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025B1 - 환자 진료용 의자 - Google Patents

환자 진료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025B1
KR100281025B1 KR1019990004282A KR19990004282A KR100281025B1 KR 100281025 B1 KR100281025 B1 KR 100281025B1 KR 1019990004282 A KR1019990004282 A KR 1019990004282A KR 19990004282 A KR19990004282 A KR 19990004282A KR 100281025 B1 KR100281025 B1 KR 10028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air
hinge
shaf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310A (ko
Inventor
어금인도
Original Assignee
어금인도
주식회사메드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금인도, 주식회사메드스타 filed Critical 어금인도
Priority to KR101999000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0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등에서 환자를 진료하기 위하여 환자가 착석하는 진료용 의자에 대한 것으로서 환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소아 또는 성인에 따른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환자를 움직이지 않고 의자를 좌우로 회전시켜 필요한 환자의 환부를 진료할 수 있으며 환자의 등받이와 발받침을 수평이 유지될 수 있게 시트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부여된 환자 진료용 의자에 대하여 안출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진료용 의자{A chair for treating a patient}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진 환자진료용 의자가 제공되고 있는 바 종래의 환자진료용 의자는 의자 각부의 작동을 유압공학 (oil - Hydraulic) 시스템에 의하여 유압실린더 및 유압펌프로 의자의 각부를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유압작동식 환자진료용 의자는 유압식이기 때문에 그 구조는 단순하나 기온이 현저히 낮은 동절기에는 장치 내부 배관, 보다 자세하게는 오일 필터와 실린더 사이의 연결 배관 내부에서 기온차이로 인한 소음(knocking 현상)이 발생되고 연결부위에서 누유가 되는 경우나 필터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도 있으며 1년에 한번씩 작동유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도 1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환자 진료용 의자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환자 진료용 의자의 하부 구조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서의 A-A선 단면 개요도
도 4 는 도 2 에서의 B-B선 일부 단면도로서 버티칼 타입의 모터와 2개의 리미트 스위치 개폐압지구와 의자의 원형회전좌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캠과의 연설관계를 나타내는 구동 개념도
도 5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환자 진료용 의자의 시트 상승, 하강을 하기위한 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일부종단면도
도 6 은 도 5 에서의 C-C선 평면도
도 7 은 의자좌대의 저면도
도 8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환자 진료용 의자의 측면에서 본 등받이 및 발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한 장치 구성 개요도
도 9 은 도 8 에서 등받이 및 발받침대가 즉각 수평으로 틸팅되어 의자가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룬 상태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 : 환자 진료용 의자 S : 등받이 4 : 발받침
5 : 발받침지지대 6 : 의자좌대의 단 6a : 의자좌대 상단면
7 : 의자좌대 7a : 원형회전좌대 7b : 단의 하면
8 : 수직지주 9 : 상단판 10 : 체결구
11 : 가이드레일 12 : 지지포삽관 13 : 가이드롤러 14,14a,14b,14c : 브라켓 15 : 암스크류 15a : 숫스크류
16 : 스크류축 17 : 베어링 18 : 종동풀리
18a : 주동풀리 19,30,41: 정역모터 20 : 축
21 : 벨트 22 : 압지간 23,23a,23b,23c : 리미트스위치 24 : 걸림편
25 : 괘지편 30 : 압압레버 30a,30b : 한쌍의 베벨기어 31 : 수평전동축 32,32a : 베어링 34,34a : 스윗칭롤러
35 : 캠 36 : 압압레버 36a : 선단상면
37 : 힌지브라켓 3,3a,40a,40b,40c,40d,40e : 힌지
42 : 숫스크류축 43 : 암스크류관 44 : 작동바
45 : 작동편 46 : 압동간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유압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의자 시트의 상승,하강 및 좌우 수평 회전 그리고 등받이 및 발받침을 수평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안출한 발명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환자가 착석하는 시트(1) 후방에 대략 수직으로 등받이(2)를 시트프레임(1a) 선단과 힌지(3)로 입설연결하고 시트(1) 전방선단에 발받침(4) 지지대(5)를 좌우 한 쌍으로 하향되게 힌지(3a)로 자유회동하게 연설한 의자(c)의 시트부(s)를 가진 환자 진료용 의자(c)를 구성하되 의자(c)의 시트부(s)의 시트프레임(1a) 하부와 대략 평면이 원판형으로 되고 일정한 높이의 단(6)이 상측으로 구비된 시트좌대(7)와를 수직지주(8)로서 수직으로 연설하되 시트좌대(7)의 단(6) 상면에는 단의 상면과 일치되는 평면을 가진 원형회전좌대(7a)를 위치되게 하고 수직지주(8)의 상단판(9)은 시트프레임(1a)과 볼트등의 체결구(10)로 체결고정하고 수직지주(8)의 외주벽면 4 곳에는 수직으로 가이드 레일(11)이 수직지주(8) 하단까지 고착구비되며 이 가이드레일(11)에 의하여 수직지주(8)를 지지하여 수직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수직지주(8)의 상하 이동을 원할히 할 수 있도록 수직지주(8)를 내부에 수용하고 하부가 의자좌대(7)와 일체로 수직연설되고 상면이 개방된 수직지주(8) 지지포삽관(12)을 상향 입설하여 수직지주(8) 지지포삽관(12) 상부 선단면에, 수직지주(8)에 고착 구비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수직지주(8)를 지지하는 가이드롤러(13)가 가이드롤러(13) 브라켓(14)에 자유회동되게 포삽관(12) 4곳에 착설하고 수직지주(8) 내주면에는 암스크류(15)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이 암스크류(15)와 치접되는 숫스크류(15a)가 형성된 스크류축(16)을 축설하되 스크류축(16) 하단은 원형회전좌대(7a) 중도부에 착설된 베어링(17)을 관통하여 풀리(18)를 축설한다.
이 풀리(18)는 원형회전좌대(7a) 상면에 고착된 버티컬 기어드 모터(19) 축(20)에 축설된 주동풀리(18a)와 V벨트(21)등으로 전동되게 한다.
그리고 수직지주(8) 일측의 일정위치에 압지간(22)을 돌설하고 수직지주 지지포삽관(12) 상하측 일정한 위치에 압지간(22)에 의하여 ON,OFF 되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23)(23a)를 각각 착설하며 원형회전좌대(7a) 상면 선단부의 일정한 위치와 개수 (도면에는 3곳 도시)의 로울러(13a)가 축설된 로울러(13a) 브라켓(14a)을 고착하여 로울러(13a)가 의자좌대(7)의 단(6) 상단면(6a)상에서 자유회전할 수 있게 하되 원형회전좌대(7a) 저면에 일정한 각도의 회전을 한다음 정지되게 하는 걸림편 (24)을 돌설하고 이 걸림편(24)에 괘지되어 회전을 정지되게 하는 괘지편(25)을 시트좌대 (7) 저면 내주면(26)에 돌설한다.
또한 원형회전좌대(7a) 상면에 일정한 회전비로 감속되고 1쌍의 베벨기어(31), (31a)에 의하여 수직전동에서 수평전동하도록 하는 정역회전 모터(30)를 착설하고 이 모터(30)의 수평전동축(31)은 베어링(32)에 의해 회전지지되고 저면이 원형회전좌대(7a)에 고정되는 브라켓(14b)을 관통하여 브라켓(14c)에 장착된 베어링(32a)에 의하여 자유회동하게 축수지지되되 이 수평전동축(31)에는 브라켓(14b)상단에 착설 된 2개의 리미트스위치(23b)(23c)를 ON,OFF시키는 2개의 스윗칭로울러(34)(34a)와 압지캠(35)이 차례로 축설되고 상기 압지캠(35)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압지 및 압지해재되는 압압레버(36)가 압압레버(36) 중도부를 힌지(3a)로 결합되는 힌지브라켓 (37)에 의하여 지지축설되게하여 첨부한 도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지캠 (35)의 압지력에 의하여 압압레버(36) 선단상면(36a) 이 시트좌대(7)에 돌출 형성된 단(6)상부저면(6a)을 압지하여 제동하므로서 자유회동하는 원형회전좌대(7a)를 임의의 회전위치에서 회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제동을 해재하려면 정역회전모터(30)의 회전을 공지한 전극변환 스윗치(도면에는 도시안됨)의 전극을 변환시켜 역회전하면 압압레버(36) 선단상면(36a)이 자중에 의하여 시트좌대(7)의 상부저면(6a)과 이격되므로 제동이 해재되어 시트(1)의 수평회전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시트(1)를 기준으로 등받이(2)와 발받침지지대(5)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틸팅장치를 구성하되 등받이(2)와 발받침지지대(5)가 각각 별개로 동작하지 않고 등받이(2)가 틸팅됨과 동시에 발받침지지대(5)또한 상측으로 동시에 틸팅될 수 있도록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시트프레임(1a) 상측모서리부와 등받이(2) 하부 모서리를 힌 지(3)로 자유회동하게 축설하고 시트 프레임(1a)하면 전방에 힌지(40a) 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된 정역모터(41)축을 스크류가 형성된 스크류축 (42)으로 형성하여 이 스크류축(42)의 스크류가 숫스크류축(42)으로 되고 이 숫스크류축(42)과 치합되는 내부에 암스크류(도면에는 도시안됨)가 삭설형성된 암스크류관(43)선단부와 등받이(2) 하측모서리를 힌지(40b) 결합하고 시트프레임(1a) 전방선단과 발받침지지대(5)가 힌지(3a)로 자유회동되게 결합되며 힌지(3a) 후측에 시트프레임(1a)과 상측선단이 힌지(40c) 결합되는 작동바(44)를 연설하되 작동바 (44) 상측에 작동편(45)을 돌설하여 이 작동편(45) 선단과 등받이(2) 하측의 힌지 (3)와 힌지(40b) 사이에 역시 힌지(40d)로 결합되는 압동간(46) 선단을 힌지(40e)로 연설 개재시켜서 본 발명이 구성된다.
그런데 본 발명상으로 장치된 3대의 모터(19)(30)(41)의 ON,OFF 스위치의 위치 및 이들을 연결하는 결선회로 및 정역스위치 장치등은 공지된 기술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환자 진료용 의자(c)의 시트(1)를 상,하 이동시킬 시에는 정역 모터(19)를 구동하면 정역 모터(19) 축(20)에 축설된 주동풀리(18a)가 회전하고 이 회전력은 벨트(21)에 의하여 종동풀리(18)를 회전시키고 종동풀리(18)의 회전에 의하여 종동풀리(18)가 축설된 스크류축(16) 을 회전시키고 이 스크류축(16)의 회전에 의하여 이 스크류축(16)에 삭설된 숫스크류(15a)에 치합된 암스크류(15)가 형성된 수직지주(8)가 상승하되 수직지주(8)는 수직지주(8) 외주면 4곳에 외주면과 일체로 구비된 가이드레일(11)을 지지포삽관 (12) 상부 주연부에 브라켓(14)에 의하여 축설된 자유회동 가이드롤러(13)에 의하여 지지되어 수직을 유지한 상태로 상승하거나 정역모터(19)의 역회전으로 하강하는 작동을 하게되고 이때 상승시에는 수직지주(8) 외주면의 적당한 위치에 돌설된 압지간(22)이 상승정지용 리미트스윗치(23)을 압지하여 정역모터(19)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서 수직지주(8)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이와 반대로 수직지주(8)의 하강시에는 정역모터(19)를 역회전시켜서 수직지주(8)가 하강하여 일정한 거리를 하강하면 수직지주(8)에 돌설된 압지간(22)이 하강정지용 리미트스위치(23a)을 압지하여 정역모터(19)의 역회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수직지주(8)를 임의의 높이에서 정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환자 진료용 의자(c)의 시트(1)를 수평으로 좌우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는 별다른 구동이 필요없이 의사가 시트를 좌 또는 우로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첨부한 도면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지주(8)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의 표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고 이 평면의 가이드레일(11)에 대접된 가이드롤러(13)의 외주면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어 수직지주(8)가 연설된 시트(1)를 회전시키면 수직지주(8)와 가이드롤러(13)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포삽관(12)이 회전하고 따라서 지지포삽관(12)과 일체로 연설된 원형회전좌대(7a)를 회전시키고 원형회전좌대(7a)는 그 주연부상면에 브라켓(14a)에 의하여 회전자재하에 축설된 롤러(13a)가 의자좌대(7)에 돌설된 단(6)상단면(6a)을 레일로 하여 의자좌대(7)가 필요에 의하여 수동으로 좌,우로 회동되되 일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하게 일정한 최대각도로 회동하면 원형회전좌대 (7a) 저면에 돌설된 걸림편(24)이 의자좌대(7)저면에 돌설 된 괘지편(25)에 의해 괘지되어 필요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일정한 각도에서 원형회전좌대(7a)를 정지시켜야 할 경우에는 정역모터(30)를 ON 하여 회전시키면 일정한 회전수로 감속된 모터회전력이 1쌍의 베벨기어(30a)(30b)에 의하여 수평전동축(31)에 전달되고, 이 수평전동축(31)에 축설된 캠(35)이 회전하여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하여 힌지(3a)를 축으로 압압레버의 선단부가 의자좌대 (7)의 단(6) 하면 (7b)과 이격되어 있다가 캠이 회전하여 압압레버(36) 하측선단을 압지하면 압압레버(36) 선단상면(36a)이 의자좌대(7)의 단(6) 하면(7b)을 압지하므로서 그 마찰력에 의하여 원형회전좌대(7a)가 정지하게된다.
이와동시 수평전동축(31)에 축설된 2개의 스윗칭롤러(34)(34a)중의 하나(예로서 34)가 2개의 스윗칭롤러(34)(34a)상면에 위히고정된 리미트스위치(23b)(23c)중의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예로서 23b)를 압압하여 정역모터(30)의 회전을 정지시키므로서 원형회전좌대(7a)의 정지상태를 필요한 시간동안 유지시킨다. 그리고 정지를 해재하려면 정역모터(30)를 역회전시키면 캠(35)이 압압레버(36)에서 이격되고 압압레버(36)는 자중에 의하여 의자좌대(7)의 단하면(7b)으로부터 이격되어 압지상태가 해재되고 수평전동축(31)에 축설된 다른 하나의 스윗칭롤러가 다른하나의 리미트스윗치를 압압하여 정역모터(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정역모터(30)가 정지된다.
그리고 직립상태의 등받이(2)를 틸팅시키고자 할 때에는 시트프레임(1a) 전방하부에 힌지(40a) 결합된 정역모터(41)의 숫스크류축(42)을 회전시키면 이 숫스크류축 (42)이, 내주면에 암스크류가 삭설되어 숫스큐류축(42)이 나합된 암스크류 관(43)이 숫스크류축(42)의 모터(41)쪽으로 이동하고 이 암스크류관(43) 후미와 힌지(40b)로 축설된 등받이(2)가 힌지(40)를 축으로 첨부한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틸팅된다. 이 때 등받이(2) 하부의 힌지(40e)와 자유회동되게 일측선단이 연설된 압동간(46) 전방으로 위치 이동되고 이때 압동간(46) 타측선단과, 시트프레임(1a)전방에 힌지(40c) 결합되고 상측중도부에 형성된 작동편(45)선단과 힌지(40e) 결합되어 있어 압동간(46) 타측선단이 작동편(45)을 밀게되어 따라서 이 작동편(45)에 대략 직각으로 연설된 작동바(44)가 힌지(40c)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틸팅되며 이 작동바 (44) 선단에 괘지된 발받침지지대(5) 또한 상측으로 등받이(2)와 함께 동시에 틸팅되게되어 시트(1)와 등받이와 발받침지지대가 수평을 유지하게되면 정역모터(4)의 회전을 정지시키게하므로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제 등받이와 발받침지지대 (5)를 원위치시키려면 등받이와 발받침지지대(5), 정역모터(41)를 역회전시키므로서 등받이(2)와 발받침지지대(5)는 틸팅동작의 역순으로 작동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 원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의 회전, 정지, 상승, 하강, 등받이 및 발받침지지대를 틸팅 또는 원위치시키는 구조를 기계적으로 작동하게하므로서 유압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작동유의 누유에 따르는 불결함 및 악취, 잦은 작동유의 교환등의 불편과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나 정숙하면서 정확한 동작을 하는 환자 진료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환자를 보다 편리하게 진단하도록 의자 시트의 상하 이동 및 좌우회전, 그리 고 의자등받이와 발받침지지대를 틸팅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는 환자진료용 의자(c)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1)후방에 대략 수직으로 등받이(2)를 시트프레임(1a) 선단과 힌지(3)로 입설하고 시트(1) 전방선단에 발받침(4) 지지대(5)를 힌지(3a) 결합한 의자(c)의 시트부(s)의 시트프레임(1a) 하부에 일정한 높이의 단(6)이 원형태 형태로 돌설된 의자좌대(7)를 위치시키고 의자좌대(7)상면에 원형회전좌대(7a)를 개재하여 이 원형회전좌대(7a) 상면에 원통형으로 되고 상부가 개방된 일정한 높이의 지지포삽관 (12)을 일체로 입설하고 이 지지포삽관(12) 내주면 일측상하에 리미트스위치(23) (23a)를 각각 설치하여 지지포삽관(12) 중앙부에 하단은 훤형회전좌대(7a) 중앙을 관통하여 종동풀리(18)가 축착되고 상측은 숫스크류(15a)가 외주면에 삭설된 일정한 길이의 숫스크류축(16)을 입설하며 이 숫스크류축(16)과 나합되는 암스크류가 내주면에 형성된 암스크류관(43)을 수직결합하되 암스크류관(43) 외주면 4곳에 세로로 가이드레일(11)을 돌설하고 암스크류관(43) 외주면 일측에 압지간(22)을 돌설하며 지지포삽관(12) 상부주연부에 가이드롤러(13)가 브라켓(14)에 의해 회전자재하게 장착되고 원형회전좌대(7a) 상면에는 정역모터(19)가 입설되고 그 축(20) 선단에는 주동풀리(18a)가 축설되어 종동풀리(18)와 벨트(21)로서 연동되게하며 원형회전좌대(7a) 주연선단부에 브라켓(14a)에 의해 축설된 롤러(13a)가 의자좌대(7)의 단(6) 상단면(6a)에 재치되게하고 원형회전좌대(7a) 상면에 정역모터(30)를 착설하여 이 정역모터(30)축과 수평전동축(31)을 베벨기어(30a)(30b)로 연동되게하고 수평전동축(31)에는 2개의 스윗칭롤러(34)(34a)를 축설하고 그 상면에 2개의 리미트 스위치(23b)(23c)를 브라켓(14b)에 고착하며 수평전동축(31)선단에는 캠(35)을 축설하며 캠(35) 저부선단에는 힌지브라켓(37)의 힌지(3a)에 의해 축설되는 압압레버 (36)가 위치되고 압압레버(36) 선단 상면(36a)과 의자 좌대(7)의 단(6)의 하면(76)이 캠(35)의 회동에 의하여 압지 또는 이격되게하여서되는 환자진료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지주(8)의 상단판(9)과 시트프레임(1a) 하면을 고착연설하되 시트프레임(1a) 전방저면에 힌지(40a)로 결합되는 정역모터(41)축을 숫스크류축(42)으로 형성하여 이 숫스크류축(42)과 연동되는 암스크류가 내주면에 형성된 암스크류관(43) 타측선단은 등받이(2)의 하단에 힌지(40b)로 결합되고 힌지(40b) 대략 상측에 일측은 힌지(40d)로 결합되는 압동간(46)을 개재하되 압동간(46) 타측선단은 상부선단이 시트프레임(1a) 선단과 힌지(40c)로 결합되고 중도부에 수직으로 돌설된 작동편(45) 선단과 힌지(40e)로 결합되게 한 작동바(44)를 연설하며 이 작동바(44) 하측선단은 발받침대(5) 하측에 괘지되게하여서되는 환자진료용 의자.
KR1019990004282A 1999-02-08 1999-02-08 환자 진료용 의자 KR10028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282A KR100281025B1 (ko) 1999-02-08 1999-02-08 환자 진료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282A KR100281025B1 (ko) 1999-02-08 1999-02-08 환자 진료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310A KR19990046310A (ko) 1999-07-05
KR100281025B1 true KR100281025B1 (ko) 2001-01-15

Family

ID=5478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282A KR100281025B1 (ko) 1999-02-08 1999-02-08 환자 진료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0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29B1 (ko) * 2002-03-21 2005-01-26 김덕철 의자 및 의료장비용 승강장치
KR101513713B1 (ko) * 2013-08-29 2015-04-22 (주)코젤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 조절 장치
KR102329455B1 (ko) 2021-06-07 2021-11-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이중 회전 기구
KR20220039159A (ko) * 2020-09-22 2022-03-29 (주)한맥토탈시스템 의료용 진료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555B1 (ko) * 2001-08-28 2004-12-03 이종환 시트 프레임 조립구조
CN105246448A (zh) * 2013-05-30 2016-01-13 金湘植 用于医疗检查和治疗的回转椅
KR200479294Y1 (ko) * 2014-08-05 2016-01-12 주식회사 로덱 안과 진료 의자용 틸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129B1 (ko) * 2002-03-21 2005-01-26 김덕철 의자 및 의료장비용 승강장치
KR101513713B1 (ko) * 2013-08-29 2015-04-22 (주)코젤 의료용 전동 의자 높이 조절 장치
KR20220039159A (ko) * 2020-09-22 2022-03-29 (주)한맥토탈시스템 의료용 진료의자
KR102419794B1 (ko) * 2020-09-22 2022-07-12 (주)한맥토탈시스템 의료용 진료의자
KR102329455B1 (ko) 2021-06-07 2021-11-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이중 회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31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8552A (en) Adjustable toilet seat
US7743716B1 (en) Adjustable height counter top system
US5129112A (en) Bathtub chair lift
US4174546A (en) Construction for a water closet
KR100281025B1 (ko) 환자 진료용 의자
US5323497A (en) Toilet seat lifting device
CN107007404B (zh) 一种多功能轮椅
WO1998050726A1 (en) Height-adjustable workstand support
US3599963A (en) Examination table
CN2334384Y (zh) 全自动多功能自理床
US3914806A (en) Invalid aid
EP0403235A1 (en) An improved lifting mechanism
KR20080107139A (ko) 싱크대의 상부장 승강 장치
KR200251954Y1 (ko) 환자용 침대
JP2816825B2 (ja) 調理実習台
JP2001057919A (ja) 昇降椅子
CN2295476Y (zh) 多功能护理床
CN219125791U (zh) 倾斜椅架的自动升降装置
CN114931476B (zh) 一种烧伤病人用辅助支撑架
US6098215A (en) Toilet seat lifting device
EP116500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baths
JP3040987B1 (ja) 身体障害者用入浴装置
JP3323031B2 (ja) 便座の昇降傾動装置
EP3650000A1 (en) Apparatus for lifting people associable with the seat of a chair or an armchair
KR200293192Y1 (ko) 미용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