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047A -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 - Google Patents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047A
KR20220018047A KR1020227000740A KR20227000740A KR20220018047A KR 20220018047 A KR20220018047 A KR 20220018047A KR 1020227000740 A KR1020227000740 A KR 1020227000740A KR 20227000740 A KR20227000740 A KR 20227000740A KR 20220018047 A KR20220018047 A KR 20220018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uffer
support
connection
dr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346B1 (ko
Inventor
화핑 양
후이 리우
겅창 씨에
스 리우
Original Assignee
씨알알씨 칭다오 쓰팡 롤링 스톡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알알씨 칭다오 쓰팡 롤링 스톡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씨알알씨 칭다오 쓰팡 롤링 스톡 리서치 인스티튜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1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0Mounting of the couplings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4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20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를 제공한다. 드래프트 기어는 버퍼 어셈블리(1); 연결 본체(21)를 포함하는 연결 어셈블리(2) -연결 본체(21)는 제1 연결부(211)를 구비하고, 제1 연결부(211)는 버퍼 어셈블리(1)와 수평으로 회전 연결되며, 제1 연결부(211)와 버퍼 어셈블리(1)는 제1 회전 중심(23)을 구비함- ; 연결면(214)을 구비하는 제2 연결부(212) -연결면(214)은 차체(7)와 연결되고, 제1 회전 중심(23)은 연결면(214) 후측에 위치함-; 지지 어셈블리(3)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는 서로 수평으로 회전 연결되고,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는 제2 회전 중심(36)을 구비하고, 제2 회전 중심(36)은 제1 회전 중심(23)의 전측에 위치함- ; 및 지지 어셈블리(3)와 버퍼 어셈블리(1)를 연결하는 자가적응 어셈블리(4)를 포함한다. 상기 드래프트 기어는 보다 콤팩트한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
본 출원은 철도 열차의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에 관한 것이다.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는 철도 열차 간의 견인 및 커플링에 사용되며, 열차 견인 및 연결 시 종방향 충격을 줄이기 위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에는 드래프트 기어와 커플러가 포함된다. 커플러는 드래프트 기어를 통해 철도 열차의 차체 상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드래프트 기어는 통상적으로 전방 장착 방식으로 차체(4')와 연결된다. 즉, 차체의 선단면(41') 상에 드래프트 기어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드래프트 기어는 버퍼 어셈블리(1'), 연결 어셈블리(2') 및 회전 어셈블리(3')를 포함한다. 버퍼 어셈블리(1')는 회전 어셈블리(3')를 통해 연결 어셈블리(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어셈블리(2')는 연결 부재(5')를 통해 차체(4')와 연결된다. 회전 어셈블리(3')의 회전 중심(31')은 차체 선단면(41')의 전방에 위치한다.
버퍼 어셈블리(1')의 차체(4')에서 먼 단면과 회전 어셈블리(3')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버퍼 어셈블리(1')의 길이(L)로 정의되고, 차체 선단면(41')으로부터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는 A이다. 종래 기술의 드래프트 기어의 경우, 열차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길이가 L+A이다. 철도 열차의 기능이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열차 바닥 공간이 빽빽해지고 있으며, 커플러 길이가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드래프트 기어가 차지하는 열차 바닥 공간을 줄여야 한다.
본 출원은 드래프트 기어의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는 드래프트 기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기 기술적 해결책을 채택한다.
드래프트 기어는,
버퍼 어셈블리;
연결 어셈블리,
-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제1 회전 중심을 구비하는 제1 연결부; 및
연결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면을 통해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중심은 상기 연결면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 본체를 포함함 -;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접촉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제2 회전 중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 중심은 상기 연결면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 어셈블리;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버퍼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자가적응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자가적응 어셈블리는,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1 매칭 부재;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매칭 부재와 매칭되며, 상기 매칭면은 원호면인 제2 매칭 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원호면의 원심은 상기 버퍼 어셈블리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한다.
나아가,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 어셈블리는 상기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는,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보호 부재; 및
전단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전단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된다.
나아가,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지지 본체;
제2 회전 부재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제2 회전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상대적인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됨- ;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버퍼 어셈블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접촉되는 수직 지지 부재; 및
상기 버퍼 어셈블리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접촉되며, 상기 수직 지지 부재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수평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탄성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 부재 하방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된다.
나아가, 센터링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센터링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회전 부재 상에 작용한다.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는 상기 어느 하나의 드래프트 기어를 포함한다.
철도 열차는 상기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는 하기와 같다.
본 출원에 따른 드래프트 기어는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버퍼 어셈블리의 일단과 연결면의 거리가 버퍼 어셈블리의 총 길이보다 짧다. 버퍼 어셈블리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 경우, 버퍼 어셈블리는 설치 시 차량 바닥 공간을 비교적 적게 차지하여 버퍼 어셈블리의 설치 공간을 줄임으로써 설치를 더욱 콤팩트하게 만든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방식에 따른 드래프트 기어의 구조도 1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의 측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의 구조도 2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2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가 수평 회전할 때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드래프트 기어의 분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방식에 따른 드래프트 기어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드래프트 기어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의 평면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설명이 없는 한, 하나의 실시방식에서의 구성요소, 구조 및 특징은 다른 실시방식에 유익하게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의미 또는 암시하거나 표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용어 "상부", "하부", "수평" 등으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 3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반을 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단지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향을 갖거나,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의미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달리 명확하게 규정되고 한정되지 않는 한, “서로 연결”, “연결” 용어는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고,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두 구성 요소 내부의 연통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에서 언급된 용어의 구체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일 뿐이며,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디자인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선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한 용이한 설명을 위해 실제 장착 및 사용 과정에서 드래프트 기어의 차체에 가까운 일측을 후방측(즉, 도 3 및 도 5의 우측에 인접), 드래프트 기어의 커플러에 가까운 일측을 전방측(즉, 도 3 및 도 5의 좌측에 인접)이라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방식은 드래프트 기어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버퍼 어셈블리(1);
연결 어셈블리(2),
- 상기 연결 어셈블리(2)는,
버퍼 어셈블리(1)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버퍼 어셈블리(1)와 제1 회전 중심(23)을 구비하는 제1 연결부(211); 및
연결면(214)을 구비하고, 연결면(214)을 통해 차체(7)와 연결되고, 제1 회전 중심(23)은 연결면(214)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212)를 구비하는 연결 본체(21)를 포함함 -;
버퍼 어셈블리(1)와 접촉되고, 연결 어셈블리(2)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연결 어셈블리(2)와 제2 회전 중심(36)을 구비하고, 제2 회전 중심(36)은 연결면(214)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 어셈블리(3); 및
지지 어셈블리(3)와 버퍼 어셈블리(1)를 연결하는 자가적응 어셈블리(4)가 포함된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에 있어서,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어셈블리(2)의 제1 연결부(211)는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버퍼 어셈블리(1)와 제1 연결부(211)는 제1 회전 중심(23)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차체(7)와 연결 어셈블리(2)의 제2 연결부(212)는 서로 연결되고, 제2 연결부(212)는 연결면(214)을 구비하고, 차체(7)는 연결면(214) 상에 연결된다. 제1 회전 중심(23)은 연결면(214)의 후측에 위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퍼 어셈블리(1)의 차체(7)에서 먼 단면과 제1 회전 중심(23) 사이의 길이는 버퍼 어셈블리(1)의 길이(L)이며, 실제 설치 및 사용 과정에서 버퍼 어셈블리(1)의 길이(L)은 변하지 않는다. 제1 회전 중심(23)에서 연결면(214)까지의 거리가 B이면,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가 실체 차량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길이는 L-B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드래프트 기어 중 버퍼 어셈블리(1')의 설치 위치이며, 차량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길이가 L+A이다. 종래의 드래프트 기어에 비해,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는 차량 바닥 공간을 차지하는 길이가 A+B 감소하였다. 본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는 버퍼 어셈블리(1)의 길이가 변하지 않는 경우, 차지하는 외부 공간이 감소하였다. 종래의 드래프트 기어에 비해 버퍼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 경우, 설치 공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보다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에 있어서, 지지 어셈블리(3)는 버퍼 어셈블리(1)와 접촉된다. 지지 어셈블리(3)는 연결 어셈블리(2)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는 제2 회전 중심(36)을 구비하고, 제2 회전 중심(36)은 연결면(214)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제1 회전 중심(23)이 연결면(214)의 후방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체(7)의 내부에 드래프트 기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개설해야 한다. 제2 회전 중심(23)을 연결면(214)의 후방측에도 설치하면, 차체(7) 내부에 개설되는 수용 공간을 늘려야 하며, 수용 공간 개설이 너무 커지면 철도 열차 바닥판의 설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체 구조에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차체(7)의 강도도 저하된다. 따라서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지지 어셈블리(3)의 제2 회전 중심(36)을 연결면(214)의 전방측에 설치하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체 내부에 개설해야 하는 수용 공간을 더욱 감소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 열차가 회전하거나 부딪히는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전방측에 위치한 커플러는 버퍼 어셈블리(1)를 구동하고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어셈블리(2)는 제1 회전 중심(23)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한다. 버퍼 어셈블리(1)는 지지 어셈블리(3)를 구동하며,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는 제2 회전 중심(36)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한다. 지지 어셈블리(3)와 버퍼 어셈블리(1)는 서로 접촉되기 때문에, 제1 회전 중심(23)과 제2 회전 중심(36)이 겹치지 않고 동일한 수직선상에 있지 않아, 버퍼 어셈블리(1)의 중심축선과 차체(7)의 중앙 수직면의 협각을 형성한다. 지지 어셈블리(3)의 중앙 수직면과 차체(7)의 중앙 수직면은 협각이 일치하지 않아,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가 회전 과정에서 간섭을 일으켜, 드래프트 기어의 정상적인 센터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드래프트 기어의 정상적인 센터링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간격을 증가시키면 커플러의 안정성 및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는 자가적응 어셈블리(4)를 더 포함한다. 자가적응 어셈블리(4)는 지지 어셈블리(3)와 버퍼 어셈블리(1)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자가적응 어셈블리(4)는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에 위치하며,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을 안정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자가적응 어셈블리(4)는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치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가 회전 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며, 드래프트 기어의 정상적인 센터링을 보장하는 동시에, 커플러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고 나아가 철도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는 버퍼 어셈블리(1), 연결 어셈블리(2), 지지 어셈블리(3), 자가적응 어셈블리(4) 및 센터링 어셈블리(5)를 포함한다. 버퍼 어셈블리(1)는 지지 어셈블리(2)를 통해 차체(7)와 상대적으로 회전 연결되며,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는 상대적으로 회전 연결된다. 지지 어셈블리(3)는 자가적응 어셈블리(4)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되며, 센터링 어셈블리(5)는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된다. 철도 열차가 직선으로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경우, 드래프트 기어는 센터링 위치에 놓인다. 즉, 버퍼 어셈블리(1)의 중심축선과 차체(7)의 중앙 수직면의 협각이 0이고, 지지 어셈블리(3)의 중앙 수직면과 차체(7)의 중앙 수직면의 협각이 0이다. 철도 열차가 회전하거나 부딪히는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드래프트 기어가 측방향으로 힘을 받고, 버퍼 어셈블리(1)는 지지 어셈블리(3)가 일측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센터링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만들며, 센터링 어셈블리(5)도 지지 어셈블리(3)의 회전을 따라 센터링 위치에서 벗어난다. 센터링 어셈블리(5)가 센터링 위치에서 벗어나면 편향력이 발생하고, 드래프트 기어 측면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진 후 편향력이 센터링 어셈블리(5)를 센터링 위치로 강제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지지 어셈블리(3)가 센터링 위치로 돌아가도록 구동되고, 버퍼 어셈블리(1)도 지지 어셈블리(3)를 따라 센터링 위치로 복귀한다.
버퍼 어셈블리(1)는 드래프트 기어의 핵심 부재로, 철도 열차의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에 버퍼 작용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버퍼 어셈블리(1)는 제1 버퍼 부재(11) 및 제2 버퍼 부재(12)를 포함한다. 제1 버퍼 부재(11)와 제2 버퍼 부재(12)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된다. 제1 버퍼 부재(11)는 커플러와 연결되고, 제2 버퍼 부재(12)는 연결 어셈블리(2)와 연결된다.
연결 어셈블리(2)는 버퍼 어셈블리(1)에 연결 및 지지 작용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어셈블리(2)는 연결 본체(21) 및 제1 회전 부재(22)를 포함한다. 연결 본체(21)는 제1 회전 부재(22)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와 상대적으로 회전 연결된다. 연결 본체(21)는 제1 연결부(211) 및 제2 연결부(212)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211)는 버퍼 어셈블리(1)와 상대적으로 회전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연결부(212)는 차체(7)와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11)에는 연결홀(213)이 설치된다. 제1 회전 부재(22)는 연결홀(213)을 관통하여 버퍼 어셈블리(1)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제1 회전 부재(22)는 제1 회전 중심(23)을 구비한다.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본체(21)는 제1 회전 중심(23)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12)는 연결면(214)을 구비한다. 차체(7)는 차체 선단면(71)을 구비한다. 제2 연결부(212)와 차체(7)는 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연결면(214)과 차체 선단면(71)을 매칭시킨다. 제1 회전 중심(23)은 연결면(214)의 후측에 위치한다.
지지 어셈블리(3)는 버퍼 어셈블리(1)에 지지 작용을 제공한다. 버퍼 어셈블리(1)는 연결 어셈블리(2)에 상대적으로 수평 회전 운동을 할 때,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도 동시에 상대적인 수평 회전 운동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3)는 지지 본체(31), 수직 지지 부재(32), 수평 지지 부재(33), 탄성 지지 부재(34) 및 제2 회전 부재(35)를 포함한다. 지지 본체(31)는 제2 회전 부재(35)를 통해 연결 어셈블리(2)와 상대적으로 수평 회전 연결된다. 제2 회전 부재(35)는 제2 회전 중심(36)을 구비하며, 지지 본체(31)와 연결 어셈블리(2)는 제2 회전 중심(36)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수직 지지 부재(32)는 버퍼 어셈블리(1)를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며, 수직 지지 부재(32)는 지지 본체(31)와 연결된다. 수직 지지 부재(32)는 버퍼 어셈블리(1) 양측에 위치하며,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32)는 모두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된다. 수직 지지 부재(32)는 버퍼 어셈블리(1)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수직 지지 부재(32)를 포함하고, 각각의 수직 지지 부재(32)는 모두 지지 본체(31)와 연결되며, 버퍼 어셈블리(1)와 접촉된다. 수평 지지 부재(33)는 하나의 수평 방향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면은 버퍼 어셈블리(1)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수평 지지 부재(33)는 버퍼 어셈블리(1)의 하방에 위치한다. 수평 지지 부재(33)는 버퍼 어셈블리(1)와 맞닿고, 수평 지지 부재(33)와 수직 지지 부재(32)는 상대적으로 이동 연결된다. 버퍼 어셈블리(1)에 수직 방향 위치 변화가 발생할 경우, 수평 지지 부재(33)는 수직 지지 부재(32)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이것이 여전히 버퍼 어셈블리(1)와 접촉하여 버퍼 어셈블리(1)에 수평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지지 부재(33)에 제공하는 수평 지지력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에서는, 지지 어셈블리(3)에 탄성 지지 부재(34)가 더 포함된다. 탄성 지지 부재(34)는 수평 지지 부재(33) 하방에 연결되며, 탄성 지지 부재(34)는 지지 본체(31)와 연결된다. 탄성 지지 부재(34)는 수평 지지 부재(33)에 위를 향한 힘을 인가하여, 수평 지지 부재(33)가 항상 버퍼 어셈블리(1)와 접촉되어 수평 지지력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만든다. 이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이 설치 견고성을 개선한다.
제1 회전 중심(23)과 제2 회전 중심(36)이 겹치지 않고 동일한 수직선상에 있지 않아, 회전 운동 과정에서 버퍼 어셈블리(1)의 중심축선과 차체(7)의 중앙 수직면의 협각을 형성한다. 지지 어셈블리(3)의 중앙 수직면과 차체(7)의 중앙 수직면은 협각이 일치하지 않아,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가 회전 과정에서 간섭을 일으켜, 드래프트 기어의 정상적인 센터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드래프트 기어의 정상적인 센터링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간격을 증가시키면 커플러의 안정성 및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는 자가적응 어셈블리(4)를 더 포함한다. 자가적응 어셈블리(4)는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치하도록 유지함으로써,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가 회전 운동 과정에서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드래프트 기어의 정상적인 센터링을 보장하는 동시에 커플러 연결의 안정성과 신뢰성도 보장하고 나아가 철도 차량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가적응 어셈블리(4)는 제1 매칭 부재(41) 및 제2 매칭 부재(42)를 포함한다. 제1 매칭 부재(41)는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된다. 제2 매칭 부재(42)는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된다. 제2 매칭 부재(42)는 제1 매칭 부재(41)와 매칭되며, 매칭면(411)은 원호면이다. 버퍼 어셈블리(1), 지지 어셈블리(3)와 연결 어셈블리(2)가 수평면 내에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수행할 때,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는 매칭면(411)을 통해 서로 접촉되며, 매칭면(411)을 따라 상대적으로 운동한다. 제1 매칭 부재(41)와 버퍼 어셈블리(1)는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매칭 부재(41)는 버퍼 어셈블리(1)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1 매칭 부재(41)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매칭 부재(41)는 모두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된다. 제2 매칭 부재(42)는 버퍼 어셈블리(1)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제2 매칭 부재(42)를 포함한다. 2개의 제2 매칭 부재(42)는 모두 제1 매칭 부재(41)와 서로 매칭되며, 각각 2개의 수직 지지 부재(32)와 연결된다. 매칭면(411)이 원호면이기 때문에,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치하도록 유지한다. 즉, 버퍼 어셈블리(1)와 수평 지지 부재(33) 사이의 간격과 버퍼 어셈블리(1)와 수직 지지 부재(32) 사이의 간격은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에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커플러 연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호면의 원심(412)은 버퍼 어셈블리(1)의 중심축선 상에 있다. 따라서 버퍼 어셈블리(1)와 지지 어셈블리(3) 사이의 간격을 더욱 감소시키고 커플러 연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철도 열차가 회전하거나 부딪히는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커플러는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어셈블리(2)가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구동시킨다. 버퍼 어셈블리(1)를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구될 수 있도록, 제1 실시방식에서 제공하는 드래프트 기어는 센터링 어셈블리(5)를 더 포함한다. 센터링 어셈블리(5)는 지지 본체(31)와 연결되며, 센터링 어셈블리(5)는 제2 회전 부재(35) 상에 작용된다.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어셈블리(2)를 상대적 회전 운동시키는 외력이 사라진 후, 센터링 어셈블리(5)는 제2 회전 부재(35) 상에 작용하며, 버퍼 어셈블리(1)가 초기 위치로 복구되도록 구동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시방식에 따른 드래프트 기어는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6)를 더 포함한다. 버퍼 어셈블리(1)는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6)를 통해 제1 연결부(211)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6)는 보호 부재(61)와 전단 볼트(62)를 포함한다. 보호 부재(61)는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된다. 보호 부재(61)는 전단 볼트(62)를 통해 제1 연결부(211)와 연결된다. 즉, 보호 부재(61)는 제1 회전 부재(22)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와 상대적으로 회전 연결되며, 보호 부재(61)는 전단 볼트(62)를 통해 연결 본체의 제1 연결부(211)와 연결된다. 연결 본체(21)는 제1 회전 부재(22)와 연결된 보호 부재(61)를 통해 버퍼 어셈블리(1)와 상대적으로 회전 연결된다. 제1 연결부의 연결면(214)은 차체 선단면(71)과 연결된다. 철도 열차의 커플러가 받는 충격력이 비교적 큰 경우 커플러는 드래프트 기어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거리가 드래프트 기어의 버퍼 스트로크를 초과하는 경우 버퍼 어셈블리(1)는 계속해서 후방측으로 이동한다.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어셈블리(2)는 전단 볼트(62)를 통해 연결된다. 충격력이 너무 크고 버퍼 어셈블리(1)와 연결 어셈블리(2) 사이의 이탈력이 전단 볼트(62)가 견딜 수 있는 힘보다 큰 경우, 전단 볼트(62)가 파열되며 연결면(214)과 차체 선단면(71)이 탈락되고 나아가 제1 연결부(211)와 차체(7)가 분리되어, 버퍼 어셈블리(1)가 차체(7)를 더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제2 실시방식은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를 더 제공하며 여기에는 전술한 드래프트 기어가 포함된다.
제3 실시방식은 철도 열차를 더 제공하며, 여기에는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가 포함된다.
1': 버퍼 어셈블리
2': 연결 어셈블리
3': 회전 어셈블리
31‘: 회전 중심
4': 차체
41': 차체 선단면
5': 연결 부재
1: 버퍼 어셈블리
11: 제1 버퍼 부재
12: 제2 버퍼 부재
2: 연결 어셈블리
21: 연결 본체
211: 제1 연결부
212: 제2 연결부
213: 연결홀
214: 연결면
22: 제1 회전 부재
23: 제1 회전 중심
3: 지지 어셈블리
31: 지지 본체
32: 수직 지지 부재
33: 수평 지지 부재
34: 탄성 지지 부재
35: 제2 회전 부재
36: 제2 회전 중심
4: 자가적응 어셈블리
41: 제1 매칭 부재
411: 매칭면
412: 원심
42: 제2 매칭 부재
5: 센터링 어셈블리
6: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
61: 보호 부재
62: 전단 볼트
7: 차체
71: 차체 선단면

Claims (10)

  1. 드래프트 기어에 있어서,
    버퍼 어셈블리;
    연결 어셈블리,
    -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제1 회전 중심을 구비하는 제1 연결부; 및
    연결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면을 통해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중심은 상기 연결면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 본체를 포함함 -;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접촉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제2 회전 중심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회전 중심은 상기 연결면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지지 어셈블리;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와 상기 버퍼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자가적응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적응 어셈블리는,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1 매칭 부재; 및
    상기 지지 어셈블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매칭 부재와 매칭되며, 상기 매칭면은 원호면인 제2 매칭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면의 원심은 상기 버퍼 어셈블리의 중심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4. 제1항에 있어서,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퍼 어셈블리는 상기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부하 보호 어셈블리는,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보호 부재; 및
    전단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전단 볼트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지지 본체;
    제2 회전 부재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제2 회전 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 어셈블리와 상대적인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됨- ;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버퍼 어셈블리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접촉되는 수직 지지 부재; 및
    상기 버퍼 어셈블리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버퍼 어셈블리와 접촉되며, 상기 수직 지지 부재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수평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탄성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 부재 하방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8. 제6항에 있어서,
    센터링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센터링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회전 부재 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래프트 기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드래프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10. 제9항의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열차.
KR1020227000740A 2019-07-25 2020-02-28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 KR102439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675827.5A CN110304097B (zh) 2019-07-25 2019-07-25 缓冲装置、钩缓装置及轨道列车
CN201910675827.5 2019-07-25
PCT/CN2020/077171 WO2020187002A1 (zh) 2019-07-25 2020-02-28 缓冲装置、钩缓装置及轨道列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047A true KR20220018047A (ko) 2022-02-14
KR102439346B1 KR102439346B1 (ko) 2022-09-01

Family

ID=6808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740A KR102439346B1 (ko) 2019-07-25 2020-02-28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8596B2 (ko)
EP (1) EP3981665B1 (ko)
JP (1) JP7197746B2 (ko)
KR (1) KR102439346B1 (ko)
CN (1) CN110304097B (ko)
WO (1) WO2020187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097B (zh) 2019-07-25 2020-05-05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缓冲装置、钩缓装置及轨道列车
CN112298264B (zh) * 2020-10-27 2022-02-1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中间半永久车钩、中间车端部碰撞吸能结构及轨道车辆
WO2022158620A1 (ko) * 2021-01-25 2022-07-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센터링 디바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73671U (zh) * 2009-11-16 2010-09-08 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后安装紧凑式缓冲器
JP2015516914A (ja) * 2012-04-17 2015-06-18 青▲島▼思▲鋭▼科技有限公司 過負荷保護付き小型緩衝装置
JP2015522460A (ja) * 2012-06-13 2015-08-06 青▲島▼四方▲車▼▲輛▼研究所有限公司 過負荷防止機能を有する前方設置式懸架システム
JP2018509323A (ja) * 2015-09-28 2018-04-05 青▲島▼思▲鋭▼科技有限公司 連結器のための垂直バネ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811B2 (ja) * 1987-02-09 1995-11-08 株式会社東芝 鉄道車両用バツフア装置
DE4302444A1 (de) * 1993-01-29 1994-08-04 Dellner Couplers Ab Automatische Mittelpufferkupplung
DE19636225A1 (de) 1996-09-06 1998-03-12 Dellner Couplers Ab Mittelpufferkupplung
EP1785330A1 (de) 2005-11-15 2007-05-16 Voith Turbo Scharfenberg GmbH & Co. KG Kupplungsanlenkung mit Gelenkanordnung
CN201136511Y (zh) * 2007-12-18 2008-10-22 中国北车集团四方车辆研究所 紧凑式缓冲装置
CN201566647U (zh) * 2009-11-10 2010-09-01 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车钩安装吊挂系统
US8327773B2 (en) 2010-01-04 2012-12-11 Nippon Sharyo, Ltd. Railway vehicle
CN101879906B (zh) 2010-06-29 2013-03-06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密接式车钩的吊挂装置
CN101985302A (zh) 2010-10-14 2011-03-16 南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中央缓冲连接器
EP2522560B1 (de) * 2011-05-12 2019-07-03 Voith Patent GmbH Lagerbock zum Anlenken einer Kupplungsstange an einen Wagenkasten eines spurgeführten Fahrzeuges
CN102343918B (zh) 2011-07-12 2016-08-17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用于轨道车辆的内拉断式缓冲装置
JP5650089B2 (ja) 2011-10-18 2015-01-0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鉄道車両用連結装置
CA2901176C (en) * 2013-03-22 2020-03-10 Wabtec Holding Corp. Automated coupler positioning device
DE102013110888A1 (de) 2013-10-01 2015-04-02 Voith Patent Gmbh Lagerbock zum Anlenken einer Kupplungsstange an einen Wagenkasten eines spurgeführten Fahrzeuges
CN105083317B (zh) 2015-07-24 2018-06-12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车钩组件及具有该车钩组件的轨道车辆
CN106364522B (zh) 2016-10-21 2018-08-24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车钩组件及具有该车钩组件的轨道车辆
CN106494451B (zh) 2016-10-21 2018-08-10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车钩组件及具有该车钩组件的轨道车辆
AU2017347558B2 (en) * 2016-10-21 2019-07-11 Crrc Qingdao Sifang Co., Ltd. Coupling assembly and rail vehicle having same
CN106379368B (zh) 2016-10-21 2018-05-2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车钩组件及具有该车钩组件的轨道车辆
DE102016125087A1 (de) * 2016-12-21 2018-06-21 Voith Patent Gmbh Kuppl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Schienenfahrzeug
CN209126738U (zh) * 2018-08-29 2019-07-19 中车戚墅堰机车车辆工艺研究所有限公司 一种对中支撑机构、采用该机构的车钩缓冲装置
CN110304097B (zh) * 2019-07-25 2020-05-05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缓冲装置、钩缓装置及轨道列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573671U (zh) * 2009-11-16 2010-09-08 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后安装紧凑式缓冲器
JP2015516914A (ja) * 2012-04-17 2015-06-18 青▲島▼思▲鋭▼科技有限公司 過負荷保護付き小型緩衝装置
JP2015522460A (ja) * 2012-06-13 2015-08-06 青▲島▼四方▲車▼▲輛▼研究所有限公司 過負荷防止機能を有する前方設置式懸架システム
JP2018509323A (ja) * 2015-09-28 2018-04-05 青▲島▼思▲鋭▼科技有限公司 連結器のための垂直バネ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1665C0 (en) 2023-07-19
JP2022532805A (ja) 2022-07-19
EP3981665A1 (en) 2022-04-13
WO2020187002A1 (zh) 2020-09-24
US20220126891A1 (en) 2022-04-28
CN110304097A (zh) 2019-10-08
CN110304097B (zh) 2020-05-05
EP3981665A4 (en) 2022-08-17
KR102439346B1 (ko) 2022-09-01
EP3981665B1 (en) 2023-07-19
US11498596B2 (en) 2022-11-15
JP7197746B2 (ja)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9346B1 (ko) 드래프트 기어, 커플러 드래프트 기어 및 철도 열차
CN101475011B (zh) 车钩缓冲装置
US20160318528A1 (en) Bearing bracket, assembly containing such a bearing bracket and system containing such an assembly
CN102233881A (zh) 一种铁道车辆防倾覆装置
KR102592193B1 (ko) 회전 지지대를 포함하는 열차 해치 모듈
CN103434531B (zh) 一种车钩及其防跳装置
CN103241690A (zh) 高空作业车及其工作斗
CA2904719C (en) Top operating h tightlock coupler
GB2565504B (en) Coupling assembly and rail vehicle having same
CN112203919A (zh) 用于轨道车的转向架的旋转接头
CN216105647U (zh) 一种航车防脱轨装置
CN113173194B (zh) 一种车钩防护装置
EP3617031B1 (en) Railway train and electric motor suspension mechanism thereof
KR102096602B1 (ko) 커플러
KR102594712B1 (ko)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열차 해치 모듈
CN115230770B (zh) 新型动车组用前端开闭机构及动车组
RU2762592C1 (ru) Автосцепка
US1923675A (en) Coupler mechanism
US1923674A (en) Coupler mechanism
US350486A (en) Car-coupling
CN117104294A (zh) 一种防脱轨装置
US1144024A (en) Car-coupling.
CN112776847A (zh) 一种用于防止火车连续侧翻的摆动式车厢保护连接装置
JP2004218277A (ja) 建設機械のキャブハンドレール
CN117682460A (zh) 坑洞防护装置和高空作业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