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159A - 의료용 진료의자 - Google Patents

의료용 진료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159A
KR20220039159A KR1020200121930A KR20200121930A KR20220039159A KR 20220039159 A KR20220039159 A KR 20220039159A KR 1020200121930 A KR1020200121930 A KR 1020200121930A KR 20200121930 A KR20200121930 A KR 20200121930A KR 20220039159 A KR20220039159 A KR 20220039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upport
patient
backres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794B1 (ko
Inventor
김라삼
Original Assignee
(주)한맥토탈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토탈시스템 filed Critical (주)한맥토탈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21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9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3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and a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진료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엉덩이에서 허벅지 영역을 지지하며 바닥면에 좌판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좌부; 좌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며, 일단이 좌부에 링크로 연결되는 발판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종아리 지지부; 발판 연결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발지지부; 일단이 좌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등받이부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되어 환자의 팔을 지지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등받이부의 회동상태에서도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팔걸이부; 및 일단이 등받이부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좌부의 바닥 후면에 결합되어 승강구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각도조절부의 승강구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회동각도가 조절되어 틸팅되면서 좌부에 연결된 종아리 지지부, 팔걸이부, 등받이부 및 발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진료의자{Medical chair}
본 발명은 의료용 진료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원에서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를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특징에 맞게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 및 틸팅하여 의사가 시술을 편안한 자세에 시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의료용 진료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진료의자는 환자의 조작에 따라 수술, 치료, 진단, 검사 등을 수행하는 의료기기 장비로서, 치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안과, 산부인과, 비뇨기과 등의 병의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진료의자에는 여러 가지 보조장치가 설치되어 의사가 진료 또는 수술할 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9149호, 2004년 1월 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에서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를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특징에 맞게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 및 틸팅하여 의사가 시술을 편안한 자세에 시행할 수 있는 의료용 진료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에 있어서, 환자의 엉덩이에서 허벅지 영역을 지지하며 바닥면에 좌판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좌부; 좌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며, 일단이 좌부에 링크로 연결되는 발판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종아리 지지부; 발판 연결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발지지부; 일단이 좌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등받이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 등받이부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되어 환자의 팔을 지지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등받이부의 회동상태에서도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팔걸이부; 및 일단이 등받이부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좌부의 바닥 후면에 결합되어 승강구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각도조절부의 승강구동에 따라 등받이부의 회동각도가 조절되어 틸팅되면서 좌부에 연결된 종아리 지지부, 팔걸이부, 등받이부 및 발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부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고,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종단이 좌부의 후단 하면에 형성되는 메인연결축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부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볼스크류; 및 내부에 윤활제가 수용되어 볼스크류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볼스크류에 윤활제를 제공하여 볼스크류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윤활제통;을 구비하며, 볼스크류의 종단이 좌부의 후단 하면에 형성되는 메인연결축에 연결된다.
여기서, 윤활제는 구리스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부의 하면에는 좌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슬립링을 구비하는 하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진료의자는 병원에서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를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특징에 맞게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 및 틸팅하여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사가 시술을 편안한 자세에서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등받이부가 직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등받이부가 소정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등받이부가 완전히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를 이용한 틸팅 구조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을 구비하는 하부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등받이부가 직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등받이부가 소정각도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의 등받이부가 완전히 틸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스크류를 이용한 틸팅 구조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는 좌부(110), 종아리 지지부(120), 발지지부(130), 등받이부(140), 머리지지부(150), 팔걸이부(160) 및 각도조절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부(110)는 환자의 엉덩이에서 허벅지 영역을 지지하는 좌판(11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좌판 연결링크(112)를 구비한다. 좌판(111)은 평평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업다운 승강액추에이터와 연결되는 복수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좌판 연결링크(112)는 길쭉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종아리 지지부(12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등받이부(1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복수의 홀(H)에는 좌부(110)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슬립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좌부(110)를 360도 회전시켜 필요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의자의 설정위치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좌판(111)은 후방 중앙에 각도조절부(170)와 연결될 수 있는 메인연결축(113)이 결합된다. 메인연결축(113)은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좌판(111)의 끝단에서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종단에 홀(1131)이 형성된다. 메인연결축(113)에 형성된 홀(1131)에는 힌지링크(115)의 일단이 결합되고, 힌지링크(115)의 타단은 후술하는 각도조절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연결축(113)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팔걸이 링크(161)와 연결되는 팔걸이 연결구(114)가 각각 결합되며, 팔걸이 연결구(114)는 좌판(11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되면서 종단에 팔걸이 링크(161)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미표시하였으나, 좌판(111)의 상측면에는 환자의 착석을 편안하게 제공할 수 있는 메모리 폼으로 형성되는 시트 또는 공압을 통해 쿠션조정이 가능한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폼 시트로 형성되는 경우, 통풍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종아리 지지부(120)는 좌부(11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발지지부(130)와 연결되어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좌판 연결구(121)와 발판 연결링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좌판 연결구(121)는 발지지부(13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종아리 지지부(120)의 후방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좌판 연결구(121) 중 하나의 좌판 연결구(121)는 좌판 연결링크(112)와 연결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좌판 연결구(121)는 좌판(111)의 하면에 연결된다. 좌판 연결구(121)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좌판(111)은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좌판 연결구(121)의 안정적인 회동을 제공할 수 있다. 좌판 연결링크(112)의 구동에 따라 연결된 발판 연결링크(122)의 회동을 안내하여 종아리 지지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좌판 연결구(121)는 발지지부(13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종아리 지지부(120)의 후방에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좌판 연결구(121) 중 하나의 좌판 연결구(121)는 좌판 연결링크(112)와 연결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좌판 연결구(121)는 좌판(111)의 하면에 연결된다. 좌판 연결구(121)가 결합되는 위치에서 좌판(111)은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좌판 연결구(121)의 안정적인 회동을 제공할 수 있다. 좌판 연결링크(112)의 구동에 따라 연결된 발판 연결링크(122)의 회동을 안내하여 종아리 지지부(1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발판 연결링크(122)는 길쭉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좌판 연결구(121)에 형성되는 좌판(111)의 하면에 형성되는 발판 연결구(117)에 결합되고, 타단은 종아리 지지부(120)의 종단에 연결되는 발지지부(130)에 연결된다. 이때, 좌판(111)의 바닥면에는 각도제어구(116)가 구비된다. 발판 연결링크(122)는 각도제어구(116)와 기설정된 각도범위에서 맞닿도록 결합되는 캠(122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발판 연결링크(122)의 회동에 따라 발판 연결링크(122)에 연결된 캠(1221)이 회전하면서 각도제어구(116)와 맞닿게 되면, 기설정된 각도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더 이상 각도조절부(170)가 구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 표시하였으나, 종아리 지지부(120)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쿠션이 구비될 수 있으며, 메모리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지지부(130)는 발판 연결링크(122)의 타단과 종아리 지지부(120)에 형성된 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지지부(130)는 발판 연결링크(122)에 연결되어 발판 연결링크(122)의 동작에 따라 도 4와 같이 종아리 지지부(120)와 동일한 수평상태가 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등받이부(140)는 일단이 좌부(11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미표시하였으나, 등받이판(141)의 상면에는 환자의 착석을 편안하게 제공할 수 있는 메모리 폼으로 형성되는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폼 시트로 형성되는 경우, 통풍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머리지지부(150)는 등받이부(140)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한다. 머리지지부(150)는 내주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머리를 감싸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머리지지부(150)는 높낮이 조절기능과 틸팅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손잡이(15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손잡이(151)를 통해서 머리지지부(150)의 틸팅각도를 조정한 후에 고정시킬 수 있다.
팔걸이부(160)는 등받이부(140)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되어 환자의 팔을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팔걸이 링크(161), 회전축 보호구(162) 및 팔안착구(163)를 구비할 수 있다.
팔걸이 링크(16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일단이 좌판(111)의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 연결구(114)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축 보호구(162)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축을 통해 연결된다.
회전축 보호구(162)는 하방향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 보호구(162)의 내측으로 연장된 팔걸이 링크(161)의 일단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회전축 보호구(162)는 바깥 방향으로 노출된 면에 홀이 형성되어 팔걸이 링크(161)의 회전축이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팔안착구(163)는 회전축(1631)을 구비하여 회전축 보호구(162)에 형성된 홀을 따라 삽입되어 팔걸이 링크(161)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좌부(110), 등받이부(140), 머리지지부(150) 및 팔걸이부(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환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할 수 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부착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값을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환자의 시술 조건에 따라 적정하게 활용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170)는 일단이 등받이부(140)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좌부의 바닥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에 따라 등받이부(140)의 각도를 조정함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각도조절부(170)의 구동에 따라 등받이부(140)의 회동각도가 틸팅되면서 팔걸이부(160)가 틸팅되고, 좌부(110)에 연결된 종아리 지지부(120) 및 발지지부(130)가 함께 틸팅 구동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170)는 두가지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유압실린더로 구동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 각도조절부(170)는 유압실린더(171) 및 보강재(172)를 구비한다. 이때, 유압실린더(171)는 양단에 회동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틸팅될 때에 상단과 하단 모두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면서 능동적이면 효과적으로 등받이부(140)가 회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171)의 어느 한쪽으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171)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유압실린더(171)는 일단이 등받이부(140)의 후면에 결합되고,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1712)의 종단이 메인연결축(113)에 연결된 힌지링크(115)에 결합될 수 있다. 로드(1712)의 승강구동에 따라 힌지링크(115)가 메인연결축(113)에서 회동구동하면서 등받이부(140)를 회동시키게 되며, 로드(1712)가 수축하게 되면 등받이부(140)가 틸팅되면서 기울어지게 되고, 로드(1712)가 확장하게 되면 등받이부(140)가 직립하게 된다.
보강재(172)는 유압실린더(171)를 등받이부(14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방법으로 각도조절부(170)의 유압실린더(171)는 구동모터(173)와 볼스크류(174)로 대체될 수 있다.
구동모터(173)는 볼스크류(174)와 연결되어 볼스크류(174)를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173)는 타이밍밸트(176)를 통해 볼스크류(174)와 연결된다.
볼스크류(174)는 구동모터(173)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73)의 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진에는 미표시되어 있으나, 볼스크류(174)의 종단은 메인연결축(113)에 연결된 힌지링크(115)와 연결된다. 따라서, 볼스크류(174)의 구동에 따라 전술한 유압실린더(171)와 같이 등받이부(140)의 틸팅 구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볼스크류(174)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받이부(140)가 기울어지도록 작동하고,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직립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볼스크류(174)의 승강 구동에 따라 볼스크류(174)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볼스크류(174)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면 볼스크류(174)의 구동에 따른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볼스크류(174)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제통(17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윤활제통(175)의 내부에는 윤활제가 수용되어 볼스크류(174)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볼스크류(174)에 윤활제를 제공하여 볼스크류(174)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윤환제통(175)에는 구리스가 구비될 수 있으나, 윤활제가 구리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윤활제가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링을 구비하는 하부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진료의자(10)의 하부지지부(180)는 받침부(181), 회전지지부(182), 외측지지부(183), 슬립링(184), 실린더로드(185), 내측슬라이드(186)를 구비할 수 있다.
받침부(181)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되어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된다. 받침부(181)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회전지지부(182)를 구비한다. 회전지지부(182)의 상측 양단은 받침부(181)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회전지지부(182)와 받침부(181)의 상단이 맞닿는 면에는 구름볼(1811)이 구비될 수 있다. 구름볼(1811)은 회전지지부(182)와 받침부(181)의 서로 맞닿는 면에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받침부(181)에 대해서 좌부(110)가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부(182)의 하면에는 슬립링(184)이 결합된다. 슬립링(184)을 통해 전원 및 외부 커텍터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를 회전지지부(182)의 상측 공간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지지부(182)의 회전 시, 전선들이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외측지지부(183)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회전지지부(182)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된다.
실린더로드(185)는 외측지지부(183)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이 회전지지부(182)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좌판(111)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좌판(111)을 승강구동시키게 된다.
내측슬라이드(186)는 상단이 좌판(111)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지지부(182)의 바닥면에 맞닿는 않는 범위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이 외측지지부(183)의 내주면에 실린더로드(185)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구동하여 좌판(111)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진료의자는 병원에서 환자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의자를 환자의 신체조건이나 특징에 맞게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 및 틸팅하여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의사가 시술을 편안한 자세에서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좌부 111 : 좌판
112 : 좌판 연결링크 113 : 메인연결축
114 : 연결구 120 : 종아리 지지부
121 : 좌판 연결구 122 : 발판 연결링크
130 : 발지지부 140 : 등받이부
150 : 머리지지부 151 : 손잡이
160 : 팔걸이부 161 : 팔걸이 링크
162 : 회전축 보호구 163 : 팔안착구
170 : 각도조절부 171 : 유압실린더
172 : 보강재 173 : 구동모터
174 : 볼스크류 175 : 윤활제통
180 : 하부지지부 181 : 받침부
182 : 회전지지부 183 : 외측지지부
184 : 슬립링 185 : 실린더로드
186 : 내측슬라이드

Claims (5)

  1. 의료용 진료의자에 있어서,
    환자의 엉덩이에서 허벅지 영역을 지지하며 바닥면에 좌판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좌부;
    상기 좌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종아리를 지지하며, 일단이 상기 좌부에 링크로 연결되는 발판 연결링크를 구비하는 종아리 지지부;
    상기 발판 연결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발지지부;
    일단이 상기 좌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면 각각에 결합되어 환자의 팔을 지지하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상태에서도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팔걸이부; 및
    일단이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부의 바닥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각도가 조절되어 틸팅되면서 상기 좌부에 연결된 상기 종아리 지지부, 팔걸이부, 등받이부 및 발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료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종단이 상기 좌부의 후단 하면에 형성되는 메인연결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료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구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볼스크류; 및
    내부에 윤활제가 수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에 상기 윤활제를 제공하여 상기 볼스크류의 상하 이동을 원할하게 안내하는 윤활제통;을 구비하며,
    상기 볼스크류의 종단이 상기 좌부의 후단 하면에 형성되는 메인연결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료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구리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료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부의 하면에는 상기 좌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슬립링을 구비하는 하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진료의자.
KR1020200121930A 2020-09-22 2020-09-22 의료용 진료의자 KR102419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30A KR102419794B1 (ko) 2020-09-22 2020-09-22 의료용 진료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30A KR102419794B1 (ko) 2020-09-22 2020-09-22 의료용 진료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59A true KR20220039159A (ko) 2022-03-29
KR102419794B1 KR102419794B1 (ko) 2022-07-12

Family

ID=8099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930A KR102419794B1 (ko) 2020-09-22 2020-09-22 의료용 진료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41A (ja) * 1993-06-30 1995-04-04 San Beam:Kk 回転椅子
KR100281025B1 (ko) * 1999-02-08 2001-01-15 어금인도 환자 진료용 의자
KR200339149Y1 (ko) 2003-10-31 2004-01-24 이병찬 의료용 보조의자
KR101584797B1 (ko) * 2014-08-05 2016-01-12 주식회사 로덱 구조 개선된 안과용 진료 의자
KR101605350B1 (ko) * 2014-12-23 2016-03-23 주식회사 체어로 윤활제 저장홈이 형성된 좌판회동부재를 구비하는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41A (ja) * 1993-06-30 1995-04-04 San Beam:Kk 回転椅子
KR100281025B1 (ko) * 1999-02-08 2001-01-15 어금인도 환자 진료용 의자
KR200339149Y1 (ko) 2003-10-31 2004-01-24 이병찬 의료용 보조의자
KR101584797B1 (ko) * 2014-08-05 2016-01-12 주식회사 로덱 구조 개선된 안과용 진료 의자
KR101605350B1 (ko) * 2014-12-23 2016-03-23 주식회사 체어로 윤활제 저장홈이 형성된 좌판회동부재를 구비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794B1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480B1 (ko) 병원용 다기능 전동침대
US10881567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20030006639A1 (en) Legrest-carrying chair
US8740304B2 (en) Assistant standing seat
US10888169B1 (en) Electric sofa frame
KR20170106900A (ko) 휠체어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JP4944688B2 (ja) 医療用椅子
KR102419794B1 (ko) 의료용 진료의자
KR20060128266A (ko) 양측면 각도 조절 기능이 포함된 침대
JP6282775B1 (ja) 移乗機
CN113613611A (zh) 独立控制床头部的倾斜床
CN114980849A (zh) 用于运输工具座椅的调节设备
PT1613195E (pt) Espreguiçadeira ou cama regulável
JP2004016370A (ja) 介護用ベッド
KR200324936Y1 (ko)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
JP3219802U (ja) 車椅子
KR20210032304A (ko) 시중 장치
WO2014006768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DK181472B1 (en) Relief device for relieving pressure exerted against a wheelchair user
JP3602188B2 (ja) 歯科治療用椅子
KR102672235B1 (ko) 빅데이터에 기반한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기초하여 변형가능한 리클라이닝 소파
CN1788651B (zh) 靠背斜度可自动调节的身体支撑座椅
CN216754886U (zh) 一种全自动智能医用检查床
CN113273837B (zh) 一种防倾翻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