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472A - 차량의 등속조인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등속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472A
KR20220020472A KR1020200100708A KR20200100708A KR20220020472A KR 20220020472 A KR20220020472 A KR 20220020472A KR 1020200100708 A KR1020200100708 A KR 1020200100708A KR 20200100708 A KR20200100708 A KR 20200100708A KR 20220020472 A KR20220020472 A KR 2022002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vehicle
vehicle body
constant velocity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수
최원준
김희일
정창희
조영욱
이범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0472A/ko
Priority to US17/188,204 priority patent/US11773912B2/en
Priority to DE102021202008.9A priority patent/DE102021202008A1/de
Priority to CN202110299493.3A priority patent/CN114076155A/zh
Publication of KR2022002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472A/ko
Priority to US18/238,742 priority patent/US202304000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36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 B60B27/0042Hubs for driven wheels comprising homokinetic joint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omokinetic joint to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84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16D3/843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 F16D3/845Shrouds, e.g. casings, covers; Seal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nclosed covers allowing relative movement of joint parts due to the flexing of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1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located in sockets in one of the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21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 B60B35/127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 B60B35/128Power-transmission from drive shaft to hub using universal joints of the homokinetic or constant velocit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 F16D3/223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the rolling members being balls, rollers, or the like, guided in grooves or sockets in both coupling parts the rolling members being guided in grooves in both coupl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64/00Rotary shafts, gudgeons, housings, and flexible couplings for rotary shafts
    • Y10S464/904Homokinetic coupling
    • Y10S464/906Torque transmitted via radially spaced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베어링에 의해 너클에 고정되는 액슬하우징; 상기 액슬하우징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샤프트의 동력을 다수의 조인트볼을 통해 상기 액슬하우징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인트어셈블리; 상기 허브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 축방향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액슬하우징의 차체 내측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형성된 확장부; 일측이 상기 확장부와의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의 외측을 감싸면서 결합된 부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등속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동력을 구동륜으로 전달하는 등속조인트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등속조인트는 디퍼렌셜과 구동륜 사이의 변위를 흡수하면서, 동력을 구동륜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으로서, 굴절이 허용되는 부위에는 부트에 의해 감싸여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속조인트는 일측은 디퍼렌셜에 결합되고 타측은 휠허브를 통해 구동륜의 휠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휠허브가 등속조인트에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130311 A
본 발명은 휠허브가 일체로 구성된 등속조인트에서 부트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결합된 부트에 의한 씰링(sealing) 기능이 우수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등속조인트 굴절부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등속조인트의 조립 및 정비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등속조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등속조인트는,
허브베어링에 의해 너클에 고정되는 액슬하우징;
상기 액슬하우징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샤프트의 동력을 다수의 조인트볼을 통해 상기 액슬하우징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인트어셈블리;
상기 허브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 축방향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액슬하우징의 차체 내측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형성된 확장부;
일측이 상기 확장부와의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의 외측을 감싸면서 결합된 부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부는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트는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최외측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내측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은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제1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트의 제3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제1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레이스는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갈수록 외경이 증대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2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부에 접촉하는 제4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제4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인너레이스의 제2경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레이스는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원주부와, 상기 제1원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주부보다 큰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주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원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는 상기 부트의 내측면은 차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3경사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확장부는 액슬하우징의 차체 내측 단부를 오비탈 포밍 공법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변형하여,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외측에는, 상기 부트를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와 상기 돌출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밴드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외측에는 상기 밴드를 체결할 수 있도록 밴드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는,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고,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가 이격된 거리를 L이라 할 때, 0 <= L/t <= 0.5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외경을 d라고 하고,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을 D1이라할 때,
상기 돌출부의 외경 d는, 1.02 ≤ d/D1 ≤ 1.05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트의 조립성을 확보하면서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밴드의 축방향 폭을 B라 하고,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할 때, 상기 밴드의 폭 B는, 0.3 ≤ t/B ≤ 1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어, 충분한 씰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는,
다수의 조인트볼을 통해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허브베어링에 의해 너클에 고정되는 액슬하우징의 일부로서, 상기 허브베어링의 인너레이스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된 확장부를 내부에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와의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트는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확장부가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돌출부의 최외측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이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제1경사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부트의 제3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제1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레이스가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갈수록 외경이 증대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2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부에 접촉하는 제4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제4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인너레이스의 제2경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레이스가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원주부와, 상기 제1원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주부보다 큰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주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원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는 상기 부트의 내측면은 차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3경사부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부트의 외측에는 밴드를 체결할 수 있도록 밴드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는,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고,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가 이격된 거리를 L이라 할 때, 0 <= L/t <= 0.5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밴드의 축방향 폭을 B라 하고,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면, 상기 밴드의 폭 B는, 0.3 ≤ t/B ≤ 1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밴드체결홈의 폭은 상기 밴드를 수용하여, 밴드의 축방향 양단을 구속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휠허브가 일체로 구성된 등속조인트에서 부트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결합된 부트에 의한 씰링 기능이 우수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등속조인트 굴절부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등속조인트의 조립 및 정비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등속조인트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주요부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등속조인트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등속조인트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등속조인트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등속조인트의 실시예들은 공통적으로, 다수의 허브볼트(1)를 구비하고 허브베어링(3)에 의해 너클(5)에 고정되는 액슬하우징(7); 상기 액슬하우징(7)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샤프트(9)의 동력을 다수의 조인트볼(11)을 통해 상기 액슬하우징(7)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인트어셈블리(13); 상기 허브베어링(3)의 인너레이스(3-1)에 축방향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액슬하우징(7)의 차체 내측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형성된 확장부(15); 일측이 상기 확장부(15)와의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15)의 외측을 감싸면서 결합된 부트(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등속조인트는 상기 샤프트(9)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조인트어셈블리(13)를 통해 액슬하우징(7)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를 구성하며, 여기서, 상기 액슬하우징(7)의 일부가 허브베어링(3)의 인너레이스(3-1)를 고정하도록 반경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이루어진 확장부(15)를 통해 부트(17)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확장부(15)는 상기 인너레이스(3-1)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된 돌출부(15-1)를 구비한다.
즉, 상기 돌출부(15-1)는 상기 확장부(15)의 일부로서, 상기 액슬하우징(7)의 차체 내측 단부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 변형하여 이루어진 확장부(15) 중에서, 상기 인너레이스(3-1)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부위를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확장부(15)는 액슬하우징(7)의 차체 내측 단부를 오비탈 포밍(Orbital Forming) 공법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변형하여, 상기 인너레이스(3-1)의 차체 내측 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너레이스(3-1)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된 돌출부(15-1)를 구비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돌출부(15-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트(17)를 체결하여, 상기 확장부(15)와 부트(17)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축방향이란, 상기 액슬하우징(7)의 회전축 방향을 의미하며, 반경 방향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참고로, 상기 액슬하우징(7)은 전륜의 경우 너클(5)에 고정되는 것이지만, 후륜의 경우에는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트(17)는 일측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액슬하우징(7)의 확장부(1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샤프트(9)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9)와 액슬하우징(7) 사이의 굴절을 허용하면서도, 이 굴절부를 외부로부터 밀폐 및 차단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부트(17)는 상기 확장부(15)의 차체 내측 단부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19)와, 상기 제1접촉부(19)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15-1)의 최외측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21) 및 상기 제2접촉부(21)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15-1)의 차체 외측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23)가 상기 돌출부(15-1)가 삽입되는 내측홈(25)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부트(17)의 제1접촉부(19)와 제2접촉부(21) 및 제3접촉부(23)가 형성하는 상기 내측홈(25)에 상기 확장부(15)의 돌출부(15-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부트(17)와 액슬하우징(7)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이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부트(17)의 외측에는 밴드(27)가 결합되는데, 상기 밴드(27)는 상기 부트(17)를 외측으로부터 상기 인너레이스(3-1)의 차체 내측 단부와 상기 돌출부(15-1)를 향해 가압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부트(17)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트(17)의 외측에는 상기 밴드(27)를 체결할 수 있도록 밴드체결홈(29)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체결홈(29)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는, 상기 확장부(15)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고, 상기 확장부(15)의 차체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밴드체결홈(29)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가 이격된 거리를 L이라 할 때, 0 <= L/t <= 0.5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밴드체결홈(29)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를 설정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밴드(27)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가 상기 확장부(15)의 외측을 견고하게 감싸서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 되어, 상기 부트(17)의 안착성 및 씰링성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한 것이다.
한편, 상기 돌출부(15-1)의 외경을 d라고 하고, 상기 인너레이스(3-1)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을 D1이라할 때,
상기 돌출부(15-1)의 외경 d는, 1.02 ≤ d/D1 ≤ 1.05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질적으로는 상기 확장부(15) 중에서 상기 돌출부(15-1)가 돌출된 높이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15-1)가 돌출된 높이가 너무 높지 않아서, 상기 부트(17)의 조립성을 확보하면서도, 상기 돌출부(15-1)의 돌출 높이가 너무 낮지도 않아서, 부트(17)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27)의 축방향 폭을 B라 하고, 상기 확장부(15)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할 때, 상기 밴드(27)의 폭 B는, 0.3 ≤ t/B ≤ 1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밴드(27)의 축방향 폭이 상기 확장부(15)의 축방향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확장부(15)의 축방향 두께의 약 3배 이상으로 너무 넓지 않게 형성되어, 상기 부트(17)의 충분한 씰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밴드(27)의 취급 및 조립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밴드체결홈(29)의 폭은 상기 밴드(27)를 수용하여, 밴드(27)의 축방향 양단을 구속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15-1)의 차체 외측은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제1경사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부트(17)의 제3접촉부(23)는 상기 제1경사부(3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31)는 상기 부트(17)의 제3접촉부(23)가 안착되면서, 부트(17)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밴드(27)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부트(17)와 돌출부(15-1) 사이의 밀착 결합상태가 저절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높은 씰링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공통된 구성이고, 이하 본 발명의 나머지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3의 제2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도 1의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상기 부트(17)의 제1접촉부(19)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확장부(15)의 차체 내측 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단(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단(33)은 상기 부트(17)와 상기 확장부(15)의 단부 사이에서 압착된 상태로 변형되면서 보다 확실한 씰링 상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의 제3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도 3의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상기 인너레이스(3-1)는 상기 확장부(15)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갈수록 외경이 증대되는 제2경사부(35)를 구비하고; 상기 부트(17)는 상기 제3접촉부(23)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2경사부(35)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부(35)에 접촉하는 제4접촉부(3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부트(17)의 제4접촉부(37)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인너레이스(3-1)의 제2경사부(35)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단(39)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밴드(27)에 의해 상기 액슬하우징(7)의 확장부(15)를 향해 가압되는 부트(17)는, 상기 제1접촉부(19)와 상기 확장부(15)의 차체 내측 단부가 형성하는 1차씰링부(S1)와, 상기 제2접촉부(21)와 돌출부(15-1)의 최외측이 형성하는 2차씰링부(S2)와, 상기 제3접촉부(23)와 제1경사부(31)가 형성하는 3차씰링부(S3) 및 상기 제4접촉부(37)와 제2경사부(35)가 형성하는 4차씰링부(S4)에 의해, 상기 액슬하우징(7)과 샤프트(9)의 굴절부에 대한 밀폐 및 씰링을 더욱 충실히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제4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도 3의 제2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고, 상기 인너레이스(3-1)는 상기 확장부(15)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원주부(41)와, 상기 제1원주부(41)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주부(41)보다 큰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주부(43)를 구비하며; 상기 부트(17)는 상기 제3접촉부(23)로부터 상기 제1원주부(41)를 감싸면서 상기 제2원주부(43)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2원주부(43)를 감싸는 상기 부트(17)의 내측면은 차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3경사부(45)를 이루는 구조이다.
이 경우, 상기 부트(17)의 상기 인너레이스(3-1) 쪽은 상기 제1원주부(41)와 제2원주부(43)에 안착되면서, 이물질 침투 방지 기능을 구현하며, 특히, 상기 제2원주부(43)에 접촉하는 상기 부트(17)의 제3경사부(45)는 구조적으로 상기 부트(17)의 차체 외측 단부가 상기 제2원주부(43)에 강한 밀착력을 가지고 결합되도록 하여, 더욱 확실한 이물질 침투 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허브볼트
3; 허브베어링
3-1; 인너레이스
5; 너클
7; 액슬하우징
9; 샤프트
11; 조인트볼
13; 조인트어셈블리
15; 확장부
15-1; 돌출부
17; 부트
19; 제1접촉부
21; 제2접촉부
23; 제3접촉부
25; 내측홈
27; 밴드
29; 밴드체결홈
31; 제1경사부
33; 제1돌출단
35; 제2경사부
37; 제4접촉부
39; 제2돌출단
41; 제1원주부
43; 제2원주부
45; 제3경사부
S1; 1차씰링부
S2; 2차씰링부
S3; 3차씰링부
S4; 4차씰링부

Claims (24)

  1. 허브베어링에 의해 너클에 고정되는 액슬하우징;
    상기 액슬하우징의 내경부에 삽입되어 샤프트의 동력을 다수의 조인트볼을 통해 상기 액슬하우징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인트어셈블리;
    상기 허브베어링의 인너레이스에 축방향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액슬하우징의 차체 내측 단부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형성된 확장부;
    일측이 상기 확장부와의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의 외측을 감싸면서 결합된 부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트는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최외측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내측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은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제1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부트의 제3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제1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이스는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갈수록 외경이 증대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2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부에 접촉하는 제4접촉부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제4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인너레이스의 제2경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이스는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원주부와, 상기 제1원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주부보다 큰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주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원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는 상기 부트의 내측면은 차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3경사부를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액슬하우징의 차체 내측 단부를 오비탈 포밍 공법에 의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변형하여,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외측에는, 상기 부트를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와 상기 돌출부를 향해 가압하도록 밴드가 체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외측에는 상기 밴드를 체결할 수 있도록 밴드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는,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고,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가 이격된 거리를 L이라 할 때, 0 <= L/t <= 0.5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경을 d라고 하고,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단부의 외경을 D1이라할 때,
    상기 돌출부의 외경 d는, 1.02 ≤ d/D1 ≤ 1.05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트의 조립성을 확보하면서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축방향 폭을 B라 하고,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할 때, 상기 밴드의 폭 B는, 0.3 ≤ t/B ≤ 1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어, 충분한 씰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
  15. 다수의 조인트볼을 통해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허브베어링에 의해 너클에 고정되는 액슬하우징의 일부로서, 상기 허브베어링의 인너레이스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된 확장부를 내부에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와의 사이에 축방향 구속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부트는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확장부가 상기 인너레이스의 차체 내측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 돌출부의 최외측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에 접촉하는 제3접촉부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차체 외측이 차체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제1경사부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부트의 제3접촉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제1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이스가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갈수록 외경이 증대되는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2경사부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경사부에 접촉하는 제4접촉부를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제4접촉부에는 국부적으로 상기 인너레이스의 제2경사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너레이스가 상기 확장부와 만나는 단부로부터 차체 외측을 향해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1원주부와, 상기 제1원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원주부보다 큰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제2원주부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부트는 상기 제3접촉부로부터 상기 제1원주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2원주부를 감싸는 상기 부트의 내측면은 차체의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3경사부를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외측에는 밴드를 체결할 수 있도록 밴드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는,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고, 상기 확장부의 차체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밴드체결홈의 차체 내측 단부의 위치가 이격된 거리를 L이라 할 때, 0 <= L/t <= 0.5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축방향 폭을 B라 하고, 상기 확장부의 축방향 두께를 t라하면, 상기 밴드의 폭 B는, 0.3 ≤ t/B ≤ 1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밴드체결홈의 폭은 상기 밴드를 수용하여, 밴드의 축방향 양단을 구속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등속조인트용 부트.
KR1020200100708A 2020-08-11 2020-08-11 차량의 등속조인트 KR20220020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08A KR20220020472A (ko) 2020-08-11 2020-08-11 차량의 등속조인트
US17/188,204 US11773912B2 (en) 2020-08-11 2021-03-01 Constant velocity joint for vehicle
DE102021202008.9A DE102021202008A1 (de) 2020-08-11 2021-03-03 Gleichlaufgelenk für fahrzeug
CN202110299493.3A CN114076155A (zh) 2020-08-11 2021-03-22 用于车辆的等速接头
US18/238,742 US20230400066A1 (en) 2020-08-11 2023-08-28 Constant velocity join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08A KR20220020472A (ko) 2020-08-11 2020-08-11 차량의 등속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472A true KR20220020472A (ko) 2022-02-21

Family

ID=8000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708A KR20220020472A (ko) 2020-08-11 2020-08-11 차량의 등속조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73912B2 (ko)
KR (1) KR20220020472A (ko)
CN (1) CN114076155A (ko)
DE (1) DE102021202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22220B3 (de) 2022-09-01 2023-12-07 Hyundai Wia Corporation Antriebsachs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11A (ko) 2018-05-14 2019-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19472A1 (de) * 1983-05-28 1984-11-29 Uni-Cardan Ag, 5200 Siegburg Antriebseinrichtung
US4775190A (en) * 1986-03-25 1988-10-04 Werner Jacob Hub assembly for drivable wheel
JPH1191308A (ja) * 1997-09-22 1999-04-06 Nippon Seiko Kk 車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4425742B2 (ja) * 2004-08-18 2010-03-03 Ntn株式会社 等速ジョイント用ブーツ
US9694627B2 (en) * 2015-06-29 2017-07-04 Aktiebolaget Skf Hub-bearing having a light alloy rotor-hu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311A (ko) 2018-05-14 2019-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허브 일체형 등속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02008A1 (de) 2022-02-17
US20220049744A1 (en) 2022-02-17
US11773912B2 (en) 2023-10-03
US20230400066A1 (en) 2023-12-14
CN114076155A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011A (en) Wheel bearing connector and seal unit
JP3849240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09541145A (ja) 回転継手を介して駆動可能な自動車の車輪ボスの軸受装置
KR20140141598A (ko) 휠 베어링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US20230400066A1 (en) Constant velocity joint for vehicle
JP2655320B2 (ja) ジヤーナルへの管状軸接続装置
JP3533883B2 (ja) 車輪支持用ハブユニット
KR20200139575A (ko) 휠베어링 조립체
US6790145B2 (en) Wheel bearing unit, comprising roller bearing and constant-velocity joint
JP5236201B2 (ja) 後輪用アクスルモジュール
US8313244B2 (en) Wheel bearing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calk jig
US6186694B1 (en) Device for permanently coupling two shafts
US8353779B2 (en) Support structure for bolting components of drive shaft via mounting member
KR101867686B1 (ko) 하우징 일체형 액슬
JP4000751B2 (ja) 車両用ハブユニット
JP2001246906A (ja) 車輪駆動用軸受ユニット
JP4915746B2 (ja) 少なくとも1つの支持体及び車輪軸受から成る装置
JP2006112532A (ja) 車輪用軸受装置
JP4023129B2 (ja) 制動用回転部材及びホイール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4506783B2 (ja) 動力伝達装置用ハブ
WO2007069653A1 (ja) 車輪用軸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アクスルモジュール
JP2007269282A (ja) 車輪取付構造
JPH0547851Y2 (ko)
JP2005155886A (ja) 等速自在継手用ブーツ
JP2006084005A (ja) 固定型等速自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