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001A - 회 막장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 막장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001A
KR20100041001A KR1020080099960A KR20080099960A KR20100041001A KR 20100041001 A KR20100041001 A KR 20100041001A KR 1020080099960 A KR1020080099960 A KR 1020080099960A KR 20080099960 A KR20080099960 A KR 20080099960A KR 20100041001 A KR20100041001 A KR 20100041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embrane
sashimi
pe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민우
Original Assignee
양민우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우, 양원동 filed Critical 양민우
Priority to KR102008009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001A/ko
Publication of KR2010004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횟집이나 가정에서 회를 먹을 때 찍어먹는 회 막장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회를 찍어먹는 소스로는 초장이나 겨자를 섞은 간장 등에 회를 찍어먹었으나 초장은 식초 맛이 너무 강하고 간장에는 매운 겨자 맛이 너무 강하여 회 맛을 제대로 즐기기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짜지않은 콩 된장이나 메줏가루, 고추장, 마늘, 파, 다진 것, 매운 고추 다진 것 겨자, 참기름, 땅콩가루, 밤 가루, 양파, 사과, 배, 식초, 설탕, 엿, 꿀 등과 같은 부자재를 잘 섞어 냉장고에서 이틀 정도 숙성하면 회를 먹는데 단백하고 고소한 회 맛을 즐길 수 있는 회막장의 제조방법에 관하여서이다.
막장, 회, 초장, 된장, 겨자, 혼합, 숙성

Description

회 막장제조방법{ raw fish soybean paste making a way}
본원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횟집이나 가정에서 회를 먹을 때 곁들여 찍어먹는 회 막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종래의 회를 찍어먹는 소스로는 초장이나 겨자를 섞은 간장 등에 회를 찍어먹었으나 초장은 식초 맛이 너무 강하고 달고 간장에는 매운 겨자 맛이 너무 강하여 회 맛을 제대로 즐기기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짜지않은 콩 된장이나 메줏가루, 고추장, 마늘, 파, 다진 것, 매운 고추 다진 것 겨자, 참기름, 땅콩가루, 밤 가루, 양파, 사과, 배, 식초, 설탕, 엿, 꿀 등을 일정용기에 투입하여 섞어 숙성하여 회를 찍어 먹는데 단백하고 고소한 회 맛을 즐길 수 있는 회막장의 제조방법에 관하여서이다.
회는 일본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 특히 술안주나 초밥 등에 즐겨먹게 된다.
회는 대체로 가늘게 썰어 초고추장, 겨자 초장, 소금, 후추 등에 찍어 먹는다.
회의 종류로는 가자미회, 고등어회, 광어회, 꼬막회, 낙지숙회, 대합숙 회, 대합회, 도미회, 두릅 회, 멍게회, 물회, 미나리상회, 민어회, 뱅어국회, 병어회, 피조개회, 사태 회, 삼치회, 새우회, 생굴 초회, 생미역 초회, 생어회, 생오징어 초회, 파강회, 소라회, 숭어회, 오징어회, 육회, 잉어회, 자라회, 장어회, 전어회, 죽순 회, 짱뚱이회, 청각 회, 해삼 초회, 해파리회, 홍어회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회를 시식할 때 찍어먹는 회 막장을 위생시설을 갖춘 생산공장에서 대량으로 회 막장에 들어가는 부자재와 함께 이를 혼합하여 일정형상의 용기에 주입하여 마트 등에 유통하여 횟집이나 가정 등에서 일일이 된장을 비비고 이와 혼합되는 부자재와 야채를 씻고 자르거나 다지지않고도 용기에 투입된 막장혼합물을 소비자가 용기에 덜어 회와 함께 먹을 수 있는 회를 찍어먹는 막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를 시식할 때 회를 찍어먹는 소스인 막장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회를 찍어먹는 소스로는 초장이나 겨자를 섞은 간장 등에 회를 찍어먹었으나 초장은 식초 맛이 너무 강하고 간장에는 매운 겨자 맛이 너무 강하여 회 맛을 제대로 즐기기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회를 사람이 먹게 되면 영양소의 파괴 없이 생선을 먹을 수 있게 되고 특히 뼈째 먹는 회의 경우는 다량의 칼슘을 먹을 수 있으며 회는 고기에 비해 기름기가 적으면서도 영양소가 많다 생선은 색깔에 따라 크게 ‘붉은 살’과 ‘흰 살’로 나뉜다.
가다랑어, 방어, 고등어, 정어리 등 장거리에 걸쳐 유영하는 생선은 붉은 살에 속하고, 도미,넙치(광어), 가자미, 조기 등 한정된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은 흰 살에 속한다.
흔히들 고급 횟감이라고 하면, 복어, 넙치, 돔 등을 흰 살 생선을 연상하지만, 이들 생선이 육질이 단단하여 씹는 맛이 좋기 때문이지, 영양학적 측면에서만 보면 붉은 살 생선이 우월하다. 이는 붉은 살 생선에 건강에 좋은 불포화지방산의 성분인 ‘EPA’와 ‘DHA’ 함량이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영양소가 풍부한 생선은 회로 먹는 것이 좋다. 우선 신선도가 앞선다. 생선회는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영양소가 그대로 보존되고 맛도 좋다.
생선을 구이로 요리하면 구울 때 석쇠 등 조리기 아래로 떨어지는 액에 ‘EPA’, ‘DHA’, 타우린 등의 성분이 빠져나간다. 또한, 가열에 의해 비타민 등 일부 성분의 파괴와 산화가 일어나 영양이 떨어진다. 생선회의 생명은 매우 짧은 데, 넙치, 돔, 조피볼락, 농어 등 흰 살 생선회는 죽은 지 5~10시간, 방어 등 붉은 살 회는 5시간 정도 안에 먹어야 한다. 살아있어도 썩는다는 고등어는 죽은 즉시 먹어야 한다.
또한, 자연산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자연산의 육질이 10% 정도 단단하나, 그 차이를 느끼는 사람은 10명 중에 1명도 안 된다. 영양소는 오히려 양식이 약간 높다.
1. 회의 유래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이상세계를 염원하였으므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않는 종교적 영향으로 회를 즐기지 않았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성리학을 정치이념으로 삼았는데, 공자가 회를 좋아하여 숭유주의의 사조에 따라 아무런 저항감 없이 자연스레 육회나 생선회를 즐겼을 것이라 한다.
생선회는 생선의 가시와 껍질을 발라내고 흰 살만 작게 썰어서 만드는데, 주로 도미, 민어, 잉어, 복어 등이 이용된다. 대부분의 바닷고기는 생선회로 이용되고, 이 외에도 깨끗한 물에서 자란 민물고기도 생선회로 즐긴다. 다만, 바닷고기에 비해 민물고기는 디스토마를 조심하여야 한다. 생선회를 가장 즐기는 민족은 아무래도 일본인 들이며, 우리나라의 일식집들이 그들의 영향을 받아서 주방에서나 메뉴에 일본어로 된 전문 용어가 아무런 여과 과정 없이 그대로 쓰이고 있다. 오늘날과 같이 큰 규모의 전문 횟집들이 성행하게 된 것은 공업화의 산업경제로 삶의 여유가 생기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이다.
2, 어종에 따른 영양소 함량
1) EPA 함량 1.0% 이상…참치(뱃살), 방어, 참돔, 고등어, 정어리, 홍살치 0.51~1.0%…뱀장어, 꽁치, 갯장어, 전어, 바다 빙어, 인도다랑어(뱃살), 도루묵 0.26~0.50%…전갱이, 붕장어, 까나리, 멸치, 연어, 삼치, 갈치, 임연수어, 송어 등
2) DHA 함량 1.51% 이상…참치(뱃살), 방어, 참돔, 갯장어, 고등어 1.01~1.50%…인도다랑어(뱃살), 뱀장어, 꽁치, 정어리, 홍살치, 삼치 0.76~1.00%…연어, 청어, 무지개 숭어, 게르치 등이 있다.
3, 생선의 효능
생선은 스트레스 해소에 좋다.
비타민 B1은 뇌를 활성화한다. 스트레스는 신경이 예민하고 내성적이며 항상 쫓기는 듯한 생활을 하는 분들에게 많이 있다. 생선에는 많은 양의 비타민이 포함되어 있어 뇌신경을 진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비타민 일일 필요량은 평균 0.8mg, 여성은 0.7~0.8mg 정도이다. 비타민은 생선 중에서도 껍질 바로 안쪽에 있는 검붉은 살 부위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버리지 말고 먹도록 한다.
4, 생선은 암에 효과가 있다.
비타민 A가 암에 좋다 비타민 A는 생선의 간에 특히 많이 있으며 생리적 과정에 관계를 하며 폐와 식도, 피부, 점막 등에 생기는 암을 예방하고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비타민 A는 인체에 바로 흡수된다. 식물성 식품에도 비타민 A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그 자체로는 흡수되지 않고 중간 과정을 거쳐야된다. 생선에 함유되어 있는 레티놀이라는 비타민은 그대로 흡수가 되므로 영양 효율이 좋다.
세포의 재생 및 노화를 방지한다.
비타민 B2는 세포생성에 관여한다. 건강한 피부와 머리카락, 손톱, 발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B2는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그리고 우리 몸에 과산화지질이 생성 되는 것을 막아주는 작용을 하는데, 체내에 과산화지질이 쌓이면 노화가 촉진되고 동맥경화증에 걸리기 쉬우며 암 발생률도 높다. 에너지 대사에 관여한다. 심한 육체 활동으로 인해 에너지 필요량이 높아지면 비타민 B2와 비타민 B1의 필요량이 놓인다. 생선의 섭취량을 늘려 일상의 식사에서 부족하기 쉬운 Ca, Fe, 비타민 등을 동시에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계절별 생선회 즐기기
봄: 주로 도다리를 대표로 하여 숭어, 광어, 우럭, 농어, 산낙지, 놀래미, 해삼, 멍게, 오도리
여름: 광어, 우럭, 숭어, 산 새우, 노래미 등
가을: 주로 전어를 대표로 하여 광어, 우럭, 농어, 산 새우, 노래미 등
겨울: 감성돔, 광어, 우럭, 오징어, 농어, 방어, 산낙지, 산 새우, 해삼, 개불 등이 있으며 세계최고의 장수국가인 일본. 그 일본인들의 장수비결은 단연 생선회를 즐겨 먹는 데 있다고 한다.
생선회는 불포화 지방산과 풍부한 섬유질,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다이어트와 미용 그리고 건강유지에 최상의 식품으로 이미 여러 학자의 연구보고서와 식품연감 등으로 뛰어난 영양에 대한 인정을 받고 있다.
등 푸른 생선, 심해어 등의 건강 효능은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생명탄생의 근원인 바다, 그곳에 사는 신선한 어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더없이 좋은 건강식품이다.
주요 어종의 성어기
광어 … 봄(4, 5월) 가을(10, 11월)
오징어 … 7월∼11월
가자미 … 사철
숭어 … 사철
도 미 … 봄(4, 5월) 가을(10, 11월)
6. 양식과 자연산
1) 양식어종의 종류
바다 장어, 오징어, 개 상어, 가오리, 낙지, 전어, 개불 등 기타 잡어를 제외한 거의 모든 어종(횟감으로 사용하는)이 가능하고 기술상 또는 사업상 또는 사업상의 문제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2) 자연산은 모두 좋은가?
자연산 횟감은 양식에 비해 육질이 단단하고 깊은맛을 지니고 있다. 물론 상태가 좋은 경우에 해당하여 산지에서 직접 먹는 것이 좋으며 자연산은 양식에 비해 가격이 월등히 비싸기 때문에 쉽게 판매되지 못하고 수족관에 아무래도 오래 머물러 있게 마련이다. 모든 어종은 생활환경이 바뀌면 먹이를 쉽게 먹지 않고 생물 자체의 칼롤를 소비하게 되므로 맛이 떨어지거나 육질의 탄력성이 없어진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난 자연산은 오히려 양식의 좋은 상태보단 맛이 떨어진다.
7, 생선의 효능
생선에는 인체 구성성분으로 가장 중요한 양질의 단백질이 풍부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혈전예방 효과가 있는 EPA, 지능개발과 치매에 좋은 DHA를 가지고 있어 성인병 예방에 특별한 효력을 발휘할 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칼슘, 인, 등 무기질과 타우린 등이 들어있어 강장효과가 크고 특히 간장의 기능을 강화해 준다.
1) 고혈압-김, 다시마, 멸치, 가리비, 연어, 꽁치 등
지나치게 염분을 섭취할 경우 몸안의 혈관이 수축, 혈액의 흐름이 어려워져 혈압이 높아진다. 이는 염분 중에 포함된 나트륨 때문이고 생선의 단백질은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 칼륨은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칼륨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서는 해조류가 으뜸. 삼치, 가리비, 전갱이, 고등어, 도미, 방어, 참치, 연어 등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꽁치구이, 멸치 죽, 고등어 김치 조림, 연어꼬치튀김등
2) 동맥경화-참치, 전갱이, 굴, 꽁치, 문어, 새우, 게 등
동맥경화가 진행되면 조금만 움직여도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계단을 오를 때 숨이 차고 가슴에 통증이 가라앉지 않는다. 머리가 자주 아프고 피로감이 오래 계속되는 증세도 주의를 요한다.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는 타우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생선을 먹는 것. 타우린은 콜레스테롤 감소, 심장 강화, 간장 해독능력 향상, 혈압 안정, 당뇨병 예방 등 여러 가지 약리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타우린은 각종 장기에 작용, 그 기능을 향상시켜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생선, 조개류에는 다량의 타우린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콜레스테롤이 많다고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특히 조개류에는 타우린 외에 콜레스테롤을 흡수하는 스테롤 류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혈압 조절은 물론 간의 기능을 활발히 해주는 구실을 하므로 여러 가지 성인병에 유익하다. 굴쑥갓달래 무침, 소라국, 참치회 무침, 전갱이 소금구이 등
3) 뇌졸중-참치, 정어리, 방어, 꽁치, 고등어 등
뇌출혈, 뇌혈전, 뇌경색 등 혈액순환의 장애는 혈전의 발생에 기인한 것으로 혈액 속에서 혈전이 생 겨 혈관 속을 떠돌면서 흐름을 방해하고 혹은 혈관벽에 침전되어 혈관을 막아버리는 것이다. 이런 한 현상을 예방하려면 등 푸른 생선에 많은 EPA를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통조림으로 가공된 고등어나 꽁치를 이용할 때도 기름을 제거 버리지 말고 조리한다. 통조림 국물 안에는 불포화 지방산인 EPA가 녹아 있으므로 가급적 이용하는 것이 좋다. 고등어찌개, 고등어케첩조림, 참치 채소비빔밥, 정어리 완자튀김 등의 요 리가 먹음직스럽다.
4) 간장병-참치, 고등어, 오징어, 문어, 조개류, 새우등
간 기능을 높여주는 생선, 조개류는 참치, 고등어, 오징어, 문어, 모시조개, 바지락, 소라, 가리비, 전 복, 굴, 게, 새우등. 특히 모시조개는 비타민A와 간 기능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비타민 B12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바지락도 간을 튼튼하게 해준다. 옛 부터 간이 약해 쉬 피로하고 황달기가 있는 사람에게 권하는 식품이었다.
5) 골다공증-새우, 멸치, 정어리, 뱅어포, 바지락
칼슘이 부족한 상태가 계속되고 뼈 속의 칼슘이 빠져나오게 되면 뼈가 퍼석퍼석하게 물러져서 약간의 자극이나 타박이 있어도 골절이 일어나게 된다. 이 병을 골다공증이라고 하는데 젊은층보다 노년층에, 남성보다 여성에게, 특히 폐경 이후의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예방의 첫째 조건은 칼슘 섭취. 칼슘함유량이 많은 생선류로는 마른 새우, 멸치, 정어리, 빙어, 뱅 어포, 바지락 등을 들 수 있다. 한꺼번에 많이 섭취하는 것보다 일상적으로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회를 먹을 때 곁들여 먹는 회 막장을 위생시설을 갖춘 생산공장에서 대량으로 회 막장에 들어가는 부자재와 함께 이를 교반하여 일정형상의 용기에 주입하여 마트 등에 유통하는 회 막장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횟집이나 가정 등에서 회를 자르고 사용자가 일일이 회 막장에 들어가는 된장을 비비고 야채를 씻고 자르거나 다지지않고도 공장에서 제조된 용기에 투입된 회 막장혼합물을 일정용기에 꺼내어 편하게 먹을 수 있는 회 막장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를 뜬 후 즉석에서 간단하게 회에 곁들여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이 상품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횟집에서 즐겨먹는 생선회는 회를 일정크기로 썬 후에 초장이나 겨자를 곁들인 간장에 찍어먹었던바 횟감의 고유의 맛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발명은 종래의 회에 찍어먹는 초장이나 겨자 장의 단점을 타파하여 위생시설을 갖춘 공장에서 대량으로 된장과 여기에 들어가는 부자재를 교반하여 살균과정과 숙성과 정을 거쳐서 진공상태로 횟집이나 가정에 유통하는 회 막장제조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였듯이 종래의 횟집이나 가정에서 일일이 된장을 개고 야채와 같은 부자재를 다지고 이를 혼합하였던 문제점을 타파한 간편하고 맛있고 영양 높은 회 막장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회를 먹을 때 곁들여 먹는 회 막장을 위생시설을 갖춘 생산공장에서 대량으로 회 막장에 들어가는 여러 부자재와 함께 이를 교반하여 일정형상의 용기에 주입하여 마트 등에 유통하여 횟집이나 가정 등에서 일일이 된장을 비비고 야채를 씻고 자르거나 다지지않고도 용기에 투입된 회 막장 혼합물을 일정용기에 덜어 회와 곁들여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 막장을 제조하기 위한 부재료들이 용기에 저 장되어 냉장보관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회를 먹기 위하여 그때그때 일정용기에 일정량 덜어서 회와 곁들여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된장이나 메줏가루를 주재료로 부재료인 야채 등과 더불어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회를 찍어 먹을 수 있는 회 소스를 제공함으로써,
회 막장의 독특한 맛과 식감을 가지며 영양가가 높은 회 막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된장을 이용하여 회 막장을 제조함으로써 회 막장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회 막장 소스를 진공 파우치나 PET병이나 밀폐용기 포장을 실시한 후 멸균 처리하여 시중에 유통함으로써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원하는 소비자가 구입하여 빠른 시간 내에 꺼내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기존 초고추장이나 겨자소스에 식상한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소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 막장(2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횟집이나 가정에서 회 요리를 더욱 맛있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회 막장(20)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회를 찍어먹는 회 막장(20)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 막장(20)의 주재료인 된장 또는 메줏가루에 50중량 부에 대하여 정제 수 또는 다시마액 또는 탄산수 50중량 부를 투입하여 이를 교반하는 기본 베이스 공정 1단계와;
여기에 상기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부재료인 고추장10내지 30중량 부와;
마늘, 생강, 파, 피망, 버섯, 다시마, 미역, 깨, 고추, 양파, 레몬, 당근, 사과, 배를 포함한 과일 및 채소 류군 10 내지 40중량 부와;
제2부자재인 땅콩, 밤, 호두를 포함한 건과 류군 1 내지 15중량 부와;
제3부자재인 겨자, 참기름, 식초, 설탕, 엿, 소금, 후추, 전분, 고춧가루 꿀을 포함한 양념 및 조미료군 또는 향신료군 1 내지 15중량 부가 상기 회 막장(20)에 투입되어 교반기에 넣고 이를 혼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 막장의 제조방법은 주재료인 된장 또는 메줏가루로 이루어진 회 막장(20) 혼합물에 이를 일정량 투입하는 부자재(40) 투입공정(160)과;
교반기를 이용하여 상기 부자재 (40)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하는 교반공정(140)과; 상기 교반된 회 막장(20) 혼합물을 살균하는 살균공정(160)과; 이를 1 내지 10일간 별도 용기에 투입하여 숙성하는 숙성공정과 이를 소정용기에 주입하는 용기 주입공정(200)을 거쳐 완성(220)되는 진공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20)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회 막장(20)에 투입되는 부자재(40)는 겨자, 참기름, 식초, 설탕, 엿, 전분, 소금, 후추, 고춧가루 꿀을 포함한 양념 및 조미료군과;
마늘, 생강, 파, 피망, 버섯, 다시마, 미역, 깨, 고추, 양파, 레몬, 당근, 사과, 배를 포함한 과일 및 채소 류군과;
땅콩, 밤, 호두를 포함한 건과 류군과;
겨자, 참기름, 식초, 설탕, 엿, 소금, 고춧가루, 꿀 등을 포함한 양념 및 조미료군 또는 향신료군 중에 적어도 1군 이상으로 선택된 부자재를 상기 회 막장에 혼합하 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투입된 부자재(40)를 회 막장 (20) 혼합물에 첨가하여 살균공정(160)과 1∼ 10일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 막장(20)혼합물의 살균공정 (200)은 자외선 살균, 저온살균, 가스살균, 감마선 살균 중 선택된 어느 한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20)제조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20)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 막장(20)의 제조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아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복잡하게 하거나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간략하게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당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원의 간편 회 막장 (20) 제조방식은 통상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모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며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편 회 막장 (20) 제조 방법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제조 블록 도로서 본원의 제조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농가로부터 납품받은 신선한 회 막장(20)의 주재료를 정제수등과 혼합하는 단계를 갖는데 본원에서의 정제수는 굳이 물뿐이 아니라 다시마액, 탄산수, 동물의 사골 국물 등을 정제수 대신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씹는 맛을 높이기 위하여 연어알이나 날치알 등을 투입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여러 부재료를 포함된 분순 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거름공정(60)을 거치는데 이는 야채아 과일에 한해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은 부자재(40)를 깨끗한 물로서 세척하는 부자재 세척공정(80)과 상기 세척시 부자재에 부착된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공정이 이루어지고 본원의 회 막장(20)에 투입되는 부자재(40)를 부자재 절단공정(100)을 거쳐 상기 부자재(40)를 다지거나 절단하여 사람이 씹기 좋은 사이즈로 만든 후 상기 회 막장(20)에 이를 일정량 투입하는 부자재 투입공정(120)을 거친다.
또한, 상기 회 막장(20)의 제조방법과 부자재(40)는 상기 용기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교반공정(140)을 거치는데 이때 회 막장(20)혼합물을 간을 하기 위하여 소금을 일정량 첨가하고 향신료 등도 이때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된 회 막장(20) 혼합물을 제조시나 원재료 재배나 유통시 투입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살균공정 (160)을 거치는데 이는 상기한 제조공정에서 투입될 수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함이고 여기에는 통상의 식품 살균 방법인 자외선 살균, 저온 살균, 가스살균, 감마선 중 바람직한 통상의 어느 한 방법이 사용된다.
소정용기에 주입하는 용기 주입공정(200)을 거치고 상기 용기의 밀폐를 위하여 뚜껑을 씌우고 성분과 용량 회사로고가 인쇄된 라벨을 붙인 후 완성(220)하게 되는 것이며 유통기간을 늘리기 위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뺀 진공상태의 포장도 가능하고 상기 용기는 파우치나 PET 병이 바람직하고 팩이나 밀폐용기 형태로 이루어짐 또한, 바람직하며 이 밖에도 알루미늄용기나 철 용기 통조림 등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이를 냉장보관 및 배송(240)하게 되는 것이며 배송시에도 제품의 신선도를 높이기 위하여 냉장차를 이용하여 냉장 및 냉동 배송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으로, 소비자는 마트 등에서 냉장 된 회 막장(20)혼합물을 구입하여 집이나 업소로 와서 자신이 원하는 양을 용기에 스푼으로 덜고 준비된 회를 찍어먹게 되는 것이다.
본원의 회 막장(20)의 제조방법의 회 막장(20)혼합물은 신속하고 요긴하고 편리하고 맛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생선회뿐이 아니라 동물성 육회나 구이 요리 등에도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후 뚜껑을 닫고 다시 냉장보관하게 되고 장기간 보관시에는 냉동 보관하여 언제든지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본원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재료의 변형 및 변경은 특히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예의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의 상기 실시 예의 측면들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하며 당업자는 상기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원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 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편 막장제조방법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제조 블록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회 막장 40: 부자재
60: 불순물 거름공정 80: 부자재 세척공정
100: 부자재 절단공정 120: 부자재 투입공정
140: 교반공정 160: 살균공정
180: 숙성공정 200: 용기주입공정
220: 완성 240: 냉장보관 및 배송

Claims (4)

  1. 회를 찍어먹는 회 막장(20)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 막장(20)의 주재료인 된장 또는 메줏가루에 50중량 부에 대하여 정제 수 또는 다시마액 50중량 부를 투입하여 이를 교반하는 기본 베이스 공정 1단계와;
    여기에 상기 주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재료인 고추장 10 내지 30중량 부와;
    마늘, 생강, 파, 피망, 버섯, 다시마, 미역, 깨, 고추, 양파, 레몬, 당근, 사과, 배를 포함한 과일 및 채소 류군 10 내지 40중량 부와;
    땅콩, 밤, 호두를 포함한 건과 류군 1 내지 15중량 부와;
    겨자, 참기름, 식초, 설탕, 엿, 소금, 후추, 전분, 고춧가루 꿀을 포함한 양념 및 조미료군 1 내지 15 중량부를 투입하여 혼합 완성하는 2 단계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제조방법.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 막장(20)의 주재료가 투입된 용기에 상기 부자재(40)재료를 선택하여 투입하는 부자재 투입공정(120)과; 이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상기 부자재 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하는 교반공정(140)과;
    상기 교반된 회 막장(20) 혼합물을 살균하는 살균공정(160)과; 이를 숙성하는 숙성공정(180)과 이를 소정용기에 주입하는 용기 주입공정(220)을 거쳐 완성(220)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제조방법.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 막장 (20) 혼합물은 살균공정(160)과;
    상기 회 막장 혼합물을 1∼ 10일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180)을 포함하는 완성(220)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제조방법.
  4. 회 막장(20)에 투입되는 재료는 주재료인 된장 또는 메줏가루에 대하여
    제1부자재(40)인 고추장, 겨자, 참기름, 식초, 설탕, 엿, 전분, 소금, 후추, 고춧가루 꿀을 포함한 양념 및 조미료군과;
    제2부자재인 마늘, 생강, 파, 피망, 버섯, 다시마, 미역, 깨, 고추, 양파, 레몬, 당근, 사과, 배를 포함한 과일 및 채소 류군과;
    제3부자재인 땅콩, 밤, 호두를 포함한 건과 류군 중에 적어도 1군 이상의 선택된 부자재(40)가 상기 막장 주재료에 포함되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 막장제조방법.
KR1020080099960A 2008-10-13 2008-10-13 회 막장제조방법 KR20100041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60A KR20100041001A (ko) 2008-10-13 2008-10-13 회 막장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60A KR20100041001A (ko) 2008-10-13 2008-10-13 회 막장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001A true KR20100041001A (ko) 2010-04-22

Family

ID=4221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960A KR20100041001A (ko) 2008-10-13 2008-10-13 회 막장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0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3567A (zh) * 2011-02-16 2011-07-06 深圳市绿科生物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豆奶添加剂的制作方法及其豆奶添加剂
KR101298226B1 (ko) * 2012-06-11 2013-08-22 김정현 메주콩 비빔장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메주콩 비빔장
CN105341881A (zh) * 2015-11-27 2016-02-24 傅贵轩 一种核桃鱼酱及其制备方法
CN105475973A (zh) * 2015-11-27 2016-04-13 傅贵轩 一种可预防感冒的鱼酱及其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3567A (zh) * 2011-02-16 2011-07-06 深圳市绿科生物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豆奶添加剂的制作方法及其豆奶添加剂
KR101298226B1 (ko) * 2012-06-11 2013-08-22 김정현 메주콩 비빔장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메주콩 비빔장
CN105341881A (zh) * 2015-11-27 2016-02-24 傅贵轩 一种核桃鱼酱及其制备方法
CN105475973A (zh) * 2015-11-27 2016-04-13 傅贵轩 一种可预防感冒的鱼酱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8089B (zh) 一种调理食用菌菇酱风味改进的方法
CN103766992B (zh) 一种火锅红酸汤料及其制作方法
JP2000325044A (ja) 豆腐や豆腐粕を主体とした健康食品と餌料と健康調味料
KR20140055910A (ko) 이질식재가 함유된 비압착식화두부와 두부병조림
CN105815694A (zh) 一种红烧带鱼罐头的配方及加工工艺
CN104543950A (zh) 虾蛄保健酱
KR101736011B1 (ko) 닭백숙의 조리방법
CN105124504A (zh) 一种食用臭卤及其相关制品与臭豆腐臭鳜鱼
CN106418448A (zh) 一种海鲜鸡肉酱及其制作方法
JP2006223115A (ja) 健康キムチおよびその他の漬物
KR20100041001A (ko) 회 막장제조방법
Slater Use and exploitation of sea cucumbers
KR101368134B1 (ko) 신규한 메기 가공방법
KR102379002B1 (ko)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04136U (ko) 막장제조법
CN104323190B (zh) 一种松茸酸菜牛羊肉麻辣全料
KR101695303B1 (ko) 숙성된 굴 및 새우를 이용한 매콤한 크림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721983A (zh) 五彩发面煎饺及其制作方法
KR101301813B1 (ko) 초절임 샐러드 제조방법
KR20100061780A (ko) 영양 전복밥 제조방법
KR20110045315A (ko) 오대양고기, 이를 이용한 오양 해물찜탕 및 해물찜탕의 제조방법
KR20060117412A (ko) 육류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00637B1 (ko) 해삼죽 통조림의 제조방법
KR20160041067A (ko) 해산물을 이용한 볶음 면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4313A (ko) 꾸찌뽕 등과 우피등을 이용 발표되지 않은 융합 원소까지 얻는 약초물과 씹히는 묵과 묵아이스크림 약재물 2가지 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