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774A -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774A
KR20210076774A KR1020190168304A KR20190168304A KR20210076774A KR 20210076774 A KR20210076774 A KR 20210076774A KR 1020190168304 A KR1020190168304 A KR 1020190168304A KR 20190168304 A KR20190168304 A KR 20190168304A KR 20210076774 A KR20210076774 A KR 20210076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nit
opening
window
hand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023B1 (ko
Inventor
구관서
서상훈
차순도
명제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68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0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16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distance of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0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rotat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핸들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조립체는,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내부에 배터리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차단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차단부를 개폐 감지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를 포함하고,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는 도어 래치의 회전에 따른 개폐 감지부에 대한 차단부의 위치를 통해 감지되며, 충전부는 핸들 조립체의 외부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충전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에 의해 배터리부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들 조립체{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실내외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전력을 갖는 배터리를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체의 역할을 하면서, 햇빛을 차단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창호는 벽체에 마련되는 창틀과 창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창호를 개폐하는 창짝이 구비되고, 창짝에는 창짝을 열고 닫기 위한 창호 핸들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호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잠금 장치는 일반적으로, 핸들의 회동에 연동하여 승강하는 로드의 상하측으로 훅을 고정하고 창틀에는 훅이 내입 걸립되는 스트라이크(striker)를 설치하여 창문을 잠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잠금 장치는 핸들을 수직방향으로 세웠을 때 언록킹되고, 핸들을 회동시킬 때 로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창호가 외부에서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창호 핸들의 위치로도 창호의 록킹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도난 등의 위험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이용하여 주거생활의 환경편의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발달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센서기술 등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환기가 필요한 경우 창호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 시켰으나, 최근 급속한 산업화로 인하여 실내외 공기 질이 나빠지면서 실내 공기 정보는 물론이고 실외 공기 정보도 함께 참고하여 창호를 개방해야 한다.
이에, 창호에 사물인테넷 방식을 접목시켜 단순한 개폐 기능뿐만 아니라, 실외 공기 정보 및 실내 공기 정보에 따라 창호를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종래에도 창호를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개폐 장치는 창호의 창짝과 창틀에 걸쳐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창호의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유지/보수에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창호를 열 닫기 위한 창호 핸들은 방전 시 교체해야 하는 교체식 배터리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종래 창호 핸들의 배터리는 충전주기가 짧은 것은 물론, 짧은 교체 주기로 인하여 배터리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교체식 배터리가 탑재되기 때문에 창호 핸들의 크기와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창호의 기본 기능을 유지하면서, 창호의 열림/닫힘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실내외 공기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창호의 열림/닫힘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충전이 가능한 창호 핸들을 포함하는 창호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1-0090077(2011.04.21.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손잡이의 조작 만으로도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를 무선 방식으로 여러 번 충전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외 공기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정보를 통해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정보와 수신 받은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내부에 배터리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차단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차단부를 개폐 감지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를 포함하고,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는 도어 래치의 회전에 따른 개폐 감지부에 대한 차단부의 위치를 통해 감지되며, 충전부는 핸들 조립체의 외부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충전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에 의해 배터리부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마련된, 핸들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개폐 감지부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센서를 포함하며, 핸들 손잡이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도 핸들 손잡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도어 래치의 회전에 의해 차단부가 개폐 감지부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 감지부는, 핸들 손잡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개폐 감지부의 위치로 이동된 차단부에 의해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빛이 감지되면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핸들 손잡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이 이동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된 차단부에 의해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지 않아서 개폐 감지부를 통해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충전부는 무선충전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으며, 무선충전장치는 충전부와 전자기파(RF) 방식으로 연결되어 충전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장치는, 태양광 패널 또는 일반 전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장치는, 전력을 충전부로 공급하기 전에 대기하는 대기 모드와, 핸들 조립체의 배터리 전력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충전부로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충전 모드; 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하우징은, 일단부가 개방면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폐쇄면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의 일부 영역에는 도어 래치가 배치되는 몸체;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개폐 감지부가 마련된 제1 커버; 및 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도어 래치를 덮도록 배치되며, 차단부가 구비된 제2 커버; 를 포함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은 몸체 및 제1 커버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몸체 및 제1 커버를 관통한 회전축은 도어 래치와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제1 커버에는,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은 차단부에 의해 반사된 경우, 개폐 감지부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에는, 제어부에서 수신 받은 결과에 해당되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 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에는,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질감지부가 마련되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실외 공기 정보와 공기질감지부로부터 수신 받은 실내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환기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일면에 표시되도록 LCD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핸들 조립체에서 디스플레이부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LED로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조립체에서, 차단부는, 제2 커버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마련되며 개폐 감지부의 광센서에서 발생된 빛을 차단시켜 개폐 감지부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부재; 를 포함하고, 베이스에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되 도어 래치와 접촉되도록 마련된 이동편; 이 구비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도어 래치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에 의해 이동편이 밀려서 반사부재가 개폐 감지부의 위치로 이동되고, 이동된 반사부재는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을 차단하여 개폐 감지부로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에는, 개폐 감지부에 의해 창호가 열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창호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의한 충격에 의해 변화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감지부는, 창호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창호의 진동에 의해 창틀과 창짝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창호의 열림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는, 핸들 손잡이의 회전 만으로도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는, 충전부를 통해 배터리에 자동적으로 상시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충전주기 및 교체와 같은 유지 및 보수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정보, 실내 공기 정보, 실외 공기 정보 및 실내외 공기 정보를 통한 환기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창호를 열고 닫음에 대한 선택을 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 서버 및 단말기의 정보 교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가 창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한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른 개폐 감지부 및 차단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감지부, 공기질 감지부, 제어부, 디스플레이부, 진동 감지부, 배터리부 및 충전부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와 서버 및 단말기의 정보 교환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와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방식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및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핸들 조립체와 무선충전장치의 충전 방식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및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핸들 조립체(10)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이 적용된다.
이에 따라, 핸들 조립체(10)는 창호를 열거나 닫기 위한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며, 실내외 공기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이, 핸들 조립체(10)는 외부에 마련된 서버(20)로부터 미세먼지, 눈, 비 등의 날씨를 포함하는 실외 공기 정보를 수신 받는다.
핸들 조립체(10)는 무선충전장치(40)에 의해 외부 전력을 실시간으로 공급 받아 배터리부(190)가 무선으로 충전되며, 이를 통해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 정보와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고, 서버(20)로부터 실외 공기 정보를 수신 받으며, 감지한 실내 공기 정보와 수신 받은 실외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환기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30) 및 단말기(3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32)으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단말기(30)를 통해 확인한 현재 창호의 열림/닫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실내 공기 정보, 실외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를 참고하여 창호의 열고 닫음을 선택한다.
참고로, 사용자는 단말기(30) 뿐만 아니라 상술한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도 있다.
한편, 핸들 조립체(10)는 이를 통해 일반 모드 및 외출 모드를 포함하는 창호의 방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범 기능의 일반 모드는, 핸들 조립체(10)를 통해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정보를 단말기(30) 및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으로 제공하여 알려준다. 사용자는 단말기(30)를 통해 집에 있더라도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범 기능의 외출 모드는, 사용자가 단말기(30)를 통해 설정한다.
창호가 외출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창호의 열림이 감지되는 경우에 단말기(30)로 창호의 현재 상태를 알려준다. 이때, 사용자가 단말기(30)를 통해 집 안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보안 업체에 연락하거나 집에 설치된 방범 카메라 등을 통해 다시 확인하고 다른 가족이나 제3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0)는 창호(미도시)의 창틀(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짝(2)에 마련되어 창짝(2), 즉 창호를 열고 닫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회전축(111)을 갖는 핸들 손잡이(110),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삽입되며, 내부에 배터리부(190)가 마련되는 하우징(120),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감지부(130), 하우징(12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차단부(140) 및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차단부(140)를 개폐 감지부(13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116)를 포함한다.
이때, 핸들 조립체(10)는 핸들 손잡이(110)와 함께 회전된 도어 래치(116)의 회전에 따른 개폐 감지부(130)에 대한 차단부(140)의 위치를 통해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부(194)는 핸들 조립체(10)의 외부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4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충전장치(40)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에 의해 배터리부(190)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만으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위한 핸들 조립체(10)에 전력이 자동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핸들 조립체(10)를 사용함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핸들 손잡이(110)는 회전축(111)을 갖는다. 핸들 손잡이(110)는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하우징(120)의 하측에 결합된 제2 커버(124)의 시그널핀(128)과 연동된다. 이때, 시그널핀(128)은 창짝(2)의 내부에 마련된 로드부재(미도시)와 결합된다.
한편, 핸들 손잡이(110)가 도 2 및 도 3의 (a)와 같은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 손잡이(110)의 위치는 초기 위치가 된다. 이때, 창짝(2)은 창틀(1)과 접촉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창호는 닫힘 상태가 된다.
반대로, 핸들 손잡이(110)가 도 3의 (b)와 같은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 손잡이(110)는 초기 위치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창호는 창짝(2)이 창틀(1)과의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는 열림 상태가 된다.
참고로, 핸들 손잡이(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 손잡이(11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창호는 다시 초기 위치로 돌아간 핸들 손잡이(110)에 의해 창짝(2)과 창틀(1)이 접촉되는 닫힘 상태가 된다.
F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시그널핀(128)의 내부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마련되는 복귀부재(미도시)가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복귀부재는 시그널핀(128)의 내부에서 시그널핀(128)이 일 방향으로만 회전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 손잡이(1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난 뒤에, 핸들 손잡이(110)에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면 핸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가한 힘과 복귀부재가 마련된 시그널핀(128)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마련되는 하우징(120)은 핸들 조립체(10)의 케이스(case)를 의미한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몸체(121), 제1 커버(122) 및 제2 커버(124)를 포함한다.
몸체(121)에는 핸들 손잡이(110), 즉 핸들 조립체(10)의 작동을 위한 부품들이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몸체(121)는 일단부가 개방면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폐쇄면으로 형성된다. 몸체(121)의 타단부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몸체(121)의 일단부와 같은 개방면으로 형성되고, 개방면으로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폐쇄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몸체(121)의 일단부에는 제1 커버(122)가 결합된다.
제1 커버(122)는 몸체(121)의 일단부 전체를 덮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1 커버(122)는 몸체(121)와 동일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제1 커버(122)에는 제1 관통부(122a)가 마련된다. 제1 관통부(122a)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제1 커버(122)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1 커버(122)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이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회전축(111)의 직경보다는 큰 크기로 마련된다.
제1 커버(122)와 핸들 손잡이(110)는 별도의 결합부재(112)를 통해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결합부재(112)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핸들 손잡이(110)가 제1 커버(122)에 대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7 참조하면, 제1 커버(122)에는 개폐 감지부(130)가 마련된다.
개폐 감지부(130)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후술한 차단부(140)에 의해 핸들 손잡이(11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개폐 감지부(130)는 장착플레이트(131), 광센서(132) 및 커넥터(133)를 포함한다.
장착플레이트(131)는 적어도 일면이 평평하게 마련된 판(plate)의 형태로,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광센서(132)는 장착플레이트(131)에 배치되며, 차단부(140)에 의해 반사된 빛을 감지한다. 참고로, 광센서(132)는 일반적인 사용되는 수광부(미도시) 및 발광부(미도시)를 갖는 광센서로 마련된다.
커넥터(133)는 장착플레이트(131)에 배치되되 광센서(132)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어 광센서(132)와 후술할 제어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제1 커버(122)에 마련되어 개폐 감지부(130)에서 빛을 감지한 경우에 감지한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50)는 개폐 감지부(130)로부터 수신 받은 결과에 따라 현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서버(20), 단말기(30) 및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60)로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150)에는 제어부(150)를 보호하기 위한 장착 커버(152)가 씌워진다.
다시 말해서, 장착 커버(152)는 일종의 제어부(150)의 덮개로서, 제어부(150)를 보호한다. 이를 위해, 장착 커버(152)는 제어부(150)와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커버(122)에는 공기질감지부(170)가 마련된다. 공기질감지부(170)는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이러한, 공기질감지부(170)는 V0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 CO2(이산화탄소), 온도,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마련된다.
참고로, 공기질감지부(17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어부(150)는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현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와 공기질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 받는다.
제어부(150)는 수신 받은 정보를 단말기(30),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 및 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로 전송하여, 해당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우선, 제어부(150)가 수신 받은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전송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15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 받는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커버(122)에 마련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제어부(150)로부터 현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창호를 열어야 하는지 닫아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어부(150)는 개폐 감지부(130)로부터 현재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와 공기질감지부(170)로부터 실내 공기 정보를 수신 받는 것 뿐만 아니라, 서버(20)로부터 미세먼지,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실외 공기 정보를 수신 받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서버(20)로부터 수신 받은 실외 공기 정보, 공기질감지부(170)로부터 수신 받은 실내 공기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 받은 실외 공기 정보와 공기질감지부(170)로부터 수신 받은 실내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형성된 환기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로 전송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는 LED(161)로 마련될 수도 있고, LCD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0)는 제1 커버(122)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되는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161)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창호의 현재 상태가 닫힘 상태 인 경우, LED(161)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60)가 빨간색으로 발광되도록 한다.
반대로, 제어부(150)로부터 수신 받은 창호의 현재 상태가 열림 상태인 경우, LED(161)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60)가 녹색으로 발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부(160)의 LED(161)의 발광 색상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과는 다르게, 디스플레이부(160)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정보가 그 일면에 표시되도록 LCD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로 마련된 디스플레이부(160)에는 V0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농도, CO2(이산화탄소)의 농도, 온도, 습도,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실내 공기, 실외 공기 및 환기 가이드 에 대한 정보가 문자, 그림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부(160)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LED 및 LCD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고, 창호의 현재 상태를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50)는 수신 받은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를 단말기(30) 및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으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창호에 마련된 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를 확인하지 않고도 단말기(30) 및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서 현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창호를 열지 말지를 선택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단말기(30)로 수신 받은 현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및 환기 가이드 정보에 따라 창호를 자동적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창호에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여 단말기(30) 및 어플리케이션(32)과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20)의 제1 커버(122)에는 배터리부(190)가 마련된다.
배터리부(19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battery)로,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일회성이며 완전히 방전된 경우에는 교체가 필요한 비충전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부(190)는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로 마련된다.
배터리부(190)는 배터리 커넥터(192)에 의해 제어부(150) 또는 디스플레이부(160)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부(190)와 배터리 커넥터(192)를 포함하여 배터리 어셈블리 라고 통칭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배터리부(190)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배터리부(190)를 충전하는 충전부(19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충전부(194)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제1 커버(122)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190)를 충전한다.
이때, 충전부(194)는 외부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40)와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고, 공급 받은 전력에 의해 배터리부(190)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충전부(194)를 이용한 배터리부(190)를 충전하는 방식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부(194)는 배터리부와 연결되어 배터리부로 전력을 공급한다.
무선충전장치(40)는 전력원(태양광, 일반 전원) 등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 받은 전원을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부(194)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부(194)와 무선충전장치(40)는 전자기파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 받는다.
참고로,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부(194)는 전력을 수신 받는 수신기(receiver) 이고, 무선충전장치(40)는 전력을 송신하는 송신기(transmitter) 이다.
한편,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 받기 위한 방식에는 자기공진방식, 자기유도방식, 전자기파(RF 빔) 방식이 있다.
자기공진방식은 송수신 공진기 간의 자기 공진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송거리는 10m 이내 이며, 전송효율은 1m에서 90%, 2m에서 40%를 갖는다. 또한, 자기유도방식은 송수신 코일 간의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송거리는 수 mm 내외 이며, 전송효율은 수 mm 이내 90% 를 갖는다.
반면, 전자기파 방식은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송수신 안테나 간의 방사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전송거리는 수 km 내외 이며, 전송 효율은 10 ~ 50% 정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배터리부(190)의 충전을 위한 충전부(194)가 외부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40)와 전자기파 방식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자기공진방식이나 자기유도방식에 비하여 전력의 전송 거리 및 전송 효율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이점에 따라, 벽이나 천장에 무선충전장치(40)를 빌트-인(built-in)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충전장치(40) 만으로도 여러 대의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를 충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충전장치(40)는 외부 전력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 받는다.
무선충전장치(4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에 의해 충전되는 태양광 패널(42)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 받을 수도 있다.
무선충전장치(40)로 공급되는 전력원의 차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에서와같이, 무선충전장치(40)에서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부(194)로 전력을 송신하는 방법(S100, S200)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무선충전장치(40)가 태양광 패널(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력 송신 방법(S100)으로 수행된다.
먼저, 무선충전장치(40)는 전력을 충전부(194)로 공급하기 전에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110). 즉, 무선충전장치(40)를 이용한 무선 충전은 대기모드 상태로 시작된다.
이때, 무선충전장치(40)는 충전부(194)로 전력 공급을 시작하지 않고, 무선충전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
그 다음, 무선충전장치(40)의 전력원인 태양광 패널(42)의 발전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한다(S120).
예를 들어, 태양광은 기후, 계절, 낮과 밤에 따라 태양광량이 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42)의 발전량이 충분한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만약, 태양광 패널(42)의 발전량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무선충전장치(40)의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 간다.
그 다음,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판단한다(S130).
핸들 조립체(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적어도 30% 이상의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잔량 판단 단계(S130)에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30%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참고로, 배터리 잔량(%)은 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 조립체(10)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30% 미만인 경우, 무선충전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 간다.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30% 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모드의 동작을 시작한다(S140). 이때, 무선 충전모드 동작 단계(S140)에서는,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측정한다.
그 다음, 무선 충전모드의 동작 단계(S140)를 수행한 후에,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판단한다(S150).
이때, 판단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75%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핸들 조립체(10)를 동작하기 위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충분하다고 보고 더 이상 배터리부(190)가 충전되지 않도록 무선 충전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 간다.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75%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은, 핸들 조립체(10)가 작동되기에 충분한 배터리부(190)의 전력량이 75% 정도면 충분하게 된다.
한편, 판단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75%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량을 판단한다(S160).
이때, 핸들 조립체(10)에 무선 충전을 시작한지 대략적으로 1시간 후에 충전량을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 경과 후 배터리부(190)의 충전량을 판단하는 단계(S160)에서는 기후, 계절, 낮/밤 등에 따라 배터리부(190)의 충전량을 판단한다.
만약,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충전량이 1%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배터리부(190)의 충전 횟수 당 충전량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부(190)에 1% 이상 충전이 안된 충전 횟수가 3회 이상인 경우 무선 충전 대기 모드 단계(S110)로 되돌아 간다.
이때, 배터리부(190)의 결함 또는 이상 유무를 판단한 후에 다시 무선 충전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반대로,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충전량이 1%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충전 모드 동작 단계(S140)를 통해 배터리부(190)를 충전한다.
한편, 무선충전장치(40)가 일반 전원(4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력 송신 방법(S200)으로 수행된다.
먼저, 무선충전장치(40)는 충전부(194)로 전력을 송신하기 전에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210).
이때, 무선충전장치(40)는 충전부(194)로 전력 송신을 시작하지 않고,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 다음,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판단한다(S220).
핸들 조립체(1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적어도 30%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단계에서는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30%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참고로, 배터리 잔량(%)은 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 조립체(10)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만약,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30% 미만인 경우, 무선충전 대기 모드 단계(S210)로 되돌아 간다.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30% 를 초과하는 경우, 무선 충전모드의 동작을 시작한다(S230). 이때, 무선 충전모드 동작 단계(S230)에서는, 핸들 조립체(10)의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측정한다.
그 다음, 무선 충전모드의 동작 단계(S230)를 수행한 후에,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판단한다(S240).
이때, 판단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75%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핸들 조립체(10)를 동작하기 위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충분하다고 보고 더 이상 배터리부(190)가 충전되지 않도록 무선 충전 대기 모드 단계(S210)로 되돌아 간다.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75%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은, 핸들 조립체(10)가 작동되기에 충분한 배터리부(190)의 전력량이 75% 정도면 충분하게 된다.
배터리부(190)의 잔량을 판단하는 단계(S240)에서의 판단 수치는 핸들 조립체(10)를 사용하는 환경 및 이를 설정하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판단된 배터리부(190)의 잔량이 75%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핸들 조립체(10)의 충전량을 판단한다(S250).
이때, 핸들 조립체(10)에 무선 충전을 시작한지 대략적으로 1시간 후에 충전량을 판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21)의 타단부에는 제2 커버(124)가 결합된다.
제2 커버(124)는 몸체(121)의 타단부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몸체(121)의 타단부는 일부 영역 만이 개방면으로 형성되는데, 제2 커버(124)는 개방면에 결합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몸체(121)의 타단부의 개방된 일부 영역에는 도어 래치(116)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 커버(124)는 몸체(121)에 도어 래치(116)가 위치된 상태에서 몸체(121)의 타단부의 개방된 일부 영역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래치(116)는 하우징(120)의 타단부, 즉 몸체(121)의 타단부의 개방된 일부 영역에 형성된 래치 결합부(121a)에 배치된다.
이때, 도어 래치(116)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후술할 차단부(140)를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도어 래치(116)는 차단부(14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따라 차단부(140)를 개폐 감지부(130) 측으로 이동시킨다.
도어 래치(116)에는 제2 관통부(121a)가 마련된다. 제2 관통부(121a)에는 제1 커버(122)의 제1 관통부(122a)를 관통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의 일부분이 관통된다. 제1 관통부(122a) 및 제2 관통부(121a)를 차례로 관통한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축(111)은 최종적으로 제2 관통부(121a)에 결합된다.
따라서, 핸들 손잡이(1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 래치(116)도 핸들 손잡이(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래치(116)에 의해 이동되는 차단부(140)는 제2 커버(124)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40)는 하우징(120)의 내부, 즉 제2 커버(124)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의해 개폐 감지부(130) 쪽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차단부(140)는 베이스(141) 및 반사부재(142)를 포함한다.
베이스(141)는 제2 커버(124)의 내측면에 반사부재(142)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베이스(141)는 제2 커버(124)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베이스(141)는 적어도 일 영역이 평평한 판(plate)의 형태로 형성되어 반사부재(142)와 같은 부품의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
반사부재(142)는 개폐 감지부(130)의 광센서(132)에서 발생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부재이다. 다시 말해서, 반사부재(142)는 베이스(141)에 마련되며, 개폐 감지부(130)의 광센서(132)로부터 발생된 빛을 차단시키되 개폐 감지부(130)를 쪽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반사부재(142)는 광센서(132)에서 발생된 빛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넓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반사부재(142)가 광센서(132)에서 발생된 빛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짧은 가로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경우, 광센서(132)에서 발생된 빛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완전히 잘못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141)는 지지편(141a) 및 이동편(141c)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편(141a)은 베이스(141)에 대하여 반사부재(142)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지지편(141a)은 베이스(141)의 측면에 마련되되, 베이스(141)의 일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편(141a)은 반사부재(142)의 적어도 일면과 결합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지편(141a)에는 격벽(141b)이 결합되고, 반사부재(142)는 격벽(141b)에 의해 베이스(141)에 대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격벽(141b)은 반사부재(142)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동편(141c)은 도어 래치(116)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동편(141c)은 베이스(141)의 하단부에 마련되되, 베이스(141)의 일면에 대해 돌출 형성되어 도어 래치(116)의 접촉부(116b)와 접촉된다.
이때, 도어 래치(116)의 접촉부(116b)가 이동편(141c)과 완전히 접촉되어 개폐 감지부(130) 측으로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베이스(141)의 일면과 이동편(141c) 사이는 직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에 의해 도어 래치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116)의 접촉부(116b)에 의해 이동편(141c)이 밀리게 된다.
그러면, 반사부재(142), 즉 차단부(140)가 개폐 감지부(130)의 위치로 이동되어 차단부(140)이 반사부재(142)에 의해 개폐 감지부(130)에서 발생된 빛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반사부재(142)에 의해 차단된 빛은 반사부재(142)의 일면에 대해 반사되어 개폐 감지부(130)의 쪽으로 반사되고, 개폐 감지부(130)는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개폐 감지부(130)는 핸들 손잡이(11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차단부(140)의 반사부재(142)가 개폐 감지부(13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서 개폐 감지부(130)의 광센서(132)에서 빛이 감지되면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감지한다.
반대로, 개폐 감지부(130)는 핸들 손잡이(11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폐 감지부(130)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지 않아서 개폐 감지부(130)의 광센서(132)에서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감지한다. 이때, 차단부(140)는 핸들 손잡이(110)의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개폐 감지부(130)와 멀어지는 방향, 즉 초기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개폐 감지부(130)에서 발생된 빛을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폐 감지부(130)는 핸들 조립체(10)의 내부에 마련되고, 개폐 감지부(130)의 빛을 반사시키는 차단부(140)가 창틀(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창호의 창짝(2)이 이동되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창틀(1)에 핸들 조립체(10)가 마련된 창짝(2)이 근접하여서 개폐 감지부(130)의 광센서(132)에서 발생된 빛이 차단부(140)에 의해 반사되는 경우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창짝(2)의 핸들 조립체(10)에 마련된 개폐 감지부(130)의 광센서(132)에서 발생된 빛이 창틀(1)에 마련된 차단부(140)의 반사부재(142)에 의해 빛이 반사되면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빛이 반사되지 않으면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진동 감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180)는 창호에 가해진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진동 감지부(180)는 제1 커버(122)에 마련되고, 제어부(150)와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진동감지부(180)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미도시)와 진동감지부(180)와 창호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감지부(180)는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창호가 열림 상태로 판단될 때,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창호에 가해진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의해 창호에 충격이 가해져서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창호의 열림 상태와 달라진 것을 감지한다.
또한, 진동 감지부(180)는 창호가 열리고 닫혔을 때에도 진동에 의하여 창호에 충격이 가해진 것을 확인한다. 다시 말해서, 진동 감지부(180)는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창호가 열림 상태로 판단될 때,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칩입자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창호가 더 열려진 것도 감지할 수 있다.
진동 감지부(180)를 이용하여 진동과 창호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것에 대한 작동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창호가 닫힘 상태일 때, 진동 감지부(180)의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창호에 가해진 진동을 감지한다. 이때, 창호에 가해진 진동에 의해 창호가 열리는 경우, 창호의 열림 상태는 개폐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다.
창호가 열림 상태이고 진동 감지부(180)의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창호에 가해진 진동을 감지한 경우, 진동 감지부(180)의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창호의 창틀(1)과 창짝(2) 간의 거리 변화를 감지한다.
이때, 진동 감지부(180)의 거리감지센서는 창호가 열림 상태일 때의 창틀(1)과 창짝(2) 간의 거리를 미리 측정한다.
그 상태에서, 창호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진동 감지부(180)의 거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창틀(1)과 창짝(2) 간의 거리 변화를 측정한다.
진동 감지부(180)의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변화를 통해 창호가 이전의 열림 상태에서 더 열렸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진동 감지부(180)로부터 감지된 창호의 열림 상태에 대한 결과는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해당 정보를 수신 받은 제어부(150)는 단말기(30) 및 단말기(30)의 어플리케이션(32)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핸들 조립체(10)에는 버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버튼은 사용자가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과는 관계 없이 핸들 조립체(10)를 통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즉, 버튼을 누르면,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는 관여하지 않고, 핸들 조립체(10)의 디스플레이부(160)을 통해 실외 공기 정보나 실내 공기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고, 실외 공기 정보와 실내 공기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 가이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참고로, 버튼은 필요에 따라 음소거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 조립체(10)는, 핸들 손잡이(110)의 회전 만으로도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10)는, 충전부(194)를 통해 배터리부(190)가 자동적으로 상시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부(190)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배터리부(190)의 충전주기 및 교체와 같은 유지 및 보수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조립체(10)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에 대한 상태 정보, 실내 공기 정보, 실외 공기 정보 및 실내외 공기 정보를 통한 환기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60)나 단말기(30)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창호를 열고 닫음에 대한 선택을 함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핸들 조립체 20: 서버
30: 단말기 40: 무선충전장치
110: 핸들 손잡이 116: 도어 래치
120: 하우징 121: 몸체
122: 제1 커버 124: 제2 커버
130: 개폐 감지부 132: 광센서
140: 차단부 142: 반사부재
150: 제어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공기질감지부 180: 진동 감지부
190: 배터리부 194: 충전부

Claims (15)

  1. 회전축을 갖는 핸들 손잡이;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내부에 배터리부가 마련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 감지부;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차단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차단부를 개폐 감지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도어 래치;
    를 포함하고,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는 도어 래치의 회전에 따른 개폐 감지부에 대한 차단부의 위치를 통해 감지되며,
    충전부는 핸들 조립체의 외부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에 의해 배터리가 자동적으로 충전되도록 마련된,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 감지부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센서를 포함하며,
    핸들 손잡이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도 핸들 손잡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도어 래치의 회전에 의해 차단부가 개폐 감지부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핸들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개폐 감지부는,
    핸들 손잡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개폐 감지부의 위치로 이동된 차단부에 의해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어 개폐 감지부를 통해 빛이 감지되면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고,
    핸들 손잡이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이 이동되기 전의 위치로 이동된 차단부에 의해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이 반사되지 않아서 개폐 감지부를 통해 빛이 감지되지 않으면 창호가 닫힘 상태인 것으로 감지하는, 핸들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충전부는 무선충전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 받으며,
    무선충전장치는 충전부와 전자기파(RF) 방식으로 연결되어 충전부로 전력을 공급 하는, 핸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는,
    태양광 패널 또는 일반 전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전원이 충전되는, 핸들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무선충전장치는,
    전력을 충전부로 공급하기 전에 대기하는 대기 모드와,
    핸들 조립체의 배터리 전력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충전부로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충전 모드; 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일단부가 개방면으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폐쇄면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방면으로 형성되며, 타단부의 일부 영역에는 도어 래치가 배치되는 몸체;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개폐 감지부가 마련된 제1 커버; 및
    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도어 래치를 덮도록 배치되며, 차단부가 구비된 제2 커버; 를 포함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축은 몸체 및 제1 커버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몸체 및 제1 커버를 관통한 회전축은 도어 래치와 결합되는, 핸들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은 차단부에 의해 반사된 경우, 개폐 감지부로부터 감지 결과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결과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가 마련되는, 핸들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제어부에서 수신 받은 결과에 해당되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 가 마련되는, 핸들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실내 공기 정보를 감지하는 공기질감지부가 마련되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실외 공기 정보와 공기질감지부로부터 수신 받은 실내 공기 정보를 비교하여 환기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된, 핸들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일면에 표시되도록 LCD로 마련된, 핸들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는,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 정보, 실외 공기 정보, 실내 공기 정보, 환기 가이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해당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LED로 마련된, 핸들 조립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차단부는,
    제2 커버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마련되며 개폐 감지부의 광센서에서 발생된 빛을 차단시켜 개폐 감지부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부재; 를 포함하고,
    베이스에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되 도어 래치와 접촉되도록 마련된 이동편; 이 구비되며,
    핸들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도어 래치가 회전되면 도어 래치에 의해 이동편이 밀려서 반사부재가 개폐 감지부의 위치로 이동되고, 이동된 반사부재는 개폐 감지부에서 발생된 빛을 차단하여 개폐 감지부로 반사하도록 마련된, 핸들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개폐 감지부에 의해 창호가 열림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창호의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진동에 의한 충격에 의해 변화된 창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부; 가 마련되는, 핸들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진동 감지부는,
    창호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창호의 진동에 의해 창틀과 창짝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창호의 열림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
KR1020190168304A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KR10259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04A KR102593023B1 (ko)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04A KR102593023B1 (ko)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74A true KR20210076774A (ko) 2021-06-24
KR102593023B1 KR102593023B1 (ko) 2023-10-23

Family

ID=7660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304A KR102593023B1 (ko) 2019-12-16 2019-12-16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0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137A (ko) * 1999-07-07 2001-02-05 장용우 도어 잠금장치
JP2003027783A (ja) * 2001-07-16 2003-01-29 Ueda Japan Radio Co Ltd 施錠確認装置
JP2009221690A (ja) * 2008-03-14 2009-10-01 Miwa Lock Co Ltd 電気錠の駆動軸駆動機構の制御装置
US20110090077A1 (en) 2007-11-29 2011-04-21 Georg Meyer Window handle or door handle with position monitoring for monitoring room climate and ventilation behavior
KR20160022179A (ko) * 2014-08-19 2016-02-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중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917370B1 (ko) * 2017-09-26 2018-11-09 주식회사 우성하이테크 무선 충전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137A (ko) * 1999-07-07 2001-02-05 장용우 도어 잠금장치
JP2003027783A (ja) * 2001-07-16 2003-01-29 Ueda Japan Radio Co Ltd 施錠確認装置
US20110090077A1 (en) 2007-11-29 2011-04-21 Georg Meyer Window handle or door handle with position monitoring for monitoring room climate and ventilation behavior
JP2009221690A (ja) * 2008-03-14 2009-10-01 Miwa Lock Co Ltd 電気錠の駆動軸駆動機構の制御装置
KR20160022179A (ko) * 2014-08-19 2016-02-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전력 중계 장치,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917370B1 (ko) * 2017-09-26 2018-11-09 주식회사 우성하이테크 무선 충전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23B1 (ko) 202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0127B2 (en) Wireless control device having an antenna illuminated with visible light
US20200280210A1 (en) Two-part load control system mountable to a single electrical wallbox
CN112805582A (zh) 占用者计数装置
US8269626B2 (en) Perimeter alarm monitoring system
JP2014512465A (ja) ロック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8531879A (ja) 電動式日よけシステム
CN101142367A (zh) 用于门窗的监控装置
KR101964101B1 (ko) 스마트 중문 자동 개폐 제어시스템
KR20210076774A (ko) 핸들 조립체
KR102070237B1 (ko) 습도감지기능이 구비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102593022B1 (ko) 핸들 조립체
KR102593026B1 (ko) 핸들 조립체
WO2022070984A1 (ja) 引戸装置及びセンサーユニット
KR102593025B1 (ko) 창호핸들 조립체 및 이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CN107620541A (zh) 室内空气智能切换装置
CN208654587U (zh) 一种光线传感器及智能家居的控制系统
CN112832620A (zh) 一种智能控制窗户及其控制方法
EP3369082B1 (en) Wireless control device having an antenna illuminated with visible light
JP3707046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における障害物検知装置
US11790768B2 (en) Method for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at least one actuator and a remote control unit
CN113251447B (zh) 一种基于红外光感和距离检测的气电炉灶监控装置
CN111765522B (zh) 空调器的布防控制方法以及空调器
KR102378687B1 (ko) 옥외형 미세먼지 측정시스템
JPH11315683A (ja) 無線制御シャッターにおける無線送信機のidコード登録方法および抹消方法
KR200376924Y1 (ko) 화재감지기용 케이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