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60A -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2760A
KR20220032760A KR1020200114490A KR20200114490A KR20220032760A KR 20220032760 A KR20220032760 A KR 20220032760A KR 1020200114490 A KR1020200114490 A KR 1020200114490A KR 20200114490 A KR20200114490 A KR 20200114490A KR 20220032760 A KR20220032760 A KR 20220032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n
brake pad
return spring
spring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국
박상준
김창석
이완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2760A/ko
Publication of KR2022003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5Springs made from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는: 캘리퍼바디와, 캘리퍼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부와, 가이드핀부가 관통되게 설치되며, 가이드핀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와, 가이드핀부를 각각 감싸고,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장착되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브레이크 패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개의 리턴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CALIPER APPARATUS FOR BRAKE}
본 발명은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동해제시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캘리퍼(CALIPER)는 페달 가압시 브레이크 디스크와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캘리퍼는 유압이 작용하는 실린더와 피스톤이 디스크 양측에 위치하고 완전히 고정된 캘리퍼가 실린더로부터 유압이 전달되면 양쪽에 있는 피스톤이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 양면에 압착하는 대향형 캘리퍼 즉, 고정형 캘리퍼(Fixed mount caliper)와, 캘리퍼를 부동상태로 하여 스스로 미끄러지면서 캘리퍼의 한쪽에 피스톤과 실린더를 두고 다른 한쪽에는 브레이크 패드의 반작용이 생기게 하여 브레이크 디스크를 압착하는 부동형 캘리퍼(Floating type caliper)로 구분된다.
대향형 캘리퍼는 제동해제시 브레이크 패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브레이크 패드에 리턴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그러나, 판 스프링은 브레이크 패드의 백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되어 제동해제시 브레이크 패드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지만, 브레이크 패드에 리턴력뿐만 아니라,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은 브레이크 패드의 상단에 위치되어 브레이크 패드에 편향된 힘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제동해제시 브레이크 패드가 기울어짐은 물론, 브레이크 패드에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7677호(발명의 명칭: 디스크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패드 세트, 공개일: 2018.10.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동해제시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는: 캘리퍼바디; 상기 캘리퍼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부; 상기 가이드핀부가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핀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 및 상기 가이드핀부를 각각 감싸고,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개의 리턴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부는, 상기 가이드핀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양단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를 각각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져 상기 가이드핀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리턴스프링; 및 상기 제1리턴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턴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리턴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와 접촉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연장부는, 상기 제2리턴스프링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접촉되는 제1스프링연장부; 상기 제1스프링연장부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의 일측을 각각 감싸는 제2스프링연장부; 및 상기 제2스프링연장부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스프링연장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접촉되는 제3스프링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부는, 상기 캘리퍼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이 외측면을 감싸는 가이드핀몸체; 및 상기 가이드핀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핀몸체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핀몸체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의 중앙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는, 상기 가이드핀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이 장착되는 백플레이트부; 및 상기 백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는 브레이크 패드부가 가이드핀부에 각각 장착된 리턴스프링부의 탄성복원력으로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브레이크 패드부가 편향없이 균일한 리턴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턴스프링이 제1리턴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브레이크 패드부와 면접촉되는 제2리턴스프링을 구비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부로부터 더욱더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핀몸체와 연결되고, 리턴스프링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통해 브레이크 패드부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리턴스프링은 브레이크 패드부 각각에 동일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요부 반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요부 반단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1)는 캘리퍼바디(100), 복수개의 가이드핀부(200),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 및 복수개의 리턴스프링부(400)를 포함한다. 캘리퍼바디(100)는 홀부 형상의 설치부(110)를 구비한다. 캘리퍼바디(100)는 상하방향으로(도 1 기준) 개방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0)를 감싸는 홀부 형상의 설치부(110)를 구비하며, 설치부(110)의 내부에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가 브레이크 디스크(10)의 양측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가이드핀부(200)는 캘리퍼바디(100)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며, 설치부(110)를 가로지른다. 가이드핀부(200)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설치부(110) 상에 배치되고, 가이드핀부(200)가 관통되게 설치되며, 가이드핀부(200)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브레이크 패드부(300)에는 가이드핀부(200)가 관통되는 관통홀부(312a)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개의 리턴스프링부(400)는 가이드핀부(200)를 각각 감싸고,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장착되며,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구체적으로, 제동시 피스톤(20)이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를 각각 가압하면 리턴스프링부(400)는 탄성변형되고, 제동 해제시 피스톤(20)이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를 각각 미가압하면 리턴스프링부(400)는 탄성복원력으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를 각각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가이드핀부(200)를 따라 이동되면서 리턴스프링부(400)의 탄성복원력으로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편향없이 균일한 리턴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리턴스프링부(400)는 리턴스프링(410)과 스프링연장부(420)를 포함한다. 리턴스프링(410)은 가이드핀부(200)의 외측면을 감싼다. 리턴스프링(410)은 코일스프링으로 가이드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진다.
스프링연장부(420)는 리턴스프링(410)의 양단부에서 브레이크 패드부(300)를 각각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연장부(420)는 리턴스프링(410)의 양단부에서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상측면(도 4 기준)을 각각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상측면(도 4 기준)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스프링연장부(420)는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백플레이트부(310)의 상측면(도 4 기준)을 각각 감싸도록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백플레이트부(310)의 상측면(도 4 기준)에 각각 장착된다.
리턴스프링(410)은 제1리턴스프링(411)과 제2리턴스프링(412)을 포함한다. 제1리턴스프링(411)은 가이드핀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져 가이드핀부(200)의 외측면을 감싼다. 즉, 제1리턴스프링(411)은 가이드핀부(200)의 가이드핀몸체(210)의 외측면을 감싼다.
제2리턴스프링(412)은 제1리턴스프링(411) 및 스프링연장부(4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리턴스프링(411) 및 스프링연장부(420)와 연결되고, 제1리턴스프링(4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브레이크 패드부(300)와 접촉된다. 즉, 제2리턴스프링(412)은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백플레이트부(310)에 접촉되되, 직경이 제1리턴스프링(411)의 직경보다 크다. 이로 인해, 제2리턴스프링(412)은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백플레이트부(310)와의 면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동 해제시 리턴스프링부(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가 각각 원위치로 복귀될 때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더욱더 균일한 리턴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스프링연장부(420)는 제1스프링연장부(421), 제2스프링연장부(422) 및 제3스프링연장부(423)를 포함한다(도 5, 도 7 참조). 제1스프링연장부(421)는 제2리턴스프링(412)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접촉된다. 제1스프링연장부(421)는 제2리턴스프링(412)에서 상측으로(도 5, 도 7 기준)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백플레이트부(310)에 각각 접촉된다.
제2스프링연장부(422)는 제1스프링연장부(421)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일측을 각각 감싼다. 제2스프링연장부(422)는 제1스프링연장부(421)에서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상측면(도 5, 도 7 기준)을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된다.
제3스프링연장부(423)는 제2스프링연장부(422)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제1스프링연장부(421)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접촉된다. 제3스프링연장부(423)는 제2스프링연장부(422)에서 하측으로(도 5, 도 7 기준)을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제1스프링연장부(421)와 마주본다. 제3스프링연장부(423)는 브레이크 패드부(300)의 백플레이트부(310)에 접촉되되, 제1스프링연장부(421)와 접촉된 반대면에 접촉된다.
가이드핀부(200)는 가이드핀몸체(210)와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가이드핀몸체(210)는 캘리퍼바디(100)에 장착되고, 리턴스프링(410)이 외측면을 감싼다.
가이드핀몸체(210)는 가이드핀머리(211)와 가이드핀봉(212)을 포함한다. 가이드핀머리(211)는 크기가 캘리퍼바디(100)의 제1가이드핀홀부(121)의 크기보다 크다. 가이드핀머리(211)는 캘리퍼바디(100)의 제1가이드핀홀부(121)와 연결된 제2가이드핀홀부(122)에 삽입된다.
가이드핀봉(212)은 가이드핀머리(211)와 연결되며, 캘리퍼바디(100)의 제1가이드핀홀부(121)를 관통하여 캘리퍼바디(100)의 제3가이드핀홈부(123)에 삽입된다. 이때, 가이드핀봉(212)은 캘리퍼바디(100)의 제1가이드핀홀부(121) 및 제3가이드핀홈부(123)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가이드핀몸체(210)와 연결되고, 리턴스프링(410)의 중앙부(0)를 고정한다. 고정부(220)는 가이드핀몸체(21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리턴스프링(410)의 중앙부(0)를 고정한다. 이로 인해, 제동 해제시 리턴스프링(410)의 중앙부(0) 즉, 브레이크 패드부(300) 사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리턴스프링(410)은 브레이크 패드부(300) 각각에 동일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리턴스프링(410)이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동일한 리턴력이 제공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편향된 힘이 작용하지 않아 가이드핀부(200) 상에서 이동될 때 회전이동되지 않게 된다.
고정부(220)는 가이드핀몸체(210)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가이드핀몸체(210)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리턴스프링(410)의 중앙부(O)가 삽입되는 고정홈부(221)가 형성된다. 고정부(220)는 원통형상으로 크기가 리턴스프링(410)의 제1리턴스프링(411)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고정부(220)는 중앙부에서는 둘레를 따라 제1리턴스프링(411)의 중앙부(O)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부(221)가 형성된다.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백플레이트부(310)와 마찰부재(320)를 포함한다. 백플레이트부(310)는 가이드핀부(200)가 관통되는 관통홀부(312a)가 형성되고, 리턴스프링(410)이 장착된다. 백플레이트부(310)는 백플레이트본체(311)와 복수개의 백플레이트결합부(312)를 포함한다. 백플레이트본체(311)는 판 형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10)의 양측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백플레이트결합부(312)는 백플레이트본체(311)에서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며, 백플레이트본체(311)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관통홀부(312a)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복수개의 백플레이트결합부(312)는 백플레이트본체(311)의 상측면에(도 5 기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마찰부재(320)는 백플레이트부(310)와 연결되고, 브레이크 디스크(10)에 접촉된다. 마찰부재(320)는 백플레이트부(310)와 결합되며,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찰부재(320)는 제동시 브레이크 디스크(10)에 접촉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캘리퍼바디(100)에 가이드핀부(200)가 설치되고, 리턴스프링부(400)가 가이드핀부(200)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양단부가 브레이크 디스크(10)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가이드핀부(20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핀부(200)에 장착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조작하면, 유압에 의해 피스톤(20)이 브레이크 패드부(300)를 브레이크 디스크(10) 측으로 가압한다. 브레이크 패드부(300)가 가이드핀부(200) 상에서 브레이크 디스크(10) 측으로 이동되고, 브레이크 디스크(10)에 밀착되어 마찰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때, 리턴스프링부(400)는 탄성변형되어 압축된다.
반대로, 제동 해제 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지 않으면, 피스톤(20)으로 유압이 작용하지 않고,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가이드핀부(200) 상에서 브레이크 디스크(10)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0)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리턴스프링부(4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부(300)는 브레이크 디스크(30)의 좌우측으로(도 9 기준) 충분히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리턴스프링부(400)는 중앙부(O)가 가이드핀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리턴스프링부(400)는 중앙부(O)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도 9 기준)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각각 동일한 탄성복원력 즉, 동일한 리턴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패드부(300)에 균일한 리턴력이 제공됨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부(300)가 가이드핀부(200) 상에서 브레이크 디스크(10)의 반대측으로 이동될 때 편향되어 기울어지는 현상이 없으므로, 회전이동되지 않고 원위치로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1)는 한 쌍의 리턴스프링부(400)를 통해 제동 해제 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300) 각각에 동일한 탄성복원력 즉, 동일한 리턴력을 제공함 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부(300)가 브레이크 디스크(10)와의 이격될 때 가이드핀부(200) 상에서 편향되어 회전이동되지 않고 원위치로 원활하게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10 : 브레이크 디스크
20 : 피스톤 100 : 캘리퍼바디
110 : 설치부 120 : 가이드핀홀부
121 : 제1가이드핀홀부 122 : 제2가이드핀홀부
123 : 제3가이드핀홈부 200 : 가이드핀부
210 : 가이드핀몸체 211 : 가이드핀머리
212 : 가이드핀봉 220 : 고정부
221 : 고정홈부 300 : 브레이크 패드부
310 : 백플레이트부 311: 백플레이트본체
312 : 백플레이트결합부 312a : 관통홀부
320 : 마찰부재 400 : 리턴스프링부
410 : 리턴스프링 411 : 제1리턴스프링
412 : 제2리턴스프링 420 : 스프링연장부
421 : 제1스프링연장부 422 : 제2스프링연장부
423 : 제3스프링연장부

Claims (7)

  1. 캘리퍼바디;
    상기 캘리퍼바디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부;
    상기 가이드핀부가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핀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부; 및
    상기 가이드핀부를 각각 감싸고, 한 쌍의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개의 리턴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부는,
    상기 가이드핀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리턴스프링;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양단부에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를 각각 감싸도록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가이드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감겨져 상기 가이드핀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제1리턴스프링; 및
    상기 제1리턴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연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턴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리턴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와 접촉되는 제2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연장부는,
    상기 제2리턴스프링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접촉되는 제1스프링연장부;
    상기 제1스프링연장부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의 일측을 각각 감싸는 제2스프링연장부; 및
    상기 제2스프링연장부에서 일측으로 구부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1스프링연장부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에 각각 접촉되는 제3스프링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부는,
    상기 캘리퍼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이 외측면을 감싸는 가이드핀몸체; 및
    상기 가이드핀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핀몸체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핀몸체의 둘레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리턴스프링의 중앙부가 삽입되는 고정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부는,
    상기 가이드핀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이 장착되는 백플레이트부; 및
    상기 백플레이트부와 연결되고, 브레이크 디스크에 접촉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캘리퍼 장치.
KR1020200114490A 2020-09-08 2020-09-08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KR20220032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90A KR20220032760A (ko) 2020-09-08 2020-09-08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490A KR20220032760A (ko) 2020-09-08 2020-09-08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760A true KR20220032760A (ko) 2022-03-15

Family

ID=8081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490A KR20220032760A (ko) 2020-09-08 2020-09-08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32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4567A (zh) * 2022-04-20 2022-07-05 南方天合底盘系统有限公司 一种低噪音、低拖滞固定式制动钳总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4567A (zh) * 2022-04-20 2022-07-05 南方天合底盘系统有限公司 一种低噪音、低拖滞固定式制动钳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26539A1 (en) Pad liner for braking apparatus
KR20140067202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220032760A (ko)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KR101908011B1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102534995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6033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59082A (ko) 모노블럭 캘리퍼 브레이크
KR20230101430A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US20210172488A1 (en) Caliper brake pad spring and brake device
KR20220010887A (ko) 브레이크용 캘리퍼장치
KR20150128273A (ko) 디스크 브레이크
US4296844A (en) Floating caliper type disc brake
US20230011350A1 (en) Brake apparatus for vehicle
KR102210465B1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라이너
KR102576316B1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KR20230003899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20230003901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20230026134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GB2065248A (en) Improvements in sliding caliper disc brakes
KR20230003900A (ko) 차량용 브레이크 장치
KR100760184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KR20210085313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KR20220133047A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라이너
KR20190084431A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JP2021148202A (ja) ディスクブレー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