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1139A -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1139A
KR20220021139A KR1020200101575A KR20200101575A KR20220021139A KR 20220021139 A KR20220021139 A KR 20220021139A KR 1020200101575 A KR1020200101575 A KR 1020200101575A KR 20200101575 A KR20200101575 A KR 20200101575A KR 20220021139 A KR20220021139 A KR 20220021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handle assembly
unit
window hand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025B1 (ko
Inventor
구관서
서상훈
김진우
차순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10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25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65/0811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the bolts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E05B2045/065Switch or sensor type used in alarm locks
    • E05B2045/0665Magnetic switches, e.g. reed- or hall-swi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05B2065/080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with a handle operating in both directions

Abstract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는, 창호에 마련되며 창호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개폐 감지부와 접촉되거나 미접촉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자력부; 자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자력부를 밀어서 개폐 감지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도어 래치의 회전에 따른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창호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창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를 사용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부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WINDOW HANDLE ASSEMBLY AND CONSUMPTION POWER SA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창호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를 감지하여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하면서, 햇빛을 차단하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창호는 벽체에 마련되는 창틀, 창틀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는 창짝 및 창짝에 마련되어 창짝을 개폐하기 위한 창호핸들 조립체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환기가 필요한 경우에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실내외 공기 질이 나빠지면서 실내 공기 정보는 물론이고 실외 공기 정보를 함께 참고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편,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을 이용하여 주거 생활의 환경 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달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센서 기술 등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창호에 사물인터넷 방식을 접목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창호에 사물인터넷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창호를 개폐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창호의 개폐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실외 공기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창호의 개폐에 대한 정보를 알람해주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창호핸들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소비되는 전력이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비되는 전력의 양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종래 창호핸들 조립체는 별도의 허브(HUB)와 같은 상시 전원을 가지는 게이트 웨이(gate way)를 두지 않는다. 더욱이, 창호핸들 조립체 자체로 허브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더욱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창호핸들 조립체는 상시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장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5364호(2018.10.3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핸들 조립체를 이용하여 창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창호 상태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의 동작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창호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에 마련되며 창호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창호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개폐 감지부와 접촉되거나 미접촉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자력부; 자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자력부를 밀어서 개폐 감지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도어 래치의 회전에 따른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창호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창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를 사용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부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제어하는, 창호핸들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일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작동되도록 마련되고,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 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개폐 감지부로부터 창호의 상태 변화에 대한 내용을 수신 받은 경우에는 창호핸들 조립체가 절전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 될 때 사용대기 모드의 작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는, 제어부로 전송된 창호의 상태 정보에 따라 창호가 열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창호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에 의해 변화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하우징에는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부가 마련되며, 창호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가 규칙적으로 동작될 때, 개폐 감지부, 진동 감지부 및 공기질 감지부로부터 창호의 상태 정보 및 실내 공기정보가 제어부로 수신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창호핸들 조립체의사용대기 모드가 규칙적으로 동작되어 개폐 감지부, 진동 감지부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변화되지 않았다고 감지된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는 제어부로부터 수신 받은 결과에 해당되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제어부는 외부에 마련된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날씨 정보 및 실외 공기 정보와 공기질 감지부로부터 수신 받은 실내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환기 가이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내/외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하우징에 LCD 또는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에는 제어부와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부(미도시)가 마련되고, 통신부는 제어부와 서버를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부는 제어부, 공기질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사용 대기모드에서는 배터리부로부터 제어부, 공기질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며, 절전 모드에서는 배터리부로부터 공기질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되 제어부로는 절전 모드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의하면,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 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창호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 경과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창호핸들 조립체를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절전 모드 동작 단계 이후에,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창호핸들 조립체의 절전 모드 동작 후 경과 시간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변화 감지 단계에서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대기 모드 동작 단계로 되돌아가고,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절전 모드 동작후 시간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사용대기 모드 동작후 시간 모니터링 단계 이후에 모니터링 시간을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태 변화 감지 단계에서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대기 모드로 되돌아가고 창호핸들 조립체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창호핸들 조립체를 이용하여 창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창호의 상태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의 모드가 선택됨으로써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창호핸들 조립체를 이용하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정보, 실내 공기 정보, 실외 공기 정보 및 실내외 공기 정보를 통한 환기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창호핸들 조립체는 물론이고 사용자 단말기에도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창호를 열고 닫음을 선택함에 있어서 더욱 편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창호핸들 조립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창호의 상태 정보를 통해 기존의 창호핸들 조립체가 가지고 있던 안전/방범의 기능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 서버 및 단말기의 정보 교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창호핸들 조립체의 구성과 창호핸들 조립체의 세부 구성과 서버 및 단말기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도시한 창호핸들 조립체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도 1에 도시한 창호핸들 조립체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창호핸들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개폐 감지부 및 자력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종래 창호핸들 조립체와 도 7에 도시한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이 적용된 창호핸들 조립체를 비교하여 소비전류와 소비전력에 대해 비교하여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창호핸들 조립체(10)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10)는 창호(미도시)를 열거나 닫기 위한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실내/외 공기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창호핸들 조립체(10)는 창틀(미도시) 및 창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짝(미도시)을 포함하는 창호에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창호핸들 조립체(10)는 창짝에 마련되어 창짝을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창호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는 회전축(111)을 갖는 핸들 손잡이(110),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삽입되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130),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자력부(140), 자력부(140)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자력부(140)를 밀어서 개폐 감지부(13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116), 도어 래치(116)의 회전에 따른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3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창호의 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150) 및 하우징(1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어부(150)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90)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수신 받은 창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사용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시 소비 전력이 절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핸들 손잡이(110)는 회전축(111)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는 사용자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면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하우징(120)에 삽입된다.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은 하우징(120)의 타측에 결합된 제2 커버(124)의 시그널핀(128)과 연동된다. 시그널핀(128)은 창짝(미도시)의 내부에 마련되는 로드부재(미도시)와 결합된다.
한편, 핸들 손잡이(110)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일 경우에는 초기 위치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핸들 손잡이(110)가 초기 위치라고 감지된 경우에는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핸들 손잡이(110)가 가해진 외력에 의해 일 방향을 회전되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일 경우에는 '개방 위치'로 정의한다. 즉, 핸들 손잡이(110)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인 경우에는 창호는 개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그널핀(128)의 내부에는 스프링(spring)과 같은 탄성을 가진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된 상태에서 다시 외력을 가하여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 손잡이(110)에 의해 창호는 원래 상태인 닫힘 상태가 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케이스(case)를 의미한다. 이때, 하우징(120)은 내부에 중공으로 마련되어 핸들 손잡이(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본체(121), 제1 커버(122), 제2 커버(124)를 포함한다.
하우징(120)의 본체(1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20), 즉 본체(121)의 내부에는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대부분의 부품들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21)는 양단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본체(121)의 개방된 일측면에는 제1 커버(122)가 결합되고, 본체(121)의 개방된 타측면에는 제2 커버(124)가 결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21)의 일측면은 전체가 개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커버(122)는 본체(121)의 개방된 일측면 전체를 덥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커버(122)에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된다.
이를 위해, 제1 커버(122)의 일부분에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되는 제1 관통홀(122a)이 마련된다. 참고로, 제1 관통홀(122a)의 면적은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될 수 잇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 손잡이(110)에 제1 커버(122)가 결합될 때, 별도의 결합부재(112)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는 결합부재(112)에 의해 제1 커버(122)와 결합되고,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제1 커버(122)의 제1 관통홀(122a)을 관통한 상태로 본체(121)와 결합된다.
한편, 제1 커버(122)에는 개폐 감지부(130), 제어부(150), 배터리부(190)를 포함한다.
개폐 감지부(130)는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개폐 감지부(130)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후술할 자력부(140)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감지부(130)는 제1 베이스(131), 리드 스위치(132) 및 커넥터(133)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131)는 적어도 일면에 평평하게 형성된 판(plate)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베이스(131)는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리드 스위치(132)는 제1 베이스(131)의 일면에 마련되어, 자력부(140)와의 접촉에 따라 작동된다. 이를 위해, 리드 스위치(132)는 자력을 가지는 물체가 접촉되면 전류가 흐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드 스위치의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33)는 제1 베이스(131)에 마련되되, 리드 스위치(132)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커넥터(133)는 리드 스위치(132)와 후술할 제어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133)에 의해 리드 스위치(132)와 연결되는 제어부(150)는 제1 커버(122)에 마련된다. 이때, 제어부(150)는 커넥터(133)에 의해 리드 스위치(132)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개폐 감지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후술할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30)의 접촉에 따른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결과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50)는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30)의 접촉 여부에 따라 개폐 감지부(130)로부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로 수신된 정보는 서버(20) 또는 단말기(3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30)를 통해 창호의 상태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50)에는 통신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WiFi와 같은 무선 형태로 마련되어, 제어부(150)와 서버(20)를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장착 커버(152)에 의해 제1 커버(122)와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제어부(150)가 장착되는 장착 커버(152)는 일종의 보드(board)를 의미하며, 제어부(15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122)에는 제어부(150)로 전달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60)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50)로 전송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부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화면 출력부(162) 및 음성/소리 등의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음성 출력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커버(122)의 상단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161)의 형태로 마련되어 창호의 상태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에는 IoT 기술이 적용되므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외부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것을 표시하거나 알려줄 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에 마련되어 창호핸들 조립체(10)와 연결된 서버(20)로부터 날씨 정보 및 공기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즉,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제어부(150)가 서버(20)와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서버(20)에 저장된 날씨 정보, 실내/외 공기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게 된다.
서버(20)로부터 제어부(150)로 수신된 다양한 정보들은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되거나, 외부에 위치되며 창호핸들 조립체(10)와 IoT 기술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30)로 다시 전송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서버(20)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32)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나 창호핸들 조립체(10)를 보지 않고 단말기(30)를 통하여 창호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단말기(30)로 수신 받은 날씨 정보, 실내/외 공기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에 따라 창호를 자동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 창호에 단말기(30) 및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2)과 연동되는 창호자동개폐장치(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버(122)에는 공기질 감지부(170)가 마련된다.
공기질 감지부(170)는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공기질 감지부(170)를 통해 감지된 실내 공기 정보는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공기질 감지부(170)는 V0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 CO2(이산화탄소), 온도,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제1 커버(122)로부터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질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기 정보는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제어부(150)로 전송된 실내 공기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해당 정보가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도 4을 참조하면 제1 커버(122)에는 진동 감지부(180)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진동 감지부(180)는 제1 커버(122)에 제어부(150)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진동 감지부(180)는 창호에 가해진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진동 감지부(180)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미도시)와 제1 커버(122)에 마련된 진동 감지부(180)와 창호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감지부(180)는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창호가 열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창호에 가해진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의해 창호에 가해진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달라진 창호의 열림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80)는 창호가 열리고 닫혔을 때에도 진동에 의하여 창호에 충격이 가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진동 감지부(180)는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때,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칩입자나 사용자에 의해 창호가 더 열려진 것도 감지한다.
이러한, 진동 감지부(180)는 창호에 대한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하면 그 결과는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해당 정보를 수신 받은 제어부(150)는 단말기(30) 및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더욱이,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버(122)에는 배터리부(190)가 마련된다.
배터리부(19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될 수도 있고 완전히 방전된 경우에 교체가 필요한 일회성 배터리, 비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부(190)가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는 충전부(19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94)는 배터리부(190)를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150)에 마련되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무선충전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고,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배터리부(190)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부(190)가 무선충전장치 및 충전부(194)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 받기 위한 방식에는 자기공진방식, 자기유도방식, 전기기판(RF 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커넥터(192)에 의해 개폐 감지부(13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개폐 감지부(13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50)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배터리부(190)와 배터리 커넥터(192)를 포함하여 배터리 어셈블리(battery-assembly)라고 통칭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부(190)는 개폐 감지부(130), 디스플레이부(160) 및 제어부(150)로 상시로 전원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충전식 또는 비충전식의 한정된 용량을 가지고 있는 배터리의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터리부(190)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는 창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사용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를 통한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창호의 개폐 여부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사용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제어부(150)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서, 사용대기 모드는 창호핸들 조립체(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절전 모드는 사용대기 모드가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창호의 상태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터리부(190)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절전 상태로 두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제어부(150)는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되는 시간 간격은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사용하는 환경 및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 중일 때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창호의 상태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배터리부(190)가 저전력의 절전 모드로 작동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될 때에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50)는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될 때 1회 작동 시간 동안에 대략적으로 20초 내지 1분 이내의 시간으로 작동되도록 하면서, 시간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사용대기 모드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대기 모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작동될 때, 개폐 감지부(130), 진동 감지부(180) 및 공기질 감지부(170)로부터 창호의 상태 정보, 실내 공기정보를 수신받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개폐 감지부(130) 및 진동 감지부(180)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변화되지 않았다고 감지된 경우에는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사용대기 모드에서는 배터리부(190)로부터 제어부(150), 공기질 감지부(170), 디스플레이부(160)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며, 절전 모드에서는 배터리부(190)에서 공기질 감지부(170), 디스플레이부(160)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부(190)는 제어부(150)로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배터리부(190)에서 제어부(150), 공기질 감지부(170), 디스플레이부(160) 및 통신부로의 전원이 공급되고,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부(190)에서 공기질 감지부(170), 디스플레이부(160) 및 통신부로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배터리부(190)로부터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대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고,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절전 모드로 동작될 때에는 배터리부(190)로부터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절전 모드로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21)의 타측면에는 제2 커버(124)가 결합된다.
제2 커버(124)는 본체(121)의 타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 만이 개방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버(124)는 본체(121)의 타측면 중에서 개방된 영역 만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체(121)의 타측면의 개방된 영역에는 도어 래치(116)가 위치된다.
즉, 제2 커버(124)는 본체(121)의 타측면에 도어 래치(116)가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21)의 타측면의 개방된 영역에 결합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래치(116)는 핸들 손잡이(110)와 결합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자력부(140)를 개폐 감지부(130)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참고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의해 도어 래치(116)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116)가 자력부(140)를 개폐 감지부(130) 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그에 따라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30)가 완전히 접촉 상태가 되면 창호는 열림 상태가 되게 된다.
이러한, 도어 래치(116)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본체(121)의 타측면의 개방된 영역에 형성된 래치 결합부(121a)에 배치된다.
도어 래치(116)에는 제2 관통홀(116a)이 마련된다. 제2 관통홀(116a)에는 제1 커버(122)의 제1 관통홀(122a)을 통과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의 일부분이 관통된다. 즉,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제1 관통홀(122a) 및 제2 관통홀(116a)을 차례로 통과하고 창호의 리드부재(미도시)에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도어 래치(116)는 핸들 손잡이(110)가 회전되면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도어 래치(116)에 의해 개폐 감지부(130) 쪽으로 이동되는 자력부(140)는 제2 커버(124)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2 커버(124)는 본체(121)의 일측면을 통해 제1 커버(122), 하우징(120) 및 도어 래치(116)를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본체(121)의 타측면의 개방된 영역에 대하여 결합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자력부(140)는 제2 커버(124)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도어 래치(116)와 일부분이 맞물리도록 도어 래치(116)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자력부(140)는 제2 베이스(143) 및 마그넷(142)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143)는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커버(124)의 내측면(도 3에서 시그널핀이 위치된 반대면)에 배치된다.
마그넷(142)은 개폐 감지부(130)의 리드 스위치(132)와 접촉되어 리드 스위치(132)를 작동시키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마그넷(142)은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력부(140)의 제2 베이스(143)는 격벽(143a), 지지편(143b) 및 이동편(143c)을 포함한다.
격벽(143a)은 제2 베이스(143)의 일면에 마련되어 마그넷(142)을 제2 베이스(143)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격벽(143a)은 제2 베이스(143)의 내측면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격벽(143a)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마련되고, 한 쌍의 격벽(143a) 사이에는 마그넷(142)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격벽(143a)이 한 쌍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2 베이스(143)에 대하여 마그넷(142)을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참고로, 도 4 및 도 6에는 격벽(143a)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이 아닌 하나의 격벽(143a)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격벽(143a)은 지지편(143b)에 의해 제2 베이스(143)에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지지편(143b)은 제2 베이스(143)의 측면에 마련되되, 제2 베이스(143)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격벽(143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격벽(143a)이 지지편(143b)과 결합된다.
여기서, 도 4 및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격벽(143a)과 지지편(143b)은 제2 베이스(143)에 대하여 마그넷(142)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편(143c)은 도어 래치(116)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이동편(143c)은 제2 베이스(143)의 하단부로부터 제2 베이스(143)의 일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어 래치(116)가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 도어 래치(116)의 래치 접촉부(116b)가 이동편(143c)과 완전히 접촉되어 이동편(143c)을 개폐 감지부(130)가 위치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한편, 제2 커버(124)에는 시그널핀(128)이 마련되며, 시그널핀(128)과 인접한 위치에는 제2 관통홀(124a)이 마련된다.
제2 관통홀(124a)은 시그널핀(128)과 함께 창호에 마련된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핸들 손잡이(110)와 로드 부재가 연동되도록 마련되고, 그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이용하여 창호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창호핸들 조립체(10)의 개폐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핸들 손잡이(110)를 회전시키면 도어 래치(116)도 함께 회전된다. 그러면, 도어 래치(116)의 래치 접촉부(116b)가 회전되어 제2 베이스(143)의 이동편(143c)을 밀어주게 되어 자력부(140)가 개폐 감지부(13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자력부(140)의 마그넷(142)과 개폐 감지부(130)의 리드 스위치(132)가 접촉되게 된다.
이때, 개폐 감지부(130)는 핸들 손잡이(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140)의 마그넷(142)과 개폐 감지부(130)의 리드 스위치(132)가 접촉되면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개폐 감지부(130)는 핸들 손잡이(11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30)의 리드 스위치(132)와의 접촉이 해제되면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개폐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는 개폐 감지부(130)와 연결된 제어부(150)로 수신된다. 제어부(150)는 수신 받은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창호핸들 조립체(10)에는 버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버튼은 창호핸들 조립체(10)의 하우징(120)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과는 관계 없이 창호핸들 조립체(10)를 통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는 관여하지 않으면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하여 실외 공기 정보나 실내 공기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게 되고,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실외 공기 정보와 실내 공기 정보를 통하여 창호 환기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참고로, 버튼은 필요에 따라 음소거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S100)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50)에 의해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된다(S110).
여기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대기 모드는 대략적으로 5분 정도의 시간마다 작동된다.
이때, 창호핸들 조립체(10)는 개폐 감지부(130), 진동 감지부(180), 공기질 감지부(170)로부터 창호의 상태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등의 정보가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참고로, 제어부(150)로 전송된 창호의 상태 정보, 실내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사용자에게 창호 환기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할 때, 통신부(미도시)와의 연결 및 서버(20)로부터 전송받은 실외 날씨 정보, 그리고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에러(error)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그 다음, 사용대기 모드 동작후 시간을 모니터링 한다(S120).
다시 말해서, 제어부(150)에 의해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에 경과된 시간이 얼마나 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 동작이 시작된 후에 20초가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 경과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20초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대기 모드 동작 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창호핸들 조립체(10)가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 경과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창호핸들 조립체(10)를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S130).
그 다음,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S150).
다시 말해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 변화, 즉 창호핸들 조립체(10)의 개폐 감지부(130), 진동 감지부(180)에 의해 창호의 상태 변화를 감지한다.
여기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 변화를 감지(S150)하기 전에, 사용대기 모드 동작후 모니터링 시간을 초기화시킨다(S140).
이와 같이,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대기 모드 동작후 모니터링 시간을 초기화하는 것은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절전 모드 동작 후 경과 시간을 모니터링할 때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창호핸들 조립체(10)의 개폐 감지부(130) 및 진동 감지부(180)에 의해 창호의 상태에 변화(또는 이벤트)가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사용대기 모드 동작 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50)에서, 창호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절전 모드 동작 후 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60).
만약,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절전 모드 동작후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예를 들어 약 5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대기 모드 동작 단계(S110)로 되돌아간다. 반대로,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절전 모드 동작후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시간 초기화 단계(S140)로 되돌아간다.
한편,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15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대기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때,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상태 변화 정보는 창호핸들 조립체(10)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 또는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알려줄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종래 창호핸들 조립체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의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종래 창호핸들 조립체(10)의 경우에 소비 전류는 584.151mA 이고 그에 따른 총 출력은 1.9286983W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 8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의 경우에 소비 전류는 0.151mA이고 그에 따른 총 출력은 0.0004983mA 로 나타났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종래 창호핸들 조립체의 경우에 시간당 소비 전류를 대략적으로 100mA 소모하였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의 경우에는 대략적으로 1/10에 해당되는 소비 전류만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핸들 조립체(10)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S100)을 이용하면 창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창호의 상태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10)의 모드가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약 10배 이상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어서 창호핸들 조립체(10)에 장착되는 배터리부(190)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핸들 조립체
20: 서버
30: 단말기
110: 핸들 손잡이
120: 하우징
130: 개폐 감지부
140: 자력부
150: 제어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공기질 감지부
180: 진동 감지부
190: 배터리부

Claims (14)

  1. 창호에 마련되며 창호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창호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창호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개폐 감지부와 접촉되거나 미접촉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자력부;
    자력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자력부를 밀어서 개폐 감지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도어 래치의 회전에 따른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창호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창호의 개폐 여부에 따라 창호핸들 조립체를 사용대기 모드 또는 절전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여 배터리부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도록 제어하는, 창호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일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에 작동되도록 마련되고,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로 작동 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개폐 감지부로부터 창호의 상태 변화에 대한 내용을 수신 받은 경우에는 창호핸들 조립체가 절전 모드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창호핸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 될 때 사용대기 모드의 작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따라 규칙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창호핸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제어부로 전송된 창호의 상태 정보에 따라 창호가 열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에 창호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충격에 의해 변화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및
    하우징에는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부가 마련되며,
    창호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가 규칙적으로 동작될 때, 개폐 감지부, 진동 감지부 및 공기질 감지부로부터 창호의 상태 정보 및 실내 공기정보가 제어부로 수신되도록 마련된, 창호핸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창호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가 규칙적으로 동작되어 개폐 감지부, 진동 감지부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변화되지 않았다고 감지된 경우에는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창호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제어부로부터 수신 받은 결과에 해당되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제어부는 외부에 마련된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날씨 정보 및 실외 공기 정보와 공기질 감지부로부터 수신 받은 실내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환기 가이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도록 마련된, 창호핸들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내/외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하우징에 LCD 또는 음성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도록 마련된, 창호핸들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제어부에는 제어부와 서버를 연결하는 통신부가 마련되고,
    통신부는 제어부와 서버를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창호핸들 조립체.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부는 제어부, 공기질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사용 대기모드에서는 배터리부로부터 제어부, 공기질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며, 절전 모드에서는 배터리부로부터 공기질 감지부, 디스플레이부 및 통신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되 제어부로는 절전 모드의 동작을 위한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인, 창호핸들 조립체.
  10. 제9항에 기재된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 전력 절감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창호핸들 조립체가 사용대기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창호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핸들 조립체의 사용대기 모드 동작 후 경과된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창호핸들 조립체를 절전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절전 모드 동작 단계 이후에,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창호핸들 조립체의 절전 모드 동작 후 경과 시간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태 변화 감지 단계에서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대기 모드 동작 단계로 되돌아가고,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절전 모드 동작후 시간 모니터링 단계를 수행하도록 마련된,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대기 모드 동작후 시간 모니터링 단계 이후에 모니터링 시간을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태 변화 감지 단계에서 창호핸들 조립체의 상태가 변화된 것으로 감지되면 사용대기 모드로 되돌아가고 창호핸들 조립체의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마련된, 창호핸들 조립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KR1020200101575A 2020-08-13 2020-08-13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KR10259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75A KR102593025B1 (ko) 2020-08-13 2020-08-13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75A KR102593025B1 (ko) 2020-08-13 2020-08-13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39A true KR20220021139A (ko) 2022-02-22
KR102593025B1 KR102593025B1 (ko) 2023-10-23

Family

ID=8049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75A KR102593025B1 (ko) 2020-08-13 2020-08-13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8998A (ja) * 2014-02-07 2015-08-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窓センサ
KR101849386B1 (ko) * 2017-03-29 2018-04-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KR101915364B1 (ko) 2016-11-25 2019-01-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KR20200061205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히든 디스플레이를 갖는 창호용 핸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8998A (ja) * 2014-02-07 2015-08-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窓センサ
KR101915364B1 (ko) 2016-11-25 2019-01-1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KR101849386B1 (ko) * 2017-03-29 2018-04-16 주식회사 대현상공 잠금식별과 방범기능을 갖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200061205A (ko) * 2018-11-23 2020-06-02 (주)엘지하우시스 히든 디스플레이를 갖는 창호용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25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359B2 (en) Grille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US7081816B2 (en) Compact wireless sensor
EP1333706B2 (en) Motorized window cover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ized window covering
CA3048888A1 (en) Remote-controlled switch cover assembly
US20070170729A1 (en) Window and window handle
EP1558054A1 (en) Electric device operation state control system
KR20220021139A (ko)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JPH1122295A (ja) 窓戸制御システム
WO2022070984A1 (ja) 引戸装置及びセンサーユニット
WO2015041616A1 (en) An automatically controlled air curtain device
KR101016361B1 (ko) 침수방지를 위한 실내개폐용 문틀
KR20210076774A (ko) 핸들 조립체
KR102593026B1 (ko) 핸들 조립체
JPH11315687A (ja) 電動シャッター
JP2001309451A (ja) 開閉装置用リモコン送信機、開閉装置用リモコン受信機及び開閉装置用リモコンシステム
JP3865343B2 (ja) 電動シャッター
US20220162908A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window covering
KR200376924Y1 (ko)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KR20030004177A (ko) 도어 자물쇠 잠금시 가스밸브 자동 차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410616A1 (en) Customizable security alarm system comprising an rfid tag,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JP6039319B2 (ja) 開き窓の開度規制装置
CN219222513U (zh) 旋钮结构及燃气灶
JPH11315683A (ja) 無線制御シャッターにおける無線送信機のidコード登録方法および抹消方法
WO2021138892A1 (zh) 智能开关面板及智能远程控制开关系统
JPH11315682A (ja) 電動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