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294B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3294B1 KR101133294B1 KR1020100092701A KR20100092701A KR101133294B1 KR 101133294 B1 KR101133294 B1 KR 101133294B1 KR 1020100092701 A KR1020100092701 A KR 1020100092701A KR 20100092701 A KR20100092701 A KR 20100092701A KR 101133294 B1 KR101133294 B1 KR 101133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flange portion
- external connection
- transform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6—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specifically adapted for discharge lamp ballas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박형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 및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상기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다수의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 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보빈부는 제1 보빈과 제2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보빈과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보빈은 각각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일 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박형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고해상도와 대형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적합한 신기술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나 PDP(Plasma Display Panel) TV와 같은 박형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가격과 시장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중, LCD TV는 백라이트(backlight)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되어 왔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소모, 수명 및 친환경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
LED를 이용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소형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평판 TV(Flat TV)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고 있다. 그리고, 평판 TV의 내부 파워 공급 모듈도 함께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그 생산에 매우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고 있다. 즉 생산 공정 중 많은 부분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생산성을 증대하거나 품질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박형의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생산이 가능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권선된 개별 보빈들이 결합될 때,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 및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다수의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보빈부는 제1 보빈과 제2 보빈을 포함하고, 제1 보빈은 제1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제2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제2 보빈과 결합되며, 다수의 보빈은 각각 하부 플랜지부의 일 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빈은 제1 보빈의 플랜지부와 제2 보빈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제2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2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보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부의 폭이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빈과 제2측 보빈에 각각 구비되는 단자 체결부는 각각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인출 홈을 구비하며, 코일은 인출 홈을 경유하여 보빈부의 하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는 제2 보빈의 하부 플랜지부 외주연을 따라 배치되며 제1 보빈의 단자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부는 제1 보빈에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제2 보빈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부는 제1 보빈과 제2 보빈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보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보빈은 권선되는 코일에 대응하여 제1 보빈 또는 제2 보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와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트랜스포커가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므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어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내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논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외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측 보빈을 C-C'에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내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논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외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측 보빈을 C-C'에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내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논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외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측 보빈을 C-C'에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보빈부(10), 코일부(5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부(10)는 외측 보빈(30)과 적어도 하나의 내측 보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보빈(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와, 몸체부(22)의 양단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으로 수직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3), 및 외부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26), 및 외부 접속 단자(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4)를 구비한다.
몸체부(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은 후술되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1)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통공(2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3)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23a)와 하부 플랜지부(23b)로 구분된다. 또한 몸체부(22)의 외주면, 상부 플랜지부(23a), 및 하부 플랜지부(23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이 권선되는 내측 권선부(20a)로 이용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3)는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23)의 내부면(즉 내측 권선부를 형성하는 면)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플랜지부(23)는 외경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도 7에 이러한 플랜지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은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를 도시하고 있으나, 플랜지부(22, 33)의 내부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은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23, 33)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10, 또는 외측 보빈)의 내측 권선부(20a)의 깊이가 종래의 트랜스포머 보빈보다 매우 깊게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부(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금형으로부터 보빈부(10)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플랜지부(23)의 폭이 보빈부(10, 즉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박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출되는 형상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그 두께가 매우 얇은 박형의 트랜스포머(100)이며, 예를 들어 외부 접속 단자(26, 36)를 포함한 트랜스포머(100)의 전체 수직 두께가 약 1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얇은 두께의 트랜스포머(100)에서 출력 전압을 확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내측 권선부(20a)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몸체부(22)의 두께보다 플랜지부(23)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된다(이는 외측 보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23)의 폭은 몸체부(22)의 관통공(21) 내주연에서 플랜지부(23)의 외주연에 이르는 수평 거리를 의미한다.
내측 보빈(20)의 하부 플랜지부(23b) 일 측면에는 외부 접속 단자(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다. 단자 체결부(24)는 하부 플랜지부(23b)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인출되는 인출 홈(25)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 접속 단자(26)는 단자 체결부(24)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24)에 체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26)는 하부 플랜지부(23b)의 외주연을 따라 단자 체결부(2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박형의 트랜스포머(1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플랜지부(23)의 두께도 최대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절연성 재질인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플랜지부(23)가 너무 얇게 형성되는 경우 플랜지부(23)가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23)는 두께가 플랜지부(23)의 외경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플랜지부(23)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플랜지부(2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플랜지부(23)의 외부면에 절연 리브(27)가 구비된다. 절연 리브(27)는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23) 외부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박형으로 형성되므로, 절연 리브(27)가 과도하게 플랜지부(23)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리브(27)는 플랜지부(23)의 외주면을 따라 외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며 플랜지부(23)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이와 같은 절연 리브(27)의 형상으로 인해 절연 리브(27)의 돌출 거리를 최소화하면서도 플랜지부(23)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외측 보빈(30)의 절연 리브(37)와 같이 연면 거리에 대응하여 돌출 거리를 설정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내측 보빈(20)에 하나의 절연 리브(27)만이 플랜지부(23)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플랜지부(23)의 강성을 더욱 확보하거나, 연면 거리의 확보를 위해 절연 리브(27)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절연 리브(27)는 플랜지부(23)의 형상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리브(27)는 내측 보빈(20)이 후술되는 코어(40)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만 형성된다. 즉, 절연 리브(27)는 코어(4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2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는 보빈과 코어(40) 간에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연 리브(27)는 플랜지부(23)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23)에는 절연 리브(27)를 많이 돌출시키고 코어(40)와 접하는 플랜지부(23)는 절연 리브(27)를 적게 돌출시키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는 후술되는 외측 보빈(30)과 결합되며, 이를 위해 플랜지부(23)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8)와 지지턱(29)을 구비한다.
끼움 돌기(28)는 상부 플랜지부(23a)의 외주연 상에 형성되며, 외주연 중 최대한 이격되는 양단에서 각각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끼움 돌기(28)는 절연 리브(27)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턱(29)은 하부 플랜지부(23b)에 형성되며, 끼움 돌기(28)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턱(29)은 하부 플랜지부(23b)에 형성된 절연 리브(27)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자 체결부(24)가 지지턱(29)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턱(29)은 하부 플랜지부(23b) 중 단자 체결부(24)가 없는 일 측에만 형성된다.
이처럼 끼움 돌기(28)와 지지턱(29)이 상부 플랜지부(23a)와 하부 플랜지부(23b)에 형성됨에 따라, 내측 보빈(20)은 후술되는 외측 보빈(30)에 결합될 때, 외측 보빈(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측 보빈(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 돌기(28)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움 돌기(28)가 플랜지부(23)의 외주연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2개 이상 다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외측 보빈(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보빈(2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 보빈(20)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며, 그 크기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외측 보빈(30)은 내측 보빈(20)과 마찬가지로 내부 중심에 관통공(3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32), 플랜지부(33), 단자 체결부(34), 및 외부 접속 단자(36)를 구비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내측 보빈(20)과 구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31)은 내측 보빈(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30)에 형성된 관통공(31)은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33) 외주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외측 보빈(30)의 몸체부(32)의 외주면과 플랜지부(3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이 권선되는 외측 권선부(30a)로 이용된다.
하부 플랜지부(33b)에는 내측 보빈(20)과 마찬가지로 일 측면에 외부 접속 단자(3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34)가 형성된다.
단자 체결부(34)는 하부 플랜지부(33b)에서 몸체부(32)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안내 돌기(34a)와, 인출 홈(35), 및 이격 블록(34b)을 포함한다.
안내 돌기(34a)는 단자 체결부(34)의 하부면에서 몸체부(32)의 하측으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내 돌기(34a)는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36)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내 돌기(34a)가 코일(50)을 견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 돌기(34a)가 코일(50)의 리드선 직경 이상의 거리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 홈(35)은 안내 돌기(34a)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상기한 단자 체결부(34)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이러한 단자 체결부(34)의 구성에 따라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은 인출 홈(35)을 경유하여 외측 보빈(3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인접하게 배치된 안내 돌기(34a)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격 블록(34b)은 외부 접속 단자(36)와 내측 보빈(20) 간의 연면 거리가 확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이격 블록(34b)은 안내 돌기(34a)의 배치 방향과 와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 돌기(34a)와 내측 보빈(20) 사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외부 접속 단자(36)는 단자 체결부(34)의 끝단에서 몸체부(3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34)에 체결된다.
또한, 내측 보빈(20)과 마찬가지로, 외측 보빈(30)도 몸체부(32)의 두께보다 플랜지부(33)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부(33)에는 플랜지부(33)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플랜지부(3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절연 리브(37)가 구비된다.
여기서, 외측 보빈(30)에 형성되는 절연 리브(37)는 내측 보빈(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리브(37)의 돌출 거리는 플랜지부(33)의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코일(50)과 내측 보빈(20)에 권선된 코일(50) 간에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되는 경우,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1차 코일(50a)과 내측 보빈(20)에 권선된 2차 코일(50b) 간의 연면 거리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외측 보빈(30)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 리브(37)를 이용한다. 즉, 절연 리브(37)의 개수와, 절연 리브(37)의 돌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코일(50)과 내측 보빈(20)에 권선된 코일(50) 간에 연면 거리를 확보한다.
이때,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가 충분히 길게 연장되어 있다면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된 1차 코일(50a)의 외부면과 외측 보빈(3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 간의 거리를 더욱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절연 리브(37)만을 구비하더라도 연면 거리의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가 충분히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반면에 내측 보빈(20) 또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23, 33)가 짧게 형성되어 플랜지부(23, 33)의 길이 만으로 연면 거리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에 추가적으로 절연 리브(27)를 형성함으로써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면, 외측 보빈(3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절연 리브(37)들은 각각 돌출되는 거리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외측 보빈(30)에 다수의 절연 리브(37)가 형성되는 경우, 각 절연 리브(37)들의 돌출 거리는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30)은 관통공(3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측 보빈(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38)을 구비한다.
결합 홈(38)은 내측 보빈(20)에 형성된 끼움 돌기(28)의 개수와 형성 위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끼움 돌기(28)가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 외주연 상에서 최대한 이격되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홈(38)은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 내주면에서 가장 이격되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특히 결합 홈(38)은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 내주면에서 일정한 폭으로 수직하게 관통공(21)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며, 끼움 홈(38a)과 안내 홈(38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끼움 홈(38a)은 외측 보빈(30)의 상단면에서 끼움 돌기(28)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으로 형성된다. 끼움 홈(38a)은 내측 보빈(20)의 끼움 돌기(28)가 끼워는 홈으로,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된다. 따라서 끼움 돌기(28)가 끼움 홈(38a)에 삽입되면, 내측 보빈(20)은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며, 이에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은 일체가 된다.
안내 홈(38b)은 외측 보빈(30)의 하단면에서 끼움 홈(38a)의 하단부까지 형성되며, 안내 홈(38b)의 바닥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안내 홈(38b)은 몸체부(22)의 하단면 부분에서 깊이가 가장 깊고, 끼움 홈(38a)과 인접한 위치에서는 깊이가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 홈(38b)은 내측 보빈(20)이 외측 보빈(30)에 결합될 때, 끼움 돌기(28)가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끼움 돌기(28)와 결합 홈(38)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 보빈(20)을 외측 보빈(30)에 결합하는 경우, 먼저 내측 보빈(20) 중 지지턱(29)이 형성된 측을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에 삽입한다. 이때, 내측 보빈(20)의 끼움 돌기(28)가 외측 보빈(30)의 결합 홈(38, 즉 끼움 홈)에 살짝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어서 내측 보빈(20)의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 측을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 측의 끼움 돌기(28)는 외측 보빈(30)의 몸체부(32)의 하단면을 통해 안내 홈(38b)으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 홈(38b)은 몸체부(22)의 하단면 부분의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움 돌기(28)는 용이하게 안내 홈(38b)으로 삽입될 수 있다.
내측 보빈(20)을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끼움 돌기(28)는 안내 홈(38b)을 따라 외측 보빈(30)의 몸체부(2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끼움 홈(38a)에 삽입된다. 이때, 내측 보빈(20)의 단자 체결부(24)는 외측 보빈(30)의 하단면과 접촉하며 내측 보빈(20)이 외측 보빈(3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측 보빈(20)은 끼움 홈(38a)에 끼워진 끼움 돌기(28)가 안내 홈(38b)과 끼움 홈(38a)을 구분하는 단턱에 걸리게 되어 하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지지턱(29)과 단자 체결부(24)가 외측 보빈(30)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되어 상측으로의 이동도 억제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30)과 결합이 완료된 내측 보빈(20)은 외측 보빈(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6)와 외측 보빈(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36)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0)이 외측 보빈(30)과 결합될 때, 내측 보빈(20)은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 보빈(30)의 단자 체결부(34)가 형성된 부분이 아닌,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외측 보빈(3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외측 보빈(30)의 외부 접속 단자(26)와 내측 보빈(20)의 외부 접속 단자(36)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의 외부 접속 단자(26)들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므로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는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20)의 몸체부(22)를 통해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과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절연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과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이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스포머(100)의 출력 특성이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외부면과 외측 보빈(30)의 관통공(21) 내주면과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는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와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즉,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된 보빈부(10)는 절연 리브(27, 37)나 단자 체결부(24, 34)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일부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할 뿐,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부(10)가 외측 보빈(30)과 하나의 내측 보빈(2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외측 보빈(30) 내에 다수의 보빈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에 외측 보빈(30)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별도의 보빈(이하 중간 보빈)이 삽입되고, 중간 보빈의 관통공(21)에 내측 보빈(20)이 삽입되도록 보빈부(10)를 구성하고, 내측 보빈(20)의 관통공(21)에 코어(40)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차 코일(50a, 또는 2차 코일)은 최대 2개의 개별 보빈(내측 보빈, 중간 보빈, 및 외측 보빈)에 권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의 개별 보빈들(20, 3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의 개별 보빈들(20, 30)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보빈들(20, 3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일(50)부(50)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을 포함한다.
1차 코일(50a)은 내측 보빈(20)에 형성된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0a)은 하나의 내측 권선부(20a)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50)로 1차 코일(50a)을 구성하여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0b)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1차 코일(50a)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50)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0a)은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가닥을 꼬아 형성한 리쯔와이어(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1차 코일(50a)은 리드선이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6)에 연결된다.
2차 코일(50b)은 외측 보빈(30)에 형성된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된다.
2차 코일(50b)도 전술한 1차 코일(50a)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은 외측 보빈(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36)에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권선부(20a)에 1차 코일(50a)이 권선되고, 외측 권선부(30a)에 2차 코일(50b)이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측 권선부(30a)에 1차 코일(50b)을 권선하고, 내측 권선부(20a)에 2차 코일(50a)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코어(40, core)는 내측 보빈(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 보빈(20)의 관통공(21)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40), 'EI' 코어(4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내측 보빈(120)의 단자 체결부(124)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내측 보빈(120)의 단자 체결부(124)의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120)의 단자 체결부(124)는 하부 플랜지부(123b)에서 몸체부(122)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측 보빈(30)의 하부 플랜지부(33b) 외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30)은 하부 플랜지부(33b)에 절연 리브가 형성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보빈(120)은 단자 체결부(124)의 상부면이 외측 보빈(30)의 하부 플랜지부(33b)의 하부면과 접하며 외측 보빈(3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트랜스포머(1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 체결부(124)는 외측 보빈(30)의 단자 체결부(34)와 유사하게 안내 돌기(124a)와 인출 홈(125)을 포함한다.
안내 돌기(124a)는 단자 체결부(124)의 하부면에서 몸체부(122)의 하측으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내 돌기(124a)는 외측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150)의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126)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내 돌기(134a)가 코일(50)을 견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 돌기(134a)가 코일(50)의 리드선 직경 이상의 거리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 홈(125)은 안내 돌기(124a)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외측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상기한 단자 체결부(124)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이러한 단자 체결부(124)의 구성에 따라 내측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은 인출 홈(125)을 경유하여 내측 보빈(12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안내 돌기(124a)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 접속 단자(126)는 단자 체결부(124)에서 몸체부(1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124)에 체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126)는 외측 보빈(30)의 하부 플랜지부(23b) 외주연에 대응하는 형태로 단자 체결부(124)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보빈(120)의 외부 접속 단자(126)와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코일(50)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자 체결부(124)가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23)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내측 보빈(120)의 외부 접속 단자(126)가 외측 보빈(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외측 보빈(30)의 외부 접속 단자(26)와의 절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머(200)를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 시 보다 용이하게 실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의 구성은 내측 보빈(120)을 2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보빈(30)의 내부에 중간 보빈이 삽입되고, 중간 보빈의 내부에 또 내측 보빈(120)이 삽입되도록 보빈부(10)가 구성되는 경우, 1차 코일(또는 2차 코일)은 최대 2개의 개별 보빈에 권선될 수 있다.
이처럼 1차 코일(또는 2차 코일)이 2개의 개별 보빈에 권선된 경우에는 해당 개별 보빈들의 외부 접속 단자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 코일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126)와 2차 코일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6)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하지만, 서로 다른 개별 보빈(즉 중간 보빈)에 동일한 1차 코일이 권선되는 경우, 해당 개별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는 1차 코일이 권선된 내측 보빈(120)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매우 얇은 박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절연 리브의 개수와, 돌출 거리 등을 토대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들 간의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끼움 돌기와 결합 홈을 이용하여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간의 결합력을 확보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보빈의 외주연이나 외즉 보빈의 내주연에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지지부에 의해 내측 보빈 또는 외측 보빈을 지지하며 결합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끼움 돌기가 내측 보빈에 형성되고, 결합 홈이 외측 보빈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반대로 끼움 돌기를 외측 보빈의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하고, 결합 홈을 내측 보빈의 외주연에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보빈이 모서리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 등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되는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200.....트랜스포머 10.....보빈부
20, 120.....내측 보빈 30.....외측 보빈
20a.....내측 권선부 30a.....외측 권선부
21, 31.....관통공 22, 32, 122.....몸체부
23, 33.....플랜지부 23a, 33a.....상부 플랜지부
23b, 33b, 123b.....하부 플랜지부
24, 34, 124.....단자 체결부
25, 35, 125.....인출 홈
26, 36, 126.....외부 접속 단자
27, 37.....절연 리브 28.....끼움 돌기
29.....지지 턱
34a, 124a.....안내 돌기 34b.....이격 블록
38.....결합 홈
38a.....끼움 홈 38b.....안내 홈
40.....코어 50.....코일
50a.....1차 코일 50b.....2차 코일
20, 120.....내측 보빈 30.....외측 보빈
20a.....내측 권선부 30a.....외측 권선부
21, 31.....관통공 22, 32, 122.....몸체부
23, 33.....플랜지부 23a, 33a.....상부 플랜지부
23b, 33b, 123b.....하부 플랜지부
24, 34, 124.....단자 체결부
25, 35, 125.....인출 홈
26, 36, 126.....외부 접속 단자
27, 37.....절연 리브 28.....끼움 돌기
29.....지지 턱
34a, 124a.....안내 돌기 34b.....이격 블록
38.....결합 홈
38a.....끼움 홈 38b.....안내 홈
40.....코어 50.....코일
50a.....1차 코일 50b.....2차 코일
Claims (9)
-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 및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상기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다수의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
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보빈부는 제1 보빈과 제2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제2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보빈과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보빈은,
각각 상기 하부 플랜지부의 일 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다수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보빈의 플랜지부와 상기 제2 보빈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보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부의 폭이 상기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단자 체결부는,
각각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인출 홈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인출 홈을 경유하여 상기 보빈부의 하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보빈의 상기 하부 플랜지부 외주연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1 보빈의 상기 단자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제1 보빈에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제2 보빈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보빈부는,
권선되는 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빈 또는 상기 제2 보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 접속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2701A KR101133294B1 (ko) | 2010-09-20 | 2010-09-20 | 트랜스포머 |
US13/175,660 US8698587B2 (en) | 2010-07-02 | 2011-07-01 | Transformer |
CN2011101914891A CN102376438A (zh) | 2010-07-02 | 2011-07-04 | 变压器 |
CN201120239770.3U CN202142397U (zh) | 2010-07-02 | 2011-07-04 | 变压器 |
US14/047,911 US20140077915A1 (en) | 2010-07-02 | 2013-10-07 | Transform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2701A KR101133294B1 (ko) | 2010-09-20 | 2010-09-20 | 트랜스포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777A Division KR101620060B1 (ko) | 2012-01-30 | 2012-01-30 | 트랜스포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0881A KR20120030881A (ko) | 2012-03-29 |
KR101133294B1 true KR101133294B1 (ko) | 2012-04-04 |
Family
ID=4613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2701A KR101133294B1 (ko) | 2010-07-02 | 2010-09-20 | 트랜스포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32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5314B1 (ko) * | 2015-07-01 | 2016-08-03 | 크로바하이텍(주) | 고압트랜스용 보빈 구조물 |
KR102550269B1 (ko) * | 2021-07-27 | 2023-07-03 | (주) 트랜스온 | 회전 방식으로 조립되는 트랜스포머 |
KR102647723B1 (ko) * | 2021-10-25 | 2024-03-14 |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 트랜스포머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2027A (ja) * | 1991-09-24 | 1993-04-02 |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 水銀担持体の製造方法 |
JPH07106158A (ja) * | 1993-09-29 | 1995-04-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変圧器 |
KR20080034736A (ko) * | 2006-10-17 | 2008-04-2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평판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동장치 |
JP2009158573A (ja) | 2007-12-25 | 2009-07-16 | Fdk Corp | トランス |
-
2010
- 2010-09-20 KR KR1020100092701A patent/KR1011332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2027A (ja) * | 1991-09-24 | 1993-04-02 |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 水銀担持体の製造方法 |
JPH07106158A (ja) * | 1993-09-29 | 1995-04-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変圧器 |
KR20080034736A (ko) * | 2006-10-17 | 2008-04-2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평판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동장치 |
JP2009158573A (ja) | 2007-12-25 | 2009-07-16 | Fdk Corp | トラン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0881A (ko) | 2012-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4147B1 (ko)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
EP2402966B1 (en) | Transformer and fla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742878B2 (en) |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648685B2 (en) |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8698587B2 (en) | Transformer | |
KR101124003B1 (ko)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
EP4057306B1 (en) |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 |
US8698588B2 (en) | Transformer | |
KR101133294B1 (ko) | 트랜스포머 | |
KR101133315B1 (ko) | 트랜스포머 | |
KR101218997B1 (ko)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42078B1 (ko) | 트랜스포머 | |
US20120001716A1 (en) | Transformer | |
KR101141337B1 (ko)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
JP5949841B2 (ja) | トランスフォーマ及びこれを備える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1620060B1 (ko) | 트랜스포머 | |
KR101642079B1 (ko) | 트랜스포머 | |
KR101133366B1 (ko) | 트랜스포머 | |
KR101133338B1 (ko) |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