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26B1 -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26B1
KR102593026B1 KR1020190167861A KR20190167861A KR102593026B1 KR 102593026 B1 KR102593026 B1 KR 102593026B1 KR 1020190167861 A KR1020190167861 A KR 1020190167861A KR 20190167861 A KR20190167861 A KR 20190167861A KR 102593026 B1 KR102593026 B1 KR 102593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n
cover
window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538A (ko
Inventor
차순도
구관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6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립체는,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를 열거나 닫기 위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개폐 감지부;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자력부; 및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자력부를 개폐 감지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들 조립체{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하면서, 햇빛을 차단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창호는 벽체에 마련되는 창틀과 창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창호를 개폐하는 창짝이 구비되고, 창짝에는 창짝을 열고 닫기 위한 창호 핸들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잠금 장치는 일반적으로, 핸들의 회동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로드의 상하측으로 훅을 고정하고 창틀에는 훅이 내입 걸립되는 스트라이크(striker)를 설치하여 창문을 잠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잠금 장치는 핸들을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 언록킹되고, 핸들을 회동시킬 때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창호가 외부에서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의 위치 만으로도 창호의 록킹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도난 등의 위험성이 있다.
최근에는 창호의 단순한 개폐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창짝을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되고, 이러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 장치가 별도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폐 장치는 창호의 창짝과 창틀에 걸쳐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그 구조가 복잡하며, 또한, 개폐 장치를 창호의 창짝과 창틀에 걸쳐 설치함에 따라 창호의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이용하여 주거생활의 환경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달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센서기술 등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창호와 관련된 자동 제어 기술은 아직까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KR10-1997724(2019.07.02.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손잡이의 조작 만으로도 창호의 열림/닫힘을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창호의 열림/닫힘 정보를 줄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를 열거나 닫기 위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자력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자력부를 개폐 감지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손잡이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도 핸들 손잡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어 래치의 회전에 의해 자력부가 개폐 감지부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개폐 감지부는, 핸들 손잡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와 개폐감지부가 접촉될 때,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핸들 손잡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이 해제될 때,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은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일부 영역에는 도어 래치가 배치되는 본체; 본체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며 개폐 감지부가 마련되는 제1 커버; 및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되 도어 래치를 덮도록 배치되고, 자력부가 마련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제1 커버 및 본체에는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관통하여 배치된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은 도어 래치와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제1 커버에는,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에 따라 개폐 감지부로부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핸들 조립체에서, 개폐 감지부는, 제1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제1 베이스에 마련되며 자력부와 접촉되면 동작하는 리드 스위치; 및 제1 베이스에 마련되며 리드 스위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에는, 제어부로 전달된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디스플레이부는, 제1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에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자력부는, 제2 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에 마련되며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베이스는, 제2 베이스의 일면에 마련되며 마그넷을 제2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격벽; 제2 베이스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격벽을 제2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편; 및 제2 베이스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되 도어 래치와 접촉되는 이동편; 을 포함하며, 도어 래치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에 의해 이동편이 밀려서 자력부가 개폐 감지부의 위치로 이동되어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가 접촉될 수 있다.
한편, 핸들 조립체는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부에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가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는, 그 내부에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를 마련하여, 핸들 손잡이의 회전 조작 만으로도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에 대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바로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잡한 과정 없이도 창호의 현재 상태를 단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는, 자석이 창틀에 마련되고 리드 스위치와 같은 센서가 창짝에 마련되는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창호의 열림/닫힘을 판단하기 위한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가 핸들 조립체의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디자인 적으로도 이점이 있고, 핸들 조립체의 설치는 물론이고 유지/보수도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는, 외부 서버를 통해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는 핸들 조립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창호의 상태를 빠르게 판단하고 창호를 열어야 하는지 닫아야 하는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의 핸들 손잡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 외부 서버 및 단말기의 정보 교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창호의 창틀(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짝(2)에 마련되어 창짝(2)을 열고 닫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회전축(111)을 갖는 핸들 손잡이(110),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삽입되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 감지부(160), 하우징(12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자력부(140) 및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자력부(140)를 개폐 감지부(16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150)를 포함한다.
핸들 손잡이(110)는 회전축(111)을 갖는다. 이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하우징(120)에 삽입된다.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하우징(120)의 타측에 결합된 제2 커버(124)의 시그널핀(130)과 연동된다. 이때, 시그널핀(130)은 창짝(2)의 내부에 마련된 로드부재(미도시)와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손잡이(110)가 위치되는 경우, 핸들 손잡이(110)의 초기 위치로 정의하며, 이때 핸들 손잡이(110)는 닫힘 상태가 되고 창짝(2)도 닫힘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손잡이(110)가 초기 위치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핸들 손잡이(110)는 열림 상태가 되고, 창짝(2)은 열림 상태가 된다. 여기서, 핸들 손잡이(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 손잡이(11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 손잡이(110)는 다시 닫힘 상태가 되고 창짝(2)은 닫힘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그널핀(130)의 내부에는 스프링과 같은 복귀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복귀부재는 핸들 손잡이(11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 회복력을 가진다.
즉, 시그널핀(130)의 내부에 마련된 복귀부재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1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사용자가 핸들 손잡이(110)에 어느 정도 힘을 가하게 되면 핸들 손잡이(110)는 사용자의 힘과 시그널핀(130)에 마련된 복귀부재에 의해 회전되기 전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핸들 조립체(10)의 케이스(case)를 의미하며, 핸들 손잡이(110)가 일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20)은 본체(121), 제1 커버(122) 및 제2 커버(124)를 포함한다.
본체(1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21)에는 도면에 도시된 부품 이외에 핸들 조립체(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21)의 일측은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된다.
본체(121)의 개방된 일측면에는 제1 커버(122)가 결합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21)의 일측면 전체가 개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커버(122)는 본체(121)의 개방된 일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커버(122)에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된다. 이를 위해, 제1 커버(122)의 일 영역에는 제1 관통홀(122a)이 마련된다. 제1 관통홀(122a)의 크기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 손잡이(110)는 제1 커버(122)와 결합될 때, 별도의 결합부재(112)를 이용한다. 다시 말해서, 핸들 손잡이(110)는 결합부재(112)에 의해 제1 커버(122)와 결합되고,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제1 커버(122)의 제1 관통홀(122a)을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1 커버(122)에는 후술할 자력부(140)와 접촉 여부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부(160)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감지부(160)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후술할 자력부(140)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이러한, 개폐 감지부(160)는 제1 베이스(161), 리드 스위치(162) 및 커넥터(163)를 포함한다.
제1 베이스(161)는 적어도 일 영역이 평평하게 형성된 판(plate)의 형태로,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리드 스위치(162)는 제1 베이스(161)에 마련되며 자력부(140)와 접촉에 따라 작동된다. 참고로, 리드 스위치(162)는 자성의 물체가 접촉되면 전류가 흐르는 일반적인 리드 스위치로 마련된다.
커넥터(163)는 리드 스위치(162)와 인접한 위치, 즉 제1 베이스(161)에 마련되며 리드 스위치(162)와 제어부(17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리드 스위치(162)와 연결되는 제어부(170)는 제1 커버(122)에 마련되되, 개폐 감지부(160)의 커넥터(163)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개폐 감지부(16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70)는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60)의 접촉에 따른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결과를 감지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70)는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60)의 접촉에 따라 개폐 감지부(160)로부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장착 커버(172)에 의해 제1 커버(122)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장착 커버(172)는 일종의 덮개를 의미하며, 제어부(170)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커버(122)에는 제어부(170)로 전달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25)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부(125)는 제어부(170)로 전송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5)는 제1 커버(122)의 상단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 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현재 상태가 닫힘의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5)가 빨간색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고, 제어부(170)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현재 상태가 열림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5)가 녹색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5)의 색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창호를 사용하는 환경 및 사용자에 따라 설정은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5)에는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에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이를 이용하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을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에 구비된 서버(20)로부터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10)는 외부에 마련된 서버(20)로부터 날씨 정보나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 받는다.
서버(20)로부터 수신 받은 날씨 정보와 실내 공기 정보는 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25)에 표시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현재 날씨 정보 또는 실내 공기 정보를 참고하여 창호를 열어야 하는지 또는 닫아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로부터 수신 받은 날씨 정보와 실내 공기 정보는 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25)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단말기(30) 또는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2, application) 으로 전달하여 수신 받은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호의 창짝(2)에 마련된 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25)를 확인하지 않고도 단말기(30) 및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현재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근거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을 판단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단말기(30)로 수신 받은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에 따라 창호를 자동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창호에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여 단말기(30) 및 어플리케이션(32)과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제1 커버(122)에는 배터리부(180)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부(180)는 디스플레이부(125) 및 제어부(170)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부(125) 및 제어부(170)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부(18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battery)로 마련되며,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일회성이며 완전히 방전된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한 비충전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배터리부(180)는 배터리 커넥터(182)에 의해 제어부(170) 또는 디스플레이부(125)와 연결된다.
한편, 본체(121)의 타측면에는 제2 커버(124)가 결합된다.
제2 커버(124)는 본체(121)의 타측면의 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본체(121)의 타측면 중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 만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버(124)는 본체(121)의 타측면 중에서 개방된 일부 영역 만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21)의 타측면의 개방된 일부 영역에는 도어 래치(150)가 위치된다.
즉, 제2 커버(124)는 본체(121)에 도어 래치(150)가 배치된 상태에서 본체(121)의 타측면 개방된 일부 영역에 대하여 결합된다.
도어 래치(150)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본체(121)의 타측면의 개방된 일부 영역에 형성된 래치 결합부(121a)에 배치된다.
도어 래치(150)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자력부(140)를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다시 말해서, 도어 래치(150)는 자력부(14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자력부(140)를 개폐 감지부(16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어 래치(150)에는 제2 관통홀(150a)이 마련된다. 제2 관통홀(150a)에는 제1 커버(122)의 제1 관통홀(122a)을 관통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의 일부분이 관통된다. 제1 관통홀(122a) 및 제2 관통홀(150a)을 차례로 관통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최종적으로 제2 관통홀(150a)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핸들 손잡이(110)를 회전하면 도어 래치(150)도 핸들 손잡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 래치(150)에 의해 이동되는 자력부(140)는 제2 커버(124)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부(140)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제2 커버(124)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개폐 감지부(160)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자력부(140)는 제2 베이스(143) 및 마그넷(142)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143)는 적어도 일 영역이 평평한 판(plate)의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커버(124)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마그넷(142)은 리드 스위치(162)와 접촉되어 리드 스위치(162)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이를 위해, 마그넷(142)은 자성을 가지는 소재로 마련되고, 제2 베이스에 마련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개폐 감지부(160) 쪽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2 베이스(143)는 격벽(143b), 지지편(143a) 및 이동편(143c)을 포함한다.
격벽(143b)은 제2 베이스(143)의 일면에 마련되며 마그넷(142)을 제2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부재이다.
격벽(143b)은 제2 베이스(143)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143b)은 소정 간격을 가지고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제2 베이스(143)에 대하여 마그넷(142)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격벽(143b)은 지지편(143a)에 의해 제2 베이스(143)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지지편(143a)은 제2 베이스(143)에 대하여 격벽(143b)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지지편(143a)은 제2 베이스(143)의 측면에 마련되되, 제2 베이스(143)의 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격벽(143b)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격벽(143b)이 지지편(143a)과 결합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격벽(143b)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벽(143b)이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격벽(143b)과 지지편(143a)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됨으로써 제2 베이스(143)에 대하여 마그넷(142)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편(143c)은 도어 래치(150)와 접촉되는 부재이다. 다시 말해서, 이동편(143c)은 제2 베이스(143)의 하단부에 제2 베이스(143)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되, 도어 래치(150)의 접촉부(150b)와 접촉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도어 래치(150)의 접촉부(150b)가 이동편(143c)과 완전히 접촉되어 이동편(143c)을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제2 베이스(142)의 일면과 이동편(143c) 사이는 직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124)에는 시그널핀(130)이 마련되며, 시그널핀(130)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홀(124a)이 마련된다.
장착홀(124a)은 시그널핀(130)과 함께 창짝(2)에 마련된 로드부재와 연결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과 로드부재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핸들 조립체(10)를 이용하여 창호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즉,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의해 도어 래치(150)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150)의 접촉부(150b)에 의해 이동편(143c)이 밀리게 된다. 그러면, 자력부(140)가 개폐 감지부(160)의 위치로 이동되고, 결국 마그넷(142)과 리드 스위치(162)가 접촉된다.
다시 말해서, 핸들 손잡이(110)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150)도 핸들 손잡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도어 래치(150)의 회전에 의해 자력부(140)가 개폐 감지부(160)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어 자력부(140)의 마그넷(142)과 개폐 감지부(160)의 리드 스위치(162)가 접촉된다.
여기서, 개폐 감지부(160)는 핸들 손잡이(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140)의 마그넷(142)과 개폐 감지부(160)의 리드 스위치(162)가 접촉될 때,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감지한다. 반대로, 개폐 감지부(160)는 핸들 손잡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140)와 개폐 감지부(160)의 리드 스위치(162)의 접촉이 해제될 때,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감지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핸들 조립체(10)의 내부에 마그넷(142)과 리드 스위치(162)를 마련하여,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 조작 만으로도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에 대한 결과는 디스플레이부(125)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바로 알려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잡한 과정없이도 창호의 현재 상태를 단번에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핸들 조립체
110: 핸들 손잡이
120: 하우징
125: 디스플레이부
130: 시그널핀
140: 자력부
150: 도어 래치
160: 개폐 감지부
170: 제어부
180: 배터리부

Claims (11)

  1.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를 열거나 닫기 위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자력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를 개폐 감지부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도어 래치;를 포함하고,
    개폐 감지부는, 핸들 손잡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와 개폐감지부가 접촉될 때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핸들 손잡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이 해제될 때,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은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된 면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일부 영역에는 도어 래치가 배치되는 본체;
    본체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며 개폐 감지부가 마련되는 제1 커버; 및
    본체의 타측면에 결합되되 도어 래치를 덮도록 배치되고, 자력부가 마련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제1 커버 및 본체에는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관통하여 배치된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은 도어 래치와 결합되는, 핸들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자력부와 개폐 감지부의 접촉에 따라 개폐 감지부로부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가 마련되는, 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개폐 감지부는,
    제1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베이스;
    제1 베이스에 마련되며 자력부와 접촉되면 동작하는 리드 스위치; 및
    제1 베이스에 마련되며 리드 스위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제어부로 전달된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고,
    디스플레이부는, 제1 하우징 커버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로 마련되는, 핸들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부가 마련되는, 핸들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자력부는,
    제2 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2 베이스; 및
    제2 베이스에 마련되며 리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 을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베이스는,
    제2 베이스의 일면에 마련되며 마그넷을 제2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격벽;
    제2 베이스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격벽을 제2 베이스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마련된 지지편; 및
    제2 베이스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되 도어 래치와 접촉되는 이동편; 을 포함하며,
    도어 래치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에 의해 이동편이 밀려서 자력부가 개폐 감지부의 위치로 이동되어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가 접촉되는, 핸들 조립체.
  11. 제7항에 있어서,
    핸들 조립체는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디스플레이부에 날씨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가 표시되도록 마련된, 핸들 조립체.
KR1020190167861A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KR10259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61A KR102593026B1 (ko)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861A KR102593026B1 (ko)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38A KR20210076538A (ko) 2021-06-24
KR102593026B1 true KR102593026B1 (ko) 2023-10-23

Family

ID=76607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861A KR102593026B1 (ko)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783A (ja) * 2001-07-16 2003-01-29 Ueda Japan Radio Co Ltd 施錠確認装置
KR101989325B1 (ko) * 2018-07-31 2019-06-1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의 창짝 개폐에 사용되는 분리형 핸들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724B1 (ko) 2017-11-28 2019-07-08 (주)거광기업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783A (ja) * 2001-07-16 2003-01-29 Ueda Japan Radio Co Ltd 施錠確認装置
KR101989325B1 (ko) * 2018-07-31 2019-06-1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의 창짝 개폐에 사용되는 분리형 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38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9969A1 (en) Multifunction Pass- Through Wall Power Plug with Communication Relay and Related Method
KR101618541B1 (ko) 통합형 안테나, 터치 작동부 및 광통신 장치를 갖는 무선 잠금장치
US9482032B2 (en) System for changing a locking state
CN101142367A (zh) 用于门窗的监控装置
WO2016012520A1 (en) Window status sensor system
US20180301021A1 (en) Self-configuring sensing device
KR102593026B1 (ko) 핸들 조립체
JP3837904B2 (ja) 火災報知設備の中継器
KR102593022B1 (ko) 핸들 조립체
US20220270451A1 (en) Casement window handle sensor
KR20210124624A (ko) 수동 및 자동 겸용 루버 장치
KR102593023B1 (ko) 핸들 조립체
KR102593025B1 (ko)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JPH1061273A (ja) 引戸用見張番システム
CN207144711U (zh) 一种智能窗户窗帘开启系统
US10395514B2 (en) Alarm pull station having a removable actuator cover
KR102593019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KR100648888B1 (ko) 건축물 창문틀 이용시설
GR20190100570A (el) Επαφη ανοιγομενων και ανακλινομενων πορτων και παραθυρων
JP2018120462A (ja) セキュリティ機器の着脱状態判別スイッチ
KR200193017Y1 (ko) 공중화장실의 사용중 표시장치
EP3421703A1 (en) Pressure sensor unit for a window or door
CN212105472U (zh) 一种检测门锁开关的装置
CN216053233U (zh) 一种防爆型手动火灾报警按钮
CN213810253U (zh) 一种用于显示座椅信息的重力感应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