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019B1 -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 Google Patents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019B1
KR102593019B1 KR1020210187311A KR20210187311A KR102593019B1 KR 102593019 B1 KR102593019 B1 KR 102593019B1 KR 1020210187311 A KR1020210187311 A KR 1020210187311A KR 20210187311 A KR20210187311 A KR 20210187311A KR 102593019 B1 KR102593019 B1 KR 10259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riker
lock switch
lock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615A (ko
Inventor
이인규
김준우
정봉환
최덕순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주식회사 윈스터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1018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1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은, 실내측 창짝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에 마련되며, 눌림 동작에 따라 창호를 개폐시키는 잠금 스위치, 실외측 창짝에 본체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스트라이커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부에 걸린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부와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된 걸림부 및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른 스트라이커부와 걸림부의 잠금 상태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WINDOW HANDLE WITH 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일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창호의 잠금이 가능하고, 창호의 개폐시 사용자에게 알람을 해줄 수 있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하면서, 햇빛을 차단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창호는 벽체에 마련되는 창틀과 창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창호를 개폐하는 창짝이 구비되고, 창짝에는 창짝을 열고 닫기 위한 창호 핸들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에는 핸들이 설치된다. 핸들은 창호의 창짝의 좌/우 끝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창을 열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핸들은 창호의 잠금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종래 핸들의 경우, 핸들의 로드부가 핸들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창짝 설계에 제한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핸들이 창짝의 외부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핸들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핸들은 창짝의 좌측과 우측의 끝단부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창호 부자재 수가 증가하여 결국 창호의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된다.
이에, 창호의 기본 기능을 유지하면서, 창짝에 대하여 실내측으로 노출되지 않아서 커튼이나 블라이드에 걸리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창호 개폐 상태에 따른 알람을 해줄 수 있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0165호(등록일: 2019.12.20.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닫힘 상태에서 두 개의 창짝이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창호로부터 실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람해줄 수 있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틀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창호를 개폐시키는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창호의 개폐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창호용 핸들에 있어서, 실내측 창짝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에 마련되며, 눌림 동작에 따라 창호를 개폐시키는 잠금 스위치, 실외측 창짝에 하우징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스트라이커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부에 걸린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부와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된 걸림부 및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른 스트라이커부와 걸림부의 잠금 상태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알람부는, 스트라이커부에 대한 걸림부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스트라이커부에 대한 걸림부의 잠금이 해제된 후에 다시 잠금 상태가 되는 경우에 잠금 상태에 해당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 및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부에 잠기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홈에는 잠금 스위치의 일면에 형성된 작동 돌기가 삽입 장착되고, 잠금 스위치의 누름 동작에 따라 베이스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후크는 잠금 스위치에 의해 베이스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트라이커부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고 베이스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에 잠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부는, 하우징부와 접하는 실외측 창짝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후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리도록 마련된 체결홈 및 하우징부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의 단부는 폐쇄면이고, 지지홈의 단부는 개방면으로 마련되며, 후크가 체결홈과의 잠금이 해제되면 체결홈의 일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체결홈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잠금 스위치가 눌리면 후크는 체결홈과 잠금이 해제되고, 후크와 스트라이커부의 잠금이 해제되어 실내측 창짝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후크는 체결홈으로부터 빠져나오고 가이드 부재는 지지홈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실내측 창짝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잠금 스위치는, 양 단부가 하우징부에 마련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장착블록에 결합되며 장착블록을 기준으로 양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걸림부는 잠금 스위치의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와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와 잠금될 수 있다.
하우징부에는 잠금 스위치의 눌림 상태를 기초로 잠금 스위치의 눌림 상태에 해당되는 신호를 알람부로 전송하는 회로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에는, 잠금 스위치의 작동 돌기가 관통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돌기홈이 추가로 마련되며, 돌기홈을 관통한 작동 돌기는 걸림부의 베이스의 결합홈에 삽입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부에는, 회로부와 연결되며, 알람부 및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틀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 및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창호의 개폐를 선택 가능하게 하며, 창호의 개폐 상태에 해당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을 포함하는,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내측 창짝은 닫힘 상태에서 창틀에 접촉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1 수직 프레임과 떨어져 위치한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실외측 창짝은 닫힘 상태에서 창틀에 접촉되는 제3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과 떨어져 위치하며, 닫힘 상태에서 제2 수직 프레임과 중첩되는 제4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은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4 수직 프레임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은, 종래 핸들과는 다르게, 창호의 중앙부에 하나가 설치되고 핸들의 로드부가 미설치되기 때문에 창호 제작비용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은, 창호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창호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커튼이나 블라이드에 걸리지 않고, 핸들의 기계적 작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폐 알람을 해줄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핸들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이 장착된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의 상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에서 스위치가 잠금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에서 스위치가 잠금 해제가 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은 창호(10)에 설치되어 창호(10)를 개폐하며, 창호(10)의 개폐 상태에 따른 알람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창호(10)는 창틀(11)과, 창틀(11)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내측 창짝(12) 및 실외측 창짝(14)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창틀(11)의 내부에 실내측 창짝(12) 및 실외측 창짝(14)으로 한정하였으나, 창짝(12,14)은 3개 또는 3개 이상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은 창틀(11)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창호(10)를 개폐시키는 실내측 창짝(12) 및 실외측 창짝(14)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창호(10)의 개폐를 선택 가능하게 한다.
이때, 실내측 창짝(12)은 닫힘 상태에서 창틀(11)에 접촉되는 제1 수직 프레임(12a), 제1 수직 프레임(12a)과 떨어져 위치한 제2 수직 프레임(12b)을 포함한다. 실외측 창짝(14)은 닫힘 상태에서 창틀(11)에 접촉되는 제3 수직 프레임(14a) 및 제3 수직 프레임(14a)과 떨어져 위치하며, 닫힘 상태에서 제2 수직 프레임(12b)과 중첩되는 제4 수직 프레임(14b)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는 제2 수직 프레임(12b) 및 제4 수직 프레임(14b)에 마련된다. 특히,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는 제2 수직 프레임(12b)의 제1 설치면(12c)와 제4 수직 프레임(14b)의 제2 설치면(14c)에 걸쳐서 마련된다.
이러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은 실내측으로 노출되더라도 실내측 창짝(12)의 측면에 마련된 제1 설치면(12c)과 실외측 창짝(14)의 측면에 마련된 제2 설치면(14c)에 설치됨으로써 실내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창호(10)의 주변에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설치하더라도 커튼이나 블라인드가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은 하우징부(110), 잠금 스위치(114), 스트라이커부(130) 및 걸림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10)는 실내측 창짝(12)의 일측에 마련된다.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후술할 잠금 스위치(114) 및 걸림부(120)가 위치된다.
하우징부(110)는 실내측 창짝(12)의 일측에 마련되는 하우징(111), 하우징(111)을 덮는 하우징 커버(112)를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 커버(112)에는 장착홈(112a)이 형성된다. 장착홈(112a)은 하우징 커버(112)에 관통 형성된다. 잠금 스위치(114)는 장착홈(1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112)에 고정된다.
잠금 스위치(114)는 눌림 동작에 따라 창호(10)의 개폐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잠금 스위치(114)의 내측면에는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가 형성된다. 참고로, 잠금 스위치(114)의 내측면에 형성된 2개의 작동 돌기(114a,l14b)는 후술할 걸림부(120)의 2개의 결합홈(122,123)에 각각 결합된다.
잠금 스위치(114)가 눌리면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가 결합된 결함홈(121,123)이 형성된 걸림부(12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예컨대, 잠금 스위치(114)가 눌려서 온(ON) 상태가 되면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 사이의 잠금이 해제되어 창호(10)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잠금 스위치(114)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 사이가 잠금되어 창호(10)가 폐쇄되게 된다.
한편, 잠금 스위치(114)는 양 단부가 하우징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부(110)의 하우징(111)에는 복수 개의 장착 블록(113)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장착 블록(113)은 두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장착 블록(113)은 잠금 스위치(114)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마련된다.
이에 따라, 잠금 스위치(114)의 양 단부가 복수 개의 장착 블록(113)의 각각에 잠금 스위치(114)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축(도면부호 미표기)이 결합되어 장착 블록(113)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참고로, 잠금 스위치(114)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텀블러 스위치(tumbler switch)의 형태로 마련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등 온/오프(ON/OFF) 가능한 스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잠금 스위치(114)의 일면에 사용자에 손이 끼워질 수 있는 그립부(grib-part)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스위치(114)에 그립부가 마련되는 경우,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을 이용하여 창호(10)를 잠금은 물론 창호를 개폐하는데에도 용이할 수 있다.
스트라이커부(130)는 실외측 창짝(14)의 일측에 하우징부(11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스트라이커부(130)에는 체결홈(132) 및 지지홈(133)이 형성된다.
체결홈(132)은 적어도 일 단부가 폐쇄면으로 마련되고, 지지홈(133)은 적어도 일 단부가 개방면으로 마련된다. 체결홈(132)에는 걸림부(120)의 후크(124)가 삽입되어 위치되고, 지지홈(133)에는 하우징부(110)의 가이드 부재(115)가 삽입된다.
가이드 부재(115)는 걸림부(120)의 후크(124)가 스트라이부(130)와의 잠금이 해제되어 실내측 창짝(12)이 개폐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 방향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걸림부(120)는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부(130)와 잠금되거나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걸림부(120)의 일부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부(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스트라이커부(130)에 걸린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동작에 따라 창호(10)를 개폐시킨다.
특히, 걸림부(120)는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온/오프(ON/OFF)에 의해 스트라이커부(130)와 잠금이 해제되거나 잠금이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잠금 스위치(114)가 눌려서 온(ON) 상태가 되면, 걸림부(120)는 스트라이커부(130)와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때,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 간의 잠금이 해제되어 실내측 창짝(12) 및 실외측 창짝(14)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실외측 창짝(14)은 이동되지 않고, 실내측 창짝(12) 만이 창틀(11)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된다.
반대로, 잠금 스위치(114)가 눌려서 오프(OFF) 상태가 되면, 걸림부(120)는 스트라이커부(130)와의 잠금이 유지된다. 이때,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 사이는 잠금 상태가 되어 실내측 창짝(12) 및 실외측 창짝(14)의 슬라이딩 이동은 더이상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걸림부(120)는 베이스(121)와 후크(124)를 포함한다.
베이스(121)는 하우징부(110)의 내부, 즉 하우징(111)에 마련되어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동작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베이스(121)에는 잠금 스위치(114)의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가 각각 결합되는 2개의 결합홈(122,123)이 관통 형성된다.
잠금 스위치(114)가 눌리게 되면, 잠금 스위치(114)의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와 결합된 결함홈(121,123)이 형성된 베이스(121)가 일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잠금 스위치(114)가 다시 반대로 눌리게 되면, 결합홈(122,123)에 삽입 장착된 잠금 스위치(114)의 작동 돌기(114a,114b)에 의해 베이스(121)가 타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참고로, 베이스(121)가 이동되는 일측 방향은 실내측 창짝(12)과 가까워지는 방향이고, 베이스(121)가 이동되는 타측 방향은 실외측 창짝(14)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후크(124)는 베이스(121)에서 스트라이커부(130) 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후크(124)는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동작에 의해 베이스(121)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스트라이커부(130)와 잠금이 해제되고, 베이스(121)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스트라이커부(130)와의 잠금이 유지된다.
한편, 후크(124)는 체결홈(132)에 삽입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지지홈(133)에는 하우징부(110)의 일측면에 스트라이커부(130)를 향해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115)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잠금 스위치(114)가 눌려서 온(ON) 상태가 되면, 체결홈(132)에 삽입된 후크(124)가 체결홈(132)의 일면으로부터 폐쇄면까지 상승됨으로써 결국 체결홈(132)과의 잠금이 해제된다.
후크(124)가 체결홈(132)에 대한 잠금이 해제되면 실내측 창짝(12)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후크(124)는 체결홈(13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또한, 지지홈(133)에 삽입된 가이드 부재(115)는 지지홈(133)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실내측 창짝(12)과 함께 이동되게 된다. 실내측 창짝(1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실내측 창짝(12)의 이동은 가이드 부재(115)에 의해 가이드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은 회로부(140) 및 알람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40)는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상태를 기초로 창호(10)의 상태에 해당되는 신호를 알람부(160)로 전송한다. 특히, 회로부(140)는 알람부(160)로 잠금 스위치(114)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전송한다.
이러한, 회로부(140)에는 2개의 돌기홈(141,142)이 관통 형성된다.
2개의 돌기홈(141,142)에는 잠금 스위치(114)에 형성되어 걸림부(120)의 결합홈(122,123)에 장착되는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가 삽입된다.
회로부(140)에 형성된 돌기홈(141,142)에 잠금 스위치(114)의 작동 돌기(114a,114b)가 삽입되어 위치됨에 따라, 작동 돌기(114a,114b)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작동 돌기(114a,114b)의 이동 위치에 따라 창호(10)가 잠금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회로부(140)는 잠금 스위치(114)가 눌려서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가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해당되는 신호를 알람 회로부(150)로 전송하게 된다. 참고로, 알람 회로부(150)로 전송된 알람 신호는 알람부(160)로 전달되어 창호(10)의 개폐 상태에 해당되는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참고로, 회로부(140)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또는 인쇄배선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 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부(140)에는 알람 회로부(150)가 별도로 마련되고, 알람 회로부(105)는 알람부(160)와 연결된다.
알람부(160)는 회로부(140) 및 알람 회로부(15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창호(10)의 개폐 상태에 따른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부(160)는 후술할 배터리 장착부(116)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알람부(160)는 회로부(140)에 의해 감지된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 동작에 따른 창호(10)의 개폐 상태를 해당되는 신호를 전송 받아서 알람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서, 알람부(160)는 잠금 스위치(114)의 눌림에 따라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거나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알람을 발생시킨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부(160)는 하우징 커버(112)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LED 일 수 있으나, 스피커(speaker) 등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창호(10)의 개폐 상태를 소리로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은 배터리 장착부(1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장착부(116)는 회로부(140)와 연결된다. 배터리 장착부(116)에는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어 회로부(140) 및 알람부(160)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 장착부(116)에는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장착부(116)에는 교체가 가능한 배터리 대신에,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가 장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잠금 스위치(114)가 창호(10)의 닫힘(오프; OFF)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114)가 눌리면 창호(10)를 개방할 수 있는 잠금 해제(온; ON) 상태가 된다.
잠금 스위치(114)를 누르면, 2개의 결합홈(122,123)에 장착된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에 의해 걸림부(120)의 베이스(121)가 실내측 창짝(12)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스트라이커부(130)와 후크(124)의 잠금이 해제되어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이 서로 구속이 해제된 상태, 즉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내측 창짝(12) 또는 실외측 창짝(14)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창호(1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실내측 창짝(12) 또는 실외측 창짝(14)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서 창호(10)를 폐쇄시킨다.
이때, 잠금 스위치(114)를 다시 누르게 되면, 2개의 결합홈(122,123)에 장착된 2개의 작동 돌기(114a,114b)를 통해서 걸림부(120)의 베이스(121)가 실외측 창짝(14)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후크(124)가 스트라이커부(130)와 다시 잠금 상태가 되어 실내측 창짝(12)과 실외측 창짝(14)이 서로 구속되는 상태, 즉 잠금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는, 종래 핸들과는 다르게, 창호의 중앙부에 하나가 설치되고 핸들의 로드부가 미설치되기 때문에 창호 제작비용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100)는, 창호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창호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서 커튼이나 블라이드에 걸리지 않고, 핸들의 기계적 작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폐 알람을 해줄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핸들의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1: 창틀
12: 실내측 창짝 12a: 제1 수직 프레임
12b: 제2 수직 프레임 12c: 제1 설치면
14: 실외측 창짝 14a: 제3 수직 프레임
14b: 제4 수직 프레임 14c: 제2 설치면
100: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110: 하우징부 111: 하우징
112: 하우징 커버 112a: 장착홈
113: 회동 블록 114: 잠금 스위치
114a, 114b: 작동 돌기 115: 가이드 부재
116: 배터리 장착부 120: 걸림부
121: 베이스 122,123: 결합홈
124: 후크 130: 스트라이커부
131: 본체 132: 체결홈
133: 지지홈 140: 회로부
141,142: 돌기홈 150: 알람 회로부
160: 알람부

Claims (13)

  1. 창틀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창호를 개폐시키는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 마련되어 창호의 개폐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창호용 핸들에 있어서,
    실내측 창짝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에 마련되며, 눌림 동작에 따라 창호를 개폐시키는 잠금 스위치;
    실외측 창짝에 하우징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스트라이커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부에 걸린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부와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된 걸림부; 및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른 스트라이커부와 걸림부의 잠금 상태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를 포함하고,
    걸림부는,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 및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부에 잠기는 후크를 포함하며,
    스트라이커부는, 하우징부와 접하는 실외측 창짝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후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리도록 마련된 체결홈, 및 하우징부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결합홈에는 잠금 스위치의 일면에 형성된 작동 돌기가 삽입 장착되고,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베이스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후크는, 잠금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베이스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트라이커부와 잠금이 해제되고, 잠금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베이스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와의 잠금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알람부는,
    스트라이커부에 대한 걸림부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스트라이커부에 대한 걸림부의 잠금이 해제된 후에 다시 잠금 상태가 되는 경우에 잠금 상태에 해당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체결홈의 단부는 폐쇄면이고, 지지홈의 단부는 개방면으로 마련되며,
    후크가 체결홈과의 잠금이 해제되면 체결홈의 일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체결홈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7. 제6항에 있어서,
    잠금 스위치가 눌리면 후크는 체결홈과 잠금이 해제되고, 후크와 스트라이커부의 잠금이 해제되어 실내측 창짝이 일 방향으로 이동되면 후크는 체결홈으로부터 빠져나오고 가이드 부재는 지지홈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실내측 창짝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8.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스위치는,
    양 단부가 하우징부에 마련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장착블록에 결합되며 장착블록을 기준으로 양 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걸림부는 잠금 스위치의 회동되는 방향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와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와 잠금되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부에는 잠금 스위치의 눌림 상태를 기초로 잠금 스위치의 눌림 상태에 해당되는 신호를 알람부로 전송하는 회로부가 추가로 마련되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10. 제9항에 있어서,
    회로부에는,
    잠금 스위치의 작동 돌기가 관통되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돌기홈이 추가로 마련되며,
    돌기홈을 관통한 작동 돌기는 걸림부의 베이스의 결합홈에 삽입 장착되도록 마련된,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11. 제9항에 있어서,
    하우징부에는,
    회로부와 연결되며, 알람부 및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가 추가로 마련되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12. 창틀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 및
    실내측 창짝 및 실외측 창짝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창호의 개폐를 선택 가능하게 하며, 창호의 개폐 상태에 해당되는 알람을 발생시키는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을 포함하고,
    창호용 핸들은,
    실내측 창짝에 설치되는 하우징부;
    하우징부에 마련되며, 눌림 동작에 따라 창호를 개폐시키는 잠금 스위치;
    실외측 창짝에 하우징부와 중첩되도록 마련된 스트라이커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부에 걸린 상태에서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스트라이커부와 잠금이 해제되도록 마련된 걸림부; 및
    하우징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른 스트라이커부와 걸림부의 잠금 상태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걸림부는, 하우징부의 내부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홈, 및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스트라이커부 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부에 잠기는 후크를 포함하며,
    스트라이커부는, 하우징부와 접하는 실외측 창짝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후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걸리도록 마련된 체결홈, 및 하우징부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결합홈에는 잠금 스위치의 일면에 형성된 작동 돌기가 삽입 장착되고,
    잠금 스위치의 눌림 동작에 따라 베이스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며,
    후크는, 잠금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베이스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스트라이커부와 잠금이 해제되고, 잠금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베이스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트라이커부와의 잠금이 유지되도록 마련된, 창호.
  13. 제12항에 있어서,
    실내측 창짝은 닫힘 상태에서 창틀에 접촉되는 제1 수직 프레임 및 제1 수직 프레임과 떨어져 위치한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실외측 창짝은 닫힘 상태에서 창틀에 접촉되는 제3 수직 프레임 및 제3 수직 프레임과 떨어져 위치하며, 닫힘 상태에서 제2 수직 프레임과 중첩되는 제4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은 제2 수직 프레임 및 제4 수직 프레임에 걸쳐서 마련되는, 창호.
KR1020210187311A 2021-12-24 2021-12-24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KR102593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11A KR102593019B1 (ko) 2021-12-24 2021-12-24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11A KR102593019B1 (ko) 2021-12-24 2021-12-24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15A KR20230097615A (ko) 2023-07-03
KR102593019B1 true KR102593019B1 (ko) 2023-10-24

Family

ID=8715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11A KR102593019B1 (ko) 2021-12-24 2021-12-24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783A (ja) * 2001-07-16 2003-01-29 Ueda Japan Radio Co Ltd 施錠確認装置
CN206205608U (zh) * 2016-11-17 2017-05-31 广东格兰科五金制品有限公司 推拉门窗的自碰拉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614A (ko) * 2000-09-23 2002-03-29 이종민 도어 잠금장치
KR102060165B1 (ko) 2018-09-28 2019-12-27 주식회사 케이씨씨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7783A (ja) * 2001-07-16 2003-01-29 Ueda Japan Radio Co Ltd 施錠確認装置
CN206205608U (zh) * 2016-11-17 2017-05-31 广东格兰科五金制品有限公司 推拉门窗的自碰拉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15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4433B2 (ja) 上げ下げ窓
JP2011529145A (ja) 窓の施錠装置
JP4875953B2 (ja) 開閉手段を備える開口部装置
KR102593019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창호용 핸들
KR100718290B1 (ko) 자동방범기능을 갖춘 건축용 창구조
KR100645489B1 (ko) 전자식 금고비
KR101645522B1 (ko) 방범기능을 갖춘 실내용 개폐문틀
KR102110347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절첩식 방충망 도어
JP2007092407A (ja) 開閉ドア
JP2018009437A (ja) 建具
JP2023045539A (ja) 玄関ドア照明装置
JP2003003716A (ja) サッシ窓の施錠装置
JP2005068775A (ja) スイッチボックス
JPH0518479Y2 (ko)
KR200141844Y1 (ko) 리모콘 수납장치가 부설된 에어콘
KR200376153Y1 (ko)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 잠금장치.
JPS6035757Y2 (ja) 防犯扉
JP2008138487A (ja) 引き違い戸用錠
KR20110023414A (ko) 방충 및 방범 겸용 도어 구조
KR20180061627A (ko) 미닫이형 이중창문
JPH0310297Y2 (ko)
JPH0529326Y2 (ko)
KR100374769B1 (ko) 조적식 주택의 다기능 중창
JPS6244054Y2 (ko)
KR200476404Y1 (ko) 강화유리문의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