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4700A - 그립 공구 - Google Patents

그립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4700A
KR20220024700A KR1020227001804A KR20227001804A KR20220024700A KR 20220024700 A KR20220024700 A KR 20220024700A KR 1020227001804 A KR1020227001804 A KR 1020227001804A KR 20227001804 A KR20227001804 A KR 20227001804A KR 20220024700 A KR20220024700 A KR 20220024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cam
link
link member
u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1837B1 (ko
Inventor
준스케 타카다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2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Manipulator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Turn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와이어 그리퍼(1)로 링크판(7)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대향하도록 링크판(7)에 설치되고, 링크판(7)의 회전에 의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 대하여 근접 떠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와이어 그리퍼(1)는 캠판(43)과 편심축(53)을 구비한다. 캠판(43)은, 조작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링크판(7)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링크판(7)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 가능하다. 편심축(53)은, 가압 부재가 링크판(7)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에 따라 링크판(7)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추가로 가압할 수 있다. 링크판(7)에 직접 접촉하여 누르는 스토퍼 부재(73)가 편심축(53)의 동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진출하는 스트로크는, 캠판(43)의 회전에 의해 진출하는 스트로크보다도 작다.

Description

그립 공구
본 발명은 그립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상체를 그립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이 선상체에 부착되는 그립 공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종류의 그립 공구로서의 와이어 그리퍼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의 와이어 그리퍼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가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 그리퍼 본체와, 작동부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를 구비한다. 작동부는 와이어 그리퍼 본체에 일단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는, 작동부의 일방으로의 회동에 의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와의 사이에서 선상체를 그립 지지한다. 그리고, 와이어 그리퍼는 이러한 선상체의 그립 지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부의 다른 쪽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작동 규제부를 더 구비한다. 작동 규제부는, 규제의 실행 시,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 및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의 부착면측으로 진퇴 이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진출 이동 조작에 의해 선단을 작동부에 접촉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2004-242477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 작동 규제부는, 작동부의 회동면 내에서 진퇴 이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나사축을 가지며, 나사축의 진출 이동 조작에 의해 나사축 선단이 상기 작동부에 접촉하여 작동부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규제부를 사용하여 작동부의 회전 규제를 행할 때에는, 나사축의 회전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와이어 그리퍼를 선상체에 부착하는 작업을 행할 때, 나사축을 회전 조작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워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링크 부재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는 그립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이하의 구성의 그립 공구가 제공된다. 즉, 이 그립 공구는 본체부와, 링크 부재와, 고정측 그리핑부와 가동측 그리핑부를 구비한다.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 그리핑부는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그립 공구는,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와 상기 가동측 그리핑부에 의해, 선상체를 그립하여 유지한다. 상기 그립 공구는 제1 가압 부재와 제2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조작에 따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그리핑부를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고 있 상태에서, 조작에 따라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더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링크 부재에 직접 접촉하여 링크 부재를 누르는 부재가 제2 가압 부재의 동작에 의해 추가로 진출하는 스트로크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회전 또는 슬라이드에 의해 진출하는 스트로크보다 작다.
이에 따라, 와이어 그리퍼가 선상체에 설치될 때, 이 와이어 그리퍼가 선상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규제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링크 부재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먼저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링크 부재를 신속하게 가압하고, 이어서 제2 가압 부재에 의해 링크 부재를 짧은 스트로크로(강력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규제를 단시간에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그립 공구는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편심 캠이다.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편심 캠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압 캠이다. 상기 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 캠이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조작부를 추가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하는 편심 캠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가압 캠이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더 가압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를 회전시키는 원 액션에 의해, 2개의 가압 부재에 의한 링크 부재의 회전 규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그립 공구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가압 캠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가압 캠이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압 반력이 소정의 크기를 상회하면 당해 유지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제1 가압 부재(가압 캠)의 회전에 의한 가압과, 제2 가압 부재에 의한 추가적인 가압을,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중간 부재를 통해 상기 링크 부재를 간접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맞물림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와이어 그리퍼에 적용하기 쉬운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압에 수반하여, 규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제1 가압 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맞물림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
이에 따라, 부품 갯수가 적은 단순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가압에 수반하여, 규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제1 가압 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상기 그립 공구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그립 공구는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한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상기 링크 부재에 근접하는 방향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의 직선적인 이동에 의해,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링크 부재를 신속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의 사시도.
도 2는 와이어 그리퍼에서의 규제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선상체와 수직인 수평 방향에서 와이어 그리퍼를 본 도면.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연결 부재를 잡아 당겨 선상체를 그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회전시키고, 캠판에 의해 스토퍼 부재를 통해 링크판을 누르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회전시키고, 캠판이 스토퍼 부재를 강력하게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를 선상체와 수직인 수평 방향에서 본 도면.
도 9는 도 8의 일부 확대도.
도 10은 와이어 그리퍼에서 규제부에 의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 확대 정면도.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와이어 그리퍼(1)에서의 규제부(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선상체(3)와 수직인 수평 방향에서 와이어 그리퍼(1)를 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와이어 그리퍼(그립 공구)(1)는, 선상체(전선, 와이어 등)(3)를 그립할 수 있는 공구이다. 와이어 그리퍼(1)는, 예를 들어 선상체(3)에 관한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선상체(3)를 당기는 장치(장선 장치)에 적용된다. 이 장치의 사용 시에, 와이어 그리퍼(1)는 선상체(3)를 그립하여 당해 선상체(3)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전선 공사에 있어서, 선상체(3)로서의 전선은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 있고, 와이어 그리퍼(1)는, 이 선상체(3)를 상하 방향에서 끼워 넣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선상체(3)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하고,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 수직인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는 수가 있다. 단, 이 호칭은 편의적인 것이며, 각 부재의 위치 관계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도 1 내지 도 3 등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1)는, 본체부(5)와, 링크판(링크 부재)(7)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고정측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가동측 그리핑부)(11)와, 규제부(13)를 구비한다.
본체부(5)는 와이어 그리퍼(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부착되는 베이스가 되는 부재이다. 본체부(5)에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의 하면에는, 선상체(3)의 상부를 수용 가능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1 홈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홈부(25)는 하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에는 링크판(7)이 제1 축선(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링크판(7)은 삼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크판(7)에 있어서, 제1 축선(21)에 대하여 전후 방향 일측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는,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가, 제2 축선(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의 상면에는, 선상체(3)의 하부를 수용 가능한,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제2 홈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29)는 상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는, 제2 홈부(29)의 개방 부분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의 제1 홈부(25)의 개방 부분과 상하 방향에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링크판(7)에 있어서, 제1 축선(21)에 대하여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가늘고 길게 형성된 연결 부재(17)가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17)의 길이 방향 일단부가 링크판(7)의 하단부에 제3 축선(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17)는 그 길이 방향을 대체로 전후 방향을 행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5)에는 연결 부재(17)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서 제1 축선(21)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로부터 전후 방향에서 제1 축선(21)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그리고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에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7)는 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당해 삽입 구멍의 안내에 따라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연결 부재(17)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링크판(7)이 제1 축선(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링크판(7)에 연결되는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가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 대하여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가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 대하여 근접하도록 이동함으로써,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에 의해 선상체(3)를 그립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링크판(7)의 회전 방향 중,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 가깝게 하는 방향을 "그립 방향"이라 하고, 반대 방향을 "이탈 방향"이라고 하는 수가 있다. 도 3에 있어서, 그립 방향은 반시계 방향이고, 이탈 방향은 시계 방향이다.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끼워진 공간을 생각했을 경우에, 이 공간의 좌우 방향 일측은, 본체부(5)에 의해 막혀 있다. 또한, 당해 공간의 좌우 방향 반대측은, 선상체(3)를 출입하기 위한 개방부로 되어 있다.
이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31)가 본체부(5)에 부착되어 있다. 커버(31)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33)은 볼트의 축부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커버(31)에는 제1 조작 구멍(35)과 가이드 구멍(37)이 각각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 구멍(35)에는 공구 등을 삽입할 수 있다. 가이드 구멍(37)은 원호상의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37)에는 본체부(5)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39)가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부재(39)는 볼트의 축부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가이드 구멍(37) 및 가이드 부재(39)는 커버(31)의 회전 가능한 각도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서,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의 상태에서 제1 조작 구멍(35)에 공구 등을 삽입하고, 커버(31)를 하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커버(31)를 하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와의 사이에 선상체(3)가 들어 있는 경우에, 이 선상체(3)를 커버(31)로 덮을 수 있다.
본체부(5)에는 지지 플레이트(지지 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9)는, 본체부(5)에서 제1 축선(21)의 근방의 위치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9)는, 본체부(5)와의 접속 개소로부터, 링크판(7)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또한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13)는 지지 플레이트(19)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13)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에 의해 선상체(3)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당해 클램프의 느슨함을 방지한다. 도 1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13)는, 링크판(7)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에서 연결 부재(17)와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홈 부재(51)와, 편심축(제2 가압 부재)(53), 캠판(제1 가압 부재)(43)과, 스토퍼 부재(중간 부재)(73)와 조작 레버(55)를 구비한다.
안내 홈 부재(51)는 지지 플레이트(19)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에는, 도면에서 생략한 체결 부재(예를 들어 볼트)가 사용된다. 안내 홈 부재(51)에는, 후술하는 스토퍼 부재(73)의 슬라이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상의 슬라이드 홈(87)이 형성되어 있다.
편심축(53)은 지지 플레이트(19)에 부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편심축(53)은 작은 직경의 제1 축부(61)와 큰 직경의 제2 축부(62)를 갖는다. 제1축부(61)와 제2 축부(62)는, 그 축 방향 일단부끼리가 결합되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부(61)와 제2 축부(62)는 서로 평행하지만, 그 축심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9) 및 안내 홈 부재(51)에는, 지지 구멍(67, 68)이 각각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부(61)는 이 지지 구멍(67, 6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축부(61)는 나사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69)에 제1 축부(61)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편심축(53)을 지지 플레이트(19) 및 안내 홈 부재(51)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축(53)을 부착한 상태에서, 제2 축부(62)는 안내 홈 부재(51)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1 축부(61)의 축선 및 제2 축부(62)의 축선은 모두 링크판(7)의 회전 중심인 제1 축선(21)과 평행하다.
캠판(43)은 베이스부(75)와 캠부(7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75)와 캠부(77)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75)에는 관통 형상의 축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축 구멍에 편심축(53)의 제2 축부(62)를 삽입함으로써, 베이스부(7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캠판(43)은 제2 축부(6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캠부(77)는 판 형상의 캠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캠부(77)는 편심 캠으로서 구성되고, 이 외주부는, 각도(도 3에서의 반시계 방향을 정으로 한다)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부(77)의 외주부에는, 후술하는 스토퍼 부재(73)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이 구성에서, 캠판(4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수반하여, 캠부(77)의 외주부가 스토퍼 부재(73)에 접촉하고,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토퍼 부재(73)를 누를 수 있다.
캠부(77)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1 갈고리부(8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갈고리부(81)는 스토퍼 부재(73)에 형성된 제2 갈고리부(82)에 맞물릴 수 있다.
스토퍼 부재(73)는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링크판(7)의 에지부(피접촉부)(41)와 직접 접촉하는 부재이다. 스토퍼 부재(73)는 캠부(77)의 외주부와 링크판(7)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스토퍼 부재(7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늘고 길게 형성된 판 형상 부재인 슬라이드 베이스(85)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베이스(85)는, 안내 홈 부재(51)에 형성된 전술한 슬라이드 홈(87)에 끼워지고, 슬라이드 홈(87)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스토퍼 부재(73)는, 슬라이드 베이스(85)가 슬라이드 홈(87)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대하여 진출/퇴피할 수 있다.
스토퍼 부재(73)에는 복수개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제2 갈고리부(8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갈고리부(82)와 캠판(43)의 제1 갈고리부(81)에 의해 양자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맞물림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캠판(43)의 베이스부(75)에는 돌기부(8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89)에는 회전 규제 부재로서의 규제 핀(90)이 고정되어 있다. 이 규제 핀(90)이 안내 홈 부재(51)의 적절한 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캠판(43)의 회전 스트로크의 일측이 규제된다.
조작 레버(55)는 가늘고 긴 판 형상 부재이다. 조작 레버(55)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보스부(91)가 형성되고, 이 보스부(91)에는 축 구멍이 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 구멍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축(53)의 제2 축부(62)에 형성된 플랜지부(63)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방법으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입으로 되어 있지만, 키 결합 등의 다른 적절한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조작 레버(55)의 길이 방향 타단부에는 공구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제2 조작 구멍(97)이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1)의 사용자는, 제2 조작 구멍(97)에 삽입된 공구 등을 이용하여, 조작 레버(55)를 편심축(5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조작 레버(55)의 보스부(91)는 캠판(43)의 베이스부(75)와 축 방향에서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55)의 보스부(91)에는, 한 쌍(2개)의 볼 플런저(유지부)(93)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43)의 베이스부(75)에 있어서, 각각의 볼 플런저(93)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84)에는 볼 플런저(93)에서 스프링력으로 가압되는 도면을 생략한 스틸 볼이 끼워 넣어질 수 있다.
이 구성에서, 편심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조작 레버(55)를 도 4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가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하에서는, 조작 레버(55) 및 캠판(43)의 회전 방향에 관하여 도 4의 시계 방향을 "규제 방향"이라고 하고, 반시계 방향을 "규제 해제 방향"이라고 하는 수가 있다.
조작 레버(55)를 규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는 회전 스트로크의 초기에는, 조작 레버(55)는 캠판(4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볼 플런저(9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캠판(43)은 조작 레버(55)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한다. 스토퍼 부재(73)는 회전하는 캠판(43)의 캠부(77)에 의해 가압되어 링크판(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결국, 스토퍼 부재(73)는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캠부(77)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갈고리부(81)는 톱니파의 신호 파형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73)가 캠부(77)와 접촉한 상태에서 캠판(43)이 규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에는, 제1 갈고리부(81)가 제2 갈고리부(82)에 대하여 그다지 걸리지 않지만, 캠판(43)이 규제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때에는, 제1 갈고리부(81)는 제2 갈고리부(82)에 대하여 강하게 걸린다. 이 갈고리부에 의한 원웨이 클러치성에 의해, 캠판(43)이 갑자기 규제 해제 측으로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55)는 편심축(5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55)와 일체적으로 편심축(53)이 (제1 축부(61)를 중심으로)회전하므로, 조작 레버(55)의 지지축인 제2 축부(62)의 위치가 작은 원호를 그리도록 변화한다. 따라서, 캠판(43)은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5의 상태가 될 때까지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회전 중심을, 편심축(53)의 편심량을 반경으로 하는 작은 원호상의 궤적을 그리도록 동시에 이동시키고 있다.
도 5에는 캠판(43)이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링크판(7)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캠판(43)이 링크판(7)을 누르는 반작용으로서, 캠판(43)에는 가압 반력이 작용한다. 이 가압 반력은, 캠부(77)에 의한 가압력이 증대하는(바꾸어 말하면, 캠판(43)이 규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증대한다. 가압 반력이 소정의 크기를 상회하면, 볼 플런저(93)의 스틸 볼이 캠판(43)의 오목부(84)로부터 빠지므로, 캠판(43)에 대한 조작 레버(55)의 결합이 해제된다. 결합이 해제되는 조작 레버(55)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지만, 이번 설명에서는 조작 레버(55)가 도 5에 도시되는 제2 조작 위치 P2가 된 시점에서 볼 플런저(93)에 의한 유지가 해제된 것으로 한다. 그 후, 캠판(43)은 규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고, 조작 레버(55)만이 단독으로 규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조작 레버(55)가 제2 조작 위치 P2를 넘어 조작되고, 캠판(43)에 대하여 조작 레버(55)가 유지되지 않게 된 후에도, 편심축(53)의 제2 축부(62)의 위치는 조작 레버(55)의 회전에 따라 계속 변화한다. 베이스부(75)와 스토퍼 부재(73)와의 사이에서 캠부(77)가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2 축부(62)의 축심의 변화에 의해 캠부(77)가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스토퍼 부재(73)를 더 가압한다. 도 5에는, 이 가압에 수반하여 캠판(43)이 작게 이동한 후의 위치를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제2 축부(62)는 실질적으로 캠(편심 캠)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조작 레버(55)의 길이에 대하여 편심량이 충분히 작으므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이 때의 가압력은 매우 강력하다.
이 때의 큰 가압력/가압 반력에 의해, 제1 갈고리부(81)와 제2 갈고리부(82)가 기계적으로 강하게 결합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스토퍼 부재(73)에 다소의 진동이 가해진 경우에도 갈고리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으므로, 캠판(43)이 규제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규제부(13)는, 링크판(7)의 제1 축선(21) 주위의 회전에 대하여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동작은 캠판(43)의 회전에 의한 캠 작용으로 스토퍼 부재(73)를 압출하고, 스토퍼 부재(73)를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제2 동작은 제1 동작이 수행된 상태에서 편심축(53)의 캠 작용에 의해 캠판(43) 및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에지부(41)를 강력하게 가압한다.
여기에서, 링크판(7)에 직접 접촉하여 링크판(7)을 누르는 부재인 스토퍼 부재(73)에 착안한다. 제2 동작(편심축(53)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토퍼 부재(73)가 추가적으로 진출하는 스트로크(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까지의 스트로크)는, 그 때까지의 제1 동작(캠판(43)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 부재(73)가 진출하는 스트로크(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까지의 스트로크)보다 작아져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동작과 제2 동작에서, 조작 레버(55)의 단위 조작 각도당 스토퍼 부재(73)가 진출하는 스트로크가 다르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와이어 그리퍼(1)를 선상체(3)에 부착하는 작업과 제거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규제부(13)의 조작 레버(55)를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도 3에 도시한 제1 조작 위치(P1) 부근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13)가 기능하지 않고, 이탈 방향의 링크판(7)의 회전이 허용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상태로 만든다.
이어서, 와이어 그리퍼(1)를 선상체(3)의 소정 부위로 운반하고,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와의 사이에 선상체(3)를 통과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의 제1 홈부(25)에 선상체(3)의 상부를 수용하여, 와이어 그리퍼(1)를 선상체(3)의 소정 부위에 매단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31)의 제1 조작 구멍(35)에 공구 등을 삽입하고, 커버(31)를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커버(31)가 회전하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와의 사이의 개방 부분에 커버(31)가 덮인다. 이에 따라,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연결 부재(17)에, 도 3에 도시된 백색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 그리퍼(1)가 장선 장치에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17)에 형성된 연결 구멍(99)이 장선 장치에 연결된다. 장선 장치가 조작되면, 연결 부재(17)의 연결 구멍(99)에 흰색 화살표 방향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17)가 당겨지면, 당해 연결 부재(17)에 연결된 링크판(7)이, 그립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링크판(7)의 회전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상체(3)가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에 의해 끼워진다.
연결 부재(17)를 잡아 당기는 힘이 손실되지 않는 한,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에 의해 그립하여 유지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 결과, 선상체(3)에 대한 와이어 그리퍼(1)의 기계적 고정이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7)가 도 3의 흰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가 유지된 것이라면,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상술한 인장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상태가 생기면, 링크판(7)이 이탈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로부터 예기치 않게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링크판(7)의 이탈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부(13)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13)의 조작 레버(55)를, 도 4의 제1 조작 위치 P1로부터 규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처음에는 캠판(43)과 조작 레버(55)가 볼 플런저(93)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작 레버(55)의 회전에 따라 캠판(43)가 편심축(53)의 제2 축부(6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이것과 동시에, 제2 축부(62)의 위치도 조작 레버(55)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스토퍼 부재(73)는, 캠부(77)에 밀려 슬라이드하여, 결국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접촉하여 가압한다. 이에 따라, 링크판(7)의 이탈 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제1 갈고리부(81)가 제2 갈고리부(82)와 계합하므로, 스토퍼 부재(73)에 대한 캠판(43)의 회전 위치가 유지된다.
조작 레버(55)의 조작 위치가 적절한 위치(예를 들어, 도 5의 제2 조작 위치 P2 부근)가 되면, 볼 플런저(93)의 유지력을 상술한 가압 반력이 상회하므로, 볼 플런저(93)에 의한 조작 레버(55)와 캠판(43)과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조작 레버(55)는 단독으로 회전한다. 조작 레버(55)의 회전에 따라 제2 축부(62)의 위치가 계속 이동하므로, 캠판(43)의 캠부(77)는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링크판(7)의 에지부(41)를 강력하게 가압한다. 도 5에는, 제2 축부(62)의 이동에 수반하여 캠판(43)이 이동한 후의 위치를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이 가압의 결과, 제1 갈고리부(81)와 제2 갈고리부(82)와의 기계적인 결합이 견고해지므로, 캠판(43)이 규제 해제 방향으로 예기치 않게 회전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조작 레버(55)의 회전은, 당해 조작 레버(55)가 단독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나서 규제 방향으로 더욱 충분한 각도만큼 회전시킨 위치(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제3 조작 위치 P3)에서 정지시키면 된다. 이상으로, 규제를 위한 조작이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는,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와이어 그리퍼(1)를 선상체(3)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의 작업은 상기 절차를 역으로 행하면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3 조작 위치 P3으로부터 규제 해제 방향으로 조작 레버(55)를 회전시켜 가면, 예를 들어 제2 조작 위치 P2 부근에서, 볼 플런저(93)에 의해 조작 레버(55)에 대하여 캠판(43)이 결합되고, 그 후는 캠판(43)이 조작 레버(55)에 대해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부재(73)를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어느 정도의 힘으로 가압하는 제1 동작, 및, 캠판(43) 및 스토퍼 부재(73)에 의해 에지부(41)를 강력하게 가압하여 로크하는 제2 동작을 조작 레버(55)를 회전시키는 원 액션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의 용이화를 실현할 수 있다.
와이어 그리퍼(1)의 구성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 부재(73)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돌기(41x)를 링크판(7)에 형성하고, 이 돌기(41x)에 캠부(77)가 직접 접촉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캠판(43)이 링크판(7)에 직접 접촉하여 당해 링크판(7)를 누르는 부재가 된다. 제2 갈고리부(82)는 당해 돌기(41x)에 형성된다. 돌기(41x)는 링크판(7)의 에지부(41)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는 본체부(5)와, 링크판(7)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를 구비한다. 링크판(7)은 본체부(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는 본체부(5)에 설치된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는,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대향하도록 링크판(7)에 설치된다.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는, 링크판(7)의 회전에 의해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에 대해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와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에 의해, 선상체(3)를 그립하여 유지한다. 와이어 그리퍼(1)는 캠판(43)과, 편심축(53)을 구비한다. 캠판(43)은, 조작 레버(55)의 조작에 따라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11)를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링크판(7)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링크판(7)을 간접적으로(즉,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편심축(53)은, 캠판(43)이 링크판(7)을 상기와 같이 간접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 레버(55)의 조작에 따라, 링크판(7)을 간접적으로 추가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 부재(73)(즉, 링크판(7)에 직접 접촉하여 당해 링크판(7)을 누르는 부재)이 편심축(53)의 동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진출하는 스트로크는, 캠판(43)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 부재(73)가 진출하는 스트로크보다 크다.
이에 따라,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에 부착될 때, 이 와이어 그리퍼(1)가 선상체(3)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규제부(13)의 간단한 조작으로 링크판(7)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우선 캠판(43)에 의해 링크판(7)을 신속하게 가압하고, 이어서 편심축(53)에 의해 링크판(7)을 짧은 스트로크로(강력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의 규제를 단시간에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는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55)를 구비한다. 편심축(53)은 편심 캠으로서 기능한다. 캠판(43)은 편심축(5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압 캠이다. 조작 레버(5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캠판(43)이 조작 레버(55)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링크판(7)를 간접적으로(즉,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가압한다. 조작 레버(55)를 추가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하는 편심축(53)에 의해 이동하는 캠판(43)이 링크판(7)을 간접적으로 추가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55)를 회전시키는 원 액션에 의해, 캠판(43) 및 편심축(53)에 의한 링크판(7)의 회전 규제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는 조작 레버(55)가 캠판(43)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볼 플런저(93)를 구비한다. 볼 플런저(93)는 캠판(43)이 링크판(7)을 간접적으로(즉, 스토퍼 부재(73)를 통하여) 가압하는 것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가압 반력이 소정의 크기를 상회하면 유지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캠판(43)의 회전에 의한 가압과, 편심축(53)에 의한 추가적인 가압을,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에서, 캠판(43)은 스토퍼 부재(73)를 통해 링크판(7)를 간접적으로 가압한다. 스토퍼 부재(73)와 캠판(43)과의 사이에, 캠판(43)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스토퍼 부재(73)와 캠판(43)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제1 갈고리부(81)와 제2 갈고리부(82)로 이루어지는 맞물림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링크판(7)을 복잡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 구성의 와이어 그리퍼(1)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압에 수반하여, 규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캠판(43)이 움직이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판(43)이 링크판(7)을 직접적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판(7)과 캠판(43)과의 사이에 캠판(43)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링크판(7)과 캠판(43)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제1 갈고리부(81)와 제2 갈고리부(82)로 이루어지는 맞물림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부품 수가 적은 간단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도, 가압에 수반하여, 규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캠판(43)이 움직이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로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와이어 그리퍼(1x)를 선상체(3)와 수직인 수평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x)는 링크판(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구성에 관해서 제1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1x)의 규제부(13)는, 베이스 부재(101)와, 원웨이 클러치(103)와, 가압편(제1 가압 부재)(105)과, 나사축(제2 가압 부재)(107)과 조작 손잡이(109)를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101)는 공지된 슬라이딩 기구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19)에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1)는 본체부(5)에 대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스토퍼 부재(73)의 슬라이딩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1)에는 가압편(제1 가압 부재)(105)이 배치되어 있다. 가압편(105)은 링크판(7)의 에지부(41)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가압편(105)은 베이스 부재(101)에 대하여 비틀림된 나사축(107)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나사축(107)은, 그 축 방향이 베이스 부재(101)의 슬라이드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압편(105)에는 스프링(106)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편(105)에 의한 링크판(7)으로의 가압을 안정시킬 수 있다.
나사축(107)의 단부에는, 조작 손잡이(109)가 고정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109)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가압편(105)을 나사 이송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기구의 부분에는 원웨이 클러치(103)가 배치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103)는 가압편(105)이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가압편(105)이 에지부(41)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링크판(7)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베이스 부재(101)를 아래에서 누름으로써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베이스 부재(101) 대신에 조작 손잡이(109)를 아래에서 눌러도 좋다. 그 결과, 가압편(105)이 링크판(7)의 에지부(41)에 접촉하여 약한 힘으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베이스 부재(101)의 부분에 원웨이 클러치(10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가압편(105)이 링크판(7)을 가압하는 것에 수반하는 가압 반력이 가압편(105)에 가해져도 베이스 부재(101)가 복귀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조작 손잡이(109)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압편(105)이 나사 이송된다. 그 결과, 가압편(105)이 링크판(7)의 에지부(41)를 강력하게 가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판(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가압편(105)의 이동 스트로크의 대부분은, 베이스 부재(10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압편(105)의 이동 스트로크의 전부를 나사 이송에 의해 행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조작 손잡이(109)의 회전량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작업을 단시간에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원웨이 클러치(103)는, 소정의 조작에 의해, 가압편(105)이 에지부(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링크판(7)의 이탈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웨이 클러치(103)를 상기의 상태로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와이어 그리퍼(그립 공구)(1x)에 있어서, 가압편(105)은, 본체부(5)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101)에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1x)는 원웨이 클러치(103)를 구비한다. 원웨이 클러치(103)는, 가압편(105)이 링크판(7)에 접근하는 방향의 베이스 부재(101)의 이동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101)의 직선적인 이동에 의해, 가압편(105)에 의해 링크판(7)을 신속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볼 플런저(93)의 수는 2개로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할 수가 있다.
조작 레버(55)(또는 편심축(53))의 회전 위치를 알기 쉽게 나타내는 마크가, 예를 들어 편심축(53)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슬라이드 홈(87)은 안내 홈 부재(51) 대신에 지지 플레이트(19)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안내 홈 부재(51)는 생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 가압편(105)의 진출을 원웨이 클러치(103) 및 나사축(107)의 조합 대신에, 예를 들어 원웨이 클러치(103)와 캠의 조합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9)는, 본체부(5)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대신에, 본체부(5)와는 다른 부품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선상체(3)는, 전선 및 와이어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긴 형상의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교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이 많은 변경 및 변형을 취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1,1x 와이어 그리퍼(그립 공구)
3 선상체
5 본체부
7 링크판(링크 부재)
9 고정측 와이어 그리핑부(고정측 그리핑부)
11 가동측 와이어 그리핑부(가동측 그리핑부)
43 캠판(제1 가압 부재, 가압 캠)
53 편심축(제2 가압 부재, 편심 캠)
55 조작 레버(조작부)
73 스토퍼 부재(중간 부재)
93 볼 플런저(유지부)
101 베이스 부재
103 원웨이 클러치
105 가압편(제1 가압 부재)
107 나사축(제2 가압 부재)
109 조작 손잡이(조작부)

Claims (6)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고정측 그리핑부와,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측 그리핑부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와 상기 가동측 그리핑부에 의해, 선상체를 그립하여 유지하는 그립 공구로서,
    조작에 따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가동측 그리핑부를 상기 고정측 그리핑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의 상기 링크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제1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에 따라,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추가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제2 가압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부재에 직접 접촉하여 당해 링크 부재를 누르는 부재가, 상기 제2 가압 부재의 동작에 의해 추가적으로 진출하는 스트로크는,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회전 또는 슬라이드에 의해 진출하는 스트로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조작 가능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편심 캠이며,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편심 캠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압 캠이며,
    상기 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 캠이 상기 조작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조작부를 추가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회전하는 상기 편심 캠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가압 캠이,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추가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가압 캠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가압 캠이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가압하는 것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가압 반력이 소정의 크기를 상회하면, 당해 유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중간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간접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맞물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링크 부재를 직접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제1 가압 부재를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맞물림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 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어 있고,
    원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1 가압 부재가 상기 링크 부재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고, 반대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 공구.
KR1020227001804A 2019-06-27 2020-06-26 그립 공구 KR102671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19214 2019-06-27
JPJP-P-2019-119214 2019-06-27
PCT/JP2020/025195 WO2020262604A1 (ja) 2019-06-27 2020-06-26 掴み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4700A true KR20220024700A (ko) 2022-03-03
KR102671837B1 KR102671837B1 (ko) 2024-06-03

Family

ID=7406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1804A KR102671837B1 (ko) 2019-06-27 2020-06-26 그립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2083653B2 (ko)
EP (1) EP3993195A4 (ko)
JP (1) JP7138245B2 (ko)
KR (1) KR102671837B1 (ko)
CN (1) CN114007814B (ko)
AU (1) AU2020307108B2 (ko)
TW (1) TWI839538B (ko)
WO (1) WO2020262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8797A (ja) * 2021-02-03 2022-08-16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CN113555815B (zh) * 2021-06-15 2023-01-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户外高压引线固定装置
CN114784734B (zh) * 2022-05-20 2024-07-0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贵阳局 一种架空输电线路用防脱型耐张线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477A (ja) 2003-02-10 2004-08-2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JP3180307U (ja) * 2012-09-28 2012-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KR20180100739A (ko) * 2016-01-06 2018-09-12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와이어 그리퍼
KR20180103196A (ko) * 2016-01-06 2018-09-19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와이어 그리퍼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2625A (en) * 1933-08-15 1934-01-09 Crescent Tool Company Wire grip
US2985933A (en) * 1959-06-04 1961-05-30 Crescent Niagara Corp Wire grip
US5156508A (en) * 1989-12-27 1992-10-20 Grisley Kenneth M Cam action clamp
JP3180307B2 (ja) 1994-04-28 2001-06-25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DE29614503U1 (de) * 1996-08-21 1996-11-28 Schönegg, Roland, 88430 Rot Einspannvorrichtung
CN2427913Y (zh) * 2000-04-04 2001-04-25 张臣义 一种电缆双向紧线器
TW464120U (en) * 2000-04-19 2001-11-11 You Zhan Entpr Co Ltd Wire clip
CN2779689Y (zh) * 2005-03-02 2006-05-10 嘉善东方电力机具制造有限公司 带偏心槽滚轮的卡线器
CN201287309Y (zh) * 2008-06-01 2009-08-12 张克贵 快夹调压管子钳
US8720013B2 (en) * 2009-06-02 2014-05-13 Yasuharu Nagaki Trigger grip
TWM370875U (en) * 2009-06-12 2009-12-11 Pat Nbk Co Ltd Wire clamping device structure that is easy to operate
CN201500754U (zh) * 2009-07-27 2010-06-09 俞家林 弹簧机送料夹紧机构
US20120000037A1 (en) * 2010-04-14 2012-01-05 Chi-Yuan Chen Grip
JP5959654B2 (ja) * 2012-09-21 2016-08-02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US9768596B2 (en) * 2012-09-28 2017-09-19 Nagaki Seiki Co., Ltd. Wire gripper
JP5953227B2 (ja) * 2012-12-27 2016-07-20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JP2014007956A (ja) * 2013-10-15 2014-01-1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CN203843514U (zh) * 2013-11-13 2014-09-24 重庆迪科机电设备有限公司 带有偏心轮的夹紧装置
CN103618258B (zh) * 2013-11-18 2016-02-24 国家电网公司 一种输电线路架设紧线器
JP6467302B2 (ja) * 2015-06-30 2019-02-13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掴線器
CN206316781U (zh) * 2016-11-24 2017-07-11 四川信息职业技术学院 机床棒材加工用夹具
CN108736373A (zh) * 2017-04-18 2018-11-02 中国电力科学研究院 导线卡线器
FR3068423B1 (fr) * 2017-06-30 2019-07-26 Rte Reseau De Transport D’Electricite Dispositif et procede de blocage en tension d'un cable a l'aide d'une pince serre-cable
TWI650161B (zh) * 2018-05-29 2019-02-11 豐英有限公司 夾線器
CN208467814U (zh) * 2018-07-12 2019-02-05 天津市汇晶丰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齿轮泵泵盖加工的固定装置
CN208546388U (zh) * 2018-08-12 2019-02-26 陈达 一种水利水电施工快速夹紧装置
USD1002310S1 (en) * 2020-04-30 2023-10-24 Charles Alberti Wire pulling gr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477A (ja) 2003-02-10 2004-08-26 Nagaki Seiki Co Ltd 掴線器
JP3180307U (ja) * 2012-09-28 2012-12-13 株式会社永木精機 掴線器
KR20180100739A (ko) * 2016-01-06 2018-09-12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와이어 그리퍼
KR20180103196A (ko) * 2016-01-06 2018-09-19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와이어 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2083653B2 (en) 2024-09-10
JPWO2020262604A1 (ko) 2020-12-30
TWI839538B (zh) 2024-04-21
CN114007814B (zh) 2023-08-01
US20220297274A1 (en) 2022-09-22
AU2020307108B2 (en) 2023-05-11
JP7138245B2 (ja) 2022-09-15
EP3993195A4 (en) 2023-07-05
AU2020307108A1 (en) 2022-01-20
CN114007814A (zh) 2022-02-01
KR102671837B1 (ko) 2024-06-03
EP3993195A1 (en) 2022-05-04
TW202106460A (zh) 2021-02-16
WO2020262604A1 (ja)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4700A (ko) 그립 공구
US6010121A (en) Work piece clamping device of workbench
US7168181B2 (en) Hand tool apparatus and method
US10232964B2 (en) Manual bundling tool
US10179394B2 (en) Toggle clamp with locking mechanism
US11890732B2 (en) Binding machine
AU2010360812B2 (en) Clamping tool and method of dismounting or mounting a jaw or a jaw support
JP4188719B2 (ja) 掴線器
AU2020202083A1 (en) Cutting tool
EP3848292A1 (en) Binding machine
CN107283332B (zh) 夹持设备的改进
US7246444B2 (en) Cutting tool with guide member clamping means
KR102647746B1 (ko) 그립 공구
KR101524132B1 (ko) 도어 래치장치
US4087086A (en) Tension clamp
EP3202622B1 (en) A load carrier foot
JP4890652B1 (ja) 送りネジ式手動ステージ
US5957165A (en) Apparatus for winding and tightening a band clip around a wiring harness
JPH10255547A (ja) 線状体把持器
USRE23761E (en) Actuating and locking means for the
JPH11117916A (ja) クランプ装置
JPH06304902A (ja) ひき回し鋸機械用の締付け装置
JP2004066958A (ja) チルトロック用操作レ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