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184B1 -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184B1
KR100760184B1 KR1020030030825A KR20030030825A KR100760184B1 KR 100760184 B1 KR100760184 B1 KR 100760184B1 KR 1020030030825 A KR1020030030825 A KR 1020030030825A KR 20030030825 A KR20030030825 A KR 20030030825A KR 100760184 B1 KR100760184 B1 KR 10076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guide
support
carri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452A (ko
Inventor
최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3003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18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패드플레이트의 진동 및 떨림을 방지하고 패드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수 있는 견고한 패드가이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패드가이드은 양쪽에 지지부를 두고 두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며, 지지부의 중단부위에 절곡되는 가이드부를 두고 가이드부의 외측에서 캐리어측으로 연장절곡되는 고정부를 두고 지지부의 말단에서 패드측으로 1차절곡되는 1차절곡부와 다시 연장으로 캐리어측으로 2차절곡되는 2차절곡부를 구비한 패드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형성된 고정부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캐리어에 대하여 호환성을 가지며, 패드받침대는 패드의 2중의 절곡부를 가짐으로써 패드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The Pad Guide for Disk Brake}
도 1 종래기술에 의한 패드가이드의 결합사시도.
도 2 본 발명에 의한 패드가이드을 장착한 캐리어의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의한 패드가이드의 사시도와 측면도.
도 4 본 발명에 의한 패드가이드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패드가이드 66 : 지지부 65 : 연결부
61 : 가이드부 62 : 고정부 63 : 패드받침부
63a: 1차절곡부 63b: 2차절곡부 50 : 걸림홈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플레이트와 캐리어 사이에 설치되는 패드가이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의 양면에 마찰부재를 강제로 압착시켜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 마찰력을 통해 디스크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차량을 제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제동작동을 수행시에는 브레이크의 패달작용에 의한 유압의 발생과 이 유압의 작동에 의하여 캘리퍼내에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이 전진하고, 이에 따라 마찰패드와 후방에서 접촉하는 패드플레이트가 피스톤에 의해 전진함으로써 제동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제동의 해제시에는 휠실린더내부에 피스톤을 압박하는 유압이 해제되고 피스톤의 시일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스톤이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패드가이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1)와 패드플레이트(3,3`) 사이에 장착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얇은 금속부재로 이루어진 패드가이드(6)는 패드(4,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양측의 지지부(6a)와 양 지지부(6a)를 연결하는 상측의 연결부(6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6a)는 상부에 캐리어측의 공간에 끼워져 패드가이드(6)를 캐리어(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부(7)와 중간에 패드(4,4`)측으로 절곡되어 패드(4,4`)의 가이드역할을 하는 돌출된 가이드부(8)와 하단에 역시 패드측으로 절곡되어 패드를 밑에서 받쳐주는 패드받침부(9)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성의 패드가이드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운전자가 패달(미도시)을 밟아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 제동유압이 생성되면, 이 유압이 유압라인을 따라 캘리퍼하우징의 휠실린더(미도시)로 공급되어 휠실린더에 있는 피스톤(미도시)을 디스크(10)쪽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피스톤에 의해서 캐리어(1)에 포함되어 회전하는 디스크(10)에 직접접촉하게 되는 패드(4,4`)와 상기 패드와 결합되어 있는 패드플레이트(3,3`)가 디스크(10)측으로 밀려 디스크(10)와 패드(4,4`)간의 마찰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패드가이드(6)는 패드플레이트(3,3`)와 캐리어(1)사이에 삽입되어 패드플레이트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도와주게 된다.
그러나 이때 종래기술의 패드가이드에 의하면 캐리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7)의 위치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캐리어의 형태가 다르므로 호환성이 없는 곳에 위치하고, 패드를 밑에서 받치는 패드받침부(9)가 제약된 공간내에서 패드의 하중을 소화해 내기 어려워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설명 도면부호 (2)와(5) 는 각각 캐리어의 안내돌기와 패드플레이트의 걸림홈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캐리퍼의 형상에 관계없이 장착호환성이 높은 패드가이드를 제공하고 동시에 패드의 하중을 제약된 공간내에서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패드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륜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에 압착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패드와 상기 패드와 결합된 패드플레이트가 안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연결되어 휠실린더와 피스톤을 내장한 캘리퍼하우징, 상기 캐리어와 패드플레이트사이에 삽입되어 패드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하는 패드가이드를 구비한 차량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이드는 양측의 두 지지부와 상기 두 지지부를 상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중간부위에 패드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가이드부가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1차절곡되고 다시 캐리어측으로 2차절곡되어 캐리어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의 말단에는 지지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패드측으로 1차 절곡되고 다시 캐리어측으로 2차절곡된 패드받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브레이크는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100)와, 디스크(100)의 양측에서 디스크(100)를 압착하는 마찰패드(40,40`)가 부착된 한쌍의 패드플레이트(30,30`)를 구비한다. 또한 패드플레이트(30,30`)는 차량의 너클부(미도시)에 고정되는 캐리어(11)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캐리어(11)의 양측에는 패드플레이트(30,30`)를 진퇴 가능하게 지지하는 안내돌기(20)가 형성되고, 두 패드플레이트(30,30`)의 양단에는 안내돌기(30)에 수용되어 걸리는 걸림홈(50)이 마련된다. 또한 패드플레이트(30,30`)의 양단과 이를 지지하는 캐리어(11)의 안내돌기(20)사이에는 패드플레이트(30,30`)의 진동과 떨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걸림홈(50)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패드가이드(60)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두 패드플레이트(30,30`)의 양단과 캐리어(11) 사이에 끼워지는 패드가이드(6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얇은 금속이 성형된 것으로, 두 패드플레이트(30,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양측의 두 지지부(66)와, 두 지지부(66)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6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두 지지부(66)는 중간부위에 패드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가이드부(61)가 마련된다. 이 가이드부(61)는 상기 캐리어의 안내돌기(20)와 상기 패드플레이트의 걸림홈(50)사이에 삽입되도록 패드(40,40`)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61)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1차절곡되고 다시 캐리어(11)측으로 2차절곡되어 캐리어(11)의 외측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패드가이드(60)를 캐리어(11)에 고정하는 고정부(62)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62)에 절곡을 준 것은 내측으로 탄성력을 가지게하여 캐리어(11)에 결합될 때 탄성력으로 인한 압박을 가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66)의 말단에는 지지부(66)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패드(40,40`)측으로 1차 절곡된 1차절곡부(63a)와 다시 캐리어(11)측으로 2차절곡된 2차절곡부(63b)로 이루어진 패드받침부(63)가 마련된다. 따라서 패드받침부(63)가 2회의 절곡을 이룬 2중받침구조 이므로 패드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충분히 패드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패드가이드의 구성에 의한 작동과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패달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에서는 액압이 발생하며 이 액압은 차륜의 휠실린더까지 전달된다. 캘리퍼하우징내부에 있는 휠실린더에서 피스톤이 이 액압에 의하여 전진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인접한 패드플레이트(30,30`)와 패드(40,40`)가 회전하는 디스크(100)측에 압착되어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패드플레이트(30,30`)와 패드(40,40`)는 차체에 고정되 어 있는 캐리어(11)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데, 이 슬라이딩을 상기 패드플레이트(30,30`)와 캐리어(11)사이의 패드가이드(60)가 원활하게 안내한다. 제동작용이 해제되면 휠실린더의 피스톤은 피스톤시일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고 압력이 해제된 패드(40,40`)와 패드플레이트(30,30`)는 패드가이드(60)의 안내를 받아 원위치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드가이드가 캐리어에 결합되어 있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드가이드에 의하면 캐리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차량의 종류에 따른 캐리어의 종류별로 호환성이 가능하게 되고, 패드를 받쳐주는 패드받침부가 2중의 완충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약된 공간내에서 기존의 패드받침부보다 훨씬 패드의 하중을 잘 견딤으로써 패드가이드의 패드하중으로 인한 변동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밀착되어 제동 작동을 수행하도록 일면에 마찰 패드가 부착되고 그 양측 단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지지되도록 그 양측에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며 그 일측이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와 상기 패드 플레이트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떨림을 방지하는 패드가이드를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이드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양측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캐리어에 패드가이드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패드플레이트의 걸림홈과 상기 캐리어의 안내돌기사이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패드를 하측에서 받쳐주는 패드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1차절곡되고 다시 캐리어측으로 2차절곡되며,
    상기 패드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패드측으로 1차절곡되고 다시 캐리어측으로 2차절곡되어 2중받침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030030825A 2003-05-15 2003-05-15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KR10076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825A KR100760184B1 (ko) 2003-05-15 2003-05-15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825A KR100760184B1 (ko) 2003-05-15 2003-05-15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452A KR20040098452A (ko) 2004-11-20
KR100760184B1 true KR100760184B1 (ko) 2007-09-20

Family

ID=3737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825A KR100760184B1 (ko) 2003-05-15 2003-05-15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762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937B1 (ko) * 2005-06-13 2011-06-16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1815A (en) * 1995-02-20 1999-05-11 Tokico Ltd. Disk brak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1815A (en) * 1995-02-20 1999-05-11 Tokico Ltd. Disk brak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762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KR102534995B1 (ko) 2016-06-10 2023-05-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디스크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452A (ko) 200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3418A1 (en) Disk brake for vehicle
US4422534A (en) Disc brake
KR20110060243A (ko) 디스크 브레이크
CN108626273B (zh) 用于车辆的盘式制动器
KR102534995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60184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가이드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10125281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20096960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10480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30084031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KR101394126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395856B1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KR101283439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114406A (ko)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 라이너
KR20210121689A (ko) 브레이크 장치
KR100936383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80012466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1012513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230026134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하는 캘리퍼 브레이크
KR20210085305A (ko) 캘리퍼 브레이크
KR100784810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60851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10064766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418953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