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8068A -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8068A
KR20220008068A KR1020200086174A KR20200086174A KR20220008068A KR 20220008068 A KR20220008068 A KR 20220008068A KR 1020200086174 A KR1020200086174 A KR 1020200086174A KR 20200086174 A KR20200086174 A KR 20200086174A KR 20220008068 A KR20220008068 A KR 20220008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id
idebenone
beads
bead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350B1 (ko
Inventor
이창열
최춘영
윤동규
최형석
이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0008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3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비드 기제; 및 특정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비드로서,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지질에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Lipid beads comprising idebeno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비드 기제; 및 이데베논에 대하여 높은 흡착용해능을 갖는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비드로서,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지질에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서,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인체보호기능, 방벽기능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피부의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피부탄력의 저하 및 미세한 잔주름 등의 피부노화 증후는 여성들에게 있어서 큰 고민으로 이에 대한 지연이나 해결방안에 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또한 남성들도 자신들의 피부상태 개선과 노화방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면서, 항노화에 대하여 효과가 우수한 원료뿐만 아니라, 이를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여 전세계적으로 항노화 및 주름, 탄력개선 화장품은 스킨케어 시장에서 큰 부분을 자리 잡고 있다.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물질로 이데베논(idebenone)이 알려져 있다. 이데베논은 살아있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유비퀴논계 항산화제로서, 미토콘드리아 내 세포에너지인 ATP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학물질이다. 이데베논의 화학명은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2,3-dimethoxy-5-methyl-6-(10-hydroxydecyl)-1,4-benzoquinone]이고 분자량은 338.44이며, 노란색의 결정성 파우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데베논은 '히드록시데실유비퀴논(hydroxydecylubiquinone)'으로도 지칭되며, 세포성장 촉진, 세포보호, 항산화 효과 등에 탁월하여 진피층에서 콜라겐과 엘라스틴뿐만 아니라 수분층까지 재생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착색을 감소시키거나 피부를 밝게 하여 피부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고, 탄력 개선과 주름 제거 및 피부톤 개선에도 효과를 나타낸다.
이데베논은 의약품 및 화장품으로서 항노화에 매우 뛰어한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비특허문헌 1 내지 3). 그러나, 이데베논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퀴논기, 포화탄화수소 및 수산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극성이 높고 낮은 녹는점을 가지고 있어, 유화계에서는 안정화가 어렵고, 원료 자체도 빛, 공기, 열 등의 외부 환경에 노출시 변색이 쉽고 피부 침투도 용이치 않아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데베논을 종래 유화기법 및 유화계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경우에도, 제형의 안정성 및 이데베논의 역가 보존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이데베논을 나노 캡슐 입자로 제조할 경우, 나노입자는 일반 마이크로(micro) 크기의 액적(droplet)과는 달리, 물리적으로 그 층이 매우 얇으며, 따라서 이데베논과 같이 극성이 높은 물질인 경우에는 입자 주변의 역속상(continuous phase)에서 용해성을 갖고 있어 오스트왈드 라이프닝(Ostwald ripening) 현상에 의해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효 물질을 안정화하고 피부 전달 효과를 증가시키키 위해, 유효물질을 에멀젼화하거나 리포좀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1 마이크로 이하의 작은 입자를 갖는 마이크로캡슐화 등은 계면활성제를 적정 온도에서 비교적 과량을 사용하여 미세한 입자를 수득하며, 나노캡슐화는 최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적정 온도에서 비교적 과량을 사용하여 미세한 입자를 수득하거나, 최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고압형 유화기(High-pressure homogenizer)라는 고에너지를 부가할 수 있는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 50 내지 300 nm의 미세한 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방법이다(특허문헌 1 내지 8 등). 그러나 종래의 나노 리포좀이나 나노 에멀젼과 같은 나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는, 고가의 장비와 이에 소모되는 큰 비용의 감가상각비가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종래의 유화기법보다 훨씬 부담이 되고, 그 공정 또한 대량생산이 어렵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경제성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나노좀, 리포좀 등의 제형을 위한 복잡한 유화기법이나 제조 공정 및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약학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데베논의 제제화가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02875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02084호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47328호 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65509호 5.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88857호 6.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124535호 7.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62376호 8.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65103호
1. G Weyer et al., A controlled study of 2 doses of idebenon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Nuropsychobiology, 1997;36(2):73-82 2. Y Ikejiri et al., Idenbenone improves cerebral mitochondrial oxidative metabolism in a patient with MELAs, Neurology, 1996 Aug;47(2):583-5 3. Y Ihara et al., Oral administration of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MELAs), pathological study and successful therapy with coenzym Q10 and idebenone, Journal of Neuroscience, 1989 May;90(3):263-71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데베논이 특정 지질 성분들에 친화적으로 흡착하여 용해되는 특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이데베논을 지질-흡착용해를 통한 새로운 형태의 전달체, 즉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설계 및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특정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비드로서,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지질에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비드 기제; 및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비드로서, 상기 지질이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지질에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가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지질 비드는 0.5 ∼ 2.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질은 바람직하게는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드 기제는 세틸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왁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질 비드는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드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한 지질 비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a) 비드 기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지질의 혼합물을 60℃ ∼ 70℃로 가온하여 균일한 용액을 얻는 단계;
(b)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포타슘 알지네이트, 소듐 알지네이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10, 데하이드로잔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60℃ ∼ 70℃로 가온하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단계(b)에서 얻어진 수용액에 분산시켜 지질 비드를 형성시키고,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고형의 지질 비드를 얻는 단계;
(d)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온 용해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500 ∼ 5000 cps의 점도를 갖는 점성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e) 단계(d)에서 얻어진 점성의 수용액을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단계(c)에서 얻어진 고형의 지질 비드를 단계(e)에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보관한 후,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a)의 혼합물은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드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c) 또는 단계(d)의 여과는 0.5 ∼ 2.0 mm의 직경을 갖는 고형의 지질 비드 또는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f)의 실온에서의 보관은 12시간 ∼ 1주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한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는 종래의 방법, 즉 나노좀, 리포좀 등의 제형을 위한 복잡한 유화기법이나 제조 공정 및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비용 면이나 효율 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는 피부에 도포 시 비드의 지질 성분과 함께 피부에 부드럽게 분산되어 퍼짐으로써 피부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는 다양한 화장료(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컵 화장료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이데베논이 지질에 흡착을 통해 용해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a는 실시예 2-1, 2-2, 2-3, 2-6, 2-7, 2-8, 및 2-10에서 얻어진, 이데베논을 흡착용해시키기 전의 걸러낸 지질 비드의 성상을 나타낸다.
도 2b는 실시예 3-1, 3-2, 3-3, 3-4, 3-5, 3-6, 및 3-7에 있어서, 이데베논이 지질비드에 흡착용해된, 점액 수용액상에서의 지질 비드의 성상을 나타낸다.
도 2c는 실시예 3-1, 3-2, 3-3, 3-4, 3-5, 3-6, 및 3-7에서 얻어진, 이데베논을 흡착용해 완료 후 걸러낸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성상을 나타낸다.
도 3은 지질 비드에 이데베논을 흡착용해시키기 전의 지질 비드의 성상 및 지질 비드에 이데베논을 다양한 농도로 흡착용해시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성상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지질 비드(lipid beads)"라 함은 지질과 비드 기제를 함유하는 구형의 비드 형태를 갖고, 상온에서는 고체이나 피부에 도포시 액상으로 변화되는 비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 비드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 2.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흡착용해(adsorbed and solubilized)"라 함은 약물(즉,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지질의 물리적인 흡착(adsorption) 및 용해(solubilization)가 동시에 일어나는 기전(mechanism)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비드 기제; 및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비드로서, 상기 지질이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지질에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가 제공된다.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예를 들어, 이데베논 설페이트 포타슘염(idebenone sulfate potassium salt))의 함량은 약학 조성물 및/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치료학적으로 또는 화장료적으로 유효한 양(therapeutically or cosmetically effective amounts)을 고려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질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0.3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데베논이 특정 지질 성분들에 친화적으로 흡착용해한다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밝혀졌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이데베논은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 트리아세틴(triacetin 혹은 glycerin triacet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옥틸 팔미테이트(octyl palmitate), 및/또는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에 높은 흡착용해능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질은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질은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와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질은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와의 1∼4 : 1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중량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지질의 함량은 본 발명의 지질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4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비드 기제는 비드 형성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왁스(예를 들어, 비즈왁스(beeswax), 세레신 왁스(ceresin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waxmicrocrystalline wax), 칸델릴라 왁스(candelilla wax) 등),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coco-glyceride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드 기제는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비즈왁스, 세레신 왁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비즈왁스, 세레신 왁스,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의 4∼6 : 0.5∼1 : 1.5∼2.5 : 1의 중량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비드 기제의 함량은 비드 형성에 적합한 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질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5∼5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는, 필요에 따라,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드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드 경도 조절제는 비드의 경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비드 경도 조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지질 비드 총 중량에 대하여 15∼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중량%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지질 비드는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3∼20 중량%; 비드 기제 5∼60 중량%; 지질 5∼50 중량%; 및 비드 경도 조절제 15∼40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한 지질 비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비드 기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지질의 혼합물을 60℃ ∼ 70℃로 가온하여 균일한 용액을 얻는 단계;
(b)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포타슘 알지네이트, 소듐 알지네이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10, 데하이드로잔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60℃ ∼ 70℃로 가온하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단계(b)에서 얻어진 수용액에 분산시켜 지질 비드를 형성시키고,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고형의 지질 비드를 얻는 단계;
(d)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온 용해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500 ∼ 5000 cps의 점도를 갖는 점성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e) 단계(d)에서 얻어진 점성의 수용액을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단계(c)에서 얻어진 고형의 지질 비드를 단계(e)에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보관한 후,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는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비드 기제 및 지질의 혼합물을 60℃ ∼ 70℃로 가온하여 균일한 용액을 얻는 단계[즉, 단계(a)]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a)의 혼합물은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드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질, 비드 기제, 및 비드 경도 조절제는 본 발명의 지질 비드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b)는 비드 형성용 수용성 중합체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수용성 중합체는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카보머(carb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로도 지칭된다),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포타슘 알지네이트(potassium alginate), 소듐 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데하이드로잔탄검(dehydroxanthan gum),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roxyethyl cellulose),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중합체는 폴리아크릴산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중합체의 농도는 0.1∼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0.4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중합체 수용액은 트로메타민 등의 중화제를 사용하여 pH를 6∼7로 조절할 수 있다.
단계(c)는 고형의 지질 비드를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단계(b)에서 얻어진 수용액에 분산시켜 지질 비드를 형성시키고,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고형의 지질 비드를 얻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산은 패들 믹서 등을 사용하여 10∼50 rpm, 바람직하게는 약 50 rpm의 속도로 예를 들어 5∼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분산을 통하여 0.1∼2.0 mm 정도의 액적(방울)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된 분산액을 형성시킬 수 있다. 얻어진 분산액은 4∼10 ℃에서 12∼24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약 5 ℃ 이하에서 약 12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고, 0.5 ∼ 2.0 mm의 직경을 갖도록 여과함으로써, 고형의 지질 비드를 얻을 수 있다.
단계(d)는 이데베논이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를 얻기 위한 매질로 기능하는 점성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단계(d)는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온 용해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실온,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예를 들어, 15℃ ∼ 20℃)으로 냉각하여 500 ∼ 5000 cps의 점도를 갖는 점성의 수용액을 제조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d)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중합체는 단계(b)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중합체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d)의 수용성 중합체는 폴리아크릴산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아크릴산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1.5∼2.5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1 중량비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계(d)의 수용성 중합체 수용액 중의 수용성 중합체의 농도는 500 ∼ 5000 cps의 점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농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 1 중량%의 범위일 수 있으나, 수용성 중합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중합체 수용액은 트로메타민 등의 중화제를 사용하여 pH를 6∼7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점성의 수용액은 단계(c)의 지질 비드 1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e)는 단계(d)에서 얻어진 점성의 수용액을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을 제조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지질 비드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에탄올은 예를 들어, 99%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의 사용량은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는 양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f)는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단계(c)에서 얻어진 고형의 지질 비드를 단계(e)에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보관한 후,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단계(f)의 상기 분산은 패들 믹서 등을 사용하여 10∼50 rpm, 바람직하게는 약 50 rpm의 속도로 예를 들어 5∼1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온에서의 보관은 예를 들어 20℃ ∼ 25℃에서 12시간 ∼ 1주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얻어진 분산액은 4∼10 ℃에서 12∼24 시간 동안, 예를 들어 약 5 ℃ 이하에서 약 12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고, 0.5 ∼ 2.0 mm의 직경을 갖도록 여과함으로써,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성장 촉진, 세포보호, 항산화 효과 등을 통하여, 피부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착색 감소, 피부톤 개선 등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겔, 크림, 로션, 페이스트,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아이 크림, 에센스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보존제, 방향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데베논의 지질 흡착용해능 평가
폴리아크릴산 수용액에 이데베논 농도별로 분산시켜 얻어진 분산액에 다양한 지질(표 1)을 첨가하여, 지질에 대한 이데베논의 흡착용해능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1) 폴리아크릴산 수용액 제조
상온에서 폴리아크릴산을 0.3 중량%의 농도로 아지테이트 믹서를 사용하여 정제수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 첨가하여 수용액의 pH를 pH 6.5±0.5으로 조절하여 무색 투명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2) 이데베논-함유 용액 제조
이데베논을 0.01 g, 0.02 g, 0.03 g, 0.04 g, 0.05 g, 및 0.1 g을 각각 99% 에탄올 1 g에 가하여 이데베논-함유 용액을 제조하였다.
(3) 이데베논-함유 분산 수용액 제조
상기 (1)에서 얻어진 수용액 98.99 g, 98.98 g, 98.97 g, 98.96 g, 98.95 g, 및 98.90 g에, 상기 (2)에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용액을 각각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용액 중의 이데베논 분산 농도가 각각 0.01 중량%, 0.02 중량%, 0.03 중량%, 0.04 중량%, 0.05 중량%, 및 0.1 중량%가 되도록 이데베논-함유 분산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4) 지질에 따른 이데베논의 흡착용해능 평가
표 1의 지질을 (3)에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분산 수용액에 각각 0.99 g, 0.98 g, 0.97 g, 0.96 g, 0.95 g, 및 0.90 g을 넣어, 지질에 흡착용해되는 이데베논의 농도가 1 중량%, 2 중량%, 3 중량%, 4 중량%, 5 중량%, 및 10 중량%가 되도록 한 후,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지질이 0.5∼2.0 mm 크기의 액적(방울) 형태가 되도록 분산시켰다.
이후 상온에서 7일 동안 보관하면서 육안으로 수용액 상의 이데베논이 지질로 흡착되어 이동하여 용해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도 1은 지질로서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를 사용하였을 때, 이데베논이 지질에 흡착을 통해 용해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데베논이 지질 오일에 흡착용해되어 이동하는 과정은 상온에서 물에 난용성인 이데베논이 수용액 상에 혼탁하게 분산된 후, 구형의 지질 성분 안으로 흡착용해되어 함유되면서 그 수용액 상이 점진적으로 탁한 노란 불투명 상 -> 노란색 투명한 상 -> 무색 투명한 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분산된 구형의 지질 성분은 이데베논의 본래 색상이 진한 노란색으로 인하여, 함유되는 정도에 따라 무색 투명 지질 -> 노란색의 투명 지질 -> 짙은 노란색 투명 지질로 변하여 육안으로 이데베논이 지질에 흡착용해되어 함유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표 1의 모든 지질에 대하여 이데베논 흡착용해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지질 성분 이데베논-함유 수용액 농도(%) / 이데베논의 지질 대비 농도(%)
0.01%/1.0% 0.02%/2.0% 0.03%/3.0% 0.04%/4.0% 0.05%/5.0% 0.1%/10.0%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 +++++ +++++ +++++ ++++ +++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 +++++ +++++ +++++ ++++ +++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 ++++ ++++ +++ ++ ++
트리아세틴 ++++ ++++ +++ +++ ++ ++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 ++ ++ ++ ++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 ++++ +++ +++ ++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 ++ ++ ++ ++ +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 ++ ++ ++ ++ +
옥틸 팔미테이트 +++ +++ +++ +++ ++ +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 +++ +++ +++ ++ ++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 - - - - -
호호바 오일 - - - - - -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 - - - - -
"+": 이데베논이 지질로 흡착용해되는 정도
"-": 이데베논이 수용액 상에서 지질로 이동하지 않음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지질 성분들 중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순으로 높은 이데베논 흡착용해능을 나타낸 반면,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호호바오일, 등 극성 성질이 거의 없는 지질들은 흡착용해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2. 지질 비드의 제조 및 평가
하기 표 2 및 표 3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지질 비드를 제조하였다. 표 2 및 표 3의 함량은 중량%를 나타낸다.
상온에서 폴리아크릴산을 0.3 중량%의 농도로 정제수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중화제로서 트로메타민 첨가하여 수용액의 pH를 pH 6.5±0.5로 조절한 다음, 65±5 ℃로 가온하였다. 각각의 지질 성분, 비드 경도 조절제(옥틸도데칸올 및/또는 스쿠알란) 및 지질 비드 기제 성분들(세틸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비즈 왁스, 세레신 왁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 및/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을 혼합하여 약 65 ℃로 가온·용해시킨 후, 상기에서 제조한 수용액에 패들 믹서를 사용하여 약 5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0.1∼2.0 mm 정도의 액적(방울)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얻어진 분산액을 약 5 ℃의 냉장실에서 약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고체 형태의 구형 지질 비드를 형성시킨 다음, 약전체를 이용하여 걸러 내어 정제수에 담아 냉장 보관하였다.
얻어진 지질 비드에 대하여, 지질 비드의 형성 및 실온에서의 지질 비드 강도, 0.5∼2.0 mm 크기를 갖는 지질 비드의 수율, 및 녹는점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지질 비드의 형성은 융점(녹는점)으로 측정하여 40 ∼50 ℃ 경우 양호한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지질 비드의 강도는 융점을 측정하여 40∼42 ℃의 경우 '약', 43∼46 ℃의 경우 '적당', 46∼48 ℃의 경우 '약강', 48 ℃ 이상인 경우 '강'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2-1 2-2 2-3 2-4 2-5
비드
기제부
세틸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4 24 24 24 24
스테아릴 알코올
비즈 왁스 7 7 7 7 7
세레신 왁스 9 9 9 9 9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 5 5 5 5
지질부 옥틸도데칸올 20 20 20 20 20
스쿠알란 5 5 5 5 5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30 20 15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10 10 10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5 5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5
수상부 폴리아크릴산 수용액(0.3%, pH 6.5) 2L 2L 2L 2L 2L
지질 비드 형성/강도 양호/
적당
양호/
적당
양호/
적당
양호/
적당
양호/
약강
지질 비드(크기: 0.5∼2.0 mm)의 수율(%) 73 75 73 74 75
녹는점(℃) 45.1 45.5 45.5 45.3 46.0
구분 성분명 실시예
2-6 2-7 2-8 2-9 2-10
비드
기제부
세틸 알코올 1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4 24 24
스테아릴 알코올 15
비즈 왁스 7 7 7 25 7
세레신 왁스 9 9 9 10 9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   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 5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0 4
지질부 옥틸도데칸올 20 20 20 20
스쿠알란 5 5 5 5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20 55 20 20 2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10 10 10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수상부 폴리아크릴산 수용액(0.3%, pH 6.5) 2L 2L 2L 2L 2L
지질 비드의 크기/강도 양호/
적당
양호/
적당
양호/
적당
양호/
양호/
적당
녹는점(℃) 44.5 44.0 44.3 50.4 45.0
지질 비드(크기: 0.5∼2.0 mm)의 수율(%) 71 70 73 75 75
상기 표 2 및 표 3의 결과로부터,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지질은 표 1에서와 같이 이데베논 흡착용해 효율이 매우 높고, 또한 지질부의 분자량이 크고 각각의 구조적인 특성상 극성의 작용기가 모노-, 디-, 트리-에스테르의 구조적 특성과 함께 친유성 지질의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높은 특성을 갖고 있어, 구형의 비드 형성이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드 제조 효율은 70% ∼ 75%의 우수한 수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제조 및 평가
(1)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제조
실시예 2-1, 2-2, 2-3, 2-6, 2-7, 2-8, 및 2-10의 지질 비드를 사용하여, 표 4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제조하였다. 표 4의 함량은 각 성분의 중량(g)을 나타낸다. 정제수에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카보머를 50℃에서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트로메타민을 투입하여 무색의 투명한 점액상의 수상부를 제조한 다음, 20℃ 이하로 냉각하였다. 이데베논을 99% 에탄올에 용해시켜 얻어진 이데베논부를 상기 점액상의 수상부에 서서히 교반하면서 투입하여,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지질 비드를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에 투입한 후 패들 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실온에서 5일 동안 보관하여 지질 비드에 이데베논을 충분히 흡착용해시킨 후, 약 5 ℃의 냉장실에서 약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고체 형태의 구형 지질 비드를 형성시킨 다음, 약전체를 이용하여 걸러 내어 정제수에 담아 냉장 보관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g)
3-1 3-2 3-3 3-4 3-5 3-6 3-7
수상부 정제수 97.45 97.45 97.45 97.45 97.45 97.45 97.45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0.1 0.1 0.1 0.1 0.1 0.1 0.1
카보머 0.2 0.2 0.2 0.2 0.2 0.2 0.2
트로메타민 0.2 0.2 0.2 0.2 0.2 0.2 0.2
이데베논부 에탄올(99%) 1.0 1.0 1.0 1.0 1.0 1.0 1.0
이데베논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지질 비드부 지질 비드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10
0.95 0.95 0.95 0.95 0.95 0.95 0.95
(2)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평가
지질 비드에 이데베논을 흡착용해시키기 전의 지질 비드(즉, 실시예 2-1, 2-2, 2-3, 2-6, 2-7, 2-8, 및 2-10의 지질 비드)의 성상은 도 2a와 같으며, 실시예 3-1, 3-2, 3-3, 3-4, 3-5, 3-6, 및 3-7에 있어서, 이데베논이 지질비드에 흡착용해된, 점액 수용액상에서의 지질 비드의 성상은 도 2b와 같다. 또한, 실시예 3-1, 3-2, 3-3, 3-4, 3-5, 3-6, 및 3-7에서 얻어진, 이데베논을 흡착용해 완료 후 걸러낸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성상은 도 2c와 같다.
지질 비드에 흡착용해된 이데베논의 흡착용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5 g)에 메탄올(20 g)을 가하여 이데베논을 추출한 다음, 하기 조건하에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 조건>
- 컬럼: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 컬럼(ODS,4.6mm×15cm, 5㎛(C18))
- 파장: 278 nm
- 컬럼: 옥타데실실릴화한 실리카겔 컬럼(ODS,4.6mm×15cm, 5㎛(C18))
- 이동상: 메탄올 (HPLC 등급)
- 파장: 480 nm
- 유속: 1.0 ml/min
- 주입량: 25 ㎕
상기와 같이 지질 비드에 흡착용해된 이데베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지질 비드 중의 이데베논 함량(%) 이데베논 5% 대비 함량(%)
실시예 3-1 4.82 96.4
실시예 3-2 4.59 91.8
실시예 3-3 4.86 97.2
실시예 3-4 4.83 96.6
실시예 3-5 4.91 98.2
실시예 3-6 4.88 97.6
실시예 3-7 4.72 94.4
표 5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들은 90% 이상의 이데베논 흡착용해율(함유율)을 나타내었다. 이 중, 이데베논의 지질 비드의 흡착용해 효율성은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의 함량이 클수록 높았으며, 또한 실온에서 지질 비드의 제조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고려할 때, 비드의 녹는점이 40℃ ∼ 4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다양한 농도의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제조
표 6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이데베논의 함량을 변화시켜, 실시예 3-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데베논을 각각 1 중량%, 3 중량%, 및 10 중량%의 농도로 함유하는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제조하였다. 표 6의 함량은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 100 g 당 각 성분의 중량(g)을 나타낸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이데베논
1 중량% 함유
이데베논
3 중량% 함유
이데베논
10 중량% 함유
수상부 정제수 97.49 97.47 97.40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0.1 0.1 0.1
카보머 0.2 0.2 0.2
트로메타민 0.2 0.2 0.2
이데베논부 에탄올(99%) 1.0 1.0 1.0
이데베논 0.01 0.03 0.1
지질 비드부 지질 비드
(실시예 2-3)
0.99 0.97 0.90
상기와 같이 지질 비드에 이데베논을 흡착용해시키기 전의 지질 비드의 성상 및 지질 비드에 이데베논을 흡착용해시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성상은 도 3와 같다. 도 3 중 이데베논을 5 중량% 함유하는 지질 비드의 성상은 실시예 3-3에서 제조한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의 성상이다. 도 3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질 비드는 다양한 농도의 이데베논을 함유할 수 있으므로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비드 기제; 및 지질을 포함하는 지질 비드로서,
    상기 지질이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상기 지질에 흡착용해된 지질 비드.
  2. 제1항에 있어서, 0.5 ∼ 2.0 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비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이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비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 기제가 세틸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왁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식물성 오일,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코코-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비드.
  5. 제1항에 있어서,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드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 비드.
  6. (a) 비드 기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트리아세틴,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 팔미테이트, 및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지질의 혼합물을 60℃ ∼ 70℃로 가온하여 균일한 용액을 얻는 단계;
    (b)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포타슘 알지네이트, 소듐 알지네이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쿼터늄-10, 데하이드로잔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60℃ ∼ 70℃로 가온하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단계(a)에서 얻어진 용액을 단계(b)에서 얻어진 수용액에 분산시켜 지질 비드를 형성시키고,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고형의 지질 비드를 얻는 단계;
    (d) 수용성 중합체를 물에 가온 용해하고, pH를 6∼7로 조절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500 ∼ 5000 cps의 점도를 갖는 점성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e) 단계(d)에서 얻어진 점성의 수용액을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을 가하여,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단계(c)에서 얻어진 고형의 지질 비드를 단계(e)에서 얻어진 이데베논-함유 분산액에 분산시키고, 실온에서 보관한 후, 냉장 보관 및 여과하여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질 비드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단계(a)의 혼합물이 옥틸도데칸올, 스쿠알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비드 경도 조절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계(c) 또는 단계(d)의 여과가 0.5 ∼ 2.0 mm의 직경을 갖는 고형의 지질 비드 또는 이데베논-함유 지질 비드를 얻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단계(f)의 실온에서의 보관이 12시간 ∼ 1주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질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86174A 2020-07-13 2020-07-13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74A KR102462350B1 (ko) 2020-07-13 2020-07-13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74A KR102462350B1 (ko) 2020-07-13 2020-07-13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68A true KR20220008068A (ko) 2022-01-20
KR102462350B1 KR102462350B1 (ko) 2022-11-03

Family

ID=8005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74A KR102462350B1 (ko) 2020-07-13 2020-07-13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350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084A (ko) 2004-07-01 2006-01-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060047328A (ko) 2004-04-23 2006-05-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부유 게이트 및 제어 게이트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mos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반도체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KR20070065509A (ko) 2005-12-20 2007-06-25 삼성코닝 주식회사 고정도 연마용 산화세륨의 제조방법
KR20070074223A (ko) * 2006-01-09 2007-07-12 한국콜마 주식회사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0810164B1 (ko) * 2006-05-26 2008-03-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40102875A (ko) 2013-02-15 2014-08-25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KR20170003163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무계면활성제 시스템의 고형 지질 미립자를 포함하는 분산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376A (ko) 2016-09-30 2019-06-05 유니 참 코포레이션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20190065103A (ko) 2017-12-01 2019-06-11 이수천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857A (ko) 2018-01-19 2019-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가용화 타입의 이데베논 안정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535A (ko) 2018-04-26 2019-11-05 한국콜마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9393A (ko) *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휴메딕스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328A (ko) 2004-04-23 2006-05-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부유 게이트 및 제어 게이트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mos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반도체기억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
KR20060002084A (ko) 2004-07-01 2006-01-0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흡입구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070065509A (ko) 2005-12-20 2007-06-25 삼성코닝 주식회사 고정도 연마용 산화세륨의 제조방법
KR20070074223A (ko) * 2006-01-09 2007-07-12 한국콜마 주식회사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0810164B1 (ko) * 2006-05-26 2008-03-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40102875A (ko) 2013-02-15 2014-08-25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KR20170003163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무계면활성제 시스템의 고형 지질 미립자를 포함하는 분산액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2376A (ko) 2016-09-30 2019-06-05 유니 참 코포레이션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KR20190065103A (ko) 2017-12-01 2019-06-11 이수천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857A (ko) 2018-01-19 2019-07-29 한국콜마주식회사 가용화 타입의 이데베논 안정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4535A (ko) 2018-04-26 2019-11-05 한국콜마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9393A (ko) * 2018-12-24 2020-07-03 주식회사 휴메딕스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G Weyer et al., A controlled study of 2 doses of idebenon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Nuropsychobiology, 1997;36(2):73-82
2. Y Ikejiri et al., Idenbenone improves cerebral mitochondrial oxidative metabolism in a patient with MELAs, Neurology, 1996 Aug;47(2):583-585
3. Y Ihara et al., Oral administration of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MELAs), pathological study and successful therapy with coenzym Q10 and idebenone, Journal of Neuroscience, 1989 May;90(3):263-271
Idebenone-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for drug delivery to the skin: In vitro eval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ol. 434, pp. 169-174, 20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350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1087A1 (en) Nanoemulsion
EP2471539B1 (en) Transdermal composition of phosphatidylchol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521868B1 (ko)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JP2011079820A (ja)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KR101503301B1 (ko) 레티닐팔미테이트 안정화 조성물
KR101671727B1 (ko)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09256524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ic acid
KR102462350B1 (ko)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5125122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JP2005336095A (ja) 外用組成物
JP5233149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KR20230147668A (ko) 방사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5338030B2 (ja) アダパレン含有外用剤組成物
CN112190576A (zh)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737391B1 (ko)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EP4327824A1 (en) A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chlorine e6 and zinc l-pyroglutamate
KR20220156438A (ko)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2140467A1 (en)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ing skin diseases and conditions with such compositions
WO2021260712A1 (en) A liposomal composition of pterocarpus santalinus and the process thereof
KR20230058855A (ko) 이데베논 경피 흡수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질 비드
KR20220166067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40001117A (ko) 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수성 겔 조성물
EP4188311A1 (en) Improved formulations of lipophilic subtances for cosmetic uses
JP2018529723A (ja) イベルメクチンを含むすすぎのいらないケミカルフォーム
Sin et al. DEVELOPMENT AND IN-VITRO EVALUATION OF CATECHIN LOADED ETHOSOMAL GEL FOR TOPICAL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