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845A - 바디-포지셔닝 장치 - Google Patents

바디-포지셔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845A
KR20220012845A KR1020217035870A KR20217035870A KR20220012845A KR 20220012845 A KR20220012845 A KR 20220012845A KR 1020217035870 A KR1020217035870 A KR 1020217035870A KR 20217035870 A KR20217035870 A KR 20217035870A KR 20220012845 A KR20220012845 A KR 2022001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user
adjustment
res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르넬리아 젠츠마이어
Original Assignee
코르넬리아 젠츠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르넬리아 젠츠마이어 filed Critical 코르넬리아 젠츠마이어
Publication of KR2022001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2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47C7/46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by pulling an elastic c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3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taking into account user data, e.g. knee height or physic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02/0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 B60N2002/0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non-standard, particular axis, i.e. an axis different from the axis characterising the conventional movement the seat or seat part turning about or moving along a vertical axi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4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5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rogramme execution, i.e. part programme or machine function execution, e.g. selection of a programm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399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시트(seat) 또는 휴식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1)는, 좌석 요소(seating element)(20), 골반(pelvis) 및 요추-척추 모듈(lumbar-spine module)(13) 및 컴퓨터 유닛(computer unit)(40)을 포함하며,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은 하나의 조절 요소(adjusting element)(117) 및 하나의 센서(sensor)(113)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요소(20)는 하나의 조절 요소(108) 및 3개의 센서(sensor)(111,112)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11, 112, 113)는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컴퓨터 유닛은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고, 제1 및 제2 센서(112) 및 제3 센서(111)는 제1 및 제2 좌골 결절(102)과 꼬리뼈(104)의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고, 여기서 제1 및 제2 좌골 결절은 좌골 결절 수준을 정의하고, 상기 좌석 요소의 조절 요소는 사용자의 시상 축에 대해 수평으로 좌골-결절 수준을 보상하고, 그 결과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의 조정 요소는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실질적으로 0과 같은 값을 가질 때까지 동일한 수평 축에 대해 사용자의 골반(101)을 기울인다.

Description

바디-포지셔닝 장치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시트(seat) 또는 라운저(lounger)에 통합되거나 쿠션(cushion)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좌석 요소(seating element), 골반(pelvis) 및 요추-척추 모듈(lumbar-spine module)을 갖는 등받이 요소(back element) 및 컴퓨터 유닛(computer unit)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 요소는 상기 좌석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은 적어도 조절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요소는 적어도 조절 요소 및 적어도 3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컴퓨터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좌석 요소와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에서 사용자의 시트-관련 압력 및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유닛은 조절 요소에 연결되고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고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서거나, 앉거나, 누워 있을 때, 종종 자신의 자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자세는 일방적인 고통스러운 근육 구축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척추 및 골반 구조의 잘못된 하중 분포의 경우 마모 과정과 척추 추간판 탈출증(spinal disc herniation)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것은 근육의 영구적인 정적 자세를 필요로 하며, 종종 잘못된 하중 분포와 충분한 보상 움직임이 없는 근육 불균형의 원인이 되며 신체의 다양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골반은 잘못된 자세를 방지하고 최적의 신체 위치를 확보하는 중심 역할을 한다. 골반 위치 결정 장치는 인체 공학 분야(ergonomics)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US20170086588A1은 시트의 시트 표면에 통합된 2개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공기 챔버 요소(air chamber elements)를 포함하는 공기 챔버 시스템을 개시하고, 불균형 착석의 경우 압축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함으로써 좌골 결절의 균형을 맞춰 착석 사용자의 골반을 위치시킨다. 상기 공기 챔버 요소의 한 영역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대퇴골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챔버 요소에는 상기 사용자의 좌골 결절에 의해 시트 표면에 적용되는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통합 접촉 압력 센서가 있다. 컨트롤러는 상기 시트-관련 압력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에 따라 압축기를 조절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신체 위치 결정 장치는 개선된 자세를 얻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압력만 감지하여 대퇴골뿐만 아니라 동일한 위치 설정이 구현된다. 그러나, 이 장치에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착석 시 개선된 신체 위치를 달성하려면 직립 자세에서, 사용자의 꼬리뼈에 임의의 하중이 없어야 한다. 이는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압력의 단순한 감지 및 그 위치에 의해 실현될 수 없으며, 이것이 선행 기술의 장치가 제한된 방식으로만 사용자의 자세를 개선하는 이유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포지셔닝은 그 시상축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구현되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척추후만증(kyphosis)과 같은 척추의 만곡(spinal curvature)은 예방할 수 없다. 게다가, 실질적으로 똑바른 착석 위치에서 상기 사용자의 대퇴골을 포지셔닝하는 것은 척주(spinal colum) 영역에서 자세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골반을 위치시키기에 충분한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휠체어와 같이, 알려진 장치의 추가 단점은 흉추 영역에서 해부학적으로 합리적인 지지가 불충분한 방식으로 고려되거나 전혀 고려되지 않은 결과로서, 후만증의 발달이 촉진될 것이다.이 단점이 장치에서 자세를 촉진하는 착석 요소의 부족과 일치하는 경우, 이는, 특히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건강에 해로운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방지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사용자의 신체 포지셔닝 장치 및 청구항 9의 특징을 갖는 신체 포지셔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는 사용자의 실질적으로 똑바른 착석 위치에서 제1 및 제2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압력과 꼬리뼈의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좌골 결절은 좌골-결절 수준을 정의하고, 상기 좌석 요소의 조절 요소는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에 사용자의 시상 축에 대해 수평으로 좌골-결절 수준을 보상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의 조절 요소는 상기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실질적으로 0과 같은 값을 가질 때까지 동일한 수평 축에 대해 사용자의 골반을 기울이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천골과 꼬리뼈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직립한 착석 위치에서 사용자의 수평 축에 대해 기울어진 위치로 전환할 때, 이 위치의 기울기의 함수로서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발달할 것이며, 상기 누운 신체 위치에서 천골 부위에 실질적으로 최대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발생한다. ㅍ상기 착석 요소에 제3 센서가 추가로 존재하고 사용자의 천골 영역에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에 센서가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의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압력과는 별도로, 또한 동일한 꼬리뼈 및 천골의 좌석-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장치에서 잘못된 위치로 인해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거나 신체 포지셔닝을 결정하기 조절 요소의 움직임을 조정하여 골반을 펴는 동안 또는 등받이 요소의 기울기가 변경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척추에서 동일한 천골을 통해 꼬리뼈 및 좌골 결절로 전달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에 기초하여,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의 조절 요소는 꼬리뼈가 실질적으로 임의의 하중을 받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을 기울일 수 있다. 이 센서는 사용자의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압력만 감지하고 좌골 결절의 균형을 유지하지만 골반의 기울기는 고려하지 않는 선행기술에 따른 신체 위치 결정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고, 신체 위치 결정의 필수 불가결한 부분을 구성하며, 이것이 위치가 잘못된 경우 꼬리뼈가 높은 시트 관련 압력에 노출될 수 있는 이유이다. 꼬리뼈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와 천골 영역의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전환하는 동안, 각각 앉거나 누운 자세가 변경된 경우에 포지션의 기울기의 함수로서. 골반이 펴지는 과정을 좌석 관련 및/또는 휴식 관련 압력 차이로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본 발명이 이미 존재하는 시트 또는 라운저에 통합될 수 있거나 의자 또는 침대의 쿠션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가능한 용도가 개발되고, 본원에서 장치는 다음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어 사무실 의자, 휠체어, 차량 시트, 어린이 고정 시스템, 훈련 시스템, 매트리스 또는 특히 스탠딩 보드, 스탠딩 침대 및/또는 작업 테이블에서 재활 및 치료 분야의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동일한 사용자의 적절한 무게 및/또는 사용자의 적절한 움직임에 의해 강제-맞춤 및 자체-조절 방식으로 착석 및 등받이 요소의 조절 요소의 수단에 의해 신체 포지셔닝이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는 컴퓨터 유닛은 사용자 자신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있거나 노인의 경우에는 간병인과 같은 제3자가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세 부분으로 된 흉추 모듈과 경추 및 머리 모듈을 가지며, 상기 흉추 모듈은 아래에 위치한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에 연결될 수 있고, 경추 및 머리 모듈은 아래에 위치한 흉추 모듈에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체-충전 채널(fluid-filled channels)을 수단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Bluetooth 또는 WLAN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세-부분으로 된 흉추 모듈 및 바람직하게는 네 부분으로 된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을 통해, 척추의 병적 회전 형성 또는 척추 측만증과 같은 심각한 장애가 있는 사용자도 분절적으로 지지되고, 포지셔닝되고, 가동될 수 있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고정 없이 지지하는 안정화 및 동원 수단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포함되며, 상기 골반 및 흉추 영역에서 개선된 앉고 누운 자세가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경추는 지지되는 흉추 또는 어깨 부위에 의해 간접적으로 상호 영향을 받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사용자의 경추 및 머리 모듈이 추가적으로 안정화 및 가동화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요소는 조절 요소를 추가로 갖고, 예를 들어, 척추 전만증에서 척추 후만증으로의 전이 영역에서 척추의 포지셔닝 및 지지하거나, 상기 트렁크의 불안정한 움직이지 않는 사람을 옆으로 지지하기 위해, 특히 척추의 영역에서, 교대 및/또는 동기식 조정 움직임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를 시상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 방향 축 주위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유닛은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 상기 흉추 모듈, 상기 경추 모듈 및 상기 머리 모듈의 조정 운동을 서로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좌석 및/또는 등받이 요소의 이미 포지셔닝된 조절 요소에는 실질적으로 좌석-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 또는 신체 위치의 변화가 각각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대 및/또는 동기식 상향 및 하향 움직임의 형태로 조정 움직임으로 인해 사용자의 상기 골반 및 요추, 흉추, 경추 및 머리 영역에 압력 지점 및/또는 압력 영역에 적용하여 고유수용성 근육의 작용을 자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천골과 골반 사이의 관절 영역에서 교대 조정 움직임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요소는 극상돌기가 활성화될 때 극상돌기를 보존하게 된다. 다른 장점은 상기 조절 요소와 기능적으로 관련된 조절 요소의 분절적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 차이의 감지에 의해 상기 조정 움직임이 사용자의 신체를 부분적으로 안정화하고, 극상돌기를 보존함으로써 압력에 민감한 극상돌기가 신체의 위치를 정하는 동안 휴식과 관련된 압력에 노출되어 통증이나 주변 신체 조직의 병리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척추의 똑바른 자세를 위해 흉추부위를 중앙에 지지할 수 있고, 여기서 견갑골(shoulder blades)은 각각 더 부드럽거나 더 낮게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회전 오차는 견갑골 영역의 조절 요소에 의해 세로축에 대해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상지(upper extremities)의 움직임의 자유도는 견갑골의 위치를 각각 낮추거나 더 부드럽게 함으로써 증가된다. 골반이 기울어짐에 따라, 꼬리뼈와 천골의 하중 획득 또는 하중 자유로의 전환 및 시상 양성 및 음성 방향의 흉추-척추 모듈의 조정 운동이 해당 조건에서 종료되며, 상기 골반의 압력 분포 또는 위치가 각각 획득되거나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골반의 중립 위치가 기울어지거나 누워 있는 신체 위치에서 임의의 시점에서 얻어지거나 정의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이점이 얻어진다. 등받이 요소, 특히 골반 및 요추 모듈에 센서가 있기 때문에, 임의의 골반 회전 이상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골반 능선에서 균일한 압력 분포가 얻어질 때까지 사용자의 세로축에 대한 회전을 통해 동일한 모듈의 조절 요소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상기 골반의 대칭적인 포지셔닝이 3가지 신체 수준 모두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또 다른 장점이 얻어지며, 이에 의해 하지가 사용자의 골성 골반 구조로부터 기능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된 신체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똑바른 자세 및 보행을 통해 척추의 잘못된 자세를 유발하는 발 수축 및 골반 위치 이상을 보상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된 신체 변화의 경우, 상기 조정 움직임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골반과 척추 구조의 개별적인 위치결정이나 지지, 뿐만 아니라 이들의 분절의 가동화 및 안정화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한 잘못된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척추의 "정상(normal)" 시상 방향으로부터 뚜렷한 척추 후만증 또는 강한 편차를 갖는 사용자에 대해 각각, 주로 요추의 영역과 적어도 흉추로의 이행 영역은 상기 골반과 관련하여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신체 상태의 악화를 지연시키거나 예방한다.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다리 요소를 갖고, 다리 요소는 좌석 요소에 연결되고 추가 조절 요소 및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조절 요소를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의 전환 동안, 하지의 근육 영향을 고려하여 기울어진 자세 또는 누운 자세에서, 골반, 특히 상기 골반에 직접 연결된 대퇴골, 경사진 위치의 골반의 중립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동일한 해부학적 뼈 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동일한 꼬리뼈 또는 천골의 수준 또는 좌골 결절 수준 위에 놓여 있다는 사실의 결과이다. 상기 다리 요소의 조절 요소의 또 다른 이점은 상기 사용자의 골반 중립 위치와 결합하여 동일한 요소의 활성화가 정맥 정체를 방지하고 일종의 "정맥 펌프(vein pump)"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다리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으로, 유체-충전 채널을 통해 또는 전기적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WLAN,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 유선 또는 무선 연결에 의해 좌석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상기 조절 요소는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이는 예를 들어 전기 서보 모터(electric servomotor), 공기 펌프 또는 유압 펌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포지셔닝이 복수의 조절 요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유체-충전 챔버 시스템을 사용할 때 상기 사용자는 적절한 무게로 인해 또는 펌프 장치의 사용으로 인해 유체를 재분배하여 강제-맞춤 방식으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전기 선형 드라이브는 컴퓨터 유닛에 의한 해당 활성화에 의해 사용자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강제-맞춤-제어되는 챔버 시스템에서와 같이 밸브(valve)에 의해 정의된 회로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얻는다. 상기 본체의 포지셔닝을 위해 유압 선형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해 큰 힘이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움직이지 않는 사용자, 특히 침대에 앉거나 사지 마비가 있는 사람이 정확하게 위치되고 가동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조절 요소의 용어는 상기에서 언급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센서로 구성된다. 이로서, 상기 사용자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복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장점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유체-충전 챔버 시스템을 사용할 때, 상기 챔버의 압력 차이를 통해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s) 또는 가속도계(accelerometers)와 같은 기계적 센서가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의 용어는 상기에서 언급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 좌석-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는 단계, 컴퓨터 유닛에 의해 상기 좌석 요소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상 축에 대한 좌골 결절 수준을 수평으로 보상하는 단계, 상기 좌석 요소의 제3 센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꼬리뼈의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골반을 동일한 수평축에 대해 양성 및/또는 음성 시상 방향으로 기울이기 위해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해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기울임 동안 실질적으로 0과 동일한 값을 갖자마자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한 조절 요소의 조정 움직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꼬리뼈와 천골 부위를 감지하여, 장치에 특히 감지된 힘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장치에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절 요소의 조정 움직임의 방식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잘못된 위치로 인해 또는 동일한 사용자의 척추를 따라 세로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장치에서 감지된 힘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사용자의 척주로부터 동일한 천골을 통해 꼬리뼈 및 좌골 결절로 등받이 요소의 기울기 변화로 인해 전달된다. 상기 등받이 요소의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에 있는 센서로 인해, 회전 골반의 잘못된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또 다른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골반 능선 영역에서 균일한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분포가 달성될 때까지 사용자의 세로 축에 대한 회전을 통해 동일한 모듈의 요소를 조정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천골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있다는 사실에 의해 얻어지며, 앉은 자세 또는 누운 자세가 변경된 경우, 각각 상기 신체 자세의 기울기에 따른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를 거쳐 상기 사용자가 전환하는 동안 골반이 펴지는 과정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누운 자세에서도 상기 골반의 중립적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를 위치시키는 방법은, 좌골 결절 수준의 보상 및 사용자 골반의 골반 기울기 과정에 따라,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해 흉추-척추 모듈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함으로써 흉추 영역에서 사용자의 포지셔닝 및 시상적으로 지지하는 단계, 상기 조정 움직임은 상기 극상 돌기의 영역을 보존하고, 상기 좌석 및 등받이 요소의 센서에 의해 상기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 컴퓨터 유닛에 의한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는 단계, 좌석 요소의 조절 요소 및/또는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에서 상당한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가 감지되는 즉시 컴퓨터 유닛에 의한 경추 모듈의 조절 요소의 조정 움직임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해 경추 및 헤드 모듈의 조절 요소를 활성하여 동일한 흉추 및 머리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를 시상적으로 지지하는 단계 및 후속 포지셔닝 단계, 상기 흉추-척추 모듈의 조절 요소에서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가 감지되는 즉시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한 조절 요소의 조정 움직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골반 및 요추, 흉추, 경추 및 두부 영역의 압력 포인트 및/또는 압력 영역을 교대로 함으로써 고유수용성 근육 작업이 조정 움직임에 의해 자극될 수 있다는 장점이 얻어지며, 상기 움직임은 상기 신체에 일방적으로 압력을 적용하고, 반대 쪽에서는 동일한 양만큼 후퇴하여 보상 움직임에 의해 신체가 반응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등받이 영역이 분절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또 다른 본질적인 장점은 상기 사용자의 골반 위치가 세 가지 신체 수준 모두에서 실현되어 중립적인 착석 위치가 가정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얻어진다. 또 다른 장점은 상기 꼬리뼈와 천골 부위에 임의의 병리학적 압력 위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얻으며, 특히 움직이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 골 구조로 인해 강한 통증과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는 방법은 상기 등받이 요소의 경사진 위치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경사진 등받이 요소를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자동차 시트 또는 비행기 시트와 같은 이미 존재하는 장치에서도 신체 포지셔닝이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척추 측만증과 같은 심각한 신체 장애가 있는 사용자는 기울어진 자세에서 보다 쉽게 자세를 잡고 안정화되고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조절 요소는 사용자의 뒤꿈치가 적어도 좌골 결절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해 등받이 요소의 경사 위치 및 좌석 요소의 경사 위치에 있는 다리 요소의 위치에서 활성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골반이 양의 시상 방향으로 기울어져 발생하는 과전만증(hyperlordosis) 및 척추에 발생하는 힘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상기 다리 요소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함으로써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골반의 중립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며, 사용자의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포지셔닝에 이어서, 미리 정의된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 범위의 주기적 간격에서 및/또는 부분적 압력 차이에서 상기 사용자를 후-포지셔닝하는 단계, 상기 등받이 요소 및/또는 좌석 요소 및/또는 다리 요소의 수평 레벨에서 상기 장치의 조절 요소를 동기식 및/또는 교대하는 조정 움직임의 형태로 서로 연속하여 부분적으로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세로축을 따라 임의의 순서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식 조정 움직임은 양의 시상 방향 및 음의 시상 방향으로 실현되고 교대 조정 움직임은 세로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형태로 실현되고, 상기 조정 움직임은 양의 시상 방향으로 일방적으로 실현되고, 반대 쪽에서는 음의 시상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실현되고, 동기 또는 교대 조정 운동의 형태로 좌석 요소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고 동기 및/또는 교대 조정 움직임의 형태로 다리 요소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신체의 골 구조에 너무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사용자의 잘못된 자세로 인해 신체 포지셔닝이 시간 간격 내에서 자동으로, 또는 동적으로, 특히 자가 조절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얻어진다. 게다가, 상기 다리 요소를 따라 서로 연속적으로 임펄스 같은 조정 움직임의 형태로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등받이 영역의 분절적 위치에 따라, 이때 사용자의 코어 근육이 척추의 바로 옆 부위에 자극을 받아 올바른 개인 자세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장치는 척추와 골반 지지대에서 시작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자세를 훈련시키고 개선을 향한 개인의 상태, 특히 수직, 골반에 대한 척추의 방향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코어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근육 긴장도를 변경하는 압력 포인트 및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척추 및 골반의 중립 위치는 장치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은 이제 실시양태 실시예를 통해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 변형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앉아 있는 동안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1)의 개략도이다. 상기 장치(1)는 시트 또는 라운저에 통합되거나 의자 또는 라운저 또는 침대에서 쿠션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좌석 요소(20), 등받이 요소(10),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 및 컴퓨터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 요소(10)는 흉추 모듈(12)과 경추 및 머리 모듈(11)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흉추 모듈(12)은 요추 모듈(13)에 연결되고, 상기 경추 및 머리 모듈(11)은 흉추 모듈(12)에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유체-충전 채널을 통해 기계적으로 좌석 요소(20)에 연결된다.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조절 요소(117 및 110)와 적어도 3개 이상의 센서(114 및 113) 및 상기 좌석 요소(2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조절 요소(108) 및 적어도 3개 이상의 압력 센서(111 및 112)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요소(108)는 자체 팽창 가능하고 변형 가능하며 유체-충전 챔버로 구성되고 밸브를 갖는 채널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압력 센서(111 및 112, 114 및 113)는 사용자(100)의 좌석-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유닛(40)은 챔버, 특히 밸브, 및 압력 센서(111 및 112, 114 및 113)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은 더 나은 조사를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압력 센서(112)는 좌석 요소(20) 내의 위치로 인해 제1 및 제2 좌골 결절(102)의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좌골 결절(102)은 좌골 결절 수준을 정의한다. 상기 압력 센서(111)는 상기 좌석 요소(20) 내의 위치로 인해 상기 사용자(100)의 꼬리뼈(104)의 좌석-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석 요소(20)의 챔버는 좌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 사용자(100)의 시상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좌골 결절 수준을 보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체는 상기 좌석 요소(20)의 더 높은 내부 압력을 갖는 챔버로부터 배출되고, 강제-맞춤 방식(force-fit way)으로 챔버를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챔버에 연결하는 채널을 통해 사용자(100)의 적절한 무게로 인해 펌핑된다.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압력 센서(114 및 113)는 상기 등받이 요소(10) 내의 위치로 인해, 골반 능선(103)의 압력과 천골(123)의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챔버는 재분배된 유체에 의해 상기 사용자(100)의 골반(101)을 수평축과 세로축을 중심으로 기울이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교대로 또는 교대로 각각, 바람직하게는 똑바로 앉은 자세에서 꼬리뼈(104)의 시트-관련 압력이 상기 꼬리뼈(104)의 스트레스 및 하중 자유도에 따라 프린지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0과 같은 값을 가지고, 상기 사용자의 골반 능선(103)의 휴식-관련 압력차는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 영역의 챔버(110)에서 실질적으로 0과 같은 값을 가질 때까지, 상기 사용자(100)는 앉아 있을 때 골반의 중립 위치를 얻는다.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장치(1)의 등받이 요소(10)는 흉추 영역에 추가 챔버(116, 121 및 119)를 추가로 갖고, 척추전만증과 척추후만증 사이의 전이 영역에 센서(125)를 추가로 갖는다. 상기 챔버는 골반의 중립 위치를 얻을 때 조정 움직임의 방식으로, 특히 동일한 것을 교대로 및/또는 동기식으로 펌핑함으로써, 특히 척주(106)의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100)는 시상 방향으로 그리고 대략 세로 방향으로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챔버(116, 121, 119)는 펌핑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100)의 극상돌기(107)를 보존한다. 상기 전이 영역의 센서(125)는 사용자(100)의 제어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정 움직임은 사용자(100)의 적정 체중에 의해 강력-맞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 흉추 모듈(12), 경추 모듈(12) 및 머리 모듈 (11)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장치(1)는 다리 요소(30)를 가지며, 상기 다리 요소(30)는 바람직하게는 유체-충전 채널에 의해 좌석 요소(20)에 연결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챔버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하지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골반과 척주의 중립 위치와 상기 등받이 요소의 경사진 위치에서 챔버에 존재하는 압력 분포가 유지된다. 상기 유체의 재-분배는 사용자(100)의 적정 체중과 별개로 적절한 움직임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석 요소(20) 및/또는 등받이 요소(10)의 조정 움직임은 각각의 요소에 연결된 챔버에 의한 좌석 요소(20) 및 등받이 요소(10)의 기계적 연결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0)는 대퇴골(105)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발뒤꿈치를 지지하기 위해 다리 요소(30)의 임의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시트-관련 압력은 제1 및 제2 압력 센서(112)에 의해 사용자(100)의 좌골 결절(102)에서 감지되고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평가된다. 상기 컴퓨터 유닛(40),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는 좌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에, 상기 시트 요소(20)의 챔버(108), 특히 연결 채널에 함유된 밸브는 수평 방식으로 좌석 요소(20)의 더 높은 내부 압력이 제공된 챔버(108) 외부로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사용자(100)의 좌골 결절 수준을 보상한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100)의 시트-관련 꼬리뼈 압력은 제3 센서(111)에 의해 감지되고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평가된다. 상기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의 감지된 값과는 별개로, 상기 사용자(100)의 적절한 무게에 의해, 이전 방법 단계에서 배출된 초과 유체 및 선택적으로 추가 유체는 상기 좌석 요소의 영역에서 더 높은 내부 압력을 갖는 장치의 챔버로부터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챔버(117)로 펌핑되고, 상기 챔버(117)는 사용자(100)의 골반(101)을 상호 교대로 또는 교대로 각각 동일한 수평 축에 대해, 하중 자유도 및 하중 획득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상기 시트-관련 꼬리뼈 압력이 실질적으로 0과 동일한 값을 가질때까지 기울인다. 선택적으로, 이 방법 단계에서는 이 중립 범위에 도달하기 위해 임의의 초과 체액을 배출하기 위해 골반을 뒤로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 다음, 골반 능선(103) 및 천골(123)의 압력은 제3 신체 평면에 골반을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센서(114, 113)에 의해 감지되고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평가된다. 상기 컴퓨터 유닛은 휴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 챔버(108), 특히 좌석 요소(20)와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연결 채널에 함유된 밸브를 활성화하고, 세로축에 대한 골반 회전에 의해 사용자(100)의 휴식-관련 압력을 포상하고, 상기 초과 유체는 사용자(100)의 적절한 중량으로 안해 더 높은 압력을 갖는 챔버로부터 휴식-관련 압력의 분포가 보상될 때까지 챔버(100)로 펌핑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절 수준의 보상에 이어,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영역에서 골반(101)의 기울임 및 회전 과정, 교대 및/또는 동시 조정 움직임, 특히 등받이 요소(10)의 추가 챔버(110, 116, 121, 119, 122)의 강제-맞춤 펌핑에 의한 상기 사용자(100)의 등받이 영역, 특히 흉추 및 경추를 시상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종축에 대해 위치된다. 이로써,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 흉추 모듈(12) 및 경추 모듈(11)에서 순차적으로 조정 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자(100)의 극상돌기(107) 주변 영역은 극상돌기(107)에 임의의 압력을 가하지 않기 위해 각각의 모든 포지셔닝 과정에서 보존된다. 이 프로세스로 인해, 임의의 좌석 요소 및/또는 등받이 요소의 이미 포지셔닝된 조절 요소에서 각각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 또는 신체 포지션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신체 포지셔닝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100)의 최초 신체 포지셔닝에 이어 주기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초, 분 또는 시간의 시간 간격으로 신체의 또 다른 포지셔닝이 수행된다. 상기 신체의 새로운 포지셔닝은 좌골 결절의 시트-관련 압력 차이의 편차 또는 미리 정의된 시트-관련 압력 차이 범위에서 꼬리뼈의 시트-관련 압력 편차의 결과일 수도 있거나, 이는 특히 청구항 3에 따른 기능적으로 관련된 조절 요소의 부분적 시트-관련 압력 변화 영역에서의 결과이다.
신체 포지셔닝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100)의 신체 포지셔닝은 등받이 요소(10)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실현된다.
신체 포지셔닝 방법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조절 요소는 상기 등받이 요소(10)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다리 요소(30)의 위치에서 활성화되고 기 사용자(100)의 발뒤꿈치가 좌골 결절의 수준 위에 있을 때까지 컴퓨터 유닛에 의한 상기 좌석 요소(20)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활성화된다.
앞서,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제어되는 체중에 의해 더 스트레스를 받는 챔버의 증가된 압력이 다른 챔버를 팽창시키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임의의 능동 조절 요소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 변형이 설명되었다. 상기 장치(1)로부터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제어되어 좌석 포지션을 변경하는 것이 추가로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100)가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 형태 안정성으로 인해 자가-팽창하는 챔버는 초기 상태로 스스로를 다시 채울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양태 변형에 따르면, 상기 조절 요소는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능동 작동기 및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작동기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충전 챔버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100)는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활성화되고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선형 드라이브(108, 117, 110, 116, 119, 121 및 122)에 의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압력 센서(111, 112, 113, 114, 115, 124 및 125) 대신에, 예를 들어 사용자(100)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피에조 요소(piezo elements)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전기 구동 장치(1)는 채널 및 밸브에 의해 정의된 임의의 회로 없이 본체의 포지셔닝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기 위한 다른 가능성은 예를 들어 유량 센서(flow rate sensors) (111, 112, 113, 114, 115, 124 및 125)와 조합된 유압 실린더와 같은 유압 조절 요소(108, 117, 110, 116, 119, 121 및 122)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시키는 또 다른 가능성은 다양한 조절 요소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등받이 요소(10)는 기계적, 특히 유체-충전 챔버(110, 116, 117, 119, 121 및 122)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좌석 요소는 예를 들어 선형 드라이브와 같은 전기적 조절 요소(10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 요소의 임의의 추가 조합이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양태 변형에 따르면, 기계적으로 표시된 장치(1)의 모든 연결은 또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WLAN을 통해 전기,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3)

  1. 시트(seat) 또는 라운저(lounger)에 통합되거나 쿠션(cushion)으로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1)는,
    좌석 요소(seating element)(20), 골반(pelvis) 및 요추-척추 모듈(lumbar-spine module)(13)(10)을 갖는 등받이 요소(back element)(10) 및 컴퓨터 유닛(computer unit)(40)을 포함하며, 상기 등받이 요소(10)는 상기 좌석 요소(20)에 연결되며, 상기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은 적어도 하나의 조절 요소(adjusting element)(117)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sensor)(113)를 포함하고, 상기 좌석 요소(20)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 요소(108) 및 적어도 3개 이상의 센서(sensor)(111,112)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11, 112, 113)는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연결되고 좌석 요소(20)와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에서 사용자(100)의 좌석-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유닛(40)은 조절 요소(108, 117)에 연결되고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고 조절 요소(108, 117)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100)의 실질적으로 똑바른 좌석 위치에서, 제1 및 제2 센서(112) 및 제3 센서(111)는 제1 및 제2 좌골 결절(102)의 시트-관련 압력과 꼬리뼈(104)의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좌골 결절(102)은 좌골-결절 수준을 정의하고, 상기 좌석 요소(20)의 조절 요소(108)는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 사용자(100)의 시상 축에 대해 수평으로 좌골-결절 수준을 보상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조절 요소(117)는 상기 꼬리뼈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실질적으로 0과 같은 값을 가질 때까지 동일한 수평 축에 대해 사용자(100)의 골반(101)을 기울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100)의 신체를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100)의 천골(123) 및 꼬리뼈(104)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똑바른 좌석 위치에서 사용자(100)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전환할 때, 상기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은 이 포지션의 기울기에 따라 발생하며, 상기 천골(12) 영역의 누운 자세에서 실질적으로 최대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요소(10)는 흉추 모듈(thoracic-spine module) 흉추 모듈(12) 및 경추(cervical-spine) 및 머리 모듈(11)을 가지며, 상기 흉추 모듈(12)과 경추 및 머리 모듈(11)은 서로 연결되고/되거나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과 개별적으로 및/또는 개별적으로 시트 요소(2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요소(10)는 추가 조절 요소(116, 121, 119, 122, 110)를 포함하며, 특히 척추(196)의 영역에서, 교대(alternating) 및/또는 동기(synchronous) 조정 움직임에 의해 시상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수직 방향 축에 대해, 사용자(100)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유닛(40)은 서로 연속적으로,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 흉추 모듈(12) 및 경추 모듈 및 머리 모듈(11)에서 조정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좌석 요소 및/또는 등받이 요소의 이미 포지셔닝된 조절 요소에서 실질적으로 임의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 또는 신체 포지션의 변화가 각각 발생하지 않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요소(117, 116, 119, 121, 122)가 상기 사용자(100)의 활성화 시 극상 돌기(spinous processes)(107)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다리 요소(30)를 갖고, 상기 다리 요소(30)는 상기 좌석 요소(20)에 연결되고 추가 조절 요소 및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지(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요소(108, 117, 110, 116, 121, 119, 122)는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액츄에이터(actuator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11, 112, 113, 114, 115, 124, 125)는 기계식, 전기식, 공압식 또는 유압식 센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를 작동시키는 방법:
    a) 제1 및 제2 센서(112)에 의해 사용자(100)의 좌골 결절(102)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고, 상기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의 경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좌석 요소(20)의 조절 요소(108)를 작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사용자(100)의 시상축에 대한 좌골 결절 수준을 수평으로 보상하는 단계;
    d) 상기 좌석 요소(20)의 제3 센서(111)에 의해 사용자(100)의 꼬리뼈(104)의 시트-관련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e)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사용자의 꼬리뼈(104)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는 단계;
    f)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조절 요소(117)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100)의 골반(101)을 수평 축에 대해 양의 방향 및/또는 음의 시상 방향으로 기울이는 단계;
    g) 꼬리뼈(104)의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이 틸팅(tilting) 동안 실질적으로 0과 같은 값을 갖는 즉시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한 조절 요소(117)의 조정 운동을 종료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100)의 골반(101)의 좌골-결절 레벨 보상 및 틸팅 프로세스에 후속하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흉추 모듈(12)의 조절 요소(119, 121)를 활성화함으로써 흉추 영역에서 사용자(100)를 위치시키고 시상적으로 지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조정 움직임은 극상 돌기(107)의 영역을 보존하는 단계;
    b) 상기 좌석 요소(20) 및 등받이 요소(10)의 센서(111, 112, 114, 113)에 의해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 차이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을 평가하는 단계;
    d) 상기 좌석 요소(20) 및/또는 골반 및 요추-척추 모듈(13)의 조절 요소에서 필수적인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한 흉추 모듈(12)의 조절 요소(119)의 조절 움직임을 종료하는 단계;
    e)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경추 및 머리 모듈(11)의 조절 요소(122)를 활성화함으로써 동일한 경추 및 머리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100)를 후속적으로 포지셔닝시키고 시상적으로 지지하는 단계;
    f) 상기 흉추 모듈(12)의 조절 요소(116, 121)에서 시트-관련 및/또는 휴식-관련 압력 차이가 발생한 즉시 상기 컴퓨터 유닛에 의한 조절 요소(122, 115)의 조정 움직임을 종료하는 단계.
  11.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100)의 신체 포지셔닝은 등받이 요소(10)의 경사진 포지션에서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요소는 사용자(100)의 발뒤꿈치가 적어도 좌골-결절 수준에서 휴식할 때까지, 상기 컴퓨터 유닛(40)에 의해 등받이 요소(10)의 경사진 포지션 및 좌석 요소(20)의 경사진 포지션에서 다리 요소(30)의 위치에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100)의 포지셔닝에 따라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 상기 사용자(100)를 주기적 시간 간격으로 및/또는 사전-정의된 시트-관련 및 휴식-관련 압력 범위의 부분적 압력차로 사후-포지셔닝하는 단계;
    b) 등받이 요소(10) 및/또는 시트 요소(20) 및/또는 다리 요소(30)의 수평면에서 상기 장치(1)의 조절 요소를 동기 및/또는 교대 조정 움직임의 형태로 부분적으로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세로축을 따라 임의의 순서로 활성화 하는 단계로서, 상기 동기 조정 움직임은 음의 시상 방향 뿐만 아니라 양의 방향으로도 실현되고, 상기 교대 조정 운동은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형태로 실현되며, 상기 조정 움직임은 양의 시상 방향으로 일방적으로 실현되고 다른 쪽에서는 음의 시상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실현되는 단계;
    c) 동기 또는 교대 조정 움직임의 형태로 상기 좌석 요소(20)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는 단계;
    d) 동기 및/또는 교대 조정 움직임의 형태로 상기 다리 요소(30)의 조절 요소를 활성화하는 단계.
KR1020217035870A 2019-04-26 2020-03-19 바디-포지셔닝 장치 KR202200128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386/2019A AT522485B1 (de) 2019-04-26 2019-04-26 Vorrichtung zur Körperpositionierung
ATA50386/2019 2019-04-26
PCT/AT2020/060114 WO2020215109A1 (de) 2019-04-26 2020-03-19 Vorrichtung zur körperpositionierungvorrichtung zur körperpositionie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845A true KR20220012845A (ko) 2022-02-04

Family

ID=7000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5870A KR20220012845A (ko) 2019-04-26 2020-03-19 바디-포지셔닝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02201A1 (ko)
EP (1) EP3934486B1 (ko)
JP (1) JP2022530117A (ko)
KR (1) KR20220012845A (ko)
CN (1) CN113727628B (ko)
AT (1) AT522485B1 (ko)
CA (1) CA3137052A1 (ko)
SG (1) SG11202111411VA (ko)
WO (1) WO2020215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44193B (zh) * 2021-02-20 2021-10-21 吳國源 骨盆傾斜偵測椅
AT525503A1 (de) 2021-09-16 2023-04-15 Sanlas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passung der Kontur eines Rückenelements an die Haltung einer Person
AT525616A1 (de) * 2021-10-29 2023-05-15 Sanlas Holding Gmbh Verfahren zur fortlaufenden Orts- und Lagebestimmung eines Beckens einer Person mittels eines einzigen Einsatzsensors
CN114469556A (zh) * 2022-02-08 2022-05-13 李浩曦 一种骨科用颈椎脊椎的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798A (en) * 1976-07-23 1979-08-21 Weber Joseph T Seat cushion
US4643481A (en) * 1984-11-08 1987-02-17 Saloff William S Seat system for preventing decubiti
US4951334A (en) * 1989-07-26 1990-08-28 Maier Edmund K Pressure relief cushion
US5662384A (en) * 1995-11-14 1997-09-02 Peter W. Linley Dynamic seating support system
DE19752355C2 (de) * 1996-10-14 2001-12-06 Mathieu Ernst Ulrich Verstellbare Sitzfläche
JPH11253267A (ja) * 1998-03-13 1999-09-21 Nissan Shatai Co Ltd 車両用シート
JP3098233B1 (ja) * 1999-07-06 2000-10-16 玲子 藤川 椅子、車椅子用のクッション材
JP2002005761A (ja) * 2000-06-16 2002-01-09 Calsonic Kansei Corp 着座位置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3906649B2 (ja) * 2001-05-28 2007-04-18 松下電工株式会社 生体信号検出装置付き椅子
DE10139412B4 (de) * 2001-08-17 2005-03-10 Isringhausen Geb Fahrzeugsitz mit aktiver Konturverstellung
JP3903206B2 (ja) * 2001-10-03 2007-04-11 エルゴシーティング株式会社 身体圧分布の基本特性測定・解析システム
TWI246412B (en) * 2002-03-06 2006-01-01 Myoung-Ho Cho Posture sensing apparatus
US7731294B2 (en) * 2002-09-03 2010-06-08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Seat
US6929325B1 (en) * 2003-03-03 2005-08-16 Francois Goelo Portable ergonomic cushion
JP2005261508A (ja)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心地具合評価装置
CN2827141Y (zh) * 2005-02-21 2006-10-18 陈仲 舒脊椅
JP4757553B2 (ja) * 2005-07-14 2011-08-24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
DE102005038289B3 (de) * 2005-08-12 2007-03-08 Metzeler Schaum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und Veränderung einer durch einen menschlichen Körper bewirkten Druckverteilung auf eine Sitz- oder Liegeanordnung und eine solche Sitz- oder Liegeanordnung
DE102007053119A1 (de) * 2007-11-08 2009-05-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Sitzes sowie Sitz
DE102009021532A1 (de) * 2009-05-15 2010-11-18 Nitring Enterprise Inc. Verstellverfahren und Verstellsystem für einen Stuhl
US8454090B2 (en) * 2009-09-14 2013-06-04 Leggett & Platt Canada Co. Pelvic and lumbar support system
JP5499870B2 (ja) * 2010-04-21 2014-05-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座席
KR101155211B1 (ko) * 2011-08-16 2012-06-13 윤욱 요추지지방석
CN102512010A (zh) * 2011-12-15 2012-06-27 尹旭 一种支撑腰椎坐垫
DE102012017681A1 (de) * 2012-08-30 2014-03-06 Markus Klippstein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der Körperhaltung beim Sitzen
CN203710325U (zh) * 2013-08-14 2014-07-16 宁波康福特健身器械有限公司 一种按摩椅
US9987961B2 (en) * 2014-06-09 2018-06-05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assembly
JP2016083335A (ja) * 2014-10-24 2016-05-19 スンチョニャン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 アカデミー コー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圧力センサー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の着座姿勢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TWM504517U (zh) * 2015-03-13 2015-07-11 Thi Kim Loan Pham 用於預防脊椎疾病的坐式裝置
US9661928B2 (en) 2015-09-29 2017-05-30 Lear Corporation Air bladder assembly for seat bottoms of seat assemblies
DE202016102473U1 (de) * 2016-05-09 2017-08-10 Tim Host Sitzauflage und Sitzvorrichtung
CN105747640A (zh) * 2016-05-10 2016-07-13 内蒙古农业大学 人体工程学座椅
US20180118054A1 (en) * 2016-11-02 2018-05-0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djustab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11411VA (en) 2021-11-29
US20220202201A1 (en) 2022-06-30
CA3137052A1 (en) 2020-10-29
CN113727628B (zh) 2023-08-18
AT522485A1 (de) 2020-11-15
EP3934486A1 (de) 2022-01-12
AT522485B1 (de) 2020-12-15
EP3934486B1 (de) 2023-05-31
JP2022530117A (ja) 2022-06-27
CN113727628A (zh) 2021-11-30
WO2020215109A1 (de)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2845A (ko) 바디-포지셔닝 장치
US6159172A (en) Orthopedic seat with inflatable cells
US2010031335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utomatic pillow adjustment
CN106963178B (zh) 气垫装置及气室的内压控制方法
JP2013528430A (ja) 座席装置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JP2022022403A (ja) エアマット装置及びエアセルの内圧制御方法
KR20220079966A (ko) 사람 골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JP6732074B2 (ja) エアマット装置及びエアセルの内圧制御方法
CN114554954A (zh) 用于对人的盆骨进行位置和姿态确定的方法
RU28088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тел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а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160004334U (ko) 기능성 의자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Yang et al. Design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an air-alternating wheelchair seating system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KR2003249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7080931B2 (ja) エアセルの内圧制御方法
JP7071439B2 (ja) エアマット装置及びエアセルの内圧制御方法
JP3245822U (ja) 無重力姿勢機能付きチェア
JP6680508B2 (ja) 腰痛対策椅子
CN211067865U (zh) 一种脊柱理疗躺椅
US11998497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body part
JP5240655B2 (ja) 背面支持用エアーセルクッション
KR20230025046A (ko) 헬스 의자
KR20230109217A (ko) 척추 스트레칭 장치
KR20210132875A (ko) 부분적으로 압력의 제어가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