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147A -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147A
KR20220021147A KR1020200101594A KR20200101594A KR20220021147A KR 20220021147 A KR20220021147 A KR 20220021147A KR 1020200101594 A KR1020200101594 A KR 1020200101594A KR 20200101594 A KR20200101594 A KR 20200101594A KR 20220021147 A KR20220021147 A KR 2022002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ray
scale
weigh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봉
최영철
Original Assignee
김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봉 filed Critical 김덕봉
Priority to KR102020010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1147A/ko
Publication of KR2022002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47Checking quantity of material in the feeding arrangement, e.g. discharge material only if a predetermined quantity is pres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48Continuous control of flow of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8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involving variation of an electrical variable which is used to control loading or discharge of the receptacle
    • G01G13/285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involving variation of an electrical variable which is used to control loading or discharge of the receptacle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3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involving mechanical linkage motivated by weighing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트레이(22)를 상승 위치 또는 하강 위치로 전환하는 리프트(2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상승 위치보다 낮고 하강 위치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22)가 하강 위치일 때, 소재(60)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30);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저울(30)에서 측정된 중량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소재(60)를 밀어내는 액추에이터(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Material weighing device for air bag filter}
본 발명은 에어백에 장착되어 화약이 폭발할 때 입자를 거르고 가스만 통과시키도록 하는 필터를 제조하는 기계장치에서 소재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하는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가스 발생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가스 발생장치는 점화장치의 점화 때문에 화약이 폭발하며, 화약의 폭발로 가스 발생재료가 연소한다.
가스 발생재료의 연소는 의해 고온(1670℃), 고압(60MPa)의 가스가 발생하며, 가스는 에어백의 전개에 적합하도록 냉각되면서 가스 중에 함유된 불순물이 제거되어야 한다.
필터는 가스를 통과시키면서 불순물은 걸러내야 하고, 고압에 견뎌야 하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에어백은 차량 내부에서 한정된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외관 크기가 한정되어야 한다.
즉, 필터는 에어백 제조사 또는 차량 제조사에서 요구하는 크기로 제공되면서 고온에 견디고, 불순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치밀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특히, 필터의 소재는 철망으로 이용할 수 있고, 철망은 씨줄과 날줄로 엮여 있는데, 소재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할 때, 요구 규격에 미치지 못하거나 허용 범위를 넘으면 에어백을 조립할 때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KR 10-0545109 B1 KR 10-2001-0020550 A KR 10-1456309 B1
본 발명은 필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한 철망 소재가 적정한 규격에 포함되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불량품은 버리고, 양호한 철망 소재만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트레이(22)를 상승 위치 또는 하강 위치로 전환하는 리프트(2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상승 위치보다 낮고 하강 위치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22)가 하강 위치일 때, 소재(60)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30);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저울(30)에서 측정된 중량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소재(60)를 밀어내는 액추에이터(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는, 상기 트레이(22)가 상기 저울(30)의 양쪽에 배치되어 소재(60)의 양쪽 끝부분이 양쪽의 트레이(22)에 각각 얹히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는, 절단한 철망 소재가 적정한 규격에 포함되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불량품으로 판정하여 버리고, 양호한 철망 소재만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할 수 있다.
도 1은, 철망 소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는, 철망 소재가 절단된 예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3은, 철망 소재를 1차 롤링한 예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철망 소재를 2차 롤링한 예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5는, 철망 소재를 압축하여 필터 제품으로 완성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대기 상태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에서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소재가 투입된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에서 리프트를 하강시켜 소재가 저울에 얹히도록 하여 중량을 측정하는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에서 소재가 불량품으로 판단되었을 때 강제로 배출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철망 소재(1)가 필터(2)로 제조되는 과정에 관하여 도 1부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철망 소재가 절단된 예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2는, 철망 소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3은, 철망 소재를 1차 롤링한 예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4는, 철망 소재를 2차 롤링한 예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5는, 철망 소재를 압축하여 필터 제품으로 완성한 도면 대용 사진이다.
철망 소재(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씨줄(3)과 날줄(4)이 직물처럼 짜인다.
철망 소재(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되고, 이로써 일정한 길이와 무게를 갖는다.
이후, 철망 소재(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둥글게 말아서 1차 롤링 작업을 진행한다.
이후, 철망 소재(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 롤링 작업을 진행하고, 이 과정에서 필터(2)의 바깥지름이 작아지고 그물눈이 조밀해진다.
이후, 철망 소재(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지름과 바깥지름과 길이 등 3방향에서 압축하는 압축 공정을 진행하고, 이 과정에서 필터(2)의 안지름, 바깥지름, 길이가 정형화될 수 있다. 또한, 씨줄(3)과 날줄(4) 간의 틈이 매우 조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이로써 가스는 통과할 수 있지만, 불순물은 틈에서 걸러질 수 있다.
이하, 도 6부터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는, 베이스(10), 리프트(20), 저울(30) 및 액추에이터(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에어백 필터를 제조하는 설비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에어백 필터를 제조하는 설비의 부분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리프트(20)는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아래쪽에 승강 실린더를 갖추고, 승강 실린더의 로드에 승강 플레이트를 설치하며, 승강 플레이트에 복수의 승강 로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승강 로드는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승강 로드의 상측 부분에 트레이(22)가 갖춰질 수 있다.
상기 승강 실린더가 확장 작동하면 상기 트레이(22)는 하강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가 축소 작동하면 상기 트레이(22)는 상승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트(10)는 트레이(22)를 상승 위치 또는 하강 위치로 전환하도록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저울(30)은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저울(30)의 상면이 트레이(22)의 상기 상승 위치보다 낮고 트레이(22)의 하강 위치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20)가 상승 위치이면 소재(60)는 트레이(22)에 얹힌 상태일 수 있고, 소재(60)는 저울(30)과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저울(30)은 상기 트레이(22)가 하강 위치일 때, 소재(6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트(20)가 작동하여 상기 트레이(22)가 하강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가칭, 저울(30)의 상면은 트레이(22)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가 되므로 자연스럽게 소재(60)가 저울(30)에 얹힐 수 있다.
이후, 저울(30)은 소재(60)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보낸다. 제어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허용 오차 범위와 비교한다. 만일, 소재(60) 무게의 측정값이 허용 오차 범위 내라면 소재(60)를 소재 이송 로봇이 꺼내어 다음 공정으로 옮긴다.
상기 액추에이터(40)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40)의 로드에 푸셔(4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40)의 작동에 따라 푸셔(41)가 전진과 후진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상기 저울(30)에서 측정된 중량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소재(60)를 밀어낼 수 있다. 특히 액추에이터(40)는 푸셔(41)의 전진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여 마치 소재(60)를 튕기듯이 밀어내어 트레이(22)를 비울 수 있다.
액추에이터(40)는 소재(60)를 밀어낸 다음에 곧바로 후퇴하여 대기할 수 있다.
한편으로, 트레이(22)를 기준으로 푸셔(41)의 반대쪽에 버킷(50)을 놓을 수 있고, 버려지는 소재(60)는 자연스럽게 버킷(50)에 쌓일 수 있다.
작업자는 불량품 소재를 버릴 때, 버킷(50)을 통째로 옮길 수 있으므로 불량품 소재의 배출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는, 에어백 필터를 제조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철망 소재 2: 필터
3: 씨줄(가로줄) 4: 날줄(세로줄)
10: 베이스 20: 리프트
30: 저울 40: 액추에이터
50: 버킷 60: 소재

Claims (2)

  1.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트레이(22)를 상승 위치 또는 하강 위치로 전환하는 리프트(2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면이 상기 상승 위치보다 낮고 하강 위치보다 높게 배치되며, 상기 트레이(22)가 하강 위치일 때, 소재(60)의 중량을 측정하는 저울(30); 및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저울(30)에서 측정된 중량값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소재(60)를 밀어내는 액추에이터(40);
    를 포함하는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2)가 상기 저울(30)의 양쪽에 배치되어 소재(60)의 양쪽 끝부분이 양쪽의 트레이(22)에 각각 얹히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KR1020200101594A 2020-08-13 2020-08-13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KR20220021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94A KR20220021147A (ko) 2020-08-13 2020-08-13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94A KR20220021147A (ko) 2020-08-13 2020-08-13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47A true KR20220021147A (ko) 2022-02-22

Family

ID=8049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94A KR20220021147A (ko) 2020-08-13 2020-08-13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114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550A (ko) 1997-07-30 2001-03-15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발생기 및 그 필터
KR100545109B1 (ko) 2004-11-29 2006-01-31 가야에이엠에이 주식회사 자동차 에어백의 가스발생장치에 사용되는 필터의 제작방법
KR101456309B1 (ko) 2006-09-13 2014-11-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메타-아라미드 및 아크릴 섬유를 포함하는 백 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0550A (ko) 1997-07-30 2001-03-15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발생기 및 그 필터
KR100545109B1 (ko) 2004-11-29 2006-01-31 가야에이엠에이 주식회사 자동차 에어백의 가스발생장치에 사용되는 필터의 제작방법
KR101456309B1 (ko) 2006-09-13 2014-11-03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메타-아라미드 및 아크릴 섬유를 포함하는 백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5052B1 (en) Electrode plate aligned state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US10636558B2 (en) Ceramic core, wire-wound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eramic core
US10421114B2 (en) Workpiece manufacturing apparatus
CN104508812A (zh) 将衬底与探针卡抵接的方法
KR20220021147A (ko) 에어백 필터용 소재 중량 측정장치
CN106345698B (zh) 一种钢球分拣系统用检测落料机构
CN110064605B (zh) 用于测试半导体元件的分选机
CN101589440B (zh) 核燃料棒制造的分段补给系统和方法
CN107024392B (zh) 充电器自动耐压测试装置
JP5255767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製造方法と装置
US20150016908A1 (en) Drill blank, method for manufacturing drill blank, dri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rill
US20160356843A1 (en) Ic handler
CN102765600A (zh) 间距可调的半导体元件移载装置及具有该装置的检测机台
CN110479628A (zh) 一种自动分选设备及分选方法
RU2414760C2 (ru) Устройство таблетирования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блеток ядерного топлив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200072988A (ko) 배터리 치수 검사 장치
US11933839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CN208984330U (zh) 一种可调节式的汽车配件检测夹具
US20210396803A1 (en) Contact release method i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apparatus
CN115283967A (zh) 一种农用机械压力管连接头自动装配设备及方法
US4457879A (en) Method for producing pressed blanks from ceramic powder, for instance nuclear reactor fuels
CN114047129A (zh) 自动拍摄mlcc产品切面图像的装置及方法
CN210614416U (zh) 一种pcb板视觉检测设备
CN109317668A (zh) 三维造型方法
EP1195214A1 (en) Metal-made seamless pip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