature of the superheated steam is 500°C or higher, preferably 600 to 1200°C. The portion of the piping 28 between the furnace body 14 and the superheater 46 is preferably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Since the superheated steam has a large heat capacity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degreased material 12 in a short time to degrease it.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에서 포화 증기가 생성되고, 포화 증기는 과열기(46)에 공급된다. 과열기(46)는 포화 증기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고, 노 본체(14)에 공급한다.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상승하여, 피탈지물(12)이 탈지된다.Saturated steam is generated in the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4 , and the satur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superheater 46 . Superheater 46 generates superheated steam from saturated steam and supplies it to furnace body 14 .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rises, and the material to be degreased 12 is degreased.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와 과열기(46)는 제어 장치(34)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34)에는 가스 모니터(18)로 검출된 값과 온도계(32)의 값이 입력되어 있다. 제어 장치(34)는 가스 모니터(18)로 가스가 검출되면,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유지되도록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와 과열기(46)를 제어한다.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은 탈지 시의 온도가 유지되고, 피탈지물(12)이 탈지된다. 가스 모니터(18)로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제어 장치(34)가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와 과열기(46)를 정지시켜 탈지를 종료한다.The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4 and the superheater 46 are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34 . The value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and the value of the thermometer 32 are input to the control apparatus 34 similarly to the said embodiment. When gas i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 the control device 34 controls the saturated steam generator 44 and the superheater 46 so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maintained. The internal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maintains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degreasing, and the degreasing object 12 is degreased. When no gas i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the control device 34 stops the saturated steam generator 44 and the superheater 46 to complete the degreasing.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불활성 가스 대신에 과열 증기를 이용해도 된다. 불활성 가스보다도 승온 속도가 빨라, 탈지에 걸리는 시간을 단시간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가스가 검출되면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 장치(34)가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와 과열기(46)를 제어하고, 하나의 가스가 검출되지 않게 되면 다른 가스가 검출될 때까지 과열 증기의 온도를 높여서 노 본체(14)의 분위기 온도를 상승시킨다.Also in Embodiment 2, you may use superheated steam instead of an inert gas.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is faster than that of an inert gas, and the time required for degreasing can be shortened. When one gas is detected, the control device 34 controls the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4 and the superheater 46 so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maintained, and when one gas is not detected, the other ga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dy 14 is rais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erheated steam until it is detected.

과열 증기를 생성하기 위해서 과열기(46)에 포화 증기가 공급되었지만, 과열기(46)에 순수 등의 액체가 공급되어도 된다.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 대신에 액체를 과열기(46)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원을 구비해도 된다. 액체원은 액체를 생성하는 장치, 액체를 담아두는 탱크 또는 그 양쪽을 구비한다. 과열기(46)는 액체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한다.Although saturated steam is supplied to the superheater 46 to generate superheated steam, a liquid such as pure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superheater 46 . A liquid source for supplying liquid to the superheater 46 may be provided instead of the saturated vapor generating device 44 . The liquid source includes a device for generating a liquid, a tank containing the liquid, or both. Superheater 46 generates superheated vapor from the liquid.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도 5에 도시한 탈지로(48)와 같이, 가스원(16), 가열 장치(30),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 및 과열기(46)를 구비해도 된다. 불활성 가스, 과열 증기 또는 그 양쪽에서 피탈지물(12)을 승온시켜 탈지한다.Like the degreasing furnace 48 shown in FIG. 5 , a gas source 16 , a heating device 30 , a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4 , and a superheater 46 may be provided. The degreased material 12 is heated up by inert gas, superheated steam or both to degrease.

[실시 형태 5][Embodiment 5]

탈지로(10, 42, 48)의 조작자가 가스 모니터(18)로 가스의 검출 상황을 확인하고, 수동으로 가스원(16)과 과열기(46), 포화 증기 생성 장치(44)와 과열기(46),또는 그들 모두를 조작해도 된다. 조작자는 가스 모니터(18)로 검출된 값을 확인함으로써 탈지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The operator of the degreasing furnace (10, 42, 48) checks the detection status of the gas with the gas monitor (18), and manually checks the gas source (16) and the superheater (46), the saturated steam generator (44) and the superheater (46) ), or both of them. The operator can determine the degreasing status by checking the detected value with the gas monitor 18 .

[실시 형태 6][Embodiment 6]

도 6의 탈지로(50)와 같이, 제어 장치(34)에 통신 장치(52)가 접속되어도 된다. 통신 장치(52)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네트워크(54)에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다. 네트워크(54)는 LAN(Local Area Network),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휴대 전화의 통신 설비를 사용한 네트워크, 또는 그들 양쪽을 포함한 것이어도 된다. 서버(56)가 네트워크(54)에 접속되어 있다. 가스 모니터(18)로 검출된 값, 온도계(32)로 계측된 값, 또는 그 양쪽이 네트워크(54)를 통해 서버(56)에 송신된다. 서버(56)는 수신한 값을 기억 장치에 기억한다. 다른 컴퓨터가 네트워크(54)를 통해 서버(56)에 액세스하고, 기억된 값을 확인해도 된다. 원격으로 탈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Like the degreasing furnace 50 in FIG. 6 , the communication device 5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34 . The communication device 52 is a device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54 by wire or wireless. The network 54 may include a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facility of a mobile phone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or long term evolution (LTE), or both. A server 56 is connected to a network 54 . The value detected by the gas monitor 18 , the value measured by the thermometer 32 , or both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56 via the network 54 . The server 56 stores the received value in a storage device. Another computer may access the server 56 via the network 54 and check the stored value. You can check the degreasing status remotely.

[실시 형태 7][Embodiment 7]

도 7의 탈지로(60)와 같이, 배기 통로(40)에 가스 모니터(62)를 부착하고, 가스의 가열 분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으로부터 배기된 가스가 완전히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로 변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스 모니터(62)는 노 본체(14)의 내부 공간(20)에서 가스를 검출하는 데 사용한 가스 모니터(18)와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Like the degreasing furnace 60 in FIG. 7 , a gas monitor 62 may be attached to the exhaust passage 40 so that thermal decomposition of gas can be confirmed.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gas exhausted from the inne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is completely converted into a gas such as carbon dioxide. The gas monitor 62 may use the same gas monitor 18 used to detect gas in the inner space 20 of the furnace body 14 .

또한, 배기 통로(40)에 온도계(64)를 배치하여, 배기되는 가스의 온도를 계측해도 된다. 제어 장치(34)에 가스 모니터(62)와 온도계(64)의 값이 입력된다. 제어 장치(34)가 배기 통로(40)에 구비된 가열 장치(도시생략)에 의한 온도를 제어하고, 확실하게 가스를 가열 분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thermometer 64 may be disposed in the exhaust passage 4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ed gas. The values of the gas monitor 62 and the thermometer 64 are input to the control device 34 . The control device 34 controls the temperature by a heat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exhaust passage 40 so that the gas can be decomposed by heating reliably.

필요에 따라서 배기 통로(40)에 공기의 공급구를 마련하고,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공기의 도입량에 의해 가스의 연소를 제어한다.If necessary, an air supply port may be provided in the exhaust passage 40 so that the air supply amount can be adjusted. The combustion of gas is controlled by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제1항) 일 형태에 따른 탈지로는,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의 가스원과, 상기 불활성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를 포함한다.(Item 1) A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a gas source for an inert ga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ert gas, and a furnace generated from the object to be degreased. and a gas monitor for detecting gas.

제1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가스 모니터로 검출된 가스에 의해 탈지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탈지의 종료를 알 수 있어, 적절한 시간으로 탈지를 종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furnace according to claim 1, the progress of the degreasing can be confirmed by the ga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The end of the degreasing can be known, so that the degreasing can be completed at an appropriate time.

(제2항) 일 형태에 따른 탈지로는,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의 액체원과,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생성하는 과열기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를 포함한다.(Item 2) In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a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or liquid source for generating saturated steam, and superheated steam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with saturated steam or and a superheater generated from the liquid, and a gas monitor for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ed material.

제2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포화 증기에 의해 탈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 때, 가스 모니터로 탈지되었을 때의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탈지를 종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furnace according to claim 2, the degreasing time can be shortened by saturated steam. At that time, by detecting the gas at the time of degreasing with the gas monitor, it is possible to complete degreasing in an optimal time.

(제3항) 일 형태에 따른 탈지로는,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의 가스원과, 상기 불활성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의 액체원과,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생성하는 과열기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를 포함한다.(Item 3) A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a gas source for an inert gas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ert gas, and generating saturated steam. a saturated vapor generating device or liquid source of liquid; a superheater generating superheated vapor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from saturated vapor or liquid; and a gas monitor detecting a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제3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불활성 가스 또는 포화 증기 중 어느 것으로 탈지를 행하였다고 해도, 가스 모니터로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탈지를 종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3, even if degreasing is performed with either an inert gas or saturated steam, the degreasing can be finished in an optimal time by detecting the gas with a gas monitor.

(제4항)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된 가스에 대응하여 가스원과 가열 장치,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원과 과열기 또는 그 양쪽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Item 4)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gas source and the heating device, the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or the liquid source and the superheater or both in response to the ga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제4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제어 장치가 가스원 등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탈지할 수 있다. 그 때, 가스 모니터로 검출된 값을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탈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furnace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gas source or the like, degreas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At that time, by using the value detected by the gas monitor, it is possible to degrease in an optimal time.

(제5항)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되는 가스가 복수 종류 있고, 상기 제어 장치가 가스마다 노 본체의 내부 공간의 분위기 온도가 다르도록 가스원과 가열 장치,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원과 과열기 또는 그 양쪽을 제어한다.(Item 5)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gase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and the control device uses a gas source and a heating device, a saturated steam generator, or a liquid source and a superheater so that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body is different for each gas. control both of them.

제5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가스마다 소정의 온도에서 탈지함으로써, 불완전 탈지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furnace according to claim 5, incomplete degreasing can be prevented by degreasing each ga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제6항) 상기 가스 모니터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를 포함한다.(Item 6) The gas monitor includes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제6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가스 모니터로서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를 사용함으로써, 탈지되었을 때의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of Claim 6, the gas at the time of degreasing can be detected by using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as a gas monitor.

(제7항)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 모니터와,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계측하는 온도계를 구비한다.(Item 7) A gas monitor for detecting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and a thermometer for measuring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are provided.

제7항에 기재된 탈지로에 의하면, 배기된 가스를 검지하거나, 온도 측정하거나 함으로써, 배기되는 가스의 가열 온도 및 공급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어, 확실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furnace according to claim 7, by detecting the exhausted gas 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exhausted gas and the supplied air can be controlled, and the decomposition can be reliably controlled.

(제8항) 일 형태에 따른 탈지 방법은,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승온시키는 공정과, 상기 승온된 불활성 가스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Item 8) A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tep of stor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in a furnace body, a step of raising the temperature of an inert gas, a step of degreasing the object with the heated inert gas, and and detecting the generated gas with a gas monitor.

제8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가스 모니터로 탈지 시에 발생한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탈지 조건을 구할 필요가 없다.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탈지 종료 시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re is no need to obtain degreasing conditions by detecting a gas generated during degreasing with a gas monitor. By detecting the ga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mpletion of degreasing.

(제9항) 일 형태에 따른 탈지 방법은,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과열 증기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Item 9) A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tep of stor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in a furnace body; a step of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from saturated steam or liquid; and a step of degreasing the degreasing material with the superheated steam; and detecting a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gas monitor.

제9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과열 증기에 의해 단시간에 노 본체의 내부 공간을 승온시킬 수 있어, 단시간에 탈지할 수 있다. 가스 모니터로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탈지 종료를 확인할 수 있다. 불필요하게 장시간의 탈지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body can be heated up in a short time by the superheated steam, and the degreasing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By detecting the gas with the gas monito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mpletion of the degreasing. Unnecessarily prolonged degreasing can be prevented.

(제10항) 일 형태에 따른 탈지 방법은,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승온시키는 공정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승온된 불활성 가스, 과열 증기 또는 그 양쪽에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Item 10) A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step of accommodat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in a furnace body, a step of raising a temperature of an inert gas, a step of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from saturated steam or liquid, and the heated inert gas , a step of degreasing an object to be degreased with superheated steam or both, and a step of detecting a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ed material with a gas monitor.

제10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불활성 가스 또는 과열 증기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탈지해도, 가스를 검출함으로써 최적의 시간으로 탈지할 수 있다. 탈지를 위한 조건을 구할 필요는 없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even when degreasing using either an inert gas or superheated steam, it is possible to degrease in an optimal time by detecting the gas. It is not necessary to seek conditions for degreasing.

(제11항)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된 가스에 대응하여 상기 노 본체에 불활성 가스, 과열 증기 또는 그 양쪽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한다.(Item 11) and controlling supply of an inert gas, superheated steam, or both to the furnace body in response to the ga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제11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검출된 가스에 대응하여 노 본체에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 등을 제어함으로써, 탈지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degreasing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inert gas or the like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in response to the detected gas.

(제12항)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되는 가스가 복수 종류 있고, 검출되는 가스마다 노 본체의 내부 공간의 분위기 온도가 다르도록 불활성 가스의 온도, 과열 증기의 온도, 또는 그 양쪽을 제어한다.(Item 12)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gase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the temperature of the superheated steam, or both are controlled so that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body is different for each detected gas.

제12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검출된 가스마다 탈지가 완료되도록 불활성 가스 등을 제어함으로써, 불완전한 탈지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mplete degreasing by controlling an inert gas or the like so that degreasing is completed for each detected gas.

(제13항) 상기 가스 모니터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를 포함한다.(Item 13) The gas monitor includes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제13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에 의해 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gas can be detected by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제14항)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지하는 공정과,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의 온도를 온도계로 측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Item 14) A step of detecting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with a gas monitor; and a step of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with a thermometer.

제14항에 기재된 탈지 방법에 의하면,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검지하거나 온도 측정하거나 함으로써, 배기된 가스의 가열 온도 및 공기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어, 확실하게 가스를 분해할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egreas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by detecting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or measuring the temperature,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exhausted gas and the air supply amount can be adjusted, and the gas can be reliably decomposed. .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개량, 수정, 변경을 가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한 각 실시 형태는 독립된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조합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aspect which added various improvement, correction, and change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ain point. Each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is not independent, and can be implement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10, 42, 48, 50, 60: 탈지로
12: 피탈지물
14: 노 본체
16: 가스원
18, 62: 가스 모니터
20: 노 본체의 내부 공간
22: 선반
24: 공급구
26: 배기구
28: 배관
30: 가열 장치
32, 64: 온도계
34: 제어 장치
36: 배기 가스 연소로
38: 단열체
40: 배기 통로
44: 포화 증기 생성 장치
46: 과열기
52: 통신 장치
54: 네트워크
56: 서버
10, 42, 48, 50, 60: by skim
12: fading
14: furnace body
16: gas source
18, 62: gas monitor
20: the inner space of the furnace body
22: shelf
24: supply port
26: exhaust port
28: plumbing
30: heating device
32, 64: thermometer
34: control device
36: exhaust gas combustion furnace
38: insulation
40: exhaust passage
44: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46: superheater
52: communication device
54: network
56: server

Claims (14)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의 가스원과,
상기 불활성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
를 포함하는 탈지로.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 waste material;
a gas source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furnace body;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ert gas;
Gas monitor for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skim containing.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의 액체원과,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생성하는 과열기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
를 포함하는 탈지로.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 waste material;
a saturated vapor generating device or liquid source of liquid for generating saturated vapor;
a superheater for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from saturated steam or liquid;
Gas monitor for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skim containing.
피탈지물을 수용하는 노 본체와,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의 가스원과,
상기 불활성 가스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와,
포화 증기를 생성하는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의 액체원과,
상기 노 본체에 공급하는 과열 증기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생성하는 과열기와,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검출하는 가스 모니터
를 포함하는 탈지로.
a furnace body for accommodating a waste material;
a gas source for supplying an inert gas to the furnace body;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ert gas;
a saturated vapor generating device or liquid source of liquid for generating saturated vapor;
a superheater for generating superheated steam supplied to the furnace body from saturated steam or liquid;
Gas monitor for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skim contain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된 가스에 대응하여 가스원과 가열 장치,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원과 과열기, 또는 그 양쪽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탈지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gas source and a heating device, a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or a liquid source and a superheater, or both in response to the ga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되는 가스가 복수 종류 있고, 상기 제어 장치가 가스마다 노 본체의 내부 공간의 분위기 온도가 다르도록 가스원과 가열 장치, 포화 증기 생성 장치 또는 액체원과 과열기 또는 그 양쪽을 제어하는 탈지로.
5. The method of claim 4,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gase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a gas source and a heating device, a saturated steam generating device, or a liquid source and a superheater or both so that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body is different for each gas. by ski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모니터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를 포함하는 탈지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as monitor comprises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검지하는 가스 모니터와,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계측하는 온도계
를 구비한 탈지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gas monitor for detecting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A thermometer that measures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with a cotton swab equipped with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승온시키는 공정과,
상기 승온된 불활성 가스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탈지 방법.
A step of accommodating the waste matter in the furnace bod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a step of degreasing the object to be degreased with the elevated temperature inert gas;
A process of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gas monitor
A degreasing method comprising a.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과열 증기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탈지 방법.
A step of accommodating the waste matter in the furnace body;
generating superheated vapor from saturated vapor or liquid;
a step of degreasing the object to be degreased with the superheated steam;
A process of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gas monitor
A degreasing method comprising a.
노 본체에 피탈지물을 수납하는 공정과,
불활성 가스를 승온시키는 공정과,
포화 증기 또는 액체로부터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승온된 불활성 가스, 과열 증기 또는 그 양쪽에서 피탈지물을 탈지하는 공정과,
상기 피탈지물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탈지 방법.
A step of accommodating the waste matter in the furnace bod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generating superheated vapor from saturated vapor or liquid;
a step of degreasing the object to be degreased with the elevated temperature inert gas, superheated steam, or both;
A process of detecting gas generated from the degreasing object with a gas monitor
A degreasing method comprising a.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된 가스에 대응하여 상기 탈지로에 불활성 가스, 과열 증기 또는 그 양쪽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탈지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and controlling supply of an inert gas, superheated steam or both to the degreasing furnace in response to the ga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모니터로 검출되는 가스가 복수 종류 있고, 검출되는 가스마다 노 본체의 내부 공간의 분위기 온도가 다르도록 불활성 가스의 온도, 과열 증기의 온도,또는 그 양쪽을 제어하는 탈지로.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A degreasing furna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inert gas, the temperature of the superheated steam, or both so that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gases detected by the gas monitor, an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urnace body is different for each detected gas.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모니터가 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도계를 포함하는 탈지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wherein the gas monitor comprises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를 가스 모니터로 검지하는 공정과,
상기 노 본체로부터 배기된 가스의 온도를 온도계로 측정하는 공정
을 구비한 탈지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detecting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with a gas monitor;
A process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gas exhausted from the furnace body with a thermometer
A degreas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10028568A 2020-09-29 2021-03-04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KR10251437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3777 2020-09-29
JP2020163777A JP7474413B2 (en) 2020-09-29 2020-09-29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822A true KR20220043822A (en) 2022-04-05
KR102514377B1 KR102514377B1 (en) 2023-03-29

Family

ID=80998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68A KR102514377B1 (en) 2020-09-29 2021-03-04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74413B2 (en)
KR (1) KR102514377B1 (en)
CN (1) CN11432255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8792A1 (en) * 2022-05-13 2023-11-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Degreasing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0103A (en) * 1986-04-23 1987-10-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for operating degreasing and sintering furnace
JPH0669692U (en) * 1993-02-26 1994-09-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Heat treatment furnace
WO2005047207A1 (en) 2003-11-17 2005-05-26 Ngk Insulators, Ltd.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JP2005201606A (en) * 2004-01-19 2005-07-28 Nadex Co Ltd Heating device
KR100535260B1 (en) * 2002-09-11 2005-12-0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Thermal processing method of ceramic molded article and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JP3226912U (en) * 2020-05-12 2020-07-27 島津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Industrial furna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132B2 (en) * 1988-06-27 1995-08-16 松下電工株式会社 Degreasing method for ceramic molded products
JP2004218005A (en) 2003-01-15 2004-08-05 Osaka Yakin Kogyo Kk System and method for degreasing and sintering of powder molded product
JP4523499B2 (en) 2005-06-27 2010-08-11 日本碍子株式会社 Degreasing method
JP5689325B2 (en) * 2011-01-20 2015-03-25 一般財団法人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センター Degreasing method and degreasing apparatus for ceramic molded body
JP5814572B2 (en) 2011-03-18 2015-11-17 関東冶金工業株式会社 Microwave degreasing apparatus and microwave degreasing method
JP5861177B2 (en) * 2011-10-18 2016-02-16 株式会社モリカワ Organic solvent desorption method and organic solvent desorption apparatus
JP6103279B2 (en) * 2013-09-11 2017-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Heat treatment method
JP6631080B2 (en) 2015-08-11 2020-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intered body and heating furnace
CN106482523B (en) * 2016-05-30 2019-03-08 丁文江 Use superheated steam as the heat treatment system and heat treatment method of heat transfer carri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0103A (en) * 1986-04-23 1987-10-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for operating degreasing and sintering furnace
JPH0669692U (en) * 1993-02-26 1994-09-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Heat treatment furnace
KR100535260B1 (en) * 2002-09-11 2005-12-09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Thermal processing method of ceramic molded article and thermal processing apparatus
WO2005047207A1 (en) 2003-11-17 2005-05-26 Ngk Insulators, Ltd.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JP2005201606A (en) * 2004-01-19 2005-07-28 Nadex Co Ltd Heating device
JP3226912U (en) * 2020-05-12 2020-07-27 島津産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Industrial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4377B1 (en) 2023-03-29
JP2022056011A (en) 2022-04-08
CN114322558A (en) 2022-04-12
JP7474413B2 (en)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3822A (en)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JPWO2007111351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H07283164A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treatment
KR101208254B1 (en) Gas analysis apparatus using microwave
JP2021191989A (en) Defatting furnace and defatting method
CN110412216A (en) A kind of On-line Measuring Method of VOCs concentration
CN203598836U (en) Anti-condensation system in gas pipeline
CN213614148U (en) 3DP printed matter sintering device
JP7211421B2 (en) Analysis equipment
JP7240172B2 (en) Carburizing Equipment and Burnout Completion Judgment Method for Carburizing Equipment
JP7405301B2 (en) Degreasing furnace
CN113758266A (en) Degreasing furnace and degreasing method
JP5795298B2 (en) Exhaust gas analysis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8249293A (en) Internal pressure control method of heating furnace
JP2020035551A (en) Plasma generator and heater warming method
KR20100129287A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servation of exhaust heat energy
JP3227156U (en) Industrial furnace
WO2024045335A1 (en) Ozone catalyzing and eliminating device and plasma beauty instrument
JP5784885B2 (en) Oxygen partial pressure control heat treatment equipment
JP3230921U (en) Industrial furnace
WO2021187079A1 (en) Total organic carbon measurement device and total organic carbon measurement method
US201502323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irectly Electrically Heated Flow-Through Chemical Reactor
JP2006232943A (en) Apparatus for carbonizing garbage
JPH0257895A (en) Vacuum heat treatment method and device
JPH0272627A (en)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