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7866A -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7866A
KR20220027866A KR1020217042393A KR20217042393A KR20220027866A KR 20220027866 A KR20220027866 A KR 20220027866A KR 1020217042393 A KR1020217042393 A KR 1020217042393A KR 20217042393 A KR20217042393 A KR 20217042393A KR 20220027866 A KR20220027866 A KR 20220027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contact
air
cap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사카모토
료 타치쿠라
카츠히토 쿠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0735A external-priority patent/JP72915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40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718184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220027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7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9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slide val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공기 밸브를 소기한 상태로 당접시키고, 공기 밸브와 관련되는 성능을 안정되게 발휘시킬 수 있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용 주출 캡은 캡 본체(8)의 이면에 대해서 당접 및 이반 가능하여, 통기구(3e)로부터 외기 도입구(8g)를 향한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한편, 외기 도입구(8g)로부터 통기구(3e)를 향한 공기 유통은 허용하는 공기 밸브(6a)와, 공기 밸브(6a)를 사이에 두고 캡 본체(8)의 이면과 대향해서 마련되어, 공기 밸브(6a)의 일부와 당접해서 캡 본체(8)의 이면으로부터의 공기 밸브(6a)의 이반을 제한하는 규제부(5h)를 갖는 속마개(5)를 구비하며, 공기 밸브(6a)에서의 규제부(5h)가 당접하는 제1 당접면(6j)은 평탄면이다.

Description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
본 발명은 내용액을 수용하는 내층체와, 내층체를 내측에 넣는 외층체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층체에 대한 압압(押壓)에 따라 내용액을 주출(注出)시키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용기 본체에 이 주출 캡을 장착한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내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주출 캡을 장착한 용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내층체와 외층체로 구성한 용기 본체를 사용한 이중 용기(데라미 용기, 적층 박리 용기라고도 함)가 사용되고 있다. 이 종류의 외층체는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표리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통기구)을 통해서 내층체와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공기를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출 캡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계(外界)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내부 공간이 감압되면 외계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공기 도입이 허용되는 공기 밸브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중 용기에 따르면, 외층체를 압압함으로써 내부 공간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충전 공간의 압력이 높아져서 내용액을 주출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층체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면, 외층체의 복원에 따라 내부 공간이 감압되고, 이에 따라, 통기구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도입되어서 내층체만을 감용(減容) 변형시킬 수 있다. 즉, 내용액이 적어져도 용기의 자립성이 유지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기와 치환하지 않고 내용액을 주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용된 내용액의 품질 열화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도 있다. 이 때문에, 이 종류의 용기는 예를 들면, 간장, 소스, 미림, 요리술 등의 조미료나 샴푸, 린스, 액체 비누, 화장수 등의 화장료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31932호
상술한 주출 캡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층체에 장착되는 캡 본체의 내측에 공기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캡 본체는 외층체의 통기구로 통하는 외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공기 밸브는 통상 시에는 캡 본체의 이면과 당접해서 통기구와 외기 도입구 사이에서의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한편, 내부 공간이 감압 상태가 되면, 캡 본체의 이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통기구와 외기 도입구의 사이에서 공기를 흘릴 수 있다.
그런데, 공기 밸브와 이 공기 밸브가 당접하는 부위가 소기(所期)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면, 양자의 당접 상태가 변함으로 인해, 예를 들면, 외층체를 압압하였을 때에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계로 누설되어, 의도한 대로 내용액을 토출 불가능할 우려가 있다. 또한, 외층체 복원 시에 외기를 순조롭게 거두어들이지 못하여, 복원에 시간을 요하는 것도 염려된다. 또한, 캡 본체의 이면으로부터 이반된 공기 밸브가 진동하여 소리가 나는 것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공기 밸브를 소기한 상태로 당접시켜, 공기 밸브와 관련되는 성능을 안정되게 발휘시킬 수 있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용액을 수용하는 충전 공간을 갖는 내층체와, 해당 내층체와의 상호간에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함께 해당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통기구를 갖는 외층체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해당 외층체를 압압함으로써 해당 충전 공간의 내용액을 주출구로부터 주출시키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으로서,
상기 통기구를 덮어 상기 외층체에 장착되어, 상기 주출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통기구로 통하는 외기 도입구를 갖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이면에 대해서 당접 및 이반 가능하여,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외기 도입구를 향한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한편, 해당 외기 도입구로부터 해당 통기구를 향한 공기 유통은 허용하는 공기 밸브와,
상기 공기 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캡 본체의 이면과 대향해서 마련되어, 해당 공기 밸브의 일부와 당접해서 해당 캡 본체의 이면으로부터의 해당 공기 밸브의 이반을 제한하는 규제부를 갖는 속마개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밸브에서 상기 규제부가 당접하는 제1 당접면은 평탄면인, 이중 용기용 주출 캡이다.
상기 공기 밸브는, 통형상을 이루는 기초부와, 도너츠 판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하여 내연이 해당 기초부에 고정 지지되는 공기 밸브 본체부와, 해당 공기 밸브 본체부의 외연 측에 마련되어, 상기 규제부와 대향하는 측에 상기 제1 당접면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캡 본체의 이면과 대향하는 측에 해당 캡 본체의 이면과 당접하는 제2 당접면을 갖는 공기 밸브 외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밸브 본체부는, 상기 공기 밸브 외연부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제부는, 근원부가 상기 속마개에 연결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상기 제1 당접면과 당접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속마개는, 상기 공기 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캡 본체의 이면과 대향해서 마련되어, 상기 충전 공간과 상기 주출구를 통과시키는 내용액용 연통구를 갖는 격벽과, 해당 격벽으로부터 기립하는 환형 벽과, 해당 격벽 및 해당 환형 벽의 적어도 한쪽을 관통해서 상기 외기 도입구와 상기 통기구를 통과시키는 공기용 연통구와, 상기 환형 벽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공기 밸브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해당 공기 밸브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부는, 해당 판형상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해당 공기 밸브의 하면과 당접하는 당접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부를, 상기 판형상부와 상기 당접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부는, 상기 당접부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용 연통구는, 적어도 상기 환형 벽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판형상부의 하면은, 상기 공기용 연통구를 구획하는 상기 환형 벽의 하면과 가지런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당접면 및 상기 규제부가 해당 제1 당접면과 당접하는 규제부 당접면은 모두 평탄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와 ,상술한 어느 하나의 이중 용기용 주출 캡으로 구성되는 이중 용기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이중 용기용 주출 캡은, 속마개에, 공기 밸브의 일부와 당접해서 캡 본체의 이면으로부터의 공기 밸브의 이반을 제한하는 규제부를 마련함과 동시에, 공기 밸브에는 규제부가 당접하는 제1 당접면을 마련하고 있다. 즉, 규제부가 공기 밸브와 당접함으로써, 캡 본체의 이면에 대해서 공기 밸브를 안정적으로 당접시킬 수 있다. 또한, 당접하는 규제부에 의해서 공기 밸브의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소리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당접면을 평탄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밸브와 규제부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다소 바뀌어도, 캡 본체의 이면과 공기 밸브와의 당접 상태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 밸브에 의해 초래되는 성능을 보다 안정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당접이란, 2개의 부재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 뿐만 아니라, 약간 떨어져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기 밸브와 돌기(규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공기 밸브에 마련한 공기 밸브 외연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측면 시에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판형상부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속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속마개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등에서 「상」 방향, 「하」 방향이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층체(부호 3)가 아래쪽에 위치하고, 덮개체(부호 9)가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에서의 방향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중 용기는 용기 본체(1)(내층체(2)와 외층체(3)로 구성됨), 주출 캡(4)(속마개(5), 역지 밸브(6), 이동 밸브(7), 캡 본체(8)로 구성됨) 및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내층체(2)는 그 내측에 내용액을 수용 가능한 충전 공간(S)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내층체(2)는 얇은 합성 수지제로서, 감용 변형 가능하다.
외층체(3)는 중심 축(O)을 따라 연장되는 통형상 입구부(3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입구부(3a)는 상단이 개구하는 윗 부분(3b)에 비하여, 아래 부분(3c)이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윗 부분(3b)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윗 부분(3b)에는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윗 부분(3b)을 관통하는 통기구(3e)가 마련되고, 또한, 통기구(3e)가 개구하는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나사부(3d)를 분단하는 절결(3f)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입구부(3a)의 하부에는 통형상 몸통부와, 몸통부의 하단을 폐쇄하는 바닥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외층체(3)는 보틀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외층체(3)는 합성 수지제로서, 몸통부는 가요성을 갖고 있다.
또한, 내층체(2)와 외층체(3) 상호 간에는, 통기구(3e)로 통하는 내부 공간(N)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층체(2)와 외층체(3)는 서로 상용성이 낮은 합성 수지를 박리 가능하게 적층시킨 것이다. 내층체(2)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수지(PA), 에틸렌 비닐 알코올 공중합 수지(EVOH),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예를 들면,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아도마」(등록상표) 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외에, 폴리에틸렌 수지(PE)나 폴리프로필렌 수지(PP)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외층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를 비롯한 폴리에틸렌 수지(PE) 외에, 폴리프로필렌 수지(PP)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를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내층체(2)와 외층체(3)는 단일 합성 수지에 의해서 각각이 단층 구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복수의 합성 수지를 중합시켜서 각각이 적층 구조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내층체(2)와 외층체(3)는 내층체(2)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소재와 외층체(3)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 소재가 적층된 패리슨(parison)을 블로 성형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그 밖에도, 내층체(2)의 합성 수지 소재와 외층체(3)의 합성 수지 소재를 적층시킨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준비하고, 이 프리폼을 2축 연신 블로 성형해서 형성하는 것이나, 내층체 및 외층체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그 후, 내층체를 외층체의 내측에 배치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내층체(2)와 외층체(3)의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층체(2)와 외층체(3)를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1개 혹은 복수 개의 접착대를 마련할 수 있다.
속마개(5)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속마개(5)는 입구부(3a)의 위쪽에 위치하고 충전 공간(S)을 폐쇄하는 격벽(5a)을 구비하고 있다. 격벽(5a)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개구(내용액용 연통구(5b))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룸과 동시에, 상부에 대해서 하부를 지름 축소시킨 통형상 벽(5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용액용 연통구(5b) 및 통형상 벽(5c)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위쪽을 개방한 환형 오목부(5e)가 마련되어 있고, 환형 오목부(5e)의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의 격벽(5a)의 하면에는, 내층체(2)와 액밀하게 당접하는 환형의 실링 벽(5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격벽(5a)의 외연부에는 위쪽을 향해 연장되는 외연벽(5f)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5a)과 외연벽(5f)과의 연결부에는 연통 개구(5g)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속마개(5)는 외연벽(5f)의 지름 방향 내측에서 격벽(5a)의 상면에 마련되는 돌기(규제부)(5h)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5h)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부가 격벽(5a)에 연결되어 있어, 그곳으로부터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비슴듬하게 위쪽을 향해 연장된 후, 수평에 가까운 각도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어, 대략 「く」자형(옆으로 누운 L자형)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돌기(5h)의 선단부는 위쪽을 향해 팽출되어 있으며, 선단부의 상면에는 평탄면(규제부 당접면(5j))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5h)에 있어서의 선단부 상면은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돌기(5h)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벽(5a)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마련되어 있다.
역지 밸브(6)는 공기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공기 밸브(6a)와, 내용액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주출 밸브(6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역지 밸브(6)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연질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밸브(6a)는 중심 축(O)을 중심으로 하는 통형상이고, 또한, 하단부가 환형 오목부(5e)에 의해서 지지되는 기초부(6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초부(6c)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중심 축(O)을 중심으로 하는 얇은 도너츠 판형상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연부가 기초부(6c)에 대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기초부(6c)에 고정 지지되고, 그곳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아래쪽에 만곡하도록 연장되는(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공기 밸브 본체부(6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 밸브 본체부(6d)의 외연 측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밸브 본체부(6d)보다 두꺼워지는 공기 밸브 외연부(6e)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의 공기 밸브 외연부(6e)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기 밸브 외연부(6e)에 있어서의 상부(6f)는 위쪽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듯이 돌출됨과 동시에 정상부가 횡단면에서 보아 원호형의 면이 되는(또한, 이 원호형의 면을 제2 당접면(6g)이라 칭함) 것이며, 이 상부(6f)의 외연부에는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단부(6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6f)와 외단부(6h)의 하면에는 평탄면(제1 당접면(6j))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당접면(6j)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5h)의 규제부 당접면(5j)이 당접하는 부위이다.
그런데, 공기 밸브 외연부(6e)의 형상은 각종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 3의 (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6f)와 외단부(6h)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상부(6f')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b)의 상부(6f')는 공기 밸브 본체부(6d)에 접속되는 내연 측의 면이 공기 밸브 본체부(6d)와 같은 원호형의 면이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c)의 상부(6f')는 외연 측의 면을 도 3(a)의 상부(6f)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 3의 (a)의 제2 당접면(6g)보다 곡율이 작아지는 제2 당접면(6g')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의 (d)의 상부(6f')는 공기 밸브 본체부(6d)와의 사이에 패인 곳(6k)을 갖는 것이다.
주출 밸브(6b)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용 연통구(5b) 및 통형상 벽(5c)의 위쪽에 위치하고, 격벽(5a)에 착좌하여 내용액용 연통구(5b)를 폐쇄하는 한편, 통형상 벽(5c)의 일부는 해방시킨 채로 하는 판형상의 주출 밸브 본체부(6m)와, 주출 밸브 본체부(6m)와 기초부(6c)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편(6n)을 구비하고 있다. 주출 밸브(6b)는 예를 들면, 3점 밸브나 4점 밸브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편(6n)에 의해서 주출 밸브 본체부(6m)와 기초부(6c)를 연결하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1점 밸브와 같은 하나의 연결편(6n)에 의해서 주출 밸브 본체부(6m)와 기초부(6c)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이동 밸브(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통형상 벽(5c) 내에 배치되며, 용기 본체(1)의 자세 변경이나 충전 공간(S)의 내압에 따라 통형상 벽(5c)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 밸브(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를 정립 자세로 한 상태에 있어서는, 통형상 벽(5c)의 지름 축소된 하부에 착좌하여, 통형상 벽(5c)과 충전 공간(S)을 비연통 상태로 하고 있다.
캡 본체(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역지 밸브(6)의 위쪽에 위치하는 천벽(天壁; 8a)과, 천벽(8a)의 외연에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입구부(3a)를 둘러싸는 외주벽(8b)을 구비하고 있다. 외주벽(8b)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3d)에 적합한 암나사부(8c)가 마련되어 있다.
천벽(8a)의 중앙부에는, 천벽(8a)을 관통하는 구멍의 테두리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되고, 그 상부 개구를 내용액의 주출구(8d)로 하는 주출 통(8e)이 마련되어 있다. 천벽(8a)의 하면에는 기초부(6c)의 내주면에 대해서 액밀하게 당접하는 환형 벽(8f)이 마련되어 있다. 환형 벽(8f)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천벽(8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외기 도입구(8g)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도입구(8g)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천벽(8a)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고, 하면이 평탄면이 되는 환형 단부(8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단부(8h)는 공기 밸브(6a)의 공기 밸브 외연부(6e)가 당접하는 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5h)의 규제부 당접면(5j)이 제1 당접면(6j)과 당접한 상태에 있어서, 제2 당접면(6g)이 단부(8h)의 하면과 당접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천벽(8a)의 외연부에는 덮개체(9)를 유지하는 클로부(8j)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N)이 감압 상태가 되면, 공기 밸브(6a)의 공기 밸브 본체부(6d)는 돌기(5h)의 규제부 당접면(5j)이 제1 당접면(6j)과 당접하는 부분의 주변은 거의 움직이지 않아, 이 부분에서는 제2 당접면(6g)이 단부(8h)와 당접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돌기(5h)가 당접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공기 밸브 본체부(6d)가 아래쪽을 향해 휘기 때문에, 제2 당접면(6g)과 단부(8h)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이 상태에서 캡 본체(8)의 내측에는, 외기 도입구(8g)로부터 통기구(3e)까지 연통하는 공기가 통하는 통로(연통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연통로는 외기 도입구(8g)를 통과하고, 이반된 제2 당접면(6g)과 단부(8h)의 간극을 통해, 연통 개구(5g)를 경유하며, 또한 수나사부(3d)와 암나사부(8c)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선형 간극(또는 절결(3f)에 의한 간극)을 거쳐 통기구(3e)에 이르는 통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기 밸브 본체부(6d)는 공기 밸브 외연부(6e)보다 얇고 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이 감압 상태가 되면, 제2 당접면(6g)을 단부(8h)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이반시킬 수 있다.
덮개체(9)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천벽(8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정벽(頂壁; 9a)과, 정벽(9a)에 일체로 연결하는 덮개체 외주벽(9b)을 구비하고 있다. 정벽(9a)의 하면에는 주출 통(8e)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주출 통(8e)의 내면과 기밀하게 당접하는 실링 통(9c)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체 외주벽(9b)의 내주면에는, 클로부(8j)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9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 외주벽(9b)의 외주면에는, 캡 본체(8)의 외주벽(8b)에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부(9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덮개체(9)는 캡 본체(8)와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지만, 캡 본체(8)와는 별개로 마련하여, 나사나 언더컷에 의해서 캡 본체(8)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되는 이중 용기에 있어서는, 외층체(3)의 몸통부를 압압함으로써 내부 공간(N)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충전 공간(S)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충전 공간(S)의 내용액은 주출 밸브 본체부(6m)를 상승시키면서, 내용액용 연통구(5b)로부터 연결편(6n) 주위의 간극을 통해서 기초부(6c)의 내측으로 흘러들어가고, 주출 통(8e)의 내부를 통해서 주출구(8d)로부터 주출된다. 여기서, 통기구(3e)와 외기 도입구(8g)를 잇는 상술한 연통로는 공기 밸브(6a)의 공기 밸브 외연부(6e)가 전체 둘레에 걸쳐 단부(8h)와 당접해서 비연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의 공기가 외계로 누설될 일은 없다. 또한, 통형상 벽(5c) 내의 이동 밸브(7)는 내용액을 주출시키도록 용기 본체(1)를 경도(傾倒) 자세로 변위시킨 상태에서, 자체 무게나 통형상 벽(5c)의 아래쪽 측 개구로로부터 유입되는 내용액에 의해서, 주출 밸브 본체부(6m) 측(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 후, 외층체(3)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여 몸통부가 복원하기 시작하면, 내부 공간(N)의 용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은 감압 상태가 된다. 이로써, 공기 밸브(6a)는 돌기(5h)가 당접하지 않은 부위에서는 공기 밸브 본체부(6d)가 아래쪽을 향해 휘기 때문에, 제2 당접면(6g)과 단부(8h)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며, 외기 도입구(8g)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상술한 연통로를 통해서 내부 공간(N)으로 도입된다. 이로써, 내층체(2)를 감용 변형시킨 채로, 외층체(3)를 복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돌기(5h)의 규제부 당접면(5j)이 제1 당접면(6j)과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밸브(6a)의 진동이 억제되어 소리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규제부 당접면(5j)은 곡면일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규제부 당접면(5j)과 제1 당접면(6j)을 함께 평탄면으로 할 경우에는, 양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당접하기 때문에, 소리가 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층체(3)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였을 때, 충전 공간(S)의 압력이 원 상태로 돌아가 주출 밸브 본체부(6m)가 격벽(5a)의 상면에 착좌하기 때문에, 내용액용 연통구(5b)로부터 충전 공간(S)으로 외기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액의 주출을 끝내고 용기 본체(1)를 원래의 정립 자세로 변위시켰을 때, 이동 밸브(7)는 그 자신의 자체 무게나 충전 공간(S) 내의 압력 저하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통형상 벽(5c)의 위쪽 내측에는 이동 밸브(7)가 이동한 만큼의 스페이스가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분에 해당하는 만큼의 내용액을 주출 통(8e)으로부터 통형상 벽(5c) 내로 되돌릴 수 있고(석백(suck back) 기능), 주출 통(8e)으로부터 액 뭉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한 이동 밸브(7)는 통형상 벽(5c)의 지름 축소한 하부에 착좌하기 때문에, 통형상 벽(5c)으로부터 충전 공간(S)으로 외기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위에 대해서는, 도면 내에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이중 용기는 용기 본체(1)(내층체(2)와 외층체(3)로 구성됨), 주출 캡(14)(속마개(15), 역지 밸브(16), 이동 밸브(7), 캡 본체(18)로 구성됨) 및 덮개체(19)를 구비하고 있다.
속마개(15)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속마개(15)는 입구부(3a)의 위쪽에 위치하여 충전 공간(S)을 폐쇄하는 격벽(15a)을 구비하고 있으며, 격벽(15a)에는 이것을 관통하는 개구(내용액용 연통구(15b))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룸과 함께, 상부에 대해서 하부를 지름 축소시킨 통형상 벽(15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용액용 연통구(15b) 및 통형상 벽(15c)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위쪽을 개방한 환형 오목부(15e)가 마련되어 있으며, 환형 오목부(15e)의 지름 방향 외측에 있어서의 격벽(15a)의 하면에는, 내층체(2)와 액밀하게 당접하는 환형의 실링 벽(15d)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격벽(15a)의 외연부에는, 위쪽을 향해 기립하는 환형 벽(15f)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15a)과 환형 벽(15f)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격벽(15a)에서의 지름 방향 외측 부분과 환형 벽(15f)에서의 아래쪽 부분을 일체적으로 절결하도록 하여 형성되며, 격벽(15a)과 환형 벽(15f) 양방을 관통하는 공기용 연통구(15g)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속마개(15)는 환형 벽(15f)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두께가 비교적 얇은 판형상부(15h)를 구비하고 있다. 판형상부(15h)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용 연통구(15g)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부(15h)의 하면은 공기용 연통구(15g)를 구획하는 환형 벽(15f)의 하면과 가지런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판형상부(15h)는 평면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형 벽(15f)의 내주면으로부터 비교적 넓은 폭으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된 후, 환형 벽(15f)을 따르도록 해서 비교적 가는 폭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판형상부(15h)는 두께가 비교적 얇고,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외팔보처럼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되는 판형상부(15h)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형 벽(15f)에 대해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합계 6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부(15h)의 수는 속마개(15)의 형상이나 소기하는 기능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판형상부(15h)의 선단에는, 위쪽을 향해 돌출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밸브(부합(16a))의 하면과 당접하는 당접부(15j)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등에서는, 판형상부(15h)와 당접부(15j)의 총칭을 「규제부」라 칭하기로 한다. 당접부(15j)의 상면(규제부 당접면(15j1))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속마개(15)는 용융된 합성 수지 소재를 금형 내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형태로 성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마개(15)의 상면에서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D1)과 속마개(15)의 하면에서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D2)을 맞대도록 해서 금형을 닫고, 이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캐비티) 내에서 합성 수지 소재를 경화시켜서 속마개(15) 형태를 만들고 있다. 도 7은 상형(D1)과 하형(D2)에서의 격벽(15a)과 환형 벽(15f)의 연결부 부근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7의 (a)는 공기용 연통구(15g)나 판형상부(15h)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부위에서의 단면도(도 6에 나타내는 A-A를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공기용 연통구(15g)나 판형상부(15h)를 마련한 부위에서의 단면도(도 6에 나타내는 B-B를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형(D1)에 의해서, 격벽(15a)의 상면이나 환형 벽(15f)의 내주면, 상면, 외주면 등이 형성되고, 하형(D2)에 의해서, 격벽(15a)의 하면이나 실링 벽(15d)의 외주면 등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용 연통구(15g)나 판형상부(15h)를 마련하는 부위에 있어서는, 하형(D2)에는 부분적으로 위쪽으로 돌출시키는 돌기부(D2a)를 마련하고, 상형(D1)에는 돌기부(D2a)와 대응하는 형상이 되는 오목부(D1a)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D1a)의 지름 방향 내측면과 돌기부(D2a)의 지름 방향 외측면이 직접 맞대어져 맞물리도록 하고, 공기용 연통구(15g)를 개구시키고 있다.
그런데, 환형 벽(15f)의 하면과 판형상부(15h)의 하면은 돌기부(D2a)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환형 벽(15f)의 하면과 판형상부(15h)의 하면이 가지런하지 않으면(환형 벽(15f)의 하면에 대해서 판형상부(15h)의 하면이 위쪽 또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돌기부(D2a)의 상면 형상이 복잡해져, 비용이 커지는 데다가 성형도 어려워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같이, 환형 벽(15f)의 하면과 판형상부(15h)의 하면을 가지런하게 함으로써, 금형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성형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역지 밸브(1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공기 밸브(16a)와, 내용액의 흐름을 규제하기 위한 주출 밸브(16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역지 밸브(16)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연질 폴리에틸렌(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밸브(16a)는 중심 축(O)을 중심으로 하는 통형상이며, 또한, 하단부가 환형 오목부(15e)에 의해 지지되는 기초부(16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초부(16c)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중심 축(O)을 중심으로 하는 얇은 도너츠 판형상으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연부가 기초부(16c)에 대해서 일체로 연결해서 기초부(16c)에 고정 지지되고, 그곳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 아래쪽으로 만곡하도록 연장되는(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공기 밸브 본체부(16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기 밸브 본체부(16d)의 외연 측에는, 공기 밸브 본체부(16d)보다 두꺼워지는 공기 밸브 외연부(16e)가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상면(제2 당접면(16e2))은, 위쪽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듯이 경사지면서 정상부는 횡단면에서 보아 원호형 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하면(제1 당접면(16e1))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이다. 그리고,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바로 아래에는,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판형상부(15h)가 공기 밸브 외연부(16e)를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판형상부(15h)의 선단에 마련한 당접부(15j)는 그 상면(규제부 당접면(15j1))이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하면(제1 당접면(16e1))과 당접하고 있다.
주출 밸브(16b)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액용 연통구(15b) 및 통형상 벽(15c)의 위쪽에 위치하고, 격벽(15a)에 착좌해서 내용액용 연통구(15b)를 폐쇄하는 한편, 통형상 벽(15c)의 일부는 해방시킨 채로 하는 판형상 주출 밸브 본체부(16f)와, 주출 밸브 본체부(16f)와 기초부(16c)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편(16g)을 구비하고 있다. 주출 밸브(16b)는 예를 들면, 3점 밸브나 4점 밸브와 같이 복수 개의 연결편(16g)에 의해서 주출 밸브 본체부(16f)와 기초부(16c)를 연결하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1점 밸브와 같은 하나의 연결편(16g)에 의해서 주출 밸브 본체부(16f)와 기초부(16c)를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캡 본체(18)는 상술한 캡 본체(8)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역지 밸브(16)의 위쪽에 위치하는 천벽(18a)과, 천벽(18a)의 외연에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입구부(3a)를 둘러싸는 외주벽(18b)을 구비하고 있다. 외주벽(18b)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3d)에 적합한 암나사부(18c)가 마련되어 있다.
천벽(18a)의 중앙부에는, 천벽(18a)을 관통하는 구멍의 테두리부로부터 위쪽을 향해 연장되고, 그 상부 개구를 내용액의 주출구(18d)로 하는 주출 통(18e)이 마련되어 있다. 천벽(18a)의 하면에는, 하부를 개방함과 함께 기초부(16c)의 상부를 지지하는 환형 오목부(18f)가 마련되어 있다. 환형 오목부(18f)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천벽(18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외기 도입구(18g)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외기 도입구(18g)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천벽(18a)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돌출되며, 하면이 평탄면이 되는 환형 단부(18h)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단부(18h)는 공기 밸브(16a)의 공기 밸브 외연부(16e)가 당접하는 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접부(15j)의 상면(규제부 당접면(15j1))이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하면(제1 당접면(16e1))과 당접한 상태에 있어서, 공기 밸브 외연부(6e)의 상면(제2 당접면(16e2))이 단부(8h)의 하면과 당접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벽(18a)의 외연부에는 덮개체(19)를 유지하는 클로부(18j)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N)이 감압 상태가 되었을 때, 공기 밸브(16a)의 공기 밸브 본체부(16d)는 하부를 향해 휘며, 공기 밸브 외연부(16e)와 단부(18h)의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 가능한 간극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캡 본체(18)의 내측에는, 외기 도입구(18g)로부터 통기구(3e)까지 연통하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연통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연통로는 외기 도입구(18g)를 통과하고, 이반한 공기 밸브 외연부(16e)와 단부(18h)와의 간극을 통해서, 공기용 연통구(15g)를 경유하며, 또한 수나사부(3d)와 암나사부(18c)의 사이에 형성되는 나선형 간극(또는 절결(3f)에 의한 간극)를 거쳐 통기구(3e)에 이르는 통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공기 밸브 본체부(16d)는 공기 밸브 외연부(16e)보다 얇아서 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이 감압 상태가 되면, 공기 밸브 외연부(16e)를 단부(18h)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이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판형상부(15h)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 밸브 외연부(16e)가 단부(18h)로부터 이반함에 있어서, 큰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덮개체(19)는 상술한 덮개체(9)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천벽(18a)의 위쪽에 위치하는 정벽(19a)과, 정벽(19a)에 일체로 연결하는 덮개체 외주벽(19b)을 구비하고 있다. 정벽(19a)의 하면에는, 주출 통(18e)의 내측에 삽입됨과 동시에 주출 통(18e)의 내면과 기밀하게 당접하는 실링 통(19c)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외주벽(19b)의 내주면에는, 클로부(18j)와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19d)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덮개 외주벽(19b)의 외주면에는, 캡 본체(18)의 외주벽(18b)에 일체로 연결하는 힌지부(19e)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덮개체(19)는 캡 본체(18)와 일체로 연결하는 것이지만, 캡 본체(18)와는 별도로 마련하여, 나사나 언더컷에 의해 캡 본체(18)에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시형태의 이중 용기에 있어서는, 외층체(3)의 몸통부를 압압함으로써 내부 공간(N)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충전 공간(S)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충전 공간(S)의 내용액은 주출 밸브 본체부(16f)를 상승시키면서, 내용액용 연통구(15b)로부터 연결편(16g) 주위의 간극을 통해서 기초부(16c)의 내측으로 흘러들어가고, 주출 통(18e)의 내부를 통해서 주출구(18d)로부터 주출된다. 여기서, 통기구(3e)와 외기 도입구(18g)를 잇는 상술한 연통로는 공기 밸브(16a)의 공기 밸브 외연부(16e)가 전체 둘레에 걸쳐 단부(18h)와 당접해서 비연통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의 공기가 외계로 누설될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형상부(15h)의 선단에 마련한 당접부(15j)에 의해서, 공기 밸브 외연부(16e)는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공기 밸브 외연부(16e)와 단부(18h)의 당접이 보다 확실해지며, 내부 공간(N)의 공기가 외계로 누설되는 불편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접부(15j)의 상면(규제부 당접면(15j1))과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하면(제1 당접면(16e1))은 곡면일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양방을 평탄면으로 할 경우, 양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당접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의 공기가 외계로 누설되는 불편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 벽(15c) 내의 이동 밸브(7)는 내용액을 주출시키도록 용기 본체(1)를 경도 자세로 변위시킨 상태에 있어서, 자체 무게나 통형상 벽(15c)의 아래쪽 측 개구로부터 유입되는 내용액에 의해서, 주출 밸브 본체부(16f) 측(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 후, 외층체(3)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여 몸통부가 복원하기 시작하면, 내부 공간(N)의 용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N)은 감압 상태가 된다. 이로써, 공기 밸브 본체부(16d)는 판형상부(15h)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아래쪽을 향해 휘기 때문에, 공기 밸브 외연부(16e)와 단부(18h)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겨, 외기 도입구(18g)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상술한 연통로를 통해서 내부 공간(N)으로 도입된다. 이로써, 내층체(2)를 감용 변형시킨 채로, 외층체(3)를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당접부(15j)의 상면(규제부 당접면(15j1))이 공기 밸브 외연부(16e)의 하면(제1 당접면(16e1))과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밸브(16a)의 진동이 억제되어 소리가 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당접부(15j)의 상면(규제부 당접면(15j1))과 공기 밸브 외연부(6e)의 하면(제1 당접면(16e1))은 모두 평탄면으로서, 양자는 안정적으로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밸브(16a)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 가능하기 때문에, 소리가 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한층 더 확실해진다.
또한, 외층체(3)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였을 때, 충전 공간(S)의 압력이 원상태로 돌아와 주출 밸브 본체부(16f)가 격벽(15a)의 상면에 착좌하기 때문에, 내용액용 연통구(15b)로부터 충전 공간(S)으로 외기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액의 주출을 끝내고 용기 본체(1)를 원래의 정립 자세로 변위시켰을 때, 이동 밸브(7)는 그 자신의 자체 무게나 충전 공간(S) 내의 압력 저하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통형상 벽(15c)의 위쪽 내측에는 이동 밸브(7)가 이동한 만큼의 스페이스가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분에 해당하는 만큼의 내용액을 주출 통(18e)으로부터 통형상 벽(15c) 내로 되돌릴 수 있고(석백 기능), 주출 통(18e)으로부터 액 뭉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로 이동한 이동 밸브(7)는 통형상 벽(15c)의 지름 축소한 하부에 착좌하기 때문에, 통형상 벽(15c)으로부터 충전 공간(S)으로 외기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설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생기는 효과를 예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가 상기 효과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돌기(5h)(규제부)는, 선단부에 하향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 거의 휘지 않는 것이지만, 두께를 얇게 하거나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서 연질재(예를 들면,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로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제2 당접면(6g)이 단부(8h)로부터 이반할 때에 아래쪽을 향해 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부(8h, 18h)를 마련하지 않고, 천벽(8a, 18a)의 하면에 제2 당접면(6g, 16e2)이 당접하도록 할 수 있다.
1 용기 본체
2 내층체
3 외층체
3a 입구부
3b 윗 부분
3c 아래 부분
3d 수나사부
3e 통기구
3f 절결
4 주출 캡
5 속마개
5a 격벽
5b 내용액용 연통구
5c 통형상 벽
5d 실링 벽
5e 환형 오목부
5f 외연벽
5g 연통 개구
5h 돌기(규제부)
5j 규제부 당접면
6 역지 밸브
6a 공기 밸브
6b 주출 밸브
6c 기초부
6d 공기 밸브 본체부
6e 공기 밸브 외연부
6f, 6f' 상부
6g, 6g' 제2 당접면
6h 외단부
6j 제1 당접면
6k 패인 곳
6m 주출 밸브 본체부
6n 연결편
7 이동 밸브
8 캡 본체
8a 천벽
8b 외주벽
8c 암나사부
8d 주출구
8e 주출 통
8f 환형 벽
8g 외기 도입구
8h 단부
8j 클로부
9 덮개체
9a 정벽
9b 덮개체 외주벽
9c 실링 통
9d 계합 볼록부
9e 힌지부
14 주출 캡
15 속마개
15a 격벽
15b 내용액용 연통구
15c 통형상 벽
15d 실링 벽
15e 환형 오목부
15f 환형 벽
15g 공기용 연통구
15h 판형상부(규제부)
15j 당접부(규제부)
15j1 규제부 당접면
16 역지 밸브
16a 공기 밸브
16b 주출 밸브
16c 기초부
16d 공기 밸브 본체부
16e 공기 밸브 외연부
16e1 제1 당접면
16e2 제2 당접면
16f 주출 밸브 본체부
16g 연결편
18 캡 본체
18a 천벽
18b 외주벽
18c 암나사부
18d 주출구
18e 주출 통
18f 환형 오목부
18g 외기 도입구
18h 단부
18j 클로부
19 덮개체
19a 정벽
19b 덮개체 외주벽
19c 실링 통
19d 계합 볼록부
19e 힌지부
D1 상형
D1a 오목부
D2 하형
D2a 돌기부
N 내부 공간
O 중심 축
S 충전 공간

Claims (9)

  1. 내용액을 수용하는 충전 공간을 갖는 내층체와, 해당 내층체와의 상호간에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함께 해당 내부 공간으로 통하는 통기구를 갖는 외층체를 구비하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어, 해당 외층체를 압압함으로써 해당 충전 공간의 내용액을 주출구로부터 주출시키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으로서,
    상기 통기구를 덮어서 상기 외층체에 장착되어, 상기 주출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통기구로 통하는 외기 도입구를 갖는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의 이면에 대해서 당접 및 이반 가능하여,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외기 도입구를 향한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 한편, 해당 외기 도입구로부터 해당 통기구를 향한 공기 유통은 허용하는 공기 밸브와,
    상기 공기 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캡 본체의 이면과 대향해서 마련되어, 해당 공기 밸브의 일부와 당접해서 해당 캡 본체의 이면으로부터의 해당 공기 밸브의 이반을 제한하는 규제부를 갖는 속마개를 구비하며,
    상기 공기 밸브에서 상기 규제부가 당접하는 제1 당접면은 평탄면인, 이중 용기용 주출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는, 통형상을 이루는 기초부와, 도너츠 판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탄성 변형 가능하며 내연이 해당 기초부에 고정 지지되는 공기 밸브 본체부와, 해당 공기 밸브 본체부의 외연 측에 마련되어, 상기 규제부와 대향하는 측에 상기 제1 당접면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캡 본체의 이면과 대향하는 측에 해당 캡 본체의 이면과 당접하는 제2 당접면을 갖는 공기 밸브 외연부를 구비하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 본체부는, 상기 공기 밸브 외연부보다 얇은, 이중 용기용 주출 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근원부가 상기 속마개에 연결됨과 동시에 선단부가 상기 제1 당접면과 당접하는 돌기인, 이중 용기용 주출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는, 상기 공기 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캡 본체의 이면과 대향해서 마련되어, 상기 충전 공간과 상기 주출구를 통과시키는 내용액용 연통구를 갖는 격벽과, 해당 격벽으로부터 기립하는 환형 벽과, 해당 격벽 및 해당 환형 벽의 적어도 한쪽을 관통하여 상기 외기 도입구와 상기 통기구를 통과시키는 공기용 연통구와, 상기 환형 벽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 밸브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해당 공기 밸브의 외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부는, 해당 판형상부의 선단에 마련되어 해당 공기 밸브의 하면과 당접하는 당접부를 가지며,
    상기 규제부를, 상기 판형상부와 상기 당접부로 구성한, 이중 용기용 주출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는, 상기 당접부보다 얇은, 이중 용기용 주출 캡.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용 연통구는, 적어도 상기 환형 벽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판형상부의 하면은, 상기 공기용 연통구를 구획하는 상기 환형 벽의 하면과 가지런한 위치에 있는, 이중 용기용 주출 캡.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당접면 및 상기 규제부가 해당 제1 당접면과 당접하는 규제부 당접면은 모두 평탄면인, 이중 용기용 주출 캡.
  9. 상기 용기 본체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중 용기용 주출 캡으로 구성되는 이중 용기.
KR1020217042393A 2019-06-28 2020-06-26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 KR20220027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0735 2019-06-28
JP2019120735A JP7291556B2 (ja) 2019-06-28 2019-06-28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19140360A JP7181844B2 (ja) 2019-07-30 2019-07-30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JP-P-2019-140360 2019-07-30
PCT/JP2020/025388 WO2020262672A1 (ja) 2019-06-28 2020-06-26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7866A true KR20220027866A (ko) 2022-03-08

Family

ID=7406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2393A KR20220027866A (ko) 2019-06-28 2020-06-26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7427B2 (ko)
EP (1) EP3992107A4 (ko)
KR (1) KR20220027866A (ko)
CN (1) CN114007949B (ko)
WO (1) WO2020262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62672A1 (ja) * 2019-06-28 2020-12-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422356B2 (ja) 2020-01-31 2024-01-26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932A (ja) 2009-07-31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計量注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1295B1 (en) * 2005-01-18 2005-10-04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Flow control element and dispensing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JP5938289B2 (ja) * 2012-07-26 2016-06-22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JP6200639B2 (ja) * 2012-09-28 2017-09-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AU2014300355B2 (en) * 2013-06-28 2016-12-15 Yoshino Kogyosho Co., Ltd. Double-walled container
JP6203633B2 (ja) * 2013-12-27 2017-09-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479502B2 (ja) * 2015-02-27 2019-03-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JP6450243B2 (ja) * 2015-03-31 2019-01-09 キッコーマン株式会社 吐出容器
JP6632898B2 (ja) * 2016-01-29 2020-01-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716341B2 (ja) * 2016-05-31 2020-07-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752512B2 (ja) * 2016-07-28 2020-09-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942568B2 (ja) * 2016-08-30 2021-09-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775370B2 (ja) * 2016-09-30 2020-10-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762669B2 (ja) 2016-09-30 2020-09-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6840012B2 (ja) * 2016-09-30 2021-03-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7094083B2 (ja) * 2017-06-28 2022-07-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WO2020262672A1 (ja) * 2019-06-28 2020-12-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ES2952019T3 (es) * 2020-05-25 2023-10-26 Serve Sterile Pc Producto con una bebida sin alcohol y método para conservar dicha bebi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1932A (ja) 2009-07-31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計量注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58931A1 (en) 2022-08-18
CN114007949B (zh) 2023-08-29
EP3992107A4 (en) 2023-08-02
US11807427B2 (en) 2023-11-07
CN114007949A (zh) 2022-02-01
WO2020262672A1 (ja) 2020-12-30
EP3992107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3199A (ko) 토출 용기
KR20220027866A (ko) 이중 용기용 주출 캡 및 이중 용기
US11377266B2 (en) Valve for a dispensing container
JP6840012B2 (ja) 二重容器
JP6775370B2 (ja) 二重容器
JP7264723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942568B2 (ja) 二重容器
JP6794251B2 (ja) 二重容器
JP73651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636853B2 (ja) 二重容器
JP71818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29155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292788B2 (ja) 倒立二重容器
JP6839988B2 (ja) 二重容器
JP7082483B2 (ja) 二重容器
JP20240153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7265416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18140830A (ja) 注出キャップ及び注出容器
JP703199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22171144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6764773B2 (ja) 塗布具
JP7195043B2 (ja) 外ケース付き二重容器
JP2023111623A (ja) 吐出ポンプ及びポンプ付き容器
JP6559089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17154767A (ja) 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