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512A -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512A
KR20220008512A KR1020200086687A KR20200086687A KR20220008512A KR 20220008512 A KR20220008512 A KR 20220008512A KR 1020200086687 A KR1020200086687 A KR 1020200086687A KR 20200086687 A KR20200086687 A KR 20200086687A KR 20220008512 A KR20220008512 A KR 2022000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omal
broth
kalguks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002B1 (ko
Inventor
박미선
Original Assignee
박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선 filed Critical 박미선
Priority to KR102020008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12Starch; Modified starch; Starch derivatives, e.g. esters or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말 고유의 영양과 맛은 살리면서 보말 칼국수의 식감 내지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보말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식감, 색감, 풍미, 향미 및 영양 측면에서 보말과 잘 어울리는 천연 재료를 사용한 특정 육수 및 특정 반죽을 제조하여 보말 칼국수에 사용되는 보말과 육수와 칼국수 면이 칼국수 전반에 골고루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말 칼국수의 영양은 물론이고 식감, 색감, 풍미, 및 향미를 극대화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Bomal Chopped Noodl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말 고유의 영양과 맛은 살리면서 보말 칼국수의 식감 내지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보말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아울러 보말 칼국수에 보말과 어울리는 특정 육수와 특정 반죽 및 특정 부가 재료를 사용하여 식감과 색감 내지 풍미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말은 제주도 지방의 사투리로'고둥'을 말하며, 한자로는 나(螺,反) 또는 나사(螺旅)라 한다. 복족류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이며, 좁은 뜻에서는 복족류 중 소라,소라고둥 등과 같이 비틀린 껍데기가 있는 나선모양의 껍데기를 가지는 동물을 총칭한다. 고둥은 숙취, 해독, 간, 위를 보하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고둥의 일종인 보말로 만드는 보말칼국수는 제주의 향토 음식으로, 해녀들이 물질을 나가지 않을 때 갯바위에서 잡은 보말을 바늘로 발라낸 후 푹 우려 국물을 내고 면을 넣어 칼국수로 만들던 것이 그 유래 중 하나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제주 여러 곳(식당 등)에서 각종 레시피로 보말 칼국수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그런데 보말이 갖는 특유의 잡냄새(이는 인간의 후각에 매우 거슬리는 냄새이며, 그 냄새를 발하는 요소는 미각에도 거슬린다)는 보말 칼국수의 식감 내지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말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아울러 식감과 풍미는 향상시키고, 보말 칼국수에 들어가는 육수와 칼국수 면과 부가 재료 등도 보말과 조화를 이루면서 칼국수 전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여 색감, 식감 내지 풍미를 최대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8-0097107호(2018.08.30.)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보말 고유의 영양과 맛은 살리면서 보말 칼국수의 식감 내지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보말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아울러 보말 칼국수에 보말과 어울리는 특정 육수와 특정 반죽 및 특정 부가 재료를 사용하여 식감과 색감 내지 풍미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말 칼국수의 제조 방법은, (a) 물 16200~19800 중량부에 대해 황태 머리 486~594 중량부, 표고버섯 810~990 중량부, 다시마 810~990 중량부, 무 1620~1980 중량부, 및 양파 껍질 810~990 중량부를 넣고 끓인 후 건더기를 건지고 식혀서 하루 동안 냉장 숙성하여 1차 육수를 만드는 단계; (b) 물 3240~3960 중량부에 매생이 270~330 중량부, 양파 150~200 중량부, 및 무 150~200 중량부를 넣고 강불에서 3분 그리고 약불에서 10분 동안 끓인 후 매생이를 제외한 다른 건더기를 건지고 식혀서 2차 육수를 만드는 단계; (c) 물 4500~5500 중량부에 세척된 통보말 9000~11000 중량부를 넣고 물이 약 3150~3850 중량부가 될 때까지 끓인 후 통보말을 건지고 정제하여 3차 육수를 만드는 단계; (d) 물 540~660에 단계 (c)의 3차 육수 54~66 중량부, 강력밀가루 540~660 중량부, 마 가루 90~110 중량부, 감자전분 225~275 중량부, 및 녹차 가루 또는 비트 가루 중 하나 45~55 중량부를 넣고, 여기에 시금치 즙 27~33 중량부, 알로에 즙 27~33 중량부, 오이 즙 27~33 중량부, 우유 27~33 중량부, 및 소금 27~33 중량부를 더 넣고, 반죽한 후 밀봉 숙성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제면기를 이용하여 상기 반죽물로 칼국수 면을 만드는 단계; (e) 단계 (c)에서 건져낸 통보말로부터 껍질이 제거된 보말알갱이(보말알갱이는 내장과 육을 함께 사용) 225~275 중량부에 들기름 4~7 스푼을 넣고 약불로 7~12분 동안 볶는 1차 볶음 단계; (f) 단계 (e)의 결과물에 자른 미역 1080~1320 중량부와 다진 마늘 8~17 중량부를 추가로 넣고 약불로 9~17분 동안 더 볶는 2차 볶음 단계; 및 (g) 단계 (a)의 1차 육수와 단계 (b)의 2차 육수가 1:1로 혼합된 혼합 육수4500~5500 중량부에 단계 (f)의 결과물 225~275 중량부를 넣고 당근과 호박을 채를 썰어 넣은 후 강불에서 3분 동안 끓이다가 단계 (d)의 칼국수 면을 넣고 5분 동안 더 끊여 칼국수 면이 익으면 보말 칼국수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말 칼국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말 칼국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말 고유의 영양과 맛은 살리면서 보말 칼국수의 식감 내지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보말 특유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식감, 색감, 풍미, 향미 및 영양 측면에서 보말과 잘 어울리는 천연 재료를 사용한 특정 육수 및 특정 반죽을 제조하여 보말 칼국수에 사용되는 보말과 육수와 칼국수 면이 칼국수 전반에 골고루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말 칼국수의 영양은 물론이고 식감, 색감, 풍미, 및 향미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말 칼국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보말 칼국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말 칼국수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육수 제조 단계(S11), 2차 육수 제조 단계(S13), 3차 육수 제조 단계(S15), 칼국수 면 제조 단계(S17), 1차 볶음 단계(S19), 2차 볶음 단계(S21), 및 보말 칼국수 완성 단계(S23)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약 10인분 기준으로 보말 칼국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1차 육수 제조 단계(S11)
1차 육수 준비 단계(S11)에서는 물 16200~19800 중량부에 황태 머리 486~594 중량부, 표고버섯 810~990 중량부, 다시마 810~990 중량부, 무 1620~1980 중량부, 및 양파 껍질 810~990 중량부를 넣고 강불에서 40분 약불에서 2시간 푹 끓여 건더기의 유효 성분을 우려낸 후 건더기를 모두 건져내고 육수는 식혀서 하루 동안 냉장 숙성하여 약 4860~5940 중량부의 육수를 만든다.
예를 들어, 물 18000mL에 황태 머리 540g, 표고버섯 900g, 다시마 900g, 무 1800g, 및 양파 껍질 900g을 넣고 끓여서 약 5400mL의 육수를 만든다.
황태 머리는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여 간 기능을 향상시켜주고 간을 보호 해주기 때문에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 있고, 트립토판이라는 필수아미노산이 들어있어 트립토판 성분이 뇌의 집중력을 향상 시켜 주어 치매예방에 좋다. 또한 트립토판은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는 세트로닌 분비를 촉진시켜주기 때문에 우울증 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황태 머리는 지방과 콜레스톨이 적으면서 단백질이 풍부해 다이어트에도 좋고, 그 밖에도 심혈관계 조절과 항산화효과 노화방지, 이뇨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표고버섯은 당질, 단백질, 나트륨, 비타민류, 식이섬유, 나이신, 아연, 엽산, 지질, 인, 철분, 칼슘, 칼륨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표고버섯은 다양한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 만큼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능도 있다.
표고버섯은 첫째 항산화기능으로 노화를 예방하는데, 셀레늄 성분의 경우 강력한 항산화 물질로 세포가 파괴되거나 노화되는 것을 예방해 줄 수 있고, 보통 표고버섯 2~3개 정도에 하루 권장 섭취량의 30% 이상이 들어있다.
두 번째, 표고버섯에는 뼈건강, 골다공증예방, 뼈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타민 D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D는 칼슘의 흡수를 높여주는 성분으로 표고버섯에 풍부하게 들어있어 칼슘이 많은 음식과 섭취하게 되면 칼슘의 흡수율은 배가 될 수 있다.
세 번째, 표고버섯은 소화 작용 및 건강한 소화기관 유지한다. 즉,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있는 표고버섯의 경우 변비를 예방하고 증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네 번째, 표고버섯에는 베타글루칸이라는 성분이 풍하게 들어있어 면역기능 강화에 큰 도움을 준다.
다섯 번째, 표고버섯은 혈액 속에 잔존해 있는 콜레스테롤을 낮춰주고 배출해주는데 효과가 있는 에리타데딘 성분이 들어있어 혈액순환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또한 에리타데딘 성분의 경우 혈압을 관리하고 어느 정도 낮춰주는데 좋아 각종 혈관질환 중 하나인 동맥경화 또는 고혈압과 같은 증상의 완화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다시마에는 카로틴류/크산토필류/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동화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많이 들어 있고, 요오드/비타민 B2/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다.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수분 16%, 단백질 7%, 지방 1.5%, 탄수화물 49%, 무기염류 26.5% 정도이며, 탄수화물의 20%는 섬유소이고 나머지는 알긴산과 라미나린 등 다당류이다. 특히 요오드,칼륨,칼슘 등 무기염류가 많이 들어 있으므로, 다시마를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은 무기염류의 공급을 위해서 좋다. 다시마에 들어 있는 라미닌이라는 아미노산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무는 육수를 낼 때 넣으면 시원한 맛을 배가 시키고 소화촉진과 해독기능이 있다. 무에 들어 있는 특유의 전분 분해 효소는 음식의 소화 흡수를 촉진하고, 풍부한 식물성 섬유소는 장내의 노폐물을 청소하는 역할을 하며, 해열 효과와 기침이나 목이 아플 때도 효과가 있어 한방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양파는 혈액순환, 당뇨 등에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혈액을 묽고 깨끗하게 만들어 주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주고 고혈압 예방에도 좋다. 껍질에도 이와 같은 영양과 효능이 더 많이 들어 있어 양파 껍질을 함께 달여 쓰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관령산 황태 머리, 제주산 표고버섯, 완도산 다시마, 제주 무, 및 제주 양파 껍질을 사용한다.
2차 육수 제조 단계(S13)
2차 육수 제조 단계(S13)에서는 물 3240~3960 중량부에 매생이 270~330 중량부, 양파 150~200 중량부, 및 무 150~200 중량부를 넣고 강불에서 3분 그리고 약불에서 10분 동안 끓인 후 매생이를 제외한 다른 건더기를 건지고 식혀서 2차 육수를 만든다.
예를 들어, 물 3600mL에 매생이 300g, 양파 150~200g, 및 무 150~200g을 넣고 끓인 후 매생이를 제외한 건더기를 건지고 식혀서 2차 육수를 만든다.
매생이는 2000년대 들어 영양식으로 알려지기 시작해 국이나 죽, 전으로 만들어 먹는 가늘고 부드러운 갈매패목의 바다 녹조류로서, 빈혈과 골다공증 예방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보말과 잘 어우러져 보말 칼국수의 식감, 색감, 풍미, 향미, 및 영양을 배가 시킨다.
또한, 매생이를 1차 육수에 바로 넣어 끓일 때 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생이를 포함한 2차 육수를 별도로 우려내어 1차 육수와 2차 육수를 적당한 비율로 섞어 사용하는 것이 매생이의 식감과 색감을 훨씬 좋아지게 한다.
3차 육수 제조 단계(S15)
3차 육수 제조 단계(S15)에서는 물 4500~5500 중량부에 세척된 통보말(껍질이 포함된 보말) 9000~11000 중량부을 넣고 물이 약 3150~3850 중량부가 될 때까지 끓인 후 통보말을 건지고 정제하여 3차 육수를 만든다.
예를 들어, 물 5000mL에 세척된 통보말 10kg을 넣고 물이 약 3500mL 정도가 될 때까지 끓인 후 통보말을 건지고 정제하여 3차 육수를 만든다.
통보말은 깨끗한 물로 1차 세척하고 굵은 소금 물로 2차 세척하여 껍데기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3차 육수 제조 시 사용한다.
칼국수 면 제조 단계(S17)
칼국수 면 제조 단계(S17)에서는 물 540~660에 단계 S15에서 만든 3차 육수 54~66 중량부, 강력밀가루 540~660 중량부, 마 가루 90~110 중량부, 감자전분 225~275 중량부, 및 녹차 가루 또는 비트 가루 중 하나 45~55 중량부를 넣고, 여기에 시금치 즙 27~33 중량부, 알로에 즙 27~33 중량부, 오이 즙 27~33 중량부, 우유 27~33 중량부, 및 소금 27~33 중량부를 더 넣고, 반죽한 후 밀봉 숙성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이 반죽물로 칼국수 면을 만드는데, 일 예로 제면기를 이용하여 반죽물로 칼국수 면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죽물은 물 600mL에 3차 육수 60mL, 강력밀가루 600g, 마 가루 100g, 감자전분 250g, 및 녹차 가루 또는 비트 가루 중 하나 50g을 넣고, 여기에 시금치 즙 30mL, 알로에 즙 30mL, 오이 즙 30mL, 우유 30mL, 및 소금 30g을 더 넣고 반죽한 후 약 2일 동안 비닐 등에 싸서 밀봉 보관하여 만든다.
반죽물 제조 시 보말을 삶은 물인 3차 육수를 추가 사용함으로써 칼국수 면에 보말의 영양과 풍미를 더할 수 있다.
또한 반죽물 제조 시 밀가루에 마 가루와 감자전분을 특정 비율로 추가하여 반죽함으로써 칼국수 면에 마와 감자의 영양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반죽의 조직이 치밀해지고 탄력이 높아져 식감이 좋아진다.
또한, 반죽물 제조 시 녹차 가루 또는 비트 가루를 사용하여 칼국수 면에 녹색 또는 빨간색의 색감과 영양을 더할 수 있다.
또한, 반죽물 제조 시 시금치 즙, 알로에 즙, 오이 즙을 추가하여 해당 채소의 영양과 맛을 더할 수 있다.
1차 볶음 단계(S19)
1차 볶음 단계(S19)에서는 보말 225~275 중량부에 들기름 4~7 스푼을 넣고 약불로 7~12분 동안 볶는다. 예를 들어, 보말 250g에 들기름 5 스푼을 넣고 약불로 8~10분 동안 볶는다. 보말이 튀는 소리가 날 때까지 볶다가 해당 보말을 으깨면서 볶도록 한다.
보말은 껍질을 제거하고 내장과 육을 함께 사용한다. 5~8월 제철에는 생물 보말을 사용하고 그 외 철에는 자숙 냉동 보말을 해동하여 사용한다. 한편, 생물 보말과 냉동 보말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말 칼국수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보말은 탈각 및 내장 포함된 자숙 냉동 보말과 생물 보말을 약 7:3의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생물 보말의 비율이 높아지면 비린향이 강해질 수 있고, 자숙 냉동 보말의 비율이 높아지면 보말 특유의 식미와 풍미가 약해질 수 있다. 즉, 보말을 보말 칼국수의 주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말 특유의 비린 맛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수많은 테스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보말을 자숙 냉동 보말 대 생물 보말을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말의 비린 맛을 잡으면서 보말의 식미와 풍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보말이 갖는 특유의 잡냄새(이는 인간의 후각에 매우 거슬리는 냄새이며, 그 냄새를 발하는 요소는 미각에도 거슬린다)는 보말 칼국수의 식감 내지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보말을 들기름에 보말이 튀는 소리가 날 때까지 볶다가 해당 보말을 으깨면서 볶음으로써 보말 특유의 잡냄새를 없애면서 고소함은 배가 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보말은 제주도 말로 '바다 고동'을 말한다. 청정지역 제주도 바닷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보말은 예부터 제주도 사람들에게 훌륭한 식재료였다. 일 년 중 여름에 맛이 가장 좋고, 제주도에서는 고동을 주로 국이나 죽에 넣어 먹는다. 맛이 깔끔하고 담백하며,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한 영양가 높은 식재료이다.
제주도 보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바다 밭의 원근에 따라 다른 종류의 보말이 서식하며, 그 맛과 모양도 각기 다르다.
1) 고메기(개울타리고둥): 보말 중 맛이 가장 떨어지고, 가장 많이 잡힌다. 식감이 연하고 달콤한 맛이 난다.
2) 문데기보말(눈알고둥,문다닥지,문다드리): 껍데기에 녹색 이끼가 낀다. 속살은 약간 쓴 편으로'약보말'이라고도 부른다.
3) 먹보말(구멍밤고둥): 껍데기는 짙은 흑갈색으로 표면은 매끈하고 나선형 모양도 있다. 속살은 살짝 달콤하고 감칠맛이 난다.
4) 매옹이(대수리,송장고둥): 소라형 모양의 껍데기는 울퉁불퉁하며 주로 회갈색이나 분홍빛이 난다. 속살은 쌉쌀하면서 매운맛이 난다.
5) 수두리보말(팽이고둥): 원뿔형 모양으로 껍데기는 주로 분홍빛 이다. 가장 맛이 뛰어나며 보말국, 보말칼국수, 보말죽의 재료가 되는 보말이다.
주로 작은 해조류를 먹고사는 보말은 바위에 붙어있고, 별다른 도구 없이 쉽게 채집이 가능하다. 썰물 때를 맞춰 제주 바다에 나가면 쉽게 잡을 수 있다.
제주보말은 단백질 성분이 풍부하여, 예부터 제주도 해안마을의 부족한 동물성 단백질을 보충하는 식재료였다. 보말에 포함된 아르기닌(arginine) 성분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준필수 아미노산(단백질 기본구성단위)의 하나이다. 아르기닌은 어른의 경우 체내에서 합성을 할 수 있지만 그 양이 매우 적고, 어린이의 경우 체내합성기능이 없어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보말에 포함된 아르기닌의 양은 장어, 소고기보다 많다. 아르기닌은 성장호르몬분비촉진, 성장/면역반응강화, 축적된 체지방 감소, 신진대사 강화, 근육조직 강화, 신장질환 예방, 발기부전 치료, 산화질소(NO)생성, 산화질소는 혈관 확장에 도움을 주는 물질->혈관확장->인체내 원할한 산소공급->암모니아 등 독소제거->인체내 피가 원활하게 흐르게 되면, 피로 회복 및 숙취해소의 기능이 있다.
또한 보말은 칼슘, 철분 등의 풍부한 미네랄 함유한다. 청정지역의 해조만 먹고 자란 보말은 미네랄이 풍부하다. 미네랄(mineral/무기질)이 우리 몸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 밖에 되지 않지만, 체내에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필수 5대 영양소 중 하나로 다른 필수 영양소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미네랄이 없다면 나머지 영양소들을 섭취하였다 하더라도 제대로 효능이 발휘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내장기관이다. 영양분의 대사와 저장, 면역체계 관리 등 신체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대사기능 대부분을 담당하는 매우 중요한 신체기관인 간이 나빠지면 피곤함, 무기력, 이유 없는 근육통과 시력저하 등의 증상이 보이게 된다. 단백질과 미네랄 함량이 높은 음식인 보말은 간세포 재생을 촉진시켜준다.
2차 볶음 단계(S21)
2차 볶음 단계(S21)는 단계 S19의 결과물에 자른 미역 1080~1320 중량부와 다진 마늘 8~17 중량부를 추가로 넣고 약불로 9~17분 동안 더 볶는다. 예를 들어, 단계 S15의 결과물 전체에 잘게 종종 썬 미역 1200g과 다진 마늘 10~15g을 추가로 넣고 약불로 10~15분 동안 달달 볶아 잡냄새를 없앤다.
보말 칼국수 완성 단계(S23)
보말 칼국수 완성 단계(S23)는
단계 S11에서 제조된 1차 육수와 단계 S13에서 제조된 2차 육수가 1:1로 혼합하여 혼합 육수를 만들고, 혼합 육수 4500~5500 중량부에 단계 S21의 결과물 225~275 중량부를 넣고 적정량의 당근과 호박을 채를 썰어 넣은 후 강불에서 약 3분 동안 끓이다가 단계 (d)의 칼국수 면을 넣고 약 5분 동안 더 끊여 칼국수 면이 익으면 보말 칼국수가 완성된다.
예를 들어, 단계 S11의 1차 육수 2500mL와 단계 S13의 2차 육수 2500mL를 섞어 혼합 육수 5000mL를 만들고, 이 혼합 육수 5000mL에 단계 S21의 결과물 250g을 넣고 당근과 호박을 채를 썰어 넣은 후 강불에서 3분 동안 끓이다가 단계 S17의 칼국수 면을 넣고 5분 동안 더 끊여 칼국수 면이 익으면 보말 칼국수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는 10인분 기준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10인분 이하 또는 이상의 보말 칼국수가 필요할 경우 각 단계의 해당 재료의 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조리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1: 1차 육수 제조 단계
S13: 2차 육수 제조 단계
S15: 3차 육수 제조 단계
S17: 칼국수 면 제조 단계

Claims (2)

  1. (a) 물 16200~19800 중량부에 대해 황태 머리 486~594 중량부, 표고버섯 810~990 중량부, 다시마 810~990 중량부, 무 1620~1980 중량부, 및 양파 껍질 810~990 중량부를 넣고 끓인 후 건더기를 건지고 하루 동안 냉장 숙성하여 1차 육수를 만드는 단계;
    (b) 물 3240~3960 중량부에 매생이 270~330 중량부, 양파 150~200 중량부, 및 무 150~200 중량부를 넣고 끓인 후 매생이를 제외한 다른 건더기를 건지고 식혀서 2차 육수를 만드는 단계;
    (c) 물 4500~5500 중량부에 세척된 통보말 9000~11000 중량부를 넣고 끓인 후 통보말을 건지고 정제하여 3차 육수를 만드는 단계;
    (d) 물 540~660에 단계 (c)의 3차 육수 54~66 중량부, 강력밀가루 540~660 중량부, 마 가루 90~110 중량부, 감자전분 225~275 중량부, 및 녹차 가루 또는 비트 가루 중 하나 45~55 중량부을 넣고, 여기에 시금치 즙 27~33 중량부, 알로에 즙 27~33 중량부, 오이 즙 27~33 중량부, 우유 27~33 중량부, 및 소금 27~33 중량부를 더 넣고, 반죽한 후 밀봉 숙성하여 반죽물을 만들고, 상기 반죽물로 칼국수 면을 만드는 단계;
    (e) 단계 (c)에서 건져낸 통보말로부터 껍질이 제거된 보말알갱이 225~275 중량부에 들기름 4~7 스푼을 넣고 약불로 7~12분 동안 볶는 1차 볶음 단계;
    (f) 단계 (e)의 결과물에 자른 미역 1080~1320 중량부와 다진 마늘 8~17 중량부를 추가로 넣고 약불로 9~17분 동안 더 볶는 2차 볶음 단계; 및
    (g) 단계 (a)의 1차 육수와 단계 (b)의 2차 육수가 1:1로 혼합된 혼합 육수4500~5500 중량부에 단계 (f)의 결과물 225~275 중량부를 넣고 당근과 호박을 채를 썰어 넣은 후 끓이다가 단계 (d)의 칼국수 면을 넣고 더 끊여 칼국수 면이 익으면 보말 칼국수를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말 칼국수의 제조 방법.
  2. 제1항의 상기 보말 칼국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말 칼국수.
KR1020200086687A 2020-07-14 2020-07-14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87A KR102379002B1 (ko) 2020-07-14 2020-07-14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87A KR102379002B1 (ko) 2020-07-14 2020-07-14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512A true KR20220008512A (ko) 2022-01-21
KR102379002B1 KR102379002B1 (ko) 2022-03-28

Family

ID=8005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687A KR102379002B1 (ko) 2020-07-14 2020-07-14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77B1 (ko) * 2023-04-18 2024-02-02 이태형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02B1 (ko) * 2010-11-18 2013-02-18 최만득 꾸지뽕을 함유한 칼국수 제공방법
KR20150116304A (ko) * 2014-04-07 2015-10-15 종 해 김 기능성 힐링식품 제조방법
KR20180097107A (ko) 2017-02-22 2018-08-30 김혜정 보말분말이 함유된 생면의 제조방법
KR101952088B1 (ko) * 2019-01-28 2019-02-25 조기현 보말국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202B1 (ko) * 2010-11-18 2013-02-18 최만득 꾸지뽕을 함유한 칼국수 제공방법
KR20150116304A (ko) * 2014-04-07 2015-10-15 종 해 김 기능성 힐링식품 제조방법
KR20180097107A (ko) 2017-02-22 2018-08-30 김혜정 보말분말이 함유된 생면의 제조방법
KR101952088B1 (ko) * 2019-01-28 2019-02-25 조기현 보말국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77B1 (ko) * 2023-04-18 2024-02-02 이태형 표고버섯을 함유한 면류식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002B1 (ko)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72B1 (ko) 오징어 및 피조개를 이용한 어묵 및 영양 어묵제조방법
KR101952088B1 (ko) 보말국 및 그 제조 방법
KR101752253B1 (ko) 갈색거저리를 이용한 곤충어묵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2817B1 (ko) 해산물이 함유된 순대
KR102051091B1 (ko)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900A (ko) 양배추와 콩나물을 이용한 순대의 제조방법
KR102379002B1 (ko)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0867B1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KR20160067378A (ko) 해산물과 채소를 혼합하여 만든 양념소스분말
CN105595344A (zh) 一种养生牛蒡宴的制作方法
KR20100041001A (ko) 회 막장제조방법
CN105285917A (zh) 一种纯天然香辛料配制富含蛋白淀粉的有机调味品炸酱的制作方法
CN104323190B (zh) 一种松茸酸菜牛羊肉麻辣全料
KR101472871B1 (ko) 흑 닭갈비
KR20110131874A (ko) 돼지 등갈비 숙성용 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소스
KR20100035255A (ko) 육수와 가마보꼬를 주원료로 한 라면국물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라면의 조리방법
KR20160041067A (ko) 해산물을 이용한 볶음 면 및 그 제조 방법
CN110226698A (zh) 一种褐藻膳纤冻炒饭及其制作方法
KR102372301B1 (ko) 전복밥의 제조방법
KR20150144230A (ko)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로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16762B1 (ko) 산천어 영양김치 제조방법
KR20100004136U (ko) 막장제조법
KR102143313B1 (ko) 한방 장어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장어탕
KR102364832B1 (ko) 갈치탕의 제조방법
KR102057191B1 (ko) 전복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 전복 만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