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158A -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158A
KR20220122158A KR1020210026414A KR20210026414A KR20220122158A KR 20220122158 A KR20220122158 A KR 20220122158A KR 1020210026414 A KR1020210026414 A KR 1020210026414A KR 20210026414 A KR20210026414 A KR 20210026414A KR 20220122158 A KR20220122158 A KR 20220122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outer bobbin
external connection
coi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용
유동균
방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21002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158A/ko
Priority to US17/676,268 priority patent/US20220277888A1/en
Priority to EP22158391.7A priority patent/EP4057306B1/en
Priority to EP23210727.6A priority patent/EP4300521A3/en
Publication of KR20220122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와,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과, 코일과 전자 결합하여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 각각은,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POWER SUPPLY AND FLAT PANEL DEIPLAY EQUIPPED WITH THEREOF}
본 발명은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고해상도와 대형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적합한 신기술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나 PDP(Plasma Display Panel) TV와 같은 박형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가격과 시장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중, LCD TV는 백라이트(backlight)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되어 왔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소모, 수명 및 친환경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
LED를 이용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평판 TV(Flat TV)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고 있다. 그리고, 평판 TV의 내부 파워 공급 모듈도 함께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는 관 형상의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이하, '정상 구조'라 하며, 외부 접속 단자가 관 형상의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를 '역상 구조'라 한다)를 가진다. 이러한 정상 구조의 트랜스포머에 의하면, 정해진 트랜스포머의 높이 규격을 맞추기 위해서는 코일이 권선되는 몸체부의 높이를 작게 해야 하므로, 턴수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 규격상 1차 코일이 연결되는 1차 단자와, 2차 권선 코일간에는 일정 거리(예: 7mm)를 띄워야 하는데, 이는 보빈의 사이즈 및 단가를 상승시키고,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 파손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6-112058호(“승압 트랜스”, 공개일: 1994년04월22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정해진 트랜스포머의 높이 규격을 맞추면서 코일의 턴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연면 거리의 증가를 통해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안전 규격상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빈의 사이즈 및 단가를 줄이고,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손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 결합하여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보빈 및 상기 내측 보빈 각각은, 상기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절연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절연 캡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절연 캡은, 내부 공간이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은 전면의 개방된 일부분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절연 캡의 상면 중 상기 단자 체결부에 대응하는 면적은 개방됨으로써 상기 외부 플랜지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절연 캡이 삽입되는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 캡의 양 측면 중 상기 끼움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절연 캡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절연 캡의 그립(grip)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내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내부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 이월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와,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일 수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 및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절곡시켜 상기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절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내측 보빈은, 일단이 상기 내측 보빈에 구비된 단자 체결부를 통해, 타단은 상기 내측 보빈에 구비된 날개부를 통해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와 나란하게 돌출되며,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과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과 나란하게 돌출되되, 상기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의 하부로 삽입되며, 양단은 상기 외측 보빈의 폭방향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의 폭보다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전자 결합하여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절연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캡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수용부가 형성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수용부에 실장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보빈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 중 하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은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원 공급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플랜지부 중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위에서 기재에 기재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평행하게 조립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정해진 트랜스포머의 높이 규격을 맞추면서도 코일의 턴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절연 캡을 구비함으로써, 연면 거리의 증가를 통해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안전 규격상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빈의 사이즈 및 단가를 줄이고,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손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일의 리드선을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 이월시켜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시키는 코일 이월부와,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코일의 리드선을 절곡시켜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절곡부를 구비하며, 이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이 외측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가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보빈부(210), 코어(40) 및 코일(5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보빈(220)은 내부 중심에 관통공(2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2)와, 몸체부(222)의 양단에서 몸체부(222)의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23)와, 외부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부 접속 단자(2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2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21)은 후술되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21)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측 보빈(22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2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관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23)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223a)와 하부 플랜지부(223b)로 구분된다. 또한 몸체부(222)의 외주면, 상부 플랜지부(223a), 및 하부 플랜지부(223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a)이 권선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부(223)는 몸체부(222)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50a)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a)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a)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내측 보빈(220)의 하부 플랜지부(223b) 일측에는 외부 접속 단자(2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24)가 형성된다. 단자 체결부(224)는 상부 플랜지부(223a)의 일측에서 외부 방향(즉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보빈(220)에 권선되는 코일(50a)의 리드선을 인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출 홈(225)을 구비할 수 있다. 인출 홈(225)에 의해, 코일(50a)의 리드선은 내측 보빈(2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접속 단자(226)는 몸체부(2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단자 체결부(22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20)은 후술되는 외측 보빈(230)과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일단이 내측 보빈(220)에 구비된 단자 체결부(224)를 통해, 타단은 내측 보빈(220)에 구비된 날개부(227)를 통해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233a)에 의해 지지되며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측 보빈(2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외측 보빈(230)은 내측 보빈(22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 보빈(220)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며, 그 크기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외측 보빈(230)은 내측 보빈(220)과 마찬가지로 내부 중심에 관통공(23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32), 플랜지부(233), 단자 체결부(234), 및 외부 접속 단자(236)를 구비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내측 보빈(220)과 구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미 단자(236a)는, 외부 접속 단자(236)의 길이보다 작으며, 절곡된 상태에서 기판(6)에 접촉하여 트랜스포머(10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31)은 내측 보빈(2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은 내측 보빈(220)의 플랜지부(223) 외주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보빈(230)의 몸체부(232) 외주면과 플랜지부(233)의 일면(즉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b)이 권선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외측 보빈(230)의 일단에는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간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절연 캡(260)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 캡(260)은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 사이에서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캡(260)은 내부(261)가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그 전면(262)의 일부분은 개방되고, 상면(263) 중 내측 보빈(220)의 단자 체결부(224)에 대응하는 면적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외측 보빈(233)의 플랜지부(233a, 233b)의 일단은 절연 캡(260)의 전면(262)에서 개방된 일부분을 통해 내부 공간(261)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261)에 삽입된 절연 캡(260)의 상면(263) 중 단자 체결부(224)에 대응하는 면적은 개방됨으로써 외부 플랜지부(233a, 233b)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종래 절연 캡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 간 최소 6.4mm(마진을 포함하면 7mm) 이상의 거리를 띄워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절연 캡(260)에 의해 연면 거리가 무한대에 가깝기 때문에,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 간 거리를 띄울 필요가 없다(극단적으로 0mm일 수 있음). 다만 납땜을 위한 지그 설치를 위해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 간의 거리(도 3의 L1 참조)는 최소 2.5mm 이상의 거리를 띄울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 캡(260)을 통해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간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코일(50b)간의 안전 규격상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보빈(210)의 사이즈 및 단가를 줄이고,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손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절연 캡(260)이 삽입되는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 예를 들면 하부 플랜지부(233b)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66b)가 형성되며, 절연 캡(260)의 양 측면 중 끼움 돌기(266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끼움 돌기(266b)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구멍(266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캡(260)의 양 측면에는, 절연 캡(260)의 그립(grip)을 용이하게 하며, 기판(6)에 면 접촉으로써 더미 단자(236a)와 함께 트랜스포머(100)를 지지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부(26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랜지부(233a)의 일단에는 외부 접속 단자(23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체결부(234)는 상부 플랜지부(233a)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234)는 상부 플랜지부(233a)에서 외경 방향 및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며 돌출되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자 체결부(234)의 양 끝단은 각각 상부 플랜지부(233a)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체결부(234)의 전체 폭(W2)은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 전체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234)에는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236)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부 접속 단자(236)는 단자 체결부(234)의 끝단에서 몸체부(232)의 외경 방향(즉, 길이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단자 체결부(234)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보빈(230)의 하부 플랜지부(233b)에는 하부 플랜지부(233b)의 하부면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측 보빈(230)의 몸체부(232)에 권선된 코일(50b)의 리드선을 절곡시켜 외측 보빈(230)의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23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곡부(235a)의 구성에 따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는 코일(50b)의 리드선은 절곡부(235a)에서 절곡되어 외부 접속 단자(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을 외부 접속 단자(236)로 안내하기 위해, 상술한 절곡부(235a)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코일 이월부(270)를 함께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이월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코일 이월부(270)는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이 외측 보빈(230)의 외주연을 통해 상부 플랜지부(233a)의 외부면(즉, 상부면)으로 이월되어 외부 접속 단자(226)로 연결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는 가이드 블록(279)과 단자 체결부(234)에 의해 형성되며, 이월 홈(272), 횡단 경로(274), 및 안내 홈(27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79)은 외측 보빈(230)의 상부면, 즉 상부 플랜지부(233a)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가이드 블록(279)은 외측 보빈(230)의 외부 접속 단자(236)와 내측 보빈(220)의 1차 코일(50a) 간의 연면 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외측 보빈(230)의 상부에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이 배치되는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279)은 단자 체결부(234)와 관통공(231) 사이의 공간에서 돌출되며, 단자 체결부(234)와 나란한 방향(즉, 폭방향)을 따라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b) 상부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블록(279)은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의 끝단이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 블록(279)의 일단과 단자 체결부(234) 일단 사이의 공간은 이월 홈(272)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월 홈(27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부(233a) 외주연에서 수직하게(즉, 폭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블록(279)의 일단과, 단자 체결부(234)의 일단, 그리고 그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부(233a)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다. 이러한 이월 홈(272)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어 있는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이 외측 보빈(230)의 상부로 이월되는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횡단 경로(274)는 가이드 블록(279)과 단자 체결부(234)의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로, 상부 플랜지부(233a)를 가로지르며 횡단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횡단 경로(274)는 이월 홈(272)을 통해 이월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이 단자 체결부(2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안내 홈(276)은 단자 체결부(234)의 상부면에서 홈 형태로 형성되며, 횡단 경로(274)에 배치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236)로 연결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안내 홈(276)은 횡단 경로(274)에 배치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을 외부 접속 단자(236)가 배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내 홈(276)은 단자 체결부(234)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횡단 경로(274)와 연통되고, 타단은 단자 체결부(234)의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홈(276)은 횡단 경로(274)에 배치되는 리드선들의 개수 또는 해당 리드선들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236)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안내 홈들(276)은 다수의 격벽(234')에 의해 상호 구분될 수 있다.
격벽(234')은 일정한 간격에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격벽(234')에 의해 안내 홈(276)은 각각 개별적인 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 경로(274)에 배치되는 리드선들은 격벽((234'), 특히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며 안내 홈(276)의 내부로 배치된다.
이때, 리드선이 격벽(234')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함에 따라 접촉 부분에서 리드선이 과도하게 꺽이거나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234')은 리드선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격벽(234')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곡면을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에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이 배치되며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외측 보빈(230)에 권선된 2차 코일(50b)은, 최종적으로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236)에 권선되며 체결된다. 이때,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은 전술한 절곡부(235a)를 경유하여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되거나, 코일 이월부(270)를 통해 외측 보빈(230)의 상부면으로 이동한 후,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될 수 있다.
리드선이 코일 이월부(270)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되는 경우, 리드선은 이월 홈(272)을 통해 외측 보빈(230)의 상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보빈(230)의 상부면에 형성된 횡단 경로(274) 내에 배치된 후, 격벽(234')을 지지하며 안내 홈(276)으로 그 경로가 변경되어 외부 접속 단자(236)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리드선은 안내 홈(276)에 의해 대략 직각으로 그 경로가 변경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리드선이 다른 코일의 리드선들과의 간섭 없이 외부 접속 단자(236)에 견고하게 고정 체결될 수 있다면 격벽(234')을 다양한 각도로 형성하여 리드선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벽(234')은 리드선과 접촉하는 측벽이 바닥면(즉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격벽(234')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이 안내 홈(27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격벽(234')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내 홈(276)에 의해 지지되는 리드선이 안내 홈(27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선과 접촉하는 격벽(234')의 측벽이 상기한 바닥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234')의 측벽에 단차나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는 2차 코일(50b)을 외측 보빈(230)에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하는 경우를 감안하여 도출된 구성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이월부(270)의 구성에 의해, 외측 보빈(230)에 2차 코일(50b)을 권선하는 과정과, 이월 홈(272)을 통해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을 외측 보빈(230)의 상부면으로 이월하며 횡단 경로(274)에 배치하는 과정, 그리고 절곡부(235a)을 통해 리드선의 경로를 전환하여 리드선을 외부 접속 단자(236)가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한 후 리드선을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하는 과정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차 코일(50b)의 리드선들은 상호간에 교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 플랜지부(233b)의 하면의 절곡부(235a)와 상부 플랜지(233a)의 코일 이월부(270)로 분산 배치되어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되므로, 종래의 트랜스포머보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50b)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236)에 체결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보빈에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경우, 외부 접속 단자로 인출되는 코일의 리드선들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이에 따라 리드선들이 서로 접촉하게 되어 코일들 간에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 이월부(270) 및 절곡부(235a)에 의한 다양한 경로를 제공하므로, 리드선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외부 접속 단자(236)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선들이 서로 교차되거나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미설명된 부호 235b는 트랜스포머(100)의 그립(grip)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그립부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230)의 가이드 블록(239)은 몸체부(232)의 상단에서 관통공(231)의 내부를 향하여 관통공(231)의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은 외측 보빈(230) 하부면의 단면적과 외측 보빈(230) 상부면의 단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 보빈(230) 하부면의 관통공(231) 단면적은 내측 보빈(220)의 플랜지부(223) 외주연이 형성하는 전체 면적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보빈(230) 상부면의 관통공(231) 단면적은 가이드 블록(239)에 의해 상기한 하부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빈(220)은 날개부(227)를 구비하는데, 상술한 날개부(227)는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의 상부면에서 가이드 블록(239)과 접촉하도록 가이드 블록(239)과 나란하게 돌출되되,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의 일단은 가이드 블록(239)의 하부로 삽입되며, 양단은 외측 보빈(230)의 폭방향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의 폭보다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미설명된 부호 237는 제1 돌출부, 도면부호 238는 제2 돌출부이다. 제1 돌출부(237)는 일측이 가이드 블록(239)과 접하며, 관통공(231)를 중심으로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날개부(227)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돌출부(238)는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의 타단에 구비되며, 관통공(231)를 중심으로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측 보빈(220)의 단자 체결부(224)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의 플랜지부(223) 내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플랜지부(233) 내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 하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부(233a) 하부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26)와 외측 보빈(2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36)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때, 내측 보빈(220)은 단자 체결부(234)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 보빈(230)의 단자 체결부(234)가 형성된 부분이 아닌,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외측 보빈(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보빈(230)의 외부 접속 단자(236)와 내측 보빈(220)의 외부 접속 단자(226)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의 외부 접속 단자(226, 236)들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므로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이 결합될 때 외측 보빈(230)을 통해 내측 보빈(220)에 권선되는 코일(50a)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는 코일(50b) 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테이프를 이용하던 종래에 비해 높은 절연성을 가지므로, 내측 보빈(220)에 권선되는 코일(50a)과 외측 보빈(230)에 권선되는 코일(50b)이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포머(100)의 출력 특성이나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1차 코일(50a)의 외부면과 외측 보빈(230)의 관통공(231) 내주면과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내측 보빈(220) 플랜지부(223)의 폭이나, 내측 보빈에 권선되는 1차 코일(50a)의 권선수를 조절함에 따라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의 각 개별 보빈들(220, 23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의 개별 보빈들(220, 230)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빈들(220, 23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일(50)은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코일(50a)은 내측 보빈(220)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0a)은 하나의 내측 보빈(220)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로 1차 코일(50a)을 구성하여 각각의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0b)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보빈(2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26)의 개수도 2개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1차 코일(50a)을 구성하는 다수의 코일들은 직경이 서로 다른 코일들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0a)은 단선(單線)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연선(撚線)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코일(50a)은 리드선이 내측 보빈(2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26)에 연결될 수 있다.
2차 코일(50b)은 외측 보빈(230)에 권선될 수 있다.
2차 코일(50b)도 전술한 1차 코일(50a)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또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은 외측 보빈(2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36)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보빈(220)에 1차 코일(50a)이 권선되고, 외측 보빈(230)에 2차 코일(50b)이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측 보빈(230)에 1차 코일(50a)을 권선하고, 내측 보빈(220)에 2차 코일(50b)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코어(40, core)는 내측 보빈(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21)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 보빈(220)의 관통공(221)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 'E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40)가 보빈부(210)와 결합함에 따라, 코어(4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은 코어(40)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10)와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테이프(40b)가 개재될 수 있다. 보빈부(210)와 코어(40) 사이의 절연 테이프는 보빈부(210)에 권선된 코일(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절연 테이프(40b)는 코어(40)와 보빈부(210)가 대면하는 코어(40)의 모든 내주면에 대응하여 개재될 수 있으며, 코일(50)와 코어(40)가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의 외부면에도 절연 테이프(40a)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기판(6, 예컨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체결공(6a)에 외부 접속 단자(226, 236)가 삽입되며 기판(6)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6)은 트랜스포머(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관통 구멍 형태의 수용부(6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6)에 수용부(6b)을 형성하는 경우, 트랜스포머(100)는 수용부(6b)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기판(6)에 실장될 수 있으며, 기판(6)의 하부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머(100)의 플랜지부(223, 233) 중 하부 플랜지부(223b, 233b)의 상부면은 기판(6)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판(6)의 상부면의 하부에 위치하며, 플랜지부(223, 233) 중 상부 플랜지부(223a, 233a)의 일단에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226, 236)가 체결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226, 236)가 체결된 상부 플랜지부(223a, 233a)로부터 기판(6)의 상부면까지의 거리(L2)는 9mm에서 10mm일 수 있다. 반면, 외부 접속 단자가 하부 플랜지부에 체결된 경우에는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된 하부 플랜지부로부터 기판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는 3.9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포머(100)는 기판(6) 내부에 일부가 수용되므로, 기판(6) 상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들의 최대 실장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때, 일단이 내측 보빈(220)에 구비된 단자 체결부(224)를 통해, 타단은 내측 보빈(220)에 구비된 날개부(227)를 통해 외측 보빈(230)의 상부 플랜지(233a)에 의해 지지되며 외측 보빈(23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측 보빈(220)의 상부 플랜지부(223a)의 일단은 가이드 블록(239)의 하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내측 보빈(220)과 외측 보빈(230)의 조립 및 결합이 매우 용이하며, 결합된 후 내측 보빈(220)이 외측 보빈(2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돌출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인쇄 회로 기판(6)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실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4)의 후면에 평행하게 조립됨으로써 제품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5)에 실장되는 트랜스포머(100)는 코일(50)이 인쇄 회로 기판(6)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트랜스포머는 자동화된 제조 방법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에 코일이 각각 따로 권선되고, 권선이 완료되면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결합한 후, 코어를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자동으로 용이하게 권선될 수 있도록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분리된 상태에서 코일을 권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권선은 별도의 자동 권선 설비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제조 과정의 대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 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정해진 트랜스포머의 높이 규격을 맞추면서도 코일의 턴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절연 캡을 구비함으로써, 연면 거리의 증가를 통해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안전 규격상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빈의 사이즈 및 단가를 줄이고, 제조 및 운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파손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일의 리드선을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 이월시켜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시키는 코일 이월부와,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코일의 리드선을 절곡시켜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절곡부를 구비하며, 이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코일의 리드선들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리드선들 간의 접촉으로 인해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이 외측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트랜스포머가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시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각 개별 보빈들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원통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되는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는 박형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6....기판 6b....수용부
40.....코어 50.....코일
50a.....1차 코일 50b.....2차 코일
100.....트랜스포머 210.....보빈부
220.....내측 보빈 230.....외측 보빈
221, 231.....관통공 222, 232.....몸체부
223, 233.....플랜지부 223a, 233a.....상부 플랜지부
223b, 233b.....하부 플랜지부 224, 234.....단자 체결부
226, 236 .....외부 접속 단자 227....날개부
234'....격벽 236a... 더미 단자
237....제1 돌출부 238....제2 돌출부
239....가이드 블록 270.....코일 이월부
272.....이월 홈 274.....횡단 경로
276.....안내 홈 239.....가이드 블록
260....절연 캡 261....내부
262....전면 263....상면
265....그립부 266a....키움 구멍
266b.....끼움 돌기 40a,40b: 절연 테이프

Claims (20)

  1.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자 결합하여 자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 각각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트랜스포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 및 상기 내측 보빈 각각은,
    상기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더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절연 캡을 더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은,
    내부 공간이 빈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은 전면의 개방된 일부분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절연 캡의 상면 중 상기 단자 체결부에 대응하는 면적은 개방됨으로써 상기 외부 플랜지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트랜스포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이 삽입되는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양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절연 캡의 양 측면 중 상기 끼움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구멍이 형성된, 트랜스포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의 양 측면에는,
    상기 절연 캡의 그립(grip)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립부가 형성된, 트랜스포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내부면과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내부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트랜스포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외주연을 통해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 이월시키며 상기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는 경로인 코일 이월부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으로 이월하는 경로인 이월 홈; 및
    상기 이월 홈을 통해 이월된 상기 리드선이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을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로인 횡단 경로;
    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 이월부는,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와,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경로인, 트랜스포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일단이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외주연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월 홈은 상기 가이드 블록의 돌출된 일단,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 및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트랜스포머.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보빈의 몸체부에 권선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을 절곡시켜 상기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절곡부를 더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은,
    일단이 상기 내측 보빈에 구비된 단자 체결부를 통해, 타단은 상기 내측 보빈에 구비된 날개부를 통해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트랜스포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은,
    상기 외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와 나란하게 돌출되며,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가이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에서 상기 가이드 블록과 접촉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과 나란하게 돌출되되, 상기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 보빈의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 블록의 하부로 삽입되며, 양단은 상기 외측 보빈의 폭방향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의 폭보다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된, 트랜스포머.
  17.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을 포함하는 보빈부;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전자 결합하여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간의 연면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절연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캡은, 상기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 사이에서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
  18. 수용부가 형성된 기판; 및
    상기 기판에 형성된 수용부에 실장되며,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 보빈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 중 하부 플랜지부의 상부면은 상기 기판의 상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원 공급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 중 상부 플랜지부의 일단에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전원 공급부.
  20. 제18항에 기재에 기재된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면에 평행하게 조립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026414A 2021-02-26 2021-02-26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22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414A KR20220122158A (ko) 2021-02-26 2021-02-26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17/676,268 US20220277888A1 (en) 2021-02-26 2022-02-21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power supply,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2158391.7A EP4057306B1 (en) 2021-02-26 2022-02-24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EP23210727.6A EP4300521A3 (en) 2021-02-26 2022-02-24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414A KR20220122158A (ko) 2021-02-26 2021-02-26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158A true KR20220122158A (ko) 2022-09-02

Family

ID=8044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414A KR20220122158A (ko) 2021-02-26 2021-02-26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77888A1 (ko)
EP (2) EP4057306B1 (ko)
KR (1) KR202201221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0473B2 (en) * 2019-07-12 2022-07-05 Vishay Dale Electronics, Llc Transformer inductor combin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58A (ja) 1992-09-25 1994-04-22 Toko Inc 昇圧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2966B1 (en) * 2010-07-02 2018-11-21 Solum Co., Ltd. Transformer and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53580B1 (ko) * 2010-12-16 2012-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라인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N102568782B (zh) * 2010-12-20 2015-05-13 三星电机株式会社 变压器和包括该变压器的平板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58A (ja) 1992-09-25 1994-04-22 Toko Inc 昇圧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0521A3 (en) 2024-04-10
EP4057306A1 (en) 2022-09-14
EP4057306C0 (en) 2023-12-27
EP4300521A2 (en) 2024-01-03
EP4057306B1 (en) 2023-12-27
US20220277888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2966B1 (en) Transformer and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2414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EP2402964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42878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2399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4003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22158A (ko) 역상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포머, 전원 공급부 및 이들을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24046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59498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141337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2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3515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33294B1 (ko) 트랜스포머
KR101642078B1 (ko) 트랜스포머
KR101133315B1 (ko) 트랜스포머
KR101133338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31028A (ko) 트랜스포머
KR101171640B1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K2402966T3 (en) Transformer and flat screen assembly comprising this
KR101133366B1 (ko) 트랜스포머
KR20120031030A (ko) 트랜스포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