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617A - 변압기 인덕터 조합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인덕터 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617A
KR20220031617A KR1020227000903A KR20227000903A KR20220031617A KR 20220031617 A KR20220031617 A KR 20220031617A KR 1020227000903 A KR1020227000903 A KR 1020227000903A KR 20227000903 A KR20227000903 A KR 20227000903A KR 20220031617 A KR20220031617 A KR 20220031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re
winding
core leg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슨 에브너
매튜 폴리
Original Assignee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비쉐이 데일 일렉트로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2003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3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two, usually identical or nearly identical parts enclosing completely the coil (pot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3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08Cores, Yokes, or armatures made from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01F2005/02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wound on formers with several winding chambers separated by flanges, e.g. for high voltag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는 중앙 코어 레그(12; 212)와, 상기 중앙 코어 레그(12; 212)로부터 이격된 외부 코어 레그(13; 213)를 갖는 코어(10, 11; 210); 상기 중앙 코어 레그(12; 212) 주위에 배치된 내부 보빈(20; 220); 상기 내부 보빈(20; 220) 및 중앙 코어 레그(12; 212) 주위에 배치되고, 외부 코어 레그(13) 주위에 배치된 제 1 장방형 부분(32)을 갖는 상부 부분과, 외부 코어 레그(13; 213) 주위에 배치된 제 2 장방형 부분(33)을 갖는 하부 부분과, 내부 보빈(20; 220) 및 중앙 코어 레그(12; 212) 주위에 배치된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30; 230); 상기 내부 보빈(20; 220) 주위에 권취된 제 1 권선(40); 및 상기 외부 보빈(30; 230) 주위에 권취되고, 제 1 장방형 부분(32) 주위에 권취된 제 1 부분과, 중앙 부분 주위에 권취된 제 2 부분과, 제 2 장방형 부분(33) 주위에 권취된 제 3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권선(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압기 인덕터 조합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7월 12일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 제 62/873,468 호 및 2019년 10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6/661,408 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양 특허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개시된 개념은 일반적으로 전기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덕터 및 변압기와 같은 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진 컨버터는 전력 변환과 같은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진 컨버터는 자동차 충전 응용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공진 컨버터는 대체 에너지, 군사 및 산업 응용분야와 같은 다양한 기타 산업에서 또한 사용된다.
공진 컨버터는 전형적으로 인덕터를 포함하는 공진 탱크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압기 권선을 포함한다. 일부 응용분야는 더 큰 공진 인덕턴스를 요구한다.
상용 응용분야에서, 공진 탱크 회로의 변압기와 인덕터는 개별 장치이며, 이는 변압기와 인덕터의 전기적 특성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별개의 장치는 조합된 장치보다 더 큰 풋프린트를 차지한다. 추가적으로, 별개의 장치는 임의의 구성요소 또는 제조 단계를 공유하지 않는다.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는 풋프린트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고 그리고 제조하기 쉬운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를 만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개시된 개념의 양태에 따르면,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combined transformer/inductor device)는 중앙 코어 레그와, 상기 중앙 코어 레그로부터 이격된 외부 코어 레그를 갖는 코어; 상기 중앙 코어 레그 주위에 배치된 내부 보빈; 상기 내부 보빈 및 중앙 코어 레그 주위에 배치되고, 외부 코어 레그 주위에 배치된 제 1 장방형 부분을 갖는 상부 부분과, 외부 코어 레그 주위에 배치된 제 2 장방형 부분을 갖는 하부 부분과, 내부 보빈 및 중앙 코어 레그 주위에 배치된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 상기 내부 보빈 주위에 권취된 제 1 권선; 및 상기 외부 보빈 주위에 권취되고, 제 1 장방형 부분 주위에 권취된 제 1 부분과, 중앙 부분 주위에 권취된 제 2 부분과, 제 2 장방형 부분 주위에 권취된 제 3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권선을 포함한다.
개시된 개념의 양태에 따르면, 코어는 중앙 코어 레그; 및 상기 중앙 코어 레그로부터 이격된 외부 코어 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코어 레그는 둥근 외부 표면을 갖는다.
개시된 개념의 양태에 따르면, 보빈은 내부에 형성된 제 1 개구부를 갖는 내부 부분; 상기 내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를 갖는 제 1 장방형 부분을 구비하는 상부 부분; 상기 내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부를 갖는 제 2 장방형 부분을 구비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분은 보빈의 높이의 절반 또는 그 이하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부분은 보빈의 높이의 절반 또는 그 이하로 연장된다.
개시된 개념의 양태에 따르면,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은 내부 보빈을 권취하는 것; 외부 보빈을 권취하는 것 ― 외부 보빈을 권취하는 것은 상기 외부 보빈의 제 1 부분을 외부 보빈의 내부 부분 및 제 1 장방형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 및 상기 외부 보빈의 중앙 부분을 외부 보빈의 내부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내부 보빈을 외부 보빈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 내부 및 외부 보빈을 코어의 중앙 코어 레그 및 외부 코어 레그 위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 및 상기 코어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개시된 개념의 완전한 이해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인덕터/변압기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2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인덕터/변압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인덕터 변압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또는 하부 코어의 등각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부 또는 하부 코어의 저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상부 또는 하부 코어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보빈의 등각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내부 보빈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내부 보빈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내부 보빈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5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빈의 등각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외부 보빈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외부 보빈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의 외부 보빈의 배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빈 내에 중첩된 내부 보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부 또는 하부 코어의 등각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부 또는 하부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보빈의 등각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내부 보빈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빈의 등각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출력 보빈의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부, 하부 및 이들의 파생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성 문구는 도면에 도시된 요소의 방향과 관련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는 한 청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수"는 1 또는 1보다 큰 정수(즉, 복수)를 의미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2a는 조립되어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조립되어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는 코어(10, 11), 내부 보빈(20) 및 외부 보빈(30)을 포함한다. 내부 보빈(20)은 제 1 권선(40)이 권취되며, 외부 보빈(30)은 제 2 권선(50)이 권취된다. 제 1 권선(40)은 변압기의 하나의 권선을 형성하고, 제 2 권선(50)은 변압기의 제 2 권선 및 인덕터의 권선을 형성한다. 그 결과,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결합 소자(100)는 변압기와 인덕터를 포함한다.
코어(10, 11)는 상부 코어(10) 및 하부 코어(11)로 형성된다. 상부 코어(10)와 하부 코어(11)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부 코어(10) 및 하부 코어(11)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어(10, 11)는 PQ 코어를 기초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10, 11)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유형의 코어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어(10, 11)는 페라이트로 구성될 수 있지만,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적절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상부 코어(10)의 등각도이며, 도 3b는 상부 코어(10)의 저면도이며, 도 3c는 상부 코어(10)의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코어(11)는 상부 코어(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c의 예시는 대안적으로 하부 코어(11)를 나타낼 수 있다. 상부 코어(10)는 중앙 코어 레그(12) 및 외부 코어 레그(13)를 포함한다. 중앙 코어 레그(12)와 외부 코어 레그(13)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중앙 코어 레그(1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그러나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 외부 코어 레그(13)는 둥근 외부 표면(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함이 없이, 도 3a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 또는 초승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둥근 외부 표면을 갖는 외부 코어 레그(13)는 외부 코어 레그(13)의 단지 하나의 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외부 코어 레그(13)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둥근 외부 표면이 없는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앙 코어 레그(12)는 하부 코어(11)의 대응하는 중앙 코어 레그(12)와 정렬되도록 연장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코어 레그(13)는 중앙 코어 레그(12)보다 짧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코어(10, 11)가 조립될 때, 상부 코어(10)의 외부 코어 레그(13)와 하부 코어(11)의 외부 코어 레그(13) 사이에 갭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는 외부 코어 레그(13) 사이의 에어 갭을 도시한다. 그러나,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외부 코어 레그(13) 사이에 에어 갭, 중앙 코어 레그(12) 사이의 에어 갭이 둘 다 있거나, 또는 둘 다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중앙 코어 레그(12)의 원통형 형상은 턴(turn)의 평균 길이를 감소시킨다. 외부 코어 레그(13)는, 제 2 권선(50)의 부분이 제 2 권선(50)에 사용된 와이어에서 외부적으로 필요한 조그(jog)가 없는 장방형 구성으로 외부 코어 레그(13) 주위로 연장되어 와이어가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도록 중앙 코어 레그(12)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된다.
내부 보빈(20)은 중앙 코어 레그(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외부 보빈(30)은 중앙 코어 레그(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지만, 또한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코어 레그(13) 주위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내부 보빈(20)은 외부 보빈(30)보다 직경이 작으며, 그 결과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가 조립될 때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의 내측에 중첩된다.
도 4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보빈(20)의 등각도이다. 도 4b는 내부 보빈(20)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내부 보빈(20)의 평면도이며, 도 4c는 내부 보빈(20)의 측면도이며, 도 4d는 내부 보빈(20)의 다른 측면도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보빈(20)은, 제 1 권선(40)을 코어(10, 11)로부터 격리시키고 그리고 재킷형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보빈(20)은 중앙 중공 개구부(21)를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갖는다(그러나,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 중앙 중공 개구부(21)는 내부 보빈(20)이 중앙 코어 레그(12) 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중앙 코어 레그(1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내부 보빈(20)은 그 단부 각각에 위치된 플랜지(25)를 포함한다. 플랜지(25)는 제 1 권선(40)을 코어(10, 11)로부터 격리시킨다. 노치(24)는 플랜지(25)에 형성되어 제 1 권선(40)에 사용된 와이어의 빠져나감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는 노치(24) 중 하나를 통과할 수 있고, 이어서 코어(10, 11)에 형성된 대응하는 노치(15)를 통과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그 후 와이어는 외부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보빈(20)은 또한 내부 보빈(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릿지(22)를 포함한다. 릿지(22)는 중앙 코어 레그(1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 1 권선(40)을 멀리 이격시킨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코어 레그(12)는 에어 갭을 갖고, 릿지(22)는 프린징 플럭스(fringing flux)로부터의 와전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제 1 권선(40)을 에어 갭으로부터 멀리 이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릿지는 내부 보빈(20)의 원주의 단지 일부 주위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보빈(20)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릿지(22)는 노치(24)의 영역에서 연장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제 1 권선(40)의 와이어가 노치(24)를 통해 빠져나가는 경로를 허용한다. 그러나, 릿지(22)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 코어 레그(12)가 에어 갭을 갖지 않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릿지(22)는 생략될 수 있다.
내부 보빈(20)의 플랜지(25)는 잠금 노치(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노치(23)는 외부 보빈(30)의 포스트(60)(도 6에 도시됨)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노치(23)는 외부 보빈(30)의 포스트(60) 내에 끼워맞춰져서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도록 내부 보빈(20)을 제 위치에 잠그며, 그에 따라 아교 또는 다른 접착제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러나, 아교 또는 다른 접착제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전히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치(24)는 내부 보빈(2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세장형인 반면, 잠금 노치(23)는 플랜지(25)의 원주를 따른 방향으로 세장형이다. 그러나, 노치(24) 및 잠금 노치(23)의 형상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잠금 노치(23)는 암형 특징부이며, 이는 포스트(60)와 같은 대응하는 수형 특징부를 수용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잠금 노치(23)는 포스트와 같은 수형 특징부로 대체될 수 있고, 포스트(60)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노치와 같은 암형 특징부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빈(30)의 등각도이다. 도 5b는 외부 보빈(30)의 평면도이며, 도 5c는 외부 보빈(30)의 측면도이며, 도 5d는 외부 보빈(30)의 배면도이다. 내부 보빈(20)과 같이 외부 보빈(30)은 제 2 권선(50)을 코어(10, 11) 뿐만 아니라 제 1 권선(40)으로부터 격리시키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보빈(30)은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3개 부분 형상을 갖는다. 외부 보빈(30)은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중앙 부분에 공통인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앙 중공 개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그러나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 중앙 중공 개구부(31)의 직경은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 내에 중첩될 수 있도록 내부 보빈(20)의 플랜지(25)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외부 보빈(30)은 또한 제 2 권선(50)을 코어(10, 11) 및 권선(40)으로부터 격리시키는, 그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36)를 포함한다. 재킷형 와이어가 권선(40 또는 50)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내부 권선과 외부 권선(50) 사이의 외부 보빈(30)은 전압 절연을 위해 재킷형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은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상부 부분은 외부 코어 레그(13)의 형상에 대응하는 장방형 부분(32)을 포함한다. 장방형 부분(32)은 외부 보빈(30)의 중앙 중공 개구부(31)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외부 중공 개구부(34)는 장방형 부분(32)에 형성된다. 외부 중공 개구부(34)는 외부 코어 레그(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코어 레그(13) 및 외부 중공 개구부(34) 양자는 반달 형상을 갖는다. 외부 중공 개구부(34)는 외부 중공 개구부(34)가 외부 코어 레그(13) 위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외부 코어 레그(13)보다 약간 더 크다. 장방형 부분(32)은 그 상부 및 하부 단부 상에 플랜지(36, 37)에 의해 경계가 이뤄지며, 이들 플랜지(36, 37)는 제 2 권선(50)을 코어(10, 11)로부터 격리하고 그리고 제 2 권선(50)을 외부 코어 레그(13)의 에어 갭으로부터 이격시켜 프린징 플럭스로부터의 와전류가 최소화될 수 있게 한다. 장방형 부분(32)의 높이는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코어 레그(13)의 상부 부분의 높이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하며, 그 결과 제 2 권선(50)이 외부 코어 레그(13)의 에어 갭 위로 연장되는 것이 제한된다.
외부 보빈(30)의 하부 부분은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외부 보빈(30)의 하부 부분은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에 있는 장방형 부분(32) 및 외부 중공 개구부(34)와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장방형 부분(33) 및 외부 중공 개구부(35)를 포함한다.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외부 보빈(30)의 중앙 부분은 장방형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중앙 부분은 중앙 중공 개구부(31)를 포함하는 외부 보빈(30)의 원통형 부분만을 포함한다.
제 2 권선(50)은 단일의 연속적인 와이어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권선(50)은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의 원통형 부분과 장방형 부분(32) 양자 주위에 와이어 피스를 다수의 턴으로 권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2 권선(50)은 외부 보빈(30)의 중앙 부분에서 외부 보빈의 원통형 부분 바로 주위에 와이어 피스를 다수의 턴으로 권취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다음에, 제 2 권선(50)은 변압기 권선과 인덕터 양자에 필요한 턴을 완료하기 위해 외부 보빈(30)의 하부 부분의 원통형 부분과 장방형 부분(33) 양자에 와이어 피스를 다수의 턴으로 권취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그러나, 권취의 순서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외부 보빈(30)의 하부 부분 주위에 권취하기 시작하여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을 종료하는 것으로 역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 2 권선(50)은 변압기의 하나의 권선과 인덕터의 권선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주위의 권선은 인덕터의 권선을 형성하고,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중앙 부분 주위의 권선은 변압기의 하나의 권선을 형성한다. 내부 보빈(20) 주위의 제 1 권선(40)은 변압기의 다른 권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권선(40, 50)과 함께,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는 변압기와 인덕터 양자의 기능을 제공한다. 외부 코어 레그(13) 주위의 장방형 형상으로 권취함으로써, 더 큰 공진 인덕턴스가 제공되며, 이는 공진 컨버터 응용분야에 유용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권선(50)은 외부 보빈(30)의 중앙 부분 주위에만 그리고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중 단지 하나에만 권취될 수 있다. 더 큰 공진 인덕턴스가 필요하지 않은 응용분야에서, 외부 보빈(30)의 중앙 부분 그리고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중 단지 하나 주위에 제 2 권선(50)을 권취하면 충분한 공진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보빈(30)은 하나 이상의 노치(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노치(38)는 플랜지(36)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권선(50)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빠져나감을 허용할 수 있다.
도 6은 외부 보빈(30) 내에 중첩된 내부 보빈(20)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보빈(30)은 외부 보빈(30)의 중앙 중공 개구부(31)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 내에 중첩될 때 내부 보빈(20)의 수직 이동을 정지시키는 수직 이동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 위로부터 외부 보빈(30) 내로 삽입될 때, 내부 보빈(20)의 플랜지(25)가 하나 이상의 돌출부(61)에 맞닿고 그리고 외부 보빈(30)을 통한 추가 수직 이동이 정지될 때까지 내부 보빈(20)은 외부 보빈(30) 내로 미끄러질 것이며, 그에 따라 내부 보빈(20)과 외부 보빈(30)을 수직으로 정렬시키고 그리고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의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를 조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여기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방법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기에 명시적으로 개시되지 않은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의 다른 변형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방법은 내부 보빈(20)이 권취되는 단계 101에서 시작된다. 방법은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이 권취되는 단계 102에서 계속된다. 방법은 외부 보빈(30)의 중앙 부분이 권취되는 단계 104에서 계속되고, 외부 보빈(30)의 하부 부분이 권취되는 단계 106에서 계속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은 장방형 부분(32, 33) 각각 주위에 뿐만 아니라 원통형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면, 중앙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은 단지 원통형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단계 102 내지 106은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및/또는 이들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들 단계들 중 다른 하나 이상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계 102 또는 106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더 큰 공진 인덕턴스가 필요하지 않은 응용분야에서, 외부 보빈(30)의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 중 단지 하나 주위에 권취하는 것으로 충분한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내부 보빈(20)은 제 1 권선(40)이 완료된 후 그리고 제 2 권선(50)이 외부 보빈(30) 주위에 권취되기 전에 외부 보빈(30)의 내부에 중첩될 수 있다.
방법은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108) 내로 미끄러지는 단계 108로 계속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잠금 노치(23) 및 포스트(60)와 같은 잠금 특징부는 내부 보빈(20)을 외부 보빈(30)에 대해 제 위치에 정렬하고 잠그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 내로 미끄러지면, 방법은 결합된 내부 및 외부 보빈(20, 30)이 코어(10, 11)의 중앙 및 외부 코어 레그(12, 13) 상으로 미끄러지는 단계 110으로 계속된다. 다음에, 방법은 권취된 내부 및 외부 보빈(20, 30)이 중앙 및 외부 코어 레그(12, 13) 주위에서 코어(10, 11)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코어 부분(10, 11)이 결합되어 코어(10, 11)를 형성하는 단계 112로 계속된다.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의 결과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방법의 단계들의 순서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예를 들어 제한 없이 와이어를 빠져나가는 것과 같은 추가 단계들이 방법에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내부 보빈(20) 상의 단일 권선 및 외부 보빈(30) 주위에 권취된 단일 권선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다중 권선들이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내부 및/또는 외부 보빈(20, 30) 주위에 권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내부 및/또는 외부 보빈(20, 30) 주위에 권취된 제 1 및 제 2 권선(40, 50), 또는 기타 권선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지점에서 탭핑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도 8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코어(210)의 등각도이며, 도 8b는 상부 코어(210)의 평면도이다. 상부 코어(210)는 또한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부 코어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부 및 하부 코어(10, 11)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것과 유사하게, 상부 코어(210)는 상부 코어(2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하부 코어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부 코어(210)는 중앙 코어 레그(212) 및 외부 코어 레그(213)를 포함한다. 중앙 코어 레그(212)와 외부 코어 레그(213)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중앙 코어 레그(212)는 장방형 형상을 갖고, 외부 코어 레그(213)는 둥근 외부 표면(예를 들어 그리고 제한 없이, 도 8a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달 형상)을 갖는다. 상부 코어(210)가 하부 코어와 결합되는 경우, 상부 코어(210)의 외부 코어 레그(213)와 하부 코어의 대응 외부 코어 레그(213) 사이에 에어 갭이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코어(210)의 중앙 코어 레그(212)와 하부 코어의 대응 중앙 코어 레그 사이에 에어 갭이 있을 수 있다.
상부 코어(21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관련하여 상술된 상부 코어(10)와 다소 유사하다. 그러나, 상부 코어(210)의 중앙 코어 레그(212)는 원통 형상이 아닌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코어(210)는 상부 코어(1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코어(210)는 또한 상부 코어(210)의 에지로부터 중앙 코어 레그(212) 및 외부 코어 레그(213) 각각까지 연장되는 각진 표면을 포함한다. 각진 표면은 중앙 코어 레그(212) 및 외부 코어 레그(213) 주위의 권선에서 와이어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생성한다. 추가적으로, 상부 코어(210)는 그 외부 에지를 따라 형성된 리세스(216)를 포함한다(먼 외부 에지를 따라 형성된 리세스(216)는 도 8a의 도면에서 보이지 않음). 리세스(216)는 상부 코어(210)를 대응하는 하부 코어와 결합하기 위한 부착 메커니즘(예를 들어, 제한 없이, 클립, 스트랩 등)을 수용하는 데 적합할 수 있다.
상부 코어(210)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부 또는 하부 코어(10, 11)의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고, 유사하게 상부 또는 하부 코어(10, 11)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 코어(210)의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보빈(220)의 등각도이며, 도 9b는 내부 보빈(220)의 평면도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보빈(220)은, 코어로부터 권선을 분리하고 그리고 재킷형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보빈(220)은 중앙 중공 개구부(221)를 갖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다. 중앙 중공 개구부(221)는 내부 보빈(220)이 중앙 코어 레그(212) 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부 코어(210)의 중앙 코어 레그(21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내부 보빈(220)은 그 단부의 각각에 위치되는 플랜지(225)를 포함하지만, 플랜지(225)는 개시된 개념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플랜지(225)는 권선을 코어로부터 격리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보빈(220)은 또한 내부 보빈(2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릿지(222)를 포함한다. 릿지(222)는 중앙 코어 레그(21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권선을 이격시킨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코어 레그(212)는 에어 갭을 갖고, 릿지(222)는 프린징 플럭스로부터의 와전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권선을 에어 갭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릿지는 내부 보빈(220)의 원주의 단지 일부분 주위로 연장되며, 그에 따라 권선의 와이어가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를 허용한다. 그러나, 릿지(222)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 코어 레그(212)가 에어 갭을 갖지 않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릿지(222)는 생략될 수 있다.
내부 보빈(220)은 도 4a 내지 도 4d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부 보빈(2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보빈(220)은 원통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1)가 아닌 장방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21)를 포함한다. 장방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21)는 내부 보빈(220)이 중앙 코어 레그(212) 위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부 코어(210)의 중앙 코어 레그(212)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내부 보빈(220)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노치(24), 잠금 노치(23), 또는 내부 보빈(20)의 임의의 다른 특징부와 같은 특징부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내부 보빈(20)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내부 보빈(220)의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a는 개시된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보빈(230)의 등각도이며, 도 10b는 외부 보빈(230)의 평면도이다. 외부 보빈(230)은 코어로부터 뿐만 아니라 내부 보빈(220)에 대응하는 권선으로부터 그 대응하는 권선을 격리시키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보빈(230)은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3개 부분 형상을 갖는다. 외부 보빈(230)은 외부 보빈(230)의 상부 부분, 하부 부분 및 중앙 부분에 공통되는 장방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31)를 포함한다. 중앙 중공 개구부(231)의 직경은 내부 보빈(220)이 외부 보빈(230) 내에 중첩될 수 있도록 내부 보빈(220)의 플랜지(225)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다. 외부 보빈(230)은 또한 코어로부터 뿐만 아니라 내부 보빈(220)에 대응하는 권선으로부터 외부 보빈(230) 대응 권선을 격리시키는 플랜지(236)가 그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보빈(230)은 전압 절연을 위해 재킷형 와이어를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외부 보빈(230)의 상부 부분은 장방형 형상이다. 상부 부분은 외부 코어 레그(213)의 형상에 대응하는 장방형 부분을 포함한다. 장방형 부분은 외부 보빈(230)의 중앙 중공 개구부(231)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장방형 부분에는 외부 중공 개구부(234)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중공 개구부(234)는 외부 코어 레그(21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외부 코어 레그(213) 및 외부 중공 개구부(234) 양자는 반달 형상을 갖는다. 외부 중공 개구부(234)는 외부 중공 개구부(234)가 외부 코어 레그(213) 위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외부 코어 레그(213)보다 약간 더 크다. 장방형 부분은 그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에서 플랜지(236, 237)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이는 외부 보빈(230)에 대응하는 권선을 코어로부터 분리하고, 권선을 외부 코어 레그(213)의 에어 갭으로부터 이격시켜, 프린징 플럭스로부터의 와전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장방형 부분의 높이는 외부 코어 레그(213)의 상부 부분의 높이보다 작거나 동일하여, 권선이 외부 코어 레그(213)의 에어 갭 위로 연장되는 것이 제한된다.
외부 보빈(230)의 하부 부분은 외부 보빈(230)의 상부 부분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외부 보빈(30)의 하부 부분은 외부 보빈(230)의 상부 부분 내의 장방형 부분 및 외부 중공 개구부(234)와 형상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장방형 부분 및 외부 중공 개구부를 포함한다.
외부 보빈(230)의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에 위치된 외부 보빈(230)의 중앙 부분은 장방형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중앙 부분은 장방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31)를 포함하는 외부 보빈(230)의 장방형 형상의 부분만을 포함한다.
외부 보빈(230)은 도 5a 내지 도 5d와 관련하여 전술한 외부 보빈(30)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 보빈(230)은 원통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31)가 아닌 장방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31)를 포함한다. 장방형 형상의 중앙 중공 개구부(231)는 외부 보빈(230)이 중앙 코어 레그(212) 위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부 코어(210)의 중앙 코어 레그(212)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외부 보빈(230)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외부 보빈(30)의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외부 보빈(30)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외부 보빈(230)의 특징부를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부 코어(210)는 도 1,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전술한 상부 및 하부 코어(10, 11)로부터 형성된 코어(10, 11)와 유사한 코어를 형성하기 위해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하부 코어와 조합될 수 있다. 코어(10, 11), 내부 보빈(20), 외부 보빈(30), 제 1 권선(40) 및 제 2 권선(50)이 도 1, 도 2a 및 도 2b와 관련하여 전술한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를 형성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내부 보빈(220) 및 외부 보빈(230)은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대응 제 1 및 제 2 권선과 더불어 상부 코어(210) 및 대응 하부 코어와 함께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100)가 조립되는 방식과 유사하게, 권선은 내부 및 외부 보빈(220, 230) 주위에 제조될 수 있고, 내부 보빈(220)은 외부 보빈(230) 내에 중첩될 수 있고, 내부 보빈(220)은 중앙 코어 레그(212) 위로 미끄러질 수 있고, 외부 보빈(230)은 내부 및 외부 코어 레그(212, 213)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중앙 코어 레그(12, 212)의 원통형 및 장방형 형상이 중앙 코어 레그로서 사용될 수 있는 형상의 비제한적인 예라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내부 및 외부 보빈 내의 개구부의 대응 형상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임의의 형상의 중앙 코어 레그에 대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의 특정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상세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대안이 본 개시의 전체 교시에 비추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배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임의의 모든 등가물의 전체 폭이 부여되는 개시된 개념의 범위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combined transformer/inductor device)(100)에 있어서,
    중앙 코어 레그(12; 212)와, 상기 중앙 코어 레그(12; 212)로부터 이격된 외부 코어 레그(13; 213)를 갖는 코어(10, 11; 210);
    상기 중앙 코어 레그(12; 212) 주위에 배치된 내부 보빈(20; 220);
    상기 내부 보빈(20; 220) 및 중앙 코어 레그(12; 212) 주위에 배치되고, 외부 코어 레그(13) 주위에 배치된 제 1 장방형 부분(32)을 갖는 상부 부분과, 외부 코어 레그(13; 213) 주위에 배치된 제 2 장방형 부분(33)을 갖는 하부 부분과, 내부 보빈(20; 220) 및 중앙 코어 레그(12; 212) 주위에 배치된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외부 보빈(30; 230);
    상기 내부 보빈(20; 220) 주위에 권취된 제 1 권선(40); 및
    상기 외부 보빈(30; 230) 주위에 권취되고, 제 1 장방형 부분(32) 주위에 권취된 제 1 부분과, 중앙 부분 주위에 권취된 제 2 부분과, 제 2 장방형 부분(33) 주위에 권취된 제 3 부분을 구비하는 제 2 권선(50)을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30; 230)의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의 제 1 하부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 1 플랜지(37; 237)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보빈(30; 230)의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의 제 1 상부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 2 플랜지(37; 237)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의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의 제 2 상부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 3 플랜지(36; 236)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보빈(30; 230)의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의 제 2 하부 에지를 따라 배치된 제 4 플랜지(36; 236)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30)의 중앙 부분은 내부 보빈(20)이 외부 보빈(30) 내의 사전결정된 지점을 지나 한 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보빈(20)에 대해서 맞닿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61)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30)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잠금 특징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보빈(20)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잠금 특징부(23)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잠금 특징부(60)는 내부 보빈(20) 및 외부 보빈(30)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잠금 특징부(23)와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잠금 특징부(60)는 포스트 및 노치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잠금 특징부(23)는 포스트 및 노치 중 다른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 레그(1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코어 레그(212)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상을 갖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어 레그(13; 213)는 둥근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어 레그(13; 213)는 실질적으로 초승달 형상을 갖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10, 11)는 상부 코어(10; 210) 및 하부 코어(11; 210)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어(210)는 상부 코어의 상부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세스(21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코어(210)는 하부 코어의 하부 에지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세스(216)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리세스(216)는 상부 코어(210)와 하부 코어(210)를 함께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스트랩 또는 클립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코어 레그(12; 212) 및/또는 상기 중앙 코어 레그(13; 213)는 에어 갭을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빈(20)은 제 1 권선의 빠져나감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노치(24)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보빈(20; 220)은 상기 내부 보빈(220)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릿지(22; 222)를 포함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권선(40)은 변압기의 제 1 권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권선(50)은 변압기의 제 2 권선 및 인덕터의 권선을 형성하는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
  17. 코어(10, 11; 210)에 있어서,
    중앙 코어 레그(12; 212); 및
    상기 중앙 코어 레그(12; 212)로부터 이격된 외부 코어 레그(13; 213)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코어 레그(13; 213)는 둥근 외부 표면을 갖는
    코어.
  18. 보빈(30; 230)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제 1 개구부(31; 231)를 갖는 내부 부분;
    상기 내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된 상부 개구부(34; 234)를 갖는 제 1 장방형 부분(32)을 구비하는 상부 부분;
    상기 내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내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부(35)를 갖는 제 2 장방형 부분(33)을 구비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분은 보빈(30)의 높이의 절반 또는 그 이하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부분은 보빈(30)의 높이의 절반 또는 그 이하로 연장되는
    보빈.
  19. 조합된 변압기/인덕터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보빈(20; 220)을 권취하는 것;
    외부 보빈(30; 230)을 권취하는 것 ― 외부 보빈(30, 230)을 권취하는 것은,
    상기 외부 보빈(30; 230)의 제 1 부분을 외부 보빈의 내부 부분 및 제 1 장방형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 및
    상기 외부 보빈(30; 230)의 중앙 부분을 외부 보빈(30; 230)의 내부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을 포함함 ―;
    상기 내부 보빈(20; 220)을 외부 보빈(30; 230)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
    내부 및 외부 보빈을 코어(10, 11; 210)의 중앙 코어 레그(12; 212) 및 외부 코어 레그(13; 213) 위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 및
    상기 코어(10, 11; 210)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빈(30; 230)을 권취하는 것은 외부 보빈(30; 230)의 제 2 부분을 외부 보빈(30; 230)의 내부 부분 및 제 2 장방형 부분 주위에 권취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외부 보빈(30; 230)의 중앙 부분은 외부 보빈(30; 230)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방법.
KR1020227000903A 2019-07-12 2020-06-08 변압기 인덕터 조합 장치 KR20220031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3468P 2019-07-12 2019-07-12
US62/873,468 2019-07-12
US16/661,408 2019-10-23
US16/661,408 US11380473B2 (en) 2019-07-12 2019-10-23 Transformer inductor combination device
PCT/US2020/036567 WO2021011113A1 (en) 2019-07-12 2020-06-08 Transformer inductor combin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617A true KR20220031617A (ko) 2022-03-11

Family

ID=7410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903A KR20220031617A (ko) 2019-07-12 2020-06-08 변압기 인덕터 조합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1380473B2 (ko)
EP (1) EP3997721A4 (ko)
JP (1) JP2022541412A (ko)
KR (1) KR20220031617A (ko)
CN (1) CN113994444A (ko)
CA (1) CA3140724A1 (ko)
IL (1) IL289737A (ko)
TW (1) TW202109564A (ko)
WO (1) WO2021011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9274A1 (en) * 2020-08-21 2022-02-24 Astec International Limited Adjustable Spacer For Magnetic Transformers And Inductors
CN116612972A (zh) * 2022-02-09 2023-08-18 Abb电动汽车有限责任公司 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177A (en) 1985-03-27 1986-11-04 Beloit Corporation Inductor configuration for eddy current heating in the papermaking process
US4853668A (en) * 1987-12-23 1989-08-01 Bloom Gordon E Integrated magnetic converter core
JP2668545B2 (ja) * 1988-04-26 1997-10-27 株式会社キジマ 電気巻線部品
US5534839A (en) * 1995-04-05 1996-07-09 Cramer Coil & Transformer Co., Inc. Miniature transformer
US5673013A (en) * 1995-10-06 1997-09-30 Pontiac Coil, Inc. Bobbin concentrically supporting multiple electrical coils
WO2000078100A1 (en) * 1999-06-15 2000-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ron drive step-up transformer and transformer of magnetron drive power supply
IL139714A0 (en) 2000-11-15 2002-02-10 Payton Planar Magnetics Ltd A bobbin for hybrid coils in planar magnetic components
US6501362B1 (en) 2000-11-28 2002-12-31 Umec Usa, Inc. Ferrite core
US6794976B2 (en) * 2002-12-24 2004-09-21 Illinois Tool Works Inc. HF transformer assembly having a higher leakage inductance boost winding
TWI280720B (en) * 2006-02-10 2007-05-01 Yujing Technology Co Ltd Constant frequency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JP5151431B2 (ja) * 2007-12-06 2013-02-27 Fdk株式会社 絶縁トランス
JP5777005B2 (ja) * 2010-07-02 2015-09-0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35645B1 (ko) 2010-11-22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덕터 및 트랜스포머
US8570768B2 (en) 2011-04-15 2013-10-29 Power Integrations, Inc. Low-cost transformer assembly
KR20220122158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솔루엠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10720B2 (en) 2023-03-21
US20230197330A1 (en) 2023-06-22
US11380473B2 (en) 2022-07-05
IL289737A (en) 2022-03-01
EP3997721A1 (en) 2022-05-18
EP3997721A4 (en) 2023-08-09
JP2022541412A (ja) 2022-09-26
US20210012943A1 (en) 2021-01-14
CA3140724A1 (en) 2021-01-21
WO2021011113A1 (en) 2021-01-21
US20220293328A1 (en) 2022-09-15
CN113994444A (zh) 2022-01-28
TW202109564A (zh) 2021-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7330A1 (en) Transformer inductor combination device
US8179223B2 (en) Sheet type transformer and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JP6497521B2 (ja) トランス
JP2019517136A (ja) 変圧器および誘導子用巻線を形成する組み重ね式平形巻線コイル
JP5740873B2 (ja) トランス
JP2010045187A (ja) コイル用ボビン、コイル巻線、及びコイル部品
US20220130602A1 (en) Transfor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ormer
JP2001267153A (ja) 電源トランス
JP4066840B2 (ja) トランス及びその組立方法
JP2006286880A (ja) トランス
KR101762559B1 (ko) 자성 요소 및 이를 포함하는 변압기
JP2010251364A (ja) コイル用ボビン、巻線部品、コイル部品、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及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KR101610337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H10289829A (ja) トランス用ボビン
CN112271067A (zh) 一种谐振变压器
US7176778B1 (en) Magnetic core assembly having bobbin and mounting board thereof
JP2003133137A (ja) 巻線型コイル
CN213483542U (zh) 一种谐振变压器
JP2003224012A (ja) 巻線型コイル
JP2007294553A (ja) コイル用ボビン及び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2023092146A (ja) コイル装置
JP3409009B2 (ja)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
JP3074562B2 (ja) 小形トランス
JP2002270439A (ja) トランス
JP2003092221A (ja) インダクタンス部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