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1729A - 스위칭 배열체 - Google Patents
스위칭 배열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1729A KR20220011729A KR1020217042371A KR20217042371A KR20220011729A KR 20220011729 A KR20220011729 A KR 20220011729A KR 1020217042371 A KR1020217042371 A KR 1020217042371A KR 20217042371 A KR20217042371 A KR 20217042371A KR 20220011729 A KR20220011729 A KR 202200117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reaker
- switch
- encapsulation
- section
- section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503 SF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YRWEQXVUNLMAY-UHFFFAOYSA-N fluoroketone group Chemical group FC(=O)F IYRWEQXVUNLMA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CO 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FZCNBIFKDRMGX-UHFFFAOYSA-N sulfur hexafluoride Chemical compound FS(F)(F)(F)(F)F SFZCNBIFKDRM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909 sulfur hexaflu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45—Details of casing, e.g. gas tightnes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2—Gas-insulated switchgear for three phase switchgea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8—Connections to in or out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75—Earth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립형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 내의 회로 차단기(3.1, 3.2, 3.3)를 포함하는 스위칭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 내의 제1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와,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6, 16.1, 17, 17.1, 18, 18.1) 내의 제2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의 재킷측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립형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내의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는 스위칭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스위칭 배열체가 예를 들어 PCT 공개 공보 WO 2014/03943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에서는, 회로 차단기가 직립형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공보에 설명된 개폐 장치는 컴팩트한 베이스면을 가지므로, 공간이 협소한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공지된 개폐 장치는 특히 타워형 건축물에 사용할 목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 장치는 높은 수준의 전문화로 인해 유연성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과제는, 컴팩트한 치수를 유지하면서도 간소화된 방식으로 다양한 사용 조건들에 매칭 가능한 스위칭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개폐 장치에서, 제1 분리 스위치가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내에 배열되고, 제2 분리 스위치가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내에 배열되고, 이러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재킷측에 배열됨으로써 해결된다.
스위칭 배열체는 상도체를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도체들은 전기 에너지를 장거리에 걸쳐 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도체들은 전위차에 노출되고, 전류가 이러한 전위차를 통해 발생하여 상도체 내에서 안내된다. 회로 차단기는 예를 들어 이러한 형태의 상도체의 일부일 수 있다. 회로 차단기는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을 통해서는, 그 내부에 수용된 회로 차단기의 기계적 보호가 구현된다.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같은 캡슐화 섹션은 전기 전도성 영역 및 전기 절연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몸체가 전기 전도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도체가 통과해야 하는 영역들은 전기 절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절연 영역이 상도체를 예를 들어 유밀식으로 매립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도체는 캡슐화 섹션을 통해 형성되는 장벽을 유밀식으로 관통한다. 또한, 전기 절연성 영역은 상도체의 지지에 사용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를 통해, 이송되어야 할 전류가 거치는 상도체는 스위칭될 수 있다. 상도체를 전기 절연하기 위해, 이러한 상도체의 주위에 전기 절연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절연 유체는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증발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캡슐화 섹션은 유밀식 장벽을 나타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에 있는 전기 절연 유체에는, 주변과는 상이한 압력, 특히 초과압이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 절연 유체의 절연 강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전기 절연 유체는 회로 차단기 캡슐화 하우징 내부에서 회로 차단기 주위를 흐를 수 있으며, 회로 차단기의 스위칭 경로를 관류하고, 회로 차단기의 스위칭 가스로서 기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회로 차단기가, 관 내부에 배열된 스위칭 경로를 가짐으로써, 전기 절연 유체가 회로 차단기의 스위칭 경로 내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관 내부에는 상이한 유체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관 내부에는 대략 진공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 내부에는 회로 차단기의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칭 접촉편들이 배열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칭 접촉편들 사이에는 스위칭 경로가 형성된다. 회로 차단기의 관 외부에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에 봉입된 전기 절연 유체는 회로 차단기의 전기 절연을 보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로 차단기는 전기 절연된 상태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또는 다른 캡슐화 섹션에 지지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또는 다른 캡슐화 섹션에 의해 봉입된 전기 절연 유체로서는, 예시적으로, 예를 들어 육불화황, 플루오로니트릴, 플루오로케톤, 플루오로올레핀과 같은 불소 함유 기체 또는 액체나, 예를 들어 CO2, 질소, 산소와 같은 여타의 적합한 전기 절연 유체, 그리고 이러한 물질들과의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질소는 산소 성분과 혼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 스위치의 사용은, 회로 차단기를 이러한 분리 스위치들과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분리 스위치 및 제2 분리 스위치는 각각 회로 차단기의 상류 및 하류에서 회로 차단기의 서로 상이한 연결 측면들에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리 스위치들을 통해 회로 차단기를 양측에서 활성화시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제1 분리 스위치 및 제2 분리 스위치를 통해 회로 차단기의 동일한 연결 측면에서 회로 차단기의 동일한 연결 측면을,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케이블(또는 다른 연결 라인들)과 교대로 또는 동시에 연결하기 위하여, 분리 스위치를 사용하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분리 스위치를 통해 선택을 실행하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가 이와 같이 환형 라인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분리 스위치의 교대 접속을 통해 하나의 환형 절반부 또는 다른 환형 절반부로부터 회로 차단기의 전류 공급이 실행될 수 있거나, 동시에 연결될 때 환형부가 루프스루(loop through)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리 스위치는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내에 배열된다. 이 경우,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밀봉식으로 분리되므로, 캡슐화 섹션들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분리된 유체들, 특히 전기 절연 유체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서로 분리된 전기 절연 유체들이 봉입될 수 있다.
상도체가 하나의 캡슐화 섹션으로부터 다른 캡슐화 섹션으로 넘어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영역이 바람직하게 전기 절연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유체들의 분리가 실행되고, 개별 캡슐화 섹션들 사이에서 상도체가 전기 절연된 상태로 넘어다니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도체(들)를 캡슐화 섹션의 벽부의 전기 전도성 영역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지지 절연체가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화 섹션을 하나의 영역 내에서 전기 전도성을 갖도록 형성하고, 캡슐화 섹션의 벽부(장벽)를 통한 상도체의 통과가 실행되는 영역들만 전기 절연되도록 구성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캡슐화 섹션의 벽부를 통한 상도체의 관통을 위하여, 소위 전기 절연 부싱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으로, 예를 들어 캡슐화 섹션의 기본 몸체 내의 하나의 개구를 전기 절연식으로 폐쇄하는 디스크형 절연체들이다. 부싱이 유밀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부싱 또는 관통되는 상도체는, 전기 절연 유체가 하나의 캡슐화 섹션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캡슐화 섹션으로 넘어다닐 수 있도록 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슐화 섹션들은 서로 밀봉식으로 분리될 수 있고, 캡슐화 섹션들 사이에서 상응하는 상도체들이 전기 절연된 상태로 넘어다니는 것만이 허용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축은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를 통해,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재킷측에 배열되는 직립형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이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게, 필요한 경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에 위치 설정된 회로 차단기로부터 시작하여 반경 방향으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위치 설정과, 그들 내부의 분리 스위치들의 위치 설정이 구현된다. 캡슐화 섹션들의 연결을 위해, 이러한 캡슐화 섹션들은 예를 들어, 캡슐화 섹션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플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들은 하나의 캡슐화 섹션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캡슐화 섹션으로의 상도체의 통과 및 부싱의 수용을 위해서도 적합하다.
플랜지들의 위치들을 선택함으로써, 캡슐화 섹션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형성 및 그들의 충전과 관련하여,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간접적으로 부착될 때, 예를 들어 중간 캡슐화 섹션의 사용을 통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대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이격이 확대될 수 있다. 중간 캡슐화 섹션으로서, 예를 들어 추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및/또는 추가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부착에 사용되는 플랜지들은 일직선 상에 놓인 상태로 하나의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향되어야 한다. 중간 캡슐화 섹션으로서, 제2의,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도 사용될 수 있다. 중간 캡슐화 섹션은, 상도체를 편향시키고,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플랜지들의, 일직선 상에 놓인 축의 방향으로의) 상도체의 직접적인 선형 통과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직선 축의 방향으로, 상응하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피복형 윤곽은 거의 동일하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베이스면에 대한 요구가 적고, 얇게 형성된 스위칭 배열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스위칭 배열체를 전기 에너지 전송망에 결합하기 위한 케이블을 스위칭 배열체로 전달하고, 이러한 스위칭 배열체와 연결시키는 가능성이 이와 같이 단순화된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실질적으로 관형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유사하게,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관형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단면보다 크게 선택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동일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에 대한 각진 접근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관형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경우, 회로 차단기 섹션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가 예를 들어 재킷측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회로 차단기 캡슐화 하우징 및 재킷측에 배열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관축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도체를 재킷측에서, 재킷측에 부착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을 통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로부터 나오도록 안내하고, 이를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내부에서 예를 들어 각지게 편향시키는 것이 예시적으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내부에서 상도체 섹션의 약 90°의 편향을 실행하는 것이 예시적으로 가능하다. 각위치의 선택을 통해,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는 배향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의 방향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은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관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수직축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재킷측 부착은 수직축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실행될 수 있으므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축 상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다. 특히 각진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을 사용할 때, 이들의 일직선 상에 놓이는 배향이 제공될 수 있지만,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각진 형태의 분기부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주변에서, 예를 들어 케이블과 같은 공급 라인을 회로 차단기를 향하여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안내하고, 이 경우 스위칭 배열체의 베이스면을 약간만, 바람직하게는 주변의 동일한 위치에서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직축을 따라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열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을 위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제공되는 플랜지들은 재킷측에서 동일한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지만, 수직축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횡축이,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으며, 특히 수직축과 교차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의 측면들 상에서는 재킷측으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위치 설정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축들의 서로에 대한 수직 배향이 제공되고,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횡축의 방향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인다. 이는 특히,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재킷측에서 각진 분기부를 제공해야 하고, 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어야 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을 통해 제1 케이블을, 그리고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을 통해 제2 케이블을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고, 두 케이블들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을 향해 나아간다. 다양한 캡슐화 섹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들을 사용할 때,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사이의 간접적인 연결을 유도하는 캡슐화 섹션을 사용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격을 위하여, 추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구조 방식의 2개 또는 3개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을 서로 평행하게 배향하고, 이들을 서로 플랜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을 고정된 각도로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 플랜지들이 재킷측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커플링 플랜지들이 상도체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과 커플링 플랜지들의 플랜지 결합을 위한 플랜지들이 직경 방향으로 반대되도록 재킷측에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과 복수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각도 고정된 선형 연결이 가능하고, 연결에 사용되는 플랜지들은 바람직하게 하나의 축 상에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각각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케이블 연결부들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케이블 연결부를 통해, 케이블을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연결시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각진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에,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상도체를 재킷측에서 삽입하는 것이 실행될 수 있다. 각위치의 배향을 통해, 케이블들은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을 향해 나아가거나,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케이블 연결부로서는, 예를 들어 케이블 연결부의 외부 원뿔에 플러그 장착될 수 있는 케이블 플러그 커넥터가 예를 들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반대로 케이블 연결부는 실질적으로 원추형의 소켓을 가질 수도 있으며, 케이블의 상응하는 상대편이 전기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블 연결부는 자신의 특유의 구성과는 무관하게, 케이블을 전기 절연식으로 저지된 상태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스위칭 배열체로 안내하고, 케이블의 상도체를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벽부를 통해, 전기 절연되고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관통 안내할 가능성을 갖는다.
케이블 연결부들의 반대 방향 배향은, 예를 들어 케이블이 반대되는 방향으로부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응하는 케이블들이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또는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으로 이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대 방향 배향은,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에서의 각각의 케이블의 상도체의 삽입 방향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의 방향으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될 때 케이블 연결부들의 반대 방향 배향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스위칭 배열체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베이스면 상의 회로 차단기에 대한 상도체의 공급 및 방출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각각 하나의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고, 케이블 연결부들이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케이블 연결부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하는 것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로의 다양한 케이블들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이 횡축에 대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될 때,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주변에 분배된 상태로 복수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을 배열하고,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케이블을 스위칭 배열체로 안내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케이블 연결부들의 구성과 관련하여 상기 내용이 참조된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 중 하나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에 접지 스위치가 배열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접지 스위치는 상도체에 접지 전위를 가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특히 안전 회로들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접속에 결함이 있을지라도 접지 연결이 유도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안전 차단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지 스위치는, 필요한 경우 접지 전위가, 예를 들어 분리 스위치의 상도체 또는 이후 회로 차단기의 상도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시스템이다. 필요한 경우, 접지 스위치의 기능에 따라 접지 전위의 특히 신속한 접속이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위 급속 접지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도체에 전압이 걸려 있을지라도 상도체의 강제 접지를 실행할 수 있는 연결 고정식 접지 스위치가 사용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지 스위치는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그곳에 위치한 상도체를 접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 전위는, 예를 들어 접지 전위를 안내하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전기 전도성 영역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분리 스위치들 중 하나 이상의 분리 스위치가 3위식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3위식 장치에서는 동일한 구동 배열체가, 동일한 전위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을 작동시키고, 한편으로는 분리 스위치를, 다른 한편으로는 접지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강제적으로 분리 스위치 및 접지 스위치의 체결이 실행된다. 분리 기능으로부터 접지 기능으로의 변경이, 이동 가능한 분리 스위치 접촉편의 중립 위치를 거쳐 실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립 위치에서 분리 스위치와 접지 스위치는 개방되고, 분리 스위치 또는 접지 스위치의 연결이 교대로, 동일한 구동 순서를 통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3위식 장치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은,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분리 스위치 접촉편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 스위치 접촉편의 반대 방향 끝들의 단부측에서 한편으로는 분리 스위치를 위한 스위칭 지점이, 다른 한편으로는 접지 스위치를 위한 스위칭 지점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2개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의 양쪽을 둘러싸도록 회로 차단기의 구동 배열체가 배열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컴팩트한 구조 형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회로 차단기의 구동 배열체의 양쪽이 둘러싸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립형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의 단부측에는 회로 차단기들을 위한 구동 배열체의 위치 설정이 제공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구동 배열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배열체를 통해, 회로 차단기의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칭 접촉편들이 구동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양쪽이 둘러싸여짐으로써, 스위칭 배열체에서의 효율적인 구조 공간 이용이 가능해진다. 회로 차단기의 구동 장치의 위치 설정을 위해, 회로 차단기의 수직축의 방향으로 제공되는 구조 공간이 사용된다. 또한, 구동 장치는 양쪽을 둘러싸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기계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양쪽을 둘러싸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합동으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열되어야 한다. 운동학적 체인을 통해, 이와 같이 구동 배열체로부터 시작하여 스위칭 이동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동학적 체인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장벽을 유밀식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이동을 유밀식으로 장벽, 예를 들어 벽부를 관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및 2차 하우징에 의해 양쪽이 둘러싸이도록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이 배열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 배열체를 구동하거나 스위칭 배열체를 작동하기 위하여, 2차 하우징 내부의 스위칭 배열체에 배열된 소위 2차 장치들이 필요하다. 2차 장치들은, 예를 들어 스위칭 배열체를 작동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배열체, 측정 장치, 보호 장치 등이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양쪽을 둘러싸는 2차 하우징 및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은 필요한 경우, 실질적으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의 수직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횡축의 반대 방향 측면들 상에 배열되어야 한다. 이 경우, 2차 하우징이 추가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으로부터 연장되거나 추가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배열체에 의해 요구되는 베이스면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2차 하우징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은 2차 하우징을 지지한다. 2차 하우징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과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사이에 제1 및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이 배열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2개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의 사용은, 스위칭 배열체에 의해 구현 가능한 회로 변형예들의 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며, 축평행하게 배향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두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이 실질적으로 관형으로 구성될 때 관축들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축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뿐만 아니라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도 직립 상태로 배열된다. 이에 상응하게,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의 내부에 배열된 회로 차단기들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직립 상태로 배향된다. 제1 또는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을 통해서는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뿐만 아니라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도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상도체는 노드점들을 통해 분리 스위치들 사이 또는 회로 차단기들 사이에서 분배된다.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은 재킷측에서 동일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들 각각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 중 하나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각각 연결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 하나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이 다른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을 위해 중간 캡슐화 섹션으로서 작용한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들은 바람직하게 커플링 플랜지들을 통해 고정된 각도로 서로 연결된다. 커플링 플랜지들은 바람직하게는,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이 배열되는 플랜지들에 대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위치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과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의 간접 연결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제1 회로 차단기와 제1 분리 스위치 그리고 제2 회로 차단기와 제2 분리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제1 회로 차단기와 제2 회로 차단기 사이에는 노드점이 연결되며, 이러한 노드점으로부터는 각각의 회로 차단기 및 분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스트랜드가 확장된다.
제1 회로 차단기와 제1 분리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직렬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 회로 차단기와 제2 분리 스위치는 바람직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회로 차단기와 제1 분리 스위치는 제1 스트랜드를 형성하고, 제2 회로 차단기와 제2 분리 스위치는 제2 스트랜드를 형성한다. 이 경우, 두 스트랜드들은 하나의 노드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두 스트랜드들은 이러한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확장된다. 회로 차단기 및 분리 스위치 서로 간의 각각 하나의 직렬 회로에서 노드는 바람직하게, 회로 차단기의 연결 측면에 대한 직접 접근부가 제공되는 스트랜드의 측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노드에서 회로 차단기들의 각각의 연결 측면들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회로 차단기 및 제3 분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3 스트랜드를 사용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회로 차단기들은 공통 노드 내에서 연결 측면과 전기 전도식으로 결합되며, 각각의 분리 스위치들을 구비한 스트랜드들은 노드로부터 확장된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제1 회로 차단기와 제1 분리 스위치 그리고 제2 회로 차단기와 제2 분리 스위치가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제1 및 제2 스트랜드를 형성하며, 제1 스트랜드 내의 제1 회로 차단기와 제1 분리 스위치 사이에는 제2 회로 차단기 및 제2 분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2 스트랜드를 위한 탭의 형성 하에 노드점이 배열된다.
노드점이 제1 분리 스위치와 제1 회로 차단기 사이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제1 스트랜드는 노드점을 통해 세그먼트화된다. 이러한 노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제2 스트랜드가 연장될 수 있고, 노드점을 향해 배향된 상태로 바람직하게 제2 회로 차단기가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리 스위치와 제1 회로 차단기 사이의 노드점으로부터 시작하는 탭으로서 제2 스트랜드를 형성하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스위치 배열체가 단극으로 캡슐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칭 배열체의 단극 캡슐화는 적어도 섹션별로, 상이한 전위들의 상도체들을 한편으로는 서로 전기 절연식으로 위치 설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서로 기계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단극으로 형성되는 각각 3개의 캡슐화 섹션들을 구비한 3상 스위칭 배열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개별 극들의 캡슐화 섹션들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극들에서의 캡슐화 섹션들의 다중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컴팩트한 배열체가 얻어진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캡슐화 섹션들이 특히 유밀식으로 서로 플랜지 연결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캡슐화 섹션들은 자신들의 내부에 매우 상이한 구성의 상도체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하나의 캡슐화 섹션으로부터 다른 캡슐화 섹션으로 상도체가 넘어다니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캡슐화 섹션들의 벽부들을 통해 전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캡슐화 섹션들은 플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들은 바람직하게는 상도체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환형 플랜지들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플랜지 영역 내에는, 플랜지 개구를 유밀식으로 폐쇄하고 상도체의 전기 절연식 지지를 보장하는 전기 절연 부싱들, 예를 들어 소위 부싱 절연체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캡슐화 섹션들의 플랜지들은 바람직하게는 나사 플랜지들로서 형성되어야 하며, 플랜지 개구들의 유밀식 폐쇄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간극 내에 상응하는 전기 절연식 지지 절연체들이 삽입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후속적으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스위칭 배열체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제2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제3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5는 제3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제4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제5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9는 제5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6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11은 제6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7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13은 제7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제2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제3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5는 제3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제4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4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제5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9는 제5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6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11은 제6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제7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의 극의 도면이고,
도 13은 제7 실시예의 극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는 3극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단극 캡슐이 제공되고, 즉, 다상 전기 에너지 전송 시스템의 각각의 상도체(극)가 캡슐화 섹션들 내부에 배열되며, 각각의 상도체는 별도의 캡슐화 섹션들을 통해 시스템의 다른 상도체들로부터 서로 분리된다. 이에 상응하게, 스위칭 배열체를 위해,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극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가 나타나고, 이러한 극들은 공통의 지지 프레임(1) 상에 지지된다. 또한, 스위칭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캡슐화 섹션에 부착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지 프레임(1)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공통의 2차 하우징(2)이 제공된다. 이 경우, 도 1의 사시도는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변형예의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개별 실시예들은 개별 극들의 구조 또는 활용에 있어 각각 상이하다. 도 1과 유사하게 다양한 실시예들의 상응하는 사시도들이 얻어지도록, 각각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극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공통적이다. 각각의 실시예와는 독립적으로, 제1 입력(IN1), 제2 입력(IN2) 및 출력(OUT)이 있다는 것이 모든 변형예들에서 공통적이다. 모든 변형예들에서, 제1 입력(IN1), 제2 입력(IN2) 및 출력(OUT)에는 케이블들의 연결부가 제공된다.
도 1에 따른 스위칭 배열체의 제1 실시예는 단극 절연부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추가의 실시예들도 단극 절연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스위칭 극들 중 하나의 스위칭 극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는 제1 회로 차단기(3.1)를 포함한다. 제1 회로 차단기(3.1)는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은 실질적으로 관형 형상을 갖고, 관축이 수직축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은 직립 위치로 배향된다.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직립 위치에 따라, 제1 회로 차단기(3.1)는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열된다. 이 경우, 제1 회로 차단기(3.1)에는 내부의 진공을 격리하는 관형 몸체를 포함하는 진공 개폐관이 장착되어 있다. 관형 몸체 내부에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칭 접촉편(5)들이 배열된다. 스위칭 접촉편(5)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을 달성하기 위해, 구동 장치(6)가 운동학적 체인(7)을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칭 접촉편(5)들 중 하나 이상의 스위칭 접촉편과 연결된다. 이 경우, 운동학적 체인(7)은, 실질적으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축방향 변위 가능한 스위칭 로드를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게, 스위칭 접촉편(5)들의 서로에 대한 선형 상대 이동이 실행된다. 운동학적 체인(7)은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에 배열된다. 제1 회로 차단기(3.1)의 반대 방향 단부측 끝에는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2 연결 측면(9)이 배열된다. 두 연결 측면(8, 9)들을 통해, 제1 회로 차단기(3.1)는 상도체의 추가 섹션들과 연결 가능하다. 제1 회로 차단기(3.1)는 상도체 내의 스위칭 가능한 섹션을 나타낸다.
재킷측에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에는 제1 연결 플랜지(10), 제2 연결 플랜지(11) 및 제3 연결 플랜지(12)가 배열된다. 제1 및 제2 연결 플랜지(10, 11)는 재킷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열되므로, 이러한 연결 플랜지들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과 교차하는 축 상에 위치한다. 제2 연결 플랜지(11)와 제3 연결 플랜지(12)는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지만, 이러한 축방향 간격은 실질적으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되므로, 제1 연결 플랜지(10)와 제2 연결 플랜지(11)는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제3 연결 플랜지(12)는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2 연결 측면(9)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연결 플랜지(10, 11, 12)들에는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 및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이 배열된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은 각각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관형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관축들은 실질적으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분리 스위치(16, 17, 18)들의 각각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으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케이블 연결부(22)에 대향되도록 배열된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의 단부측 끝에는 각각 하나의 분리 스위치 구동부(23)가 배열된다. 이 경우, 분리기 캡슐화 섹션(13, 14, 15)들 각각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들 각각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별도의 분리 스위치 구동부(23)가 제공된다. 경우에 따라, 복수의 극들의 복수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들의 구동을 위한 하나의 분리 스위치 구동부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의 케이블 연결부(22)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반면,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의 케이블 연결부(22)는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의 케이블 연결부(22)들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방식으로 케이블 연결부(22)들의 위치 설정이 제공된다.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연결 플랜지(10, 11, 12)들의 위치로 인해,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 및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은 자신들의 피복형 윤곽에 의해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고, 이러한 일직선 축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또한,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은 마찬가지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고, 이러한 일직선 축은 실질적으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고, 바람직하게 이러한 일직선 축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을 관통한다.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 내에는 분리 스위치(16, 17, 18)들이 각각 배열된다. 제1, 제2 및 제3 분리 스위치(16, 17, 18)는 소위 3위식 장치이며, 이러한 3위식 장치의 이동 가능한 분리 스위치 접촉편은 선형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 경우, 분리 스위치 접촉편의 변위축은, 이러한 변위축이 실질적으로 각각의 수직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되고, 각각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이 단부측에서 연결 플랜지(10, 11, 12)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연결 플랜지(10, 11, 12)들과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 사이의 플랜지 연결부 내에는, 각각 하나의 전기 절연된 유밀식 장벽이 배열되므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내부는 유밀식으로 폐쇄된다. 전기 절연된 유밀식 장벽을 통해 각각의 분리 스위치(16, 17, 18)의 상대 접촉편이 위치 설정된다. 이러한 유밀식 장벽은, 각각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의 상대 접촉편이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 또는 제2 연결 측면(9)과 전기 접촉되도록 하는 연결 도체(20)에 의해 각각 관통된다. 필요에 따라, 각각의 연결 도체(20)의 형상은 변경될 수 있다. 분리 스위치 상대 접촉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접지 접점(21)이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에 배열된다. 분리 스위치 접촉편의 선형 변위를 통해, 이러한 분리 스위치 접촉편은 한편으로는 각각의 상대 접촉편 내에 삽입 가능하고, 그로부터 접지 접점(21)에 대한 절연 경로가 얻어진다. 필요한 경우, 분리 스위치 접촉편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립 위치로도 지지될 수 있다. 접지를 위해, 분리 스위치 접촉편은 접지 접점(21) 방향으로 선형 변위되고,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에 각각 연결된 케이블의 접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케이블의 상도체가 각각의 분리 스위치(16, 17, 18)와 전기 전도식으로 연결된다. 각각 하나의 케이블을 각각의 분리 스위치(16, 17, 18)와 안정적으로 전기 접촉시키기 위하여, 케이블 연결부(22)들이 제공된다. 케이블 연결부(22)들은,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의 각각 하나의 단부면에 걸쳐 연장되고 이를 폐쇄하는 실질적으로 동축의 소켓들을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케이블 연결부(22)의 이러한 소켓 내에는 각각의 케이블의 거울 반전된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피팅부가 삽입 가능하므로, 스위칭 배열체에 대한 각각의 케이블의 전기 절연에 있어서 그리고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이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실시예에서는, 입력(IN1, IN2)들에 위치한 두 케이블들을 제1 분리 스위치(16) 및 제2 분리 스위치(17)를 통하여 교대로 또는 동시에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제3 분리 스위치(18)를 통해, 출력(OUT)에 연결된 케이블이, 필요한 경우 회로 차단기(3.1)의 제2 연결 측면(9)과 전기 전도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케이블들은 각각의 분리 스위치(16, 17, 18)들을 통하여 전기 접촉부를 거쳐 각각의 접지 접점(21)에서 접지될 수 있다.
도 3에는 스위칭 배열체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 14.1, 15.1)들의 대안적인 일 실시예가 이러한 도면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도 3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스위칭 배열체를 통해 구현 가능한 전기 회로는, 도 2에 도시되고 상술된 전기 회로에 상응한다.
그러나, 사용된 분리 스위치(16.1, 17.1, 18.1)들은 3위식 장치들이 아니라,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 또는 제2 연결 측면(9)에서 케이블 연결부(22)들을 접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 스위치들일 뿐이다. 입력(IN1, IN2)들 및 출력(OUT)에 연결 가능한 케이블들의 접지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지된 접지 접촉편을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 14.1, 15.1)의 벽부로부터 시작하여 분리 스위치 접촉편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접지 스위치(24)들이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어 급속 접지 스위치(24)들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분리 스위치(16.1, 17.1, 18.1)들이 연결되어 있을 때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 또는 제2 연결 측면(8, 9)도 접지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2에 공지된 바와 같은 케이블 연결부(22)들과는 달리,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 14.1, 15.1)의 외부측에 전기 절연된 외부 원뿔(25)을 제공하는 케이블 연결부(22.1)들이 이 경우 제공되고, 이러한 외부 원뿔을 통해서는 상도체가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 14.1, 15.1)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해 안내된다. 그곳에서는, 상응하는 케이블들의 단부를 형성하는 소위 케이블 플러그(26)들을 통하여 케이블들의 상도체들과의 접촉이 실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블 플러그(26)들은 상보적인 형상으로 외부 원뿔(25)에 플러그 장착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직각 플러그들이 사용됨으로써, 케이블 플러그(26)들에서는 케이블의 각각 연결될 상도체의 편향이 각각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과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1)의 케이블 연결부(22.1)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반면,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1) 및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1)의 케이블 연결부(22.1)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제1 연결 플랜지(10) 및 제2 연결 플랜지(11)에 배열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 14.1)들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일직선 축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1) 및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1)은 자신들의 각각의 피복형 윤곽들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의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 일직선 축에 대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된다.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 제5 실시예,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 의해, 제1 회로 차단기(3.1), 제2 회로 차단기(3.2) 또는 제3 회로 차단기(3.3)를 필요로 하는 회로 실시예들이 구현 가능하다. 회로 차단기(3.1, 3.2, 3.3)들은 각각 동일한 구조 방식을 가지고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회로 차단기(3.1)는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2 회로 차단기(3.2)는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두 회로 차단기(3.1, 3.2)들 및 두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회로 차단기(3.1, 3.2)들 뿐만 아니라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도,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은 제1 회로 차단기(3.1) 및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이에 상응하게, 각각의 회로 차단기(3.1, 3.2)에는, 각각의 구동 장치(6)를 통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스위칭 접촉편(5)들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운동학적 체인(7)이 할당된다. 회로 차단기(3.1, 3.2)들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회로 차단기(3.1)들과 유사하게 각각 연결 측면(8) 및 제2 연결 측면(9)을 포함하며, 제1 연결 측면(8)은, 단부측에서 운동학적 체인(7)을 통한 이동의 결합이 실행되는 측면이다. 회로 차단기(3.1, 3.2)들의 반대편 측면에는 각각 제2 연결 측면(9)이 배열된다. 2차 하우징(2)은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을 통해 지지된다.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은 제2 연결 플랜지(11) 및 제3 연결 플랜지(15)를 포함한다. 제2 연결 플랜지(11)에는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이 배열된다. 제3 연결 플랜지(12)에는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이 배열된다.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은 제1 연결 플랜지(10)를 포함한다. 제1 연결 플랜지(10)에는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이 배열된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은 제1 실시예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 수용되는 분리 스위치(16, 17, 18)들과 관련하여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에 상응하게, 제3 분리 스위치(18)는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2 연결 측면(9)과 전기 전도식으로 연결되는 반면, 제2 분리 스위치(17)는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과 전기 전도식으로 연결된다. 연결 플랜지(10, 11, 12)들에 대해 각각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커플링 플랜지(28)들이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및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에 배열된다. 이 경우, 커플링 플랜지(28)들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의 기계적 연결에 사용되므로, 이들은 직립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연결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커플링 플랜지(28)들이 상도체의 통과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 차단기(3.1, 3.2)들의 제1 연결 측면(8)에 위치하는 결합 플랜지(28)들은 상도체에 의해 관통되므로, 여기서 두 회로 차단기(3.1, 3.2)들의 지속적인 전기 접촉(노드)이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커플링 플랜지(28)들은 하나의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으로부터 다른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으로 또는 그 반대로 유체가 넘어다니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곳에 유밀식 장벽들이 배열됨으로써,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 각각이 분리된 유체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제공될 수 있다.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의 제1 연결 플랜지(10)는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연결 측면(9)의 재킷측에 배열되므로,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연결 측면(9)과 제1 분리 스위치(16)의 전기적 접촉이 구현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두 회로 차단기(3.1, 3.2)들이 제1 분리 스위치(16)[입력(IN1)]로부터 시작하여 제3 분리 스위치(18)[출력(OUT)]에 이르기까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회로 차단기(3.1, 3.2)들 사이의 노드에는 입력(IN2)으로의 분기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분기부는 제2 분리 스위치(17)를 통해 분리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는 스위칭 배열체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4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스위칭 배열체의 제3 실시예에 상응한다. 이에 따라, 하기에는 차이점들만 설명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실시예와는 달리, 2차 하우징(2)은 지지 프레임(1) 상에 위치 설정되고, 이러한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따른 제3 실시예와는 달리, 동일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4, 15)들을 사용하지만, 3위식 장치로서 형성되는 대신에 별도의 접지 접촉편(29)을 위한 별도의 접지 스위치 구동부를 각각 포함하는 분리 스위치(16.1, 17.1, 18.1)들을 사용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접지 접촉편(29)들은 분리 스위치 접촉편들과는 상이한 이동 프로파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시적으로, 전압을 띠고 있는 상도체에 예를 들어 연결 고정식으로도 연결 가능한 급속 접지부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는 스위칭 배열체의 제5 및 제6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 8, 도 9 그리고 도 10, 도 11에 도시된 구성은 기계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입력(IN1, IN2)들 및 출력(OUT)의 위치만 변경됨으로써, 입력(IN1, IN2) 및 출력(OUT) 간의 상이한 회로 실시예들이 설정된다.
우선, 도 8 및 도 9에 의해, 스위칭 배열체의 제5 실시예의 기계적 구조 및 전기적 구조가 설명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스위칭 배열체의 제3 실시예로부터,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의 위치는 변화된다.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연결 측면(9)에 배열된 제1 연결 플랜지(10)에 위치 설정되는 대신, 이제 제1 연결 플랜지(10)는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1 연결 측면(8)의 재킷측에 위치 설정된다. 이에 상응하게, 상도체가 제1 연결 측면(8) 상에서 제1 연결 플랜지(10)를 거쳐, 즉 이를 통과하여, 이동 가능한 분리 스위치 접촉편을 통해 제1 분리 스위치(16)와 연결 가능하다. 또한, 상응하는 케이블 연결부(22)를 통해 제1 분리 스위치(16)는, 입력(IN1)을 형성하는 케이블과 연결 가능하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은 커플링 플랜지(28)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노드), 이러한 커플링 플랜지들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의 수직축들을 통과하는 일직선 축에 대해 각각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연결 플랜지(10, 11, 12)들에 대하여 재킷측에 배열된다.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연결 측면(9)은 커플링 플랜지(28)들의 통과 하에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2 연결 측면(9)과 전기 전도식으로(노드) 연결된다. 또한, 제1 회로 차단기(3.1) 및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연결 측면(9)은 제3 분리 스위치(18)와 연결된다. 제3 분리 스위치(18)에는 케이블 연결부(22)를 통해, 입력(IN2)으로서 기능하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제1 회로 차단기(3.1)의 제1 연결 측면(8)에는 제2 분리 스위치(17)와의 접촉부가 제공되며, 이러한 제2 분리 스위치는 다시 케이블 연결부(22)를 통해 케이블과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출력(OUT)으로서 사용된다. 이에 상응하게, 이와 같이 입력(IN2) 및 출력(OUT)에 대한 케이블 연결부(22)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배열체가 얻어지고, 각각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 15)들은 수직축에 있어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진 돌출하는 케이블 연결부(22)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은 마찬가지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고, 이러한 일직선 축은 두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들의 수직축들과 교차한다.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및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의 케이블 연결부(22)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형태의 결선을 통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5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스위칭 과제 또는 스위칭 기능을 준수할 수 있지만, 조합형 분리- 및 접지 스위치가 사용된다. 직렬 연결된 분리 스위치(16, 17) 및 회로 차단기(3.1, 3.2)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스트랜드들이 형성된다.
두 스트랜드들은 하나의 노드로부터 확장되고, 회로 차단기(3.1, 3.2)들은 이러한 노드에서 지속적으로 전기 전도식으로 접촉된다.
도 10 및 도 11은 스위칭 배열체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8 및 도 9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스위칭 배열체의 기계적 구조는 동일한 방식으로 선택된다. 제2 입력(IN2) 및 출력(OUT)의 위치만 변경된다. 이 경우,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에는 제2 입력(IN2)이 위치 설정되는 반면,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에는 출력(OUT)이 위치한다. 이러한 형태의 결선을 통해, 제1 입력(IN1) 뿐만 아니라 제2 입력(IN2)에도 각각 하나의 분리 스위치(16, 17) 및 하나의 회로 차단기(3.1, 3.2)의 직렬 회로가 배열되고, 두 회로 차단기(3.1, 3.2)들을 연결하는 노드[제2 연결 측면(9)]는, 제3 분리 스위치(18)를 통해 분리될 수 있는 출력(OUT)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출력(OUT)에 대한 제2 입력(IN2)의 위치들을 교환함으로써(도 8, 도 9, 도 10, 도 11 참조), 동일한 구조의 스위칭 배열체를 상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스위칭 배열체의 제7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공지된 스위칭 배열체의 제4 실시예를 추가 형성한다. 제4 실시예에서, 입력(IN1)에는, 제2 회로 차단기(3.2)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1 분리 스위치(16.1)가 배열된다. 출력(OUT)에서는, 제3 분리 스위치(18.1)가 제1 회로 차단기(3.1)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제1 및 제2 회로 차단기(3.1, 3.2)의 두 제1 연결 측면(8)들 사이에는 노드가 형성되며, 이러한 노드에 의해서는 각각 하나의 회로 차단기(3.1, 3.2) 및 하나의 분리 스위치(16.1, 17.1)의 두 직렬 회로들(스트랜드들)이 제공된다. 단지 입력(IN2)만이, 두 회로 차단기(3.1, 3.2)들의 제1 연결 측면(8) 상의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개별적인 제2 분리 스위치(17.1)를 통해 분리 가능하다.
이제, 제2 입력(IN2)에도 회로 차단기 및 분리 스위치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를 장착할 요구가 존재하므로, 회로 차단기(3.1, 3.2, 3.3)들의 각각의 제1 연결 측면 상의 하나의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각각 하나의 회로 차단기(3.1, 3.2, 3.3) 및 하나의 분리 스위치(16.1, 17.1, 18.1)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한 3개의 스트랜드들이 확장됨으로써, 각각의 제1 연결 측면(8) 상의 노드로부터 확장된 상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스트랜드들이 사용 가능하다.
이에 상응하게, 입력(IN1, IN2)들 각각에 대해 또는 출력(OUT)에 대해 회로 차단기(3.1, 3.2, 3.3) 및 분리 스위치(16.1, 17.1, 18.1)를 포함하는, 하나의 노드로부터 시작된 3개의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제7 실시예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와 유사하게, 개별적으로 각각의 분리 스위치(16.1, 17.1, 18.1)들의 접지와, 이에 따라 케이블 연결부(22)들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의 접지도 실행하기 위하여, 각각 하나의 구동 가능한 접지 접촉편(29)을 구비한 별도의 접지 스위치들을 사용하는 것도 제공된다. 또한, 분리 스위치(16.1, 17.1, 18.1)들이 각각 연결될 때도 마찬가지로 회로 차단기(3.1, 3.2, 3.3)들의 각각의 제2 연결 측면(9)들이 접지될 수 있다. 회로 차단기(3.1, 3.2, 3.3)들 중 하나의 회로 차단기의 연결을 통해, 접지 전위가 제1 연결 측면(8)(노드)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3개의 회로 차단기(3.1, 3.2, 3.3)들 각각은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을 포함한다. 회로 차단기(3.1, 3.2, 3.3)들 뿐만 아니라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들도 각각 동일한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에서는, 제2 연결 측면(9)의 높이에서 재킷측에 제1 연결 플랜지(10)가 배열된다. 제1 연결 플랜지(10)를 통해,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1)은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과 연결된다.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에서는, 제2 회로 차단기(3.2)의 제2 연결 측면(9)의 높이에서 재킷측에 제2 연결 플랜지(11)가 배열된다. 제2 연결 플랜지(11)에는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1)이 배열된다. 제1 분리 스위치(16.1)를 통해, 관련 케이블 연결부(22)에는 입력(IN1)의 형성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 가능하다. 제2 분리 스위치(17.1)를 통해, 케이블 연결부(22)를 거쳐, 제2 입력(IN2)을 형성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 가능하다. 이 경우, 두 케이블 연결부(22)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3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3)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과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 사이에 배열된다. 이 경우, 제3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3)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및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의 수직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직립 상태로 배열된다.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들의 기계적 연결을 위하여, 제1 연결 플랜지(10) 및 제2 연결 플랜지(11)에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커플링 플랜지(28)들이 제공된다. 이 경우, 커플링 플랜지(28)들은 제1 연결 플랜지 및 제2 연결 플랜지(10, 11)에 대해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열되며, 동일 형태의 구조 형상으로 인하여 제3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3)에는 커플링 플랜지(28)들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상응하는 상대 플랜지들이 존재한다. 재킷측에서 중앙의 제3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3)을 향해, 상응하는 상대 플랜지들과 플랜지 연결되는 추가의 커플링 플랜지(28)들이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및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2)에 배열된다. 회로 차단기(3.1, 3.2, 3.3)들의 제1 연결 측면(8)에 위치한 이러한 커플링 플랜지(28)들은 상도체 섹션에 의해 관통되므로, 회로 차단기(3.1, 3.2, 3.3)들의 제1 연결 측면(8)들은 서로 전기 전도식으로 연결된다(노드). 이러한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스트랜드가 제2 회로 차단기(3.2) 및 제1 분리 스위치(16.1)를 통해 제1 입력(IN1) 상의 케이블에 대해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노드로부터 시작하여, 제1 회로 차단기(3.1) 및 제2 분리 스위치(17.1)를 통해 제2 입력(IN2)에 대한 스트랜드 또는 그에 위치하는 케이블이 형성된다.
제3 분리 스위치(18.1)가 연결되는 제3 회로 차단기(3.3)를 구비한 제3 스트랜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3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3)의 단부측에는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1)이 배열된다. 이를 위해, 단부측에서, 제3 회로 차단기(3.3)의 제2 연결 측면(9)에는, 제3 분리 스위치(18.1)의 분리 스위치 접촉편에 대한 상대 접점이 위치 설정되고,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1)의 반대 방향 단부면에는 출력(OUT)을 위한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 연결부(22)가 배열된다. 제1 분리 스위치(16.1) 및 제2 분리 스위치(17.1)의 구조와는 달리, 제3 분리 스위치(18.1)는, 제3 분리 스위치(18.1)의 연결 측면들이 제3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5.1)의 반대 방향 단부면들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제7 실시예에 따른 제3 분리 스위치(18.1)를 위해 각진 형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도면들에 도시된 기능적 어셈블리들은 자신들의 구조적 형상(예를 들어, 회로 차단기,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 분리 스위치, 분리 스위치 접촉편, 접지 스위치, 케이블 연결부 등)과 관련하여 서로 호환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분리 스위치를 위한 3위식 장치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접지 스위치들을 구비한 분리 스위치 등도 가능하게 하는 조합이 생성된다. 또한, 내부 원뿔을 구비한 케이블 연결부들 및 외부 원뿔을 구비한 케이블 연결부들 등에 의해 케이블 연결부들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 직립형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 내의 회로 차단기(3.1, 3.2, 3.3)를 포함하는 스위칭 배열체에 있어서,
제1 분리 스위치(16, 16.1)가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내에 배열되고, 제2 분리 스위치(17, 17.1)가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4, 14.1) 내에 배열되고,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이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의 재킷측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은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2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의 수직축의 방향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은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의 수직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은 각각 케이블 연결부(22, 22.1)를 포함하고,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의 케이블 연결부(22, 22.1)들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은 각각 케이블 연결부(22, 22.1)를 포함하고,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의 케이블 연결부(22, 22.1)들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 중 하나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에 접지 스위치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들 중 하나 이상의 분리 스위치가 3위식 장치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들의 양쪽을 둘러싸도록 회로 차단기(3.1, 3.2, 3.3)의 구동 배열체(6)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 및 2차 하우징(2)에 의해 양쪽이 둘러싸이도록 제1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과 제2 분리 스위치 캡슐화 섹션(13, 13.1, 14, 14.1, 15, 15.1) 사이에 제1 및 제2 회로 차단기 캡슐화 섹션(4.1, 4.2, 4.3)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1항에 있어서, 제1 회로 차단기(3.1, 3.2, 3.3)와 제1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 그리고 제2 회로 차단기(3.1, 3.2, 3.3)와 제2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제1 회로 차단기(3.1, 3.2, 3.3)와 제2 회로 차단기(3.1, 3.2, 3.3) 사이에는 노드점이 연결되며, 이러한 노드점으로부터는 각각의 회로 차단기 및 분리 스위치(3.1, 3.2, 16, 16.1, 17, 17.1, 18, 18.1)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스트랜드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1항에 있어서, 제1 회로 차단기(3.1, 3.2, 3.3)와 제1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 그리고 제2 회로 차단기(3.1, 3.2, 3.3)와 제2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는 각각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고, 제1 및 제2 스트랜드를 형성하며, 제1 회로 차단기(3.1, 3.2, 3.3)와 제1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 사이에는 제2 회로 차단기 및 제2 분리 스위치(16, 16.1, 17, 17.1, 18, 18.1)를 포함하는 제2 스트랜드를 위한 탭의 형성 하에 노드점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치 배열체는 단극으로 캡슐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캡슐화 섹션(4.1, 4.2, 4.3, 13, 13.1, 14, 14.1, 15, 15.1, 16, 16.1)들은 특히 유밀식으로 서로 플랜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배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9207926.1A DE102019207926A1 (de) | 2019-05-29 | 2019-05-29 | Schaltanordnung |
DE102019207926.1 | 2019-05-29 | ||
PCT/EP2020/062984 WO2020239405A1 (de) | 2019-05-29 | 2020-05-11 | Schaltanordnu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729A true KR20220011729A (ko) | 2022-01-28 |
Family
ID=7091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42371A KR20220011729A (ko) | 2019-05-29 | 2020-05-11 | 스위칭 배열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046879B2 (ko) |
EP (1) | EP3959787A1 (ko) |
KR (1) | KR20220011729A (ko) |
CN (1) | CN114128068B (ko) |
DE (1) | DE102019207926A1 (ko) |
WO (1) | WO202023940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22200005A1 (de) | 2022-01-03 | 2023-07-06 |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 Windkraftanlage und Verschaltung von Windkraftanlagen |
CN114123012B (zh) * | 2022-01-27 | 2022-04-01 | 四川电器集团中低压智能配电有限公司 | 一种安全使用充气开关柜及工作方法 |
CN116054003A (zh) * | 2022-11-08 | 2023-05-02 | 西安西电开关电气有限公司 | 集成开关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157102A1 (de) * | 1971-11-12 | 1973-05-17 | Siemens Ag | Voll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
JPS5238324U (ko) * | 1975-09-11 | 1977-03-18 | ||
DE3271824D1 (en) * | 1981-05-20 | 1986-07-31 | Hitachi Ltd |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
JPS60187215A (ja) * | 1984-03-05 | 1985-09-24 | 日新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H0724443B2 (ja) * | 1984-03-07 | 1995-03-1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H0623130Y2 (ja) * | 1986-10-07 | 1994-06-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S6390912U (ko) * | 1986-11-28 | 1988-06-13 | ||
JPS63310305A (ja) * | 1987-06-11 | 1988-12-19 | Hitachi Ltd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3020499B2 (ja) * | 1988-01-11 | 2000-03-1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2614647B2 (ja) * | 1988-09-14 | 1997-05-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ガス絶縁開閉装置の電力ケーブル接続装置 |
DE4319378A1 (de) * | 1993-06-11 | 1994-12-15 | Licentia Gmbh | Ortsfest aufstellbarer Druckgas-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mit Tragefunktion für gasisolierte Schaltanlagenkomponenten |
DE4438776C1 (de) | 1994-10-21 | 1996-04-11 | Siemens Ag | Metallgekapselte elektrisch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m Leistungsschalter |
JP3412982B2 (ja) * | 1994-11-18 | 2003-06-03 |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 ガス絶縁変電設備 |
DE19511168A1 (de) | 1995-03-28 | 1996-10-02 | Abb Management Ag | Schaltvorrichtung |
DE19649613A1 (de) * | 1996-11-29 | 1998-06-04 | Abb Patent Gmbh | Leistungsschalter-Modul für eine gasisolierte Hochspannungsschaltanlage |
JP3644264B2 (ja) * | 1998-08-03 | 2005-04-2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解体方法 |
JP2000050437A (ja) * | 1998-08-03 | 2000-02-18 | Hitachi Ltd | ガス絶縁開閉装置 |
KR100397393B1 (ko) * | 1998-10-27 | 2003-09-13 |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 가스절연개폐장치 |
JP4237591B2 (ja) * | 2003-09-17 | 2009-03-1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ガス絶縁開閉装置 |
EP1569310A1 (de) | 2004-02-27 | 2005-08-31 | ABB Technology AG | Einphasig gekapselte, gasisolierte Schaltanlage |
WO2007116479A1 (ja) * | 2006-03-31 | 2007-10-18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ガス絶縁電力機器 |
CN101305507B (zh) * | 2006-06-19 | 2012-05-23 | 三菱电机株式会社 | 气体绝缘电力设备 |
WO2008139592A1 (ja) * | 2007-05-11 | 2008-11-20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ガス絶縁開閉装置 |
JP4837782B2 (ja) * | 2007-11-01 | 2011-12-14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ガス絶縁開閉装置 |
EP2216865B1 (en) * | 2007-11-29 | 2017-12-2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Gas insulated switchgear |
JP5129660B2 (ja) * | 2008-06-16 | 2013-01-30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密閉型開閉装置用変流器 |
JP4906892B2 (ja) * | 2009-08-12 | 2012-03-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スイッチギヤ |
US9309471B2 (en) | 2012-06-29 | 2016-04-12 | Uop Llc | Decontamination of deoxygenated biomass-derived pyrolysis oil using ionic liquids |
DE102012215246A1 (de) | 2012-08-28 | 2014-03-06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Druckfluidisoliertes Schaltfeld |
CN104937793B (zh) * | 2013-01-15 | 2017-04-12 | 三菱电机株式会社 | 气体绝缘开关装置 |
CN104143777A (zh) | 2013-11-14 | 2014-11-12 | 国家电网公司 |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及其单相 |
US9853424B2 (en) * | 2014-01-20 | 2017-12-2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Gas insulated switching apparatus |
-
2019
- 2019-05-29 DE DE102019207926.1A patent/DE102019207926A1/de not_active Withdrawn
-
2020
- 2020-05-11 KR KR1020217042371A patent/KR2022001172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0-05-11 EP EP20728954.7A patent/EP3959787A1/de active Pending
- 2020-05-11 US US17/614,636 patent/US12046879B2/en active Active
- 2020-05-11 WO PCT/EP2020/062984 patent/WO2020239405A1/de unknown
- 2020-05-11 CN CN202080050556.5A patent/CN114128068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231487A1 (en) | 2022-07-21 |
DE102019207926A1 (de) | 2020-12-03 |
CN114128068A (zh) | 2022-03-01 |
EP3959787A1 (de) | 2022-03-02 |
US12046879B2 (en) | 2024-07-23 |
WO2020239405A1 (de) | 2020-12-03 |
CN114128068B (zh) | 2024-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011729A (ko) | 스위칭 배열체 | |
US7572133B2 (en) |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and system | |
FI96070C (fi) | Metallikoteloinen, painekaasulla täytetty, monivaiheinen korkeajännitekytkentälaite | |
EP2873126A1 (de) | Gasisolierte schaltanlage | |
WO2018231357A1 (en) | Switchgear with double bus configuration | |
US20080042786A1 (en) | Power Switch Comprising an Interrupter Unit Disposed within an Encapsulating Housing | |
CN102986099A (zh) | 气体绝缘的开关设备组件 | |
CN112602242B (zh) | 多相开关设备 | |
US20130201607A1 (en) | Pressurised gas-insulated multi-phase control panel | |
US6016247A (en) | Electricity distribution substation | |
CN103329373A (zh) | 用于高压开关设备的开关板及其设立方法 | |
EP3391486A1 (de) | Kapselungsgehäuseanordnung für eine gasisolierten schaltanlage | |
RU2389103C2 (ru) | Многофазный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с, по крайней мере, тремя подобными размыкающими блоками | |
WO2012175366A1 (de) | Kabeltrennschalteinrichtung integriert in einen feststoffisolationskörper | |
DE102012219906A1 (de) | Schaltanlagenschaltfeld | |
RU2367074C1 (ru) | Силовой выключатель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и компоновка выключателя | |
KR20200140321A (ko) | 전력 전송 장치 | |
KR20090080961A (ko) | 전기 고전압 스위칭 스테이션 | |
DE102018205096A1 (de) | Elektroenergieübertragungseinrichtung | |
WO2019174908A1 (de) | Schaltfeld | |
KR20120108660A (ko) | 가스 절연 개폐장치 | |
JP2004515998A (ja) | 中圧および高圧の範囲における三相電流のためのエネルギー伝送システム | |
DE102018203691A1 (de) | Schaltfeld | |
DE102013204942A1 (de) | Kabeleinführungsmodu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