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376A -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 Google Patents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2376A KR20190062376A KR1020197002864A KR20197002864A KR20190062376A KR 20190062376 A KR20190062376 A KR 20190062376A KR 1020197002864 A KR1020197002864 A KR 1020197002864A KR 20197002864 A KR20197002864 A KR 20197002864A KR 20190062376 A KR20190062376 A KR 201900623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cle
- package
- region
- layer
- wor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 for exampl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9
- SESFRYSPDFLNCH-UHFFFAOYSA-N benz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C=CC=C1 SESFRYSPDFLN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WVDDGKGOMKODPV-UHFFFAOYSA-N Benz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1=CC=CC=C1 WVDDGKGOMKOD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YKPUWZUDDOIDPM-SOFGYWHQSA-N 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YKPUWZUDDOIDPM-SOFGYWHQ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60002903 benz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SWPMRLSEDHDFF-UHFFFAOYSA-N methyl salicyl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O OSWPMRLSEDHD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04 per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description 2
- VSKJLJHPAFKHBX-UHFFFAOYSA-N 2-methylbuta-1,3-di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1=CC=CC=C1.C=CC1=CC=CC=C1 VSKJLJHPAFKH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OCVACNWDMSLBM-UHFFFAOYSA-N 4-(Ethoxymethyl)-2-methoxyphenol Chemical compound CCOCC1=CC=C(O)C(OC)=C1 KOCVACNWDMSL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RALSGWEFCBTJO-UHFFFAOYSA-N Guanidine Chemical compound NC(N)=N ZRALSGWEFCBT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KDLSISGGARWFP-UHFFFAOYSA-N Homodihydro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C1O AKDLSISGGARW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45 benz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KVYGGMBOZFWZBQ-UHFFFAOYSA-N benzyl nicotinate Chemical compound C=1C=CN=CC=1C(=O)OCC1=CC=CC=C1 KVYGGMBOZFWZ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ACXGONDLDSNOE-UHFFFAOYSA-N buta-1,3-di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C=CC1=CC=CC=C1 FACXGONDLDSN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663 capsa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504 capsai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LDDIKRKFXEWBK-AWEZNQCLSA-N gingerol Chemical compound CCCCC[C@H](O)CC(=O)CCC1=CC=C(O)C(OC)=C1 NLDDIKRKFXEWBK-AWEZNQCLSA-N 0.000 description 2
- JZLXEKNVCWMYHI-UHFFFAOYSA-N gingerol Natural products CCCCC(O)CC(=O)CCC1=CC=C(O)C(OC)=C1 JZLXEKNVCWMY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80 ging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047 methyl salicylat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35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OEGPRYNGFWGMMV-UHFFFAOYSA-N (3,4-dimethoxyphenyl)methanol Chemical class COC1=CC=C(CO)C=C1OC OEGPRYNGFWGM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IRVAXUEZSDNC-TXDLOWMYSA-N (3R,3'S,5'R)-3,3'-dihydroxy-beta-kappa-caroten-6'-one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O)[C@]1(C)C[C@@H](O)CC1(C)C VYIRVAXUEZSDNC-TXDLOWMYSA-N 0.000 description 1
- DSSYKIVIOFKYAU-XCBNKYQSSA-N (R)-camphor Chemical compound C1C[C@@]2(C)C(=O)C[C@@H]1C2(C)C DSSYKIVIOFKYAU-XCBNKYQSSA-N 0.000 description 1
- DTOUUUZOYKYHEP-UHFFFAOYSA-N 1,3-bis(2-ethylhexyl)-5-methyl-1,3-diazinan-5-am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N1CN(CC(CC)CCCC)CC(C)(N)C1 DTOUUUZOYKYH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OEDHWVTLBLWDA-UHFFFAOYSA-N 1-butylindole-2,3-dione Chemical compound C1=CC=C2N(CCCC)C(=O)C(=O)C2=C1 POEDHWVTLBLWD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PIUIOXAFBGMNB-UHFFFAOYSA-N 1-hexoxy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OCCCCCC BPIUIOXAFBGM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EPOKWHJYJXUGD-UHFFFAOYSA-N 2-(3-phenylmethoxyphenyl)-1,3-thiazole-4-carb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1=CSC(C=2C=C(OCC=3C=CC=CC=3)C=CC=2)=N1 OEPOKWHJYJXUG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FUIILQWHYHIEK-UHFFFAOYSA-N 2-Ethoxy-4-(4-methyl-1,3-dioxolan-2-yl)phenol Chemical class C1=C(O)C(OCC)=CC(C2OC(C)CO2)=C1 IFUIILQWHYHI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FGCVZIIIHRESZ-UHFFFAOYSA-N 2-Methoxy-4-(4-methyl-1,3-dioxolan-2-yl)phenol Chemical class C1=C(O)C(OC)=CC(C2OC(C)CO2)=C1 RFGCVZIIIHRE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LDFMKOUUQYFGF-UHFFFAOYSA-N 4-(butoxymethyl)-2-methoxyphenol Chemical compound CCCCOCC1=CC=C(O)C(OC)=C1 VLDFMKOUUQYF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KFRYMLGSVAPL-UHFFFAOYSA-N 4-[(4-hydroxy-3-methoxyphenyl)methoxymethyl]-2-methoxyphenol Chemical compound C1=C(O)C(OC)=CC(COCC=2C=C(OC)C(O)=CC=2)=C1 LSKFRYMLGSVA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YIRVAXUEZSDNC-LOFNIBRQSA-N Capsanthy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O)C2(C)CC(O)CC2(C)C VYIRVAXUEZSDNC-LOFNIBRQ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WJLVQTJZDCGNJN-UHFFFAOYSA-N Chlorhexid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WJLVQTJZDC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46 Cinnamomum cam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6124 Eucalyptus glob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0551 Helianthus annu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2 Helianthus annu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31 Hot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9 Mentha X vertici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99 Mentha su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36 Mentha x rotund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HJJGSNFBQVOTG-UHFFFAOYSA-N N-methyl-guanidine Natural products CNC(N)=N CHJJGSNFBQVO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610 TRPM8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150111302 Trpm8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UJNOLBSYLSYIBM-WISYIIOYSA-N [(1r,2s,5r)-5-methyl-2-propan-2-ylcyclohexyl] (2r)-2-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C(=O)[C@@H](C)O UJNOLBSYLSYIBM-WISYII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9 antimicrob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217 benzyl alcoh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4580 benzyl nicot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846 camph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8380 camphor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WRANYHFEXGNSND-LOFNIBRQSA-N capsanth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O)C2(C)CCC(O)C2(C)C WRANYHFEXGNSND-LOFNIBRQ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889 capsan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5631 capsi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33 chlorhexidine gluc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YZIYKJHYYHPJIB-UUPCJSQJSA-N chlorhexidine gluconat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OC[C@@H](O)[C@@H](O)[C@H](O)[C@@H](O)C(O)=O.C1=CC(Cl)=CC=C1NC(=N)NC(=N)NCCCCCCNC(=N)NC(=N)NC1=CC=C(Cl)C=C1 YZIYKJHYYHPJIB-UUPCJSQJ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04 chlorhexid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JQPQKLURWNAAH-UHFFFAOYSA-N dihydro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XJQPQKLURWNAA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BCYRZPENADQGZ-UHFFFAOYSA-N dihydrocapsaicin Natural products COC1=CC(COC(=O)CCCCCCC(C)C)=CC=C1O RBCYRZPENADQ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WSQBOPZIKWTGO-UHFFFAOYSA-N dimethylaminoamidine Natural products CN(C)C(N)=N SWSQBOPZIKWT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2508 ging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49 ginge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867 hexetid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MLJGZARGNROKAC-VQHVLOKHSA-N homocapsaic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O)NCC1=CC=C(O)C(OC)=C1 MLJGZARGNROKAC-VQHVLOKHSA-N 0.000 description 1
- JKIHLSTUOQHAFF-UHFFFAOYSA-N homocapsaicin Natural products COC1=CC(CNC(=O)CCCCCC=CC(C)C)=CC=C1O JKIHLSTUOQHA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ZNZUOZRIWOBGG-UHFFFAOYSA-N homocapsaicin-II Natural products COC1=CC(CNC(=O)CCCCC=CCC(C)C)=CC=C1O JZNZUOZRIWOB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OBFKCLUUUDTQE-UHFFFAOYSA-N homodihydrocapsaicin-II Natural products CCC(C)CCCCCCC(=O)NCC1=CC=C(O)C(OC)=C1 GOBFKCLUUUDTQ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5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58 paprika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88 paprika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95 poly(sodium 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2 polyvinyl alcoh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QUVCSBJEUQKSH-UHFFFAOYSA-N protochatechuic acid Natural products OC(=O)C1=CC=C(O)C(O)=C1 YQUVCSBJEUQK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42 quaternary ammon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NMHYFLPFNGQFZ-UHFFFAOYSA-M sodium polyacrylate Chemical compound [Na+].[O-]C(=O)C=C NNMHYFLPFNGQFZ-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WKOLLVMJNQIZCI-UHFFFAOYSA-N vanillic acid Chemical compound COC1=CC(C(O)=O)=CC=C1O WKOLLVMJNQIZC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UUBOHWZSQXCSW-UHFFFAOYSA-N vanillic acid Natural products COC1=CC(O)=CC(C(O)=O)=C1 TUUBOHWZSQXCS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ENOXNGFMSCLLL-UHFFFAOYSA-N vanillyl alcohol Natural products COC1=CC(CO)=CC=C1O ZENOXNGFMSCL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8465 vanillyl butyl ethe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착용 물품의 취출성이 뛰어난, 기밀성을 갖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1)로서, 착용 물품(3)이, 개별 포장체(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27) 및 다른쪽의 면(29)을 갖고, 포장체(9)가 한쪽의 면(27)을 덮는 제 1 층(11)과, 다른쪽의 면(29)을 덮는 제 2 층(13)과, 제 1 층(11) 및 제 2 층(13)의 주연부(15) 중 적어도 일부를 시일하고 있는 시일부(17)와, 주연부(15)에 배치된 개봉부(19)를 구비하며, 개별 포장체(1)가 개봉면(S)에 의해 제 1 영역(55) 및 제 2 영역(57)으로 구획되고, 착용 물품(3)이 제 1 영역(55) 및 제 2 영역(57)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부(25)가 제 1 영역(55)에 있어서 착용 물품(3)을 포장체(9)에 고정하고 있고, 착용 물품(3)의 개봉면(S)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포장체(9)의 개봉부(19)로부터의 개봉 방향(D1)으로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이다.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1)로서, 착용 물품(3)이, 개별 포장체(1)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27) 및 다른쪽의 면(29)을 갖고, 포장체(9)가 한쪽의 면(27)을 덮는 제 1 층(11)과, 다른쪽의 면(29)을 덮는 제 2 층(13)과, 제 1 층(11) 및 제 2 층(13)의 주연부(15) 중 적어도 일부를 시일하고 있는 시일부(17)와, 주연부(15)에 배치된 개봉부(19)를 구비하며, 개별 포장체(1)가 개봉면(S)에 의해 제 1 영역(55) 및 제 2 영역(57)으로 구획되고, 착용 물품(3)이 제 1 영역(55) 및 제 2 영역(57)에 걸쳐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부(25)가 제 1 영역(55)에 있어서 착용 물품(3)을 포장체(9)에 고정하고 있고, 착용 물품(3)의 개봉면(S)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포장체(9)의 개봉부(19)로부터의 개봉 방향(D1)으로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이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종이 기저귀 등의 착용 물품을, 1개씩 포장 시트로 포장함으로써 개별 포장화된,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가 알려져 있다.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화함으로써, 착용 물품을 1개씩, 간이하고 또한 위생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또, 상기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포장 시트에 기밀성을 갖게 함으로써, 착용 물품에 휘발성 물질을 포함시키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음순간 장치, 탐폰, 또는 실금용구인 부인 위생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물품이, 포장 재료로 제조된 증기 불투과성의 포장 안에 포장되어 있고, 상기 포장이 상기 물품을 완전히 싸넣어 상기 물품이 외부 환경에 접촉하는 것을 막으며, 상기 물품이 20℃에서 적어도 0.01mbar의 증기압을 갖는 비수성 휘발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재료가, 멘틸락테이트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투과성 시험에 따라, 25% 이하의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인 위생용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포장 시트가, 중간층으로서, 휘발성 물질의 투과성이 낮은 배리어층을 포함함으로써, 개별 포장체가 홀딩하는 휘발성 물질의 휘발을 억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포장 재료(5)의 플랩 부분(4)이, 크림프 시일 등에 의해 길이 방향 가장자리부를 따라 밀봉(密封)될 수 있기는 하지만, 포장 재료(5)의 종연부(終緣部)(1)는, 접착제의 선(9)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는, 기밀성이 불충분하다.
기밀성이 뛰어난 개별 포장체로는, 예를 들면, 2장의 기밀성을 갖는 포장 시트로, 착용 물품을 사이에 끼우는 동시에, 2장의 기밀성을 갖는 포장 시트의 주연부를 시일한 주연부 시일형의 개별 포장체가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주연부 시일형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주연부에, 개봉을 보조하기 위한 절결(切欠) 등의 개봉부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와 같은 개별 포장체에서는, 절결 등의 개봉부로부터 포장체를 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때에, 포장체를 크게 구성하고 또한 착용 물품이 개봉면과 교차하지 않도록, 착용 물품을 포장체에 격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착용 물품의 파단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기밀성이 뛰어난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그 두께가 얇은 경우가 많아, 개별 포장체를 개봉 후, 개별 포장체로부터 착용 물품을 꺼내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주연부 시일형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의 취출성(取出性)이 뒤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착용 물품의 취출성이 뛰어난, 기밀성을 갖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착용 물품과, 상기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하고 또한 기밀성을 갖는 포장체와, 고정부를 구비하고, 두께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개봉 방향 및 취출 방향을 갖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을 가지며, 상기 포장체가 상기 한쪽의 면을 덮는 제 1 층과, 상기 다른쪽의 면을 덮는 제 2 층과, 제 1 층 및 제 2 층의 주연부 중 적어도 일부를 시일하고 있는 시일부와, 상기 주연부에 배치된 개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별 포장체가, 상기 개봉부를 지나고 또한 상기 개봉 방향 및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한 개봉면에 의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착용 물품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을 상기 포장체에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개봉면에 있어서의 강연도(剛軟度)가, 상기 포장체의 상기 개봉부로부터의 상기 개봉 방향으로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발견했다.
본 개시의 기밀성을 갖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의 취출성이 뛰어나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개별 포장체(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개별 포장체(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착용 물품(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착용 물품(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개별 포장체(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착용 물품(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착용 물품(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인열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착용 물품과, 상기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하고 또한 기밀성을 갖는 포장체와, 고정부를 구비하고, 두께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개봉 방향 및 취출 방향을 갖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을 가지며,
상기 포장체가 상기 한쪽의 면을 덮는 제 1 층과, 상기 다른쪽의 면을 덮는 제 2 층과, 제 1 층 및 제 2 층의 주연부 중 적어도 일부를 시일하고 있는 시일부와, 상기 주연부에 배치된 개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별 포장체가, 상기 개봉부를 지나고 또한 상기 개봉 방향 및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한 개봉면에 의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착용 물품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을 상기 포장체에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개봉면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상기 포장체의 상기 개봉부로부터의 상기 개봉 방향으로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이 제 1 영역, 개봉면 및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착용 물품의 소정의 강연도가 포장체의 소정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으므로,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할 때에, 착용 물품을 파단 등 시키지 않고, 그리고 포장체를 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있다. 또, 착용자는,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의 제 2 영역을 파지(把持)하여,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별 포장체는, 착용 물품의 취출성이 뛰어나다.
[양태 2]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개봉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봉 방향의 인열 강도가, 상기 포장체의 상기 인열 강도보다도 높은, 양태 1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의 소정의 인열 강도가 포장체의 소정의 인열 강도보다도 높으므로,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할 때에 착용 물품을 파단 등 시키기 어렵다.
[양태 3]
상기 착용 물품이, 착용 물품 본체와,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있는 박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시트가 상기 한쪽의 면을 구성하는 제 1 박리 시트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1 박리 시트를 상기 포장체의 제 1 층에 고정하고 있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1 박리 시트를 포장체의 제 1 층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포장체를 개봉 후, 착용자가 노출된 착용 물품의 제 2 영역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을 취출 방향을 따라 포장체로부터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가 포장체의 제 1 영역에 잔존하기 쉬워지므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를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낸 착용 물품 본체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태 4]
상기 개별 포장체가 상기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단연(端緣)인 제 1 영역 단연과,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단연인 제 2 영역 단연을 갖고, 상기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본체 단연이, 제 1 박리 시트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제 1 박리 시트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운, 양태 3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 본체 단연이 제 1 박리 시트의 제 1 박리 시트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깝기 때문에,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제 1 박리 시트를 파지하지 않고 착용 물품 본체를 직접 파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낸 착용 물품 본체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태 5]
제 1 박리 시트 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양태 4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제 1 박리 시트 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므로,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제 1 박리 시트를 파지하지 않고 착용 물품 본체를 보다 확실히 직접 파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낸 착용 물품 본체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태 6]
상기 점착부가 제 1 박리 시트와 접하는 제 1 점착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보다도 상기 개봉면에 가깝고 또한 제 1 점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는, 양태 4 또는 5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제 1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는 고정부와 제 1 점착부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가 착용 물품 본체의 제 1 점착부로부터 어긋나기 쉬우므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낸 착용 물품 본체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태 7]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취출 방향으로 1회 또는 복수회 접혀 있는, 양태 4∼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이 취출 방향으로 1회 또는 복수회 접혀 있으므로, 착용 물품의 사이즈가 그 전개 상태와 비교하여 작아져,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의 제 2 영역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꺼낼 때에,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개별 포장체 그 자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양태 8]
상기 착용 물품이 1개의 접힘 축을 따라 상기 취출 방향으로 1회 접혀 있고,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접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층쪽의 착용 물품 제 1 층과 제 2 층쪽의 착용 물품 제 2 층으로 구획되는, 양태 4∼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이 1개의 접힘 축을 따라 1회 접혀 있으므로, 착용 물품의 사이즈 그 자체가 그 전개 상태와 비교하여 작아지고,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의 제 2 영역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꺼낼 때에,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개별 포장체 그 자체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양태 9]
상기 접힘 축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며, 착용 물품 제 1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이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그리고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이, 착용 물품 제 2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운, 양태 8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이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동시에,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우므로,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착용 물품 제 1 층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양태 10]
상기 접힘 축의 되접힘부가 제 1 영역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착용 물품 제 2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과의 양(兩)단연이,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동시에, 상기 양단연의 제 2 영역 단연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양태 8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과의 양단연이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동시에, 양단연의 제 2 영역 단연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므로,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착용 물품 제 1 층 및 착용 물품 제 2 층의 양층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양태 11]
상기 접힘 축이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착용 물품 제 2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과의 양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양태 8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접힘 축이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과의 양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므로,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착용 물품 본체의 접힘 축 부근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양태 12]
상기 개별 포장체가 제 2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박리 시트가, 상기 다른쪽의 면을 구성하는 제 2 박리 시트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점착부가, 제 2 박리 시트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제 2 점착부를 추가로 갖고, 제 2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2 박리 시트를 상기 포장체의 제 2 층에 고정하고 있으며, 제 2 고정부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제 2 고정부가 상기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2 점착부보다도 상기 개봉면에 가깝고 또한 제 2 점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는, 양태 10 또는 11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제 1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는 고정부와 제 1 점착부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고, 그리고 제 2 박리 시트에 접하고 있는 제 2 고정부와 제 2 점착부가 소정의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 구체적으로는, 착용 물품 제 1 층 및 착용 물품 제 2 층의 양층, 또는 접힘 축 부근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 및 제 2 박리 시트, 나아가서는 박리 시트 그 자체가 착용 물품 본체로부터 어긋나기 쉬우므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내어진 착용 물품 본체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양태 13]
상기 개봉부가 절결부(切欠部)인, 양태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개봉부가 절결부이므로,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개봉면을 따라 개봉하기 쉽다.
[양태 14]
상기 개봉부가, 상기 개봉 방향의 양측부에 배치된 한 쌍의 개봉부이며, 상기 개봉 방향이 상기 한 쌍의 개봉부를 지나는 가상선과 평행인, 양태 1∼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별 포장체.
상기 개별 포장체에서는, 개봉부가 개봉 방향의 양측부에 배치된 한 쌍의 개봉부이므로, 착용자가 개봉 방향을 파악하기 쉬워져, 착용자에게 의도한 방향으로 개봉하게끔 하기 쉬워진다. 또, 착용자가 자기의 주로 쓰는 팔, 손의 움직이기 쉬움 등에 따라, 개봉면을 따른 임의의 개봉을 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에 대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를 단순히 「개별 포장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1∼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하나(이하, 「제 1 실시 형태」라고 칭한다)에 따르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에 있어서의 개별 포장체(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착용 물품(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착용 물품(3)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개별 포장체(1)는, 착용 물품(3)과, 포장체(9)와, 고정부(25)를 구비한다. 개별 포장체(1)는, 두께 방향(T)과, 두께 방향(T)과 직교하는 개봉 방향(D1) 및 취출 방향(D2)을 갖고, 그리고 개봉 방향(D1)과 취출 방향(D2)은 직교하고 있다. 즉, 두께 방향(T)과 개봉 방향(D1)과 취출 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착용 물품(3)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27) 및 다른쪽의 면(29)을 갖는다. 착용 물품(3)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피부 맞닿음면(35)을 갖는 피부 맞닿음 시트(33), 중간층(37) 및 착의(着衣) 맞닿음면(41)을 갖는 착의 맞닿음 시트(39)를 포함하는 착용 물품 본체(31)와, 착용 물품 본체(31)를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43)와, 점착부(43)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있는 박리 시트(49)를 그 순서로 구비한다. 착용 물품(3)은 온감(溫感) 시트이며, 피부 맞닿음 시트(33)에 온감제와 물을 포함하는 온감 조성물(도시하지 않음)이 도공(塗工)되어 있다.
착용 물품(3)은, 피부 맞닿음 시트(33)의 피부 맞닿음면(35)을 내측으로 하고, 접힘 축(F)을 기점으로 하여 1회 접혀 있다. 따라서, 착용 물품(3)의 한쪽의 면(27) 및 다른쪽의 면(29)의 양쪽을, 박리 시트(49)가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착용 물품(3)의 한쪽의 면(27)은, 후술하는 박리 시트(49)의 제 1 박리 시트(51)가 구성하고, 착용 물품(3)의 다른쪽의 면(29)은, 후술하는 박리 시트(49)의 제 2 박리 시트(53)가 구성하고 있다.
착용 물품(3)은, 착용 물품(3)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즉, 접힘 축(F)을 기점으로 하여 접혀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이, 각각 개별 포장체(1)의 취출 방향(D2) 및 개봉 방향(D1)과 일치하도록 포장체(9)에 격납되어 있다. 또, 착용 물품(3)은, 접힘 축(F)이 후술하는 제 1 영역(55)에 존재하도록 포장체(9)에 격납되어 있다.
착용 물품(3)은, 접힘 축(F)을 기준으로 하여, 포장체 제 1 층(11)쪽의 착용 물품 제 1 층(5)과, 포장체 제 2 층(13)쪽의 착용 물품 제 2 층(7)으로 구획된다. 또, 박리 시트(49)는, 접힘 축(F)을 기준으로 하여, 포장체 제 1 층(11)측의 제 1 박리 시트(51)와, 포장체 제 2 층(13)측의 제 2 박리 시트(53)로 구획된다. 또한, 제 1 박리 시트(51)와 제 2 박리 시트(53)는, 연속한 1장의 시트(박리 시트(49))이다. 또한, 점착부(43)는, 접힘 축(F)을 기준으로 하여, 포장체 제 1 층(11)측의 제 1 점착부(45)와, 포장체 제 2 층(13)측의 제 2 점착부(47)로 구획된다. 또한, 제 1 점착부(45)와 제 2 점착부(47)는 연속하고 있다.
포장체(9)는, 기밀성을 갖고, 착용 물품(3)을 개별 포장하고 있다. 포장체(9)는, 착용 물품(3)의 한쪽의 면(27)을 덮는 포장체 제 1 층(11)과, 착용 물품(3)의 다른쪽의 면(29)을 덮는 포장체 제 2 층(13)과, 포장체 제 1 층(11) 및 포장체 제 2 층(13)의 주연부(15)의 전부(사방)를 시일하고 있는 시일부(17)와, 주연부(15)에 배치된, 한 쌍의 개봉부(19)(21, 23)를 구비하고 있다. 포장체 제 1 층(11) 및 포장체 제 2 층(13)의 각각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시일부(17)는, 포장체 제 1 층(11) 및 포장체 제 2 층(13)의 주연부를, 취출 방향(D2)의 양단부와, 개봉 방향(D1)의 양단부에 있어서 시일하고 있다.
한 쌍의 개봉부(19)의 개봉부(21) 및 개봉부(23)는, 그들의 정점(頂点)이 서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절결부이고, 그리고 시일부(17)를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포장체의 제 1 층 및 제 2 층을, 착용 물품 제 1 층 및 착용 물품 제 2 층과 구별하기 위해, 각각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개별 포장체(1)는, 개봉부(21) 및 개봉부(23)를 지나고, 그리고 개봉 방향(D1)과 두께 방향(T)에 평행한 개봉면(S)에 의해, 제 1 영역(55)과 제 2 영역(57)으로 구획된다. 또한, 개봉 방향(D1)은, 개봉부(21) 및 개봉부(23)를 지나는 가상 직선(도시하지 않음)과 평행이다.
착용 물품(3)은,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55)에서부터 제 2 영역(57)에 걸쳐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25)는, 제 1 영역(55)에 있어서, 착용 물품(3)을 포장체(9)에 고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25)는, 제 1 영역(55)에 있어서, 착용 물품(3)의 제 1 박리 시트(51)를 포장체(9)의 포장체 제 1 층(11)에 고정하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에서는, 착용 물품(3)의 개봉면(S)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포장체(9)를 개봉부(21) 또는 개봉부(23)로부터 개봉 방향(D1)으로 찢는 인열 강도보다도 낮다. 또,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에서는, 착용 물품(3)의, 개봉면(S)에 있어서의 개봉 방향(D1)의 인열 강도가, 포장체(9)의 상기 인열 강도보다도 높다. 착용 물품(3)의 강연도 또는 인열 강도와, 포장체(9)의 인열 강도와의 관계의 의의는, 도 5∼도 9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5∼도 9는,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착용 물품 본체(31))의 취출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도 9를 이용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한다.
착용자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봉면(S)(도 5∼도 9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개봉면(S)을 일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을 사이에 끼우고, 왼손으로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55)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57)을 파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을 개별 포장체(1)의 가까운 쪽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리고 왼손의 집게 손가락을 개별 포장체(1)의 안쪽의 위치에 배치하여,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55)의 개봉부(21)의 근방 부분을 파지한다. 마찬가지로,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을 개별 포장체(1)의 가까운 쪽의 위치에 배치하고, 그리고 오른손의 집게 손가락을 개별 포장체(1)의 안쪽의 위치에 배치하여,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57)의 개봉부(21)의 근방 부분을 파지한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오른손(103)을 두께 방향(T)의 안쪽측으로 움직임으로써,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57)을 두께 방향(T)의 안쪽측으로 넘어뜨려, 개봉부(21)로부터 개봉면(S)을 따라,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57)을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55)으로부터 떼어낸다. 떼어낼 때, 착용 물품(3)의 제 2 영역(57), 특히, 착용 물품(3)의 개봉면(S)과 교차하는 부분은, 두께 방향(T)의 안쪽 방향의 힘(아래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개별 포장체(1)에서는, 착용 물품(3)의 개봉면(S)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포장체(9)를 개봉부(21)로부터 개봉 방향(D1)으로 찢는 인열 강도보다도 낮으므로,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57)을 두께 방향(T)의 안쪽측으로 넘어뜨릴 때에, 착용 물품(3)이 포장체(9)와 하나가 되어 두께 방향(T)의 안쪽측으로 넘어질 수 있고, 착용 물품(3)이 착용 물품(3)에 가해지는 두께 방향의 힘을 놓칠 수 있어, 착용 물품(3)에 주름, 부분적인 신장, 파단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착용 물품(3)이 포장체(9), 구체적으로는 포장체(9)의 포장체 제 2 층(13)을 개봉면(S)을 따라 찢는 것을 저해하기 어려워지므로, 포장체(9)를 개봉면(S)을 따라 찢기 쉬워진다.
도 7은, 포장체(9)의 제 2 영역(57)을 포장체(9)의 제 1 영역(55)으로부터 개봉면(S)을 따라 완전히 떼어낸 후의 개별 포장체(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착용 물품(3)의 제 2 영역(57)이,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55)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한, 실사용상은, 착용 물품(3)을 포장체(9)로부터 꺼내기 위해 포장체(9)의 제 2 영역(57)을 포장체(9)의 제 1 영역(55)으로부터 완전히 떼어낼 필요는 없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단면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착용자는, 왼손으로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57)을 파지하고, 오른손으로 착용 물품(3), 구체적으로는 착용 물품 본체(31)의 제 2 영역(57)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31)를 취출 방향(D2)의 마주보고 오른쪽 방향으로 꺼낼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는 취출 방향(D2)에 있어서, 제 1 영역(55)에 존재하는 단연인 제 1 영역 단연(59)과, 제 2 영역(57)에 존재하는 단연인 제 2 영역 단연(61)을 갖는다. 착용 물품 본체(31)의, 제 2 영역 단연(61)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본체 단연(63)이, 제 1 박리 시트(51)의, 제 2 영역 단연(61)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제 1 박리 시트 단연(65)보다도 제 2 영역 단연(61)에 가깝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제 1 박리 시트(51)를 파지하지 않고 착용 물품 본체(31)를 직접 파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낸 착용 물품 본체(31)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 형태의 개별 포장체(1)에서는, 제 1 박리 시트 단연(65)은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55)에 존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제 1 박리 시트(51)를 파지하지 않고 착용 물품 본체(31)를 보다 확실히 직접 파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낸 착용 물품 본체(31)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착용 물품 제 1 층(5)의, 제 2 영역 단연(61)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67)이 제 2 영역(57)에 존재하고, 그리고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67)이, 착용 물품 제 2 층(7)의, 제 2 영역 단연(61)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69)보다도 제 2 영역 단연(61)에 가깝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착용 물품 제 1 층(5)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고정부(25)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 1 점착부(45)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고정부(25)가 취출 방향(D2)에 있어서, 제 1 점착부(45)보다도 개봉면(S)에 가깝고 또한 제 1 점착부(45)와 소정의 간격(I)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박리 시트(51)가, 고정부(25) 및 제 1 점착부(45)와 중복하고 있지 않은 비중복 영역(71)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51)의 비중복 영역(71)이 개봉면(S)을 향하여 휘고, 이어서, 제 1 점착부(45)를 제 1 박리 시트(51)로부터 순차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유도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1 점착부(45)가 제 1 박리 시트(51)로부터 간이하게 박리하며, 이어서 제 2 점착부(47)가 제 2 박리 시트(53)로부터 간이하게 박리하고, 나아가서는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도 5∼도 9에 나타내어지는 취출법은 일례이며,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로부터의 착용 물품(3)의 취출법, 그리고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로부터의 착용 물품의 취출법은, 상술의 취출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주로 쓰는 팔에 의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가 있고, 그리고 개별 포장체(포장체)의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을 움직이는 두께 방향(원위측 또는 근위측)이 바뀔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이하, 「제 2 실시 형태」라고 칭한다)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의 I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의 포장체(9)에서는, 포장체 제 1 층(11)과 포장체 제 2 층(13)이,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 단연(61)으로 연결되어 있고, 시일부(17)가, 포장체 제 1 층(11) 및 포장체 제 2 층(13)의 주연부(15)를, 개별 포장체(1)의 제 1 영역 단연(59)과 취출 방향(D2)의 양측 가장자리의 삼방(三方)에 있어서 시일하고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에서는, 접힘 축(F)이 제 1 영역(55)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5)의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67)과, 착용 물품 제 2 층(7)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69)과의 양단연이 제 2 영역(57)에 존재하는 동시에, 양단연의 제 2 영역 단연(61)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착용 물품 제 1 층(5) 및 착용 물품 제 2 층(7)의 양층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는, 고정부(25)와 제 2 고정부(73)를 구비한다. 고정부(25)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 1 점착부(45)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고정부(25)가 취출 방향(D2)에 있어서, 제 1 점착부(45)보다도 개봉면(S)에 가깝고 또한 제 1 점착부(45)와 소정의 간격(I)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박리 시트(51)가, 고정부(25) 및 제 1 점착부(45)와 중복하고 있지 않은 비중복 영역(71)을 갖는다. 또, 제 2 고정부(73)는, 제 1 영역(55)에 있어서, 제 2 박리 시트(53)를 포장체(9)의 포장체 제 2 층(13)에 고정하고 있고, 제 2 고정부(73)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 2 점착부(47)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제 2 고정부(73)가, 취출 방향(D2)에 있어서, 제 2 점착부(47)보다도 개봉면(S)에 가깝고 또한 제 2 점착부(47)와 소정의 간격(I2)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박리 시트(53)가, 제 2 고정부(73) 및 제 2 점착부(47)와 중복하고 있지 않은 제 2 비중복 영역(75)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3)(착용 물품 본체(31))의 제 2 영역(57), 구체적으로는, 착용 물품 제 1 층(5) 및 착용 물품 제 2 층(7)의 양층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취출 방향(D2)을 따라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51)의 비중복 영역(71)과, 제 2 박리 시트(53)의 제 2 비중복 영역(75)과의 양쪽이, 개봉면(S)을 향하여 휘고, 이어서, 제 1 점착부(45)를 제 1 박리 시트(51)로부터 순차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유도부와, 제 2 점착부(47)를 제 2 박리 시트(53)로부터 순차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유도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1 박리 시트(51) 및 제 2 박리 시트(53), 나아가서는 박리 시트(49) 그 자체가 착용 물품 본체(31)로부터 어긋나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내어진 착용 물품 본체(31)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는, 상술의 개소 이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이하, 「제 3 실시 형태」라고 칭한다)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의 II-II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제 3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에서는, 접힘 축(F)이 제 2 영역(57)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5)의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67)과, 착용 물품 제 2 층(7)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69)과의 양단연이 제 1 영역(55)에 존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착용 물품 본체(31)의 접힘 축(F) 부근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간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제 3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는, 고정부(25)와 제 2 고정부(73)를 구비한다. 고정부(25)는,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 1 점착부(45)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고정부(25)가 취출 방향(D2)에 있어서, 제 1 점착부(45)보다도 개봉면(S)에 가깝고 또한 제 1 점착부(45)와 소정의 간격(I)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박리 시트(51)가, 고정부(25) 및 제 1 점착부(45)와 중복하고 있지 않은 비중복 영역(71)을 갖는다. 또, 제 2 고정부(73)는, 제 1 영역(55)에 있어서, 제 2 박리 시트(53)를 포장체(9)의 포장체 제 2 층(13)에 고정하고 있고, 제 2 고정부(73)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제 2 점착부(47)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제 2 고정부(73)가 취출 방향(D2)에 있어서, 제 2 점착부(47)보다도 개봉면(S)에 가깝고 또한 제 2 점착부(47)와 소정의 간격(I2)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박리 시트(53)가 제 2 고정부(73) 및 제 2 점착부(47)와 중복하고 있지 않은 제 2 비중복 영역(75)을 갖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착용자가 포장체(9)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3)(착용 물품 본체(31))의 제 2 영역(57), 구체적으로는, 접힘 축(F) 부근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취출 방향(D2)을 따라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51)의 비중복 영역(71)과, 제 2 박리 시트(53)의 제 2 비중복 영역(75)과의 양쪽이 개봉면(S)을 향하여 휘고, 이어서, 제 1 점착부(45)를 제 1 박리 시트(51)로부터 순차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유도부와, 제 2 점착부(47)를 제 2 박리 시트(53)로부터 순차 박리시키기 위한 박리 유도부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 1 박리 시트(51) 및 제 2 박리 시트(53), 나아가서는 박리 시트(49) 그 자체가 착용 물품 본체(31)로부터 어긋나기 쉽다.
따라서,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31)를 포장체(9)로부터 직접 꺼낼 수 있고, 그리고 꺼내어진 착용 물품 본체(31)를 간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에는, 착용 물품이 착용되는 부위의 관점에서, 인체에 착용하여 이용되는 물품(이하, 「인체 착용 물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과, 착의에 착용하여 이용되는 물품(이하, 「착의 착용 물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포함된다.
또, 상기 착용 물품에는, 기능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인체 유래의 배설물(예를 들면, 대변, 소변, 혈액, 체액 등)을 흡수하는 물품(이하, 「흡수성 물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과, 인체에 특정 성분, 작용 등을 부여하는 물품(이하, 「특정 성분 등 부여 물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포함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1)에서는, 착용 물품(3)이 피부 맞닿음 시트(33), 중간층(37) 및 착의 맞닿음 시트(39)를 포함하는 착용 물품 본체(31)와, 점착부(43)와 박리 시트(49)를 그 순서로 구비하고 있지만,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은, 그 종류에 따른 층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으로는, 예를 들면, 생리용 패드, 팬티 라이너, 소변용 패드 등(이상, 착의 착용 물품), 구급 반창고(이상, 인체 착용 물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성 성분 등 부여 물품으로는, 착용자에게 열을 부여하는 가온 시트, 착용자에게 온감을 부여하는 온감 시트, 보습 시트(이상, 인체 착용 물품 및 착의 착용 물품), 습포, 아이 마스크(이상, 인체 착용 물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성분으로는, 방향 성분, 냉감 성분, 온감 성분, 발열 성분, 소취 성분, 항균 성분, 스킨 케어 성분,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 성분으로는, 이 기술 분야에서 향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점이 약 250℃ 이하인 고휘발성 향료, 비점이 약 250∼약 300℃인 중휘발성 향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냉감 성분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냉감재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피부의 신경에 있는 수용체 활성화 채널(TRPM8)에 작용하는 것, 예를 들면, 멘톨(예를 들면, l-멘톨) 및 그 유도체(예를 들면, 젖산 멘틸), 살리실산 메틸, 캠퍼, 식물(예를 들면, 민트, 유칼리) 유래의 정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냉감제로는, 기화열에 의해 주위의 온도를 내리는 것, 예를 들면,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및 에탄올을 들 수 있다.
상기 온감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캡시코시드, 캡사이신,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바닐아미드, 노난산 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 바닐릴에테르, 바닐릴알코올 알킬에테르 유도체(예를 들면,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에틸바닐릴알코올 알킬에테르, 베라트릴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알킬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진저론, 그리고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발열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금속 가루(예를 들면, 철분)의 산화 열, 산 및 알칼리의 중화열, 무기염의 수화열 등의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소취 성분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소취제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스킨 케어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소염 성분, 진양 성분, 피부병 방지 성분, 보습 성분 등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멘톨, 살리실산 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항균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제 4 급 암모늄염, 구아니딘계 항균제(예를 들면, 글루콘산 클로르헥시딘, 염산 클로르헥시딘), 비구아나이드계 항균제, 금속 이온 담지물(擔持物), 헥세티딘, 메트로니다졸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착용 물품이, 착의 맞닿음면을 갖는 착용 물품 본체와, 착의 맞닿음면에 배치된 점착부와, 점착부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있는 박리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부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박리 시트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은, 접히지 않고 포장체로 포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은 접혀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착용 물품은, 제 1 실시 형태∼제 3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1회 접혀 있어도 되고, 그리고 2회 이상 접혀 있어도 된다. 착용 물품이 접혀 있는 경우에는, 착용 물품은, 취출 방향으로 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 물품은, 취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축을 따라 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취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 축을 따라 접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 물품의 포장체로부터의 꺼내기 쉬움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의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의 한쪽의 면을 덮는 포장체 제 1 층과, 착용 물품의 다른쪽의 면을 덮는 포장체 제 2 층은, 제 1 실시 형태 및 제 3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별체의 2장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리고 제 2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접힌 단일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의 각각이, 복수장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이 별체의 2장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시일부는, 그들의 주연부의 전체를 시일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이, 접어 개킨 단일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시일부는,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의 주연부의, 접힌 부분을 제외한 전체를 시일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이다.
상기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시트의 소재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포장 시트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용되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개별 포장체의 기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기밀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당해 기밀층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예를 들면, 염화비닐리덴 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 예를 들면, 나일론6, 알루미늄박, 기재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상에 알루미나, 실리카 등이 증착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포장체는, 개봉 방향의 인열 강도가 취출 방향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 방향을 따라 개봉하는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상기 시일부로는,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을 접착제를 사이에 끼움으로써 접착한 접착부, 포장체 제 1 층 및 포장체 제 2 층을 구성하는 포장 시트를 가열하고, 그들의 적어도 일부를 융착시킨 융착부 등을 들 수 있다. 포장체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상기 시일부는 융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상기 개봉부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포장체를 개봉하기 위한 개봉부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시일부에 설치된 선상의 절입부(切入部), 절결부(예를 들면, 대략 삼각형상, 대략 직사각형상 등), 다른 시일부보다도 파단 강도를 낮게 한 취약부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상기 개봉부는, 개봉 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개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개봉 방향은, 착용 물품을 포장체로부터 꺼내는 방향뿐만 아니라, 그 반대의 방향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개봉 방향은, 개별 포장체의 구조로부터 분명하며, 일반적으로는, 취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취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 상기 개봉 방향은, 개봉부가, 상술의 한 쌍의 개봉부인 경우에는, 한 쌍의 개봉부를 지나는 가상 직선과 평행인 것이 일반적이고, 그리고 개봉부가 단일한 것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개봉부가 선상의 절입부일 때에는, 선상의 절입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이고, 그리고 개봉부가 대략 삼각형상(포장체의 단연을 저변(底邊)으로 하고, 포장체의 내부에 정점을 갖는다)의 절결부일 때에는, 대략 삼각형상의 높이 방향과 평행인 것이 일반적이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포장체는, 그 주연부에 형성된 시일부 이외의 비시일부에 있어서(특히, 개봉부로부터 개봉 방향을 따라, 즉, 개봉면에 있어서), 포장체의 개봉을 보조하기 위한 취약부(脆弱部)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포장체의 사용 전, 예를 들면, 수송 중, 보관 중 등에 개별 포장체에 힘이 가해진 경우에, 포장체가 상기 취약부로부터 파단되어, 포장체의 기밀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고정부와, 소망에 의한 제 2 고정부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착용 물품을 포장체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등의 고무계를 주체로 한,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를 주체로 한 감압형(pressure-sensitive) 접착제 또는 감열형(heat-sensitive) 접착제; 수용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water-swelling)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등)로 이루어지는 감수성(water-sensitive)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의 개봉면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포장체의, 개봉부로부터의 개봉 방향으로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고, 그리고 상기 인열 강도보다도 바람직하게는 1/2 이하(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이하(33.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하(25% 이하)이며,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이하(25% 이하)이며, 그리고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10% 이하)이다.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포장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개별 포장체의 두께 방향으로 그들의 거리를 확대하면서 떼어내지게 되지만, 착용 물품이 상술의 강연도를 가짐으로써, 포장체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지므로, 포장체의 개봉 시에, 착용 물품에 신장, 주름 등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강연도가 상술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착용 물품이 둘로 접음, 셋으로 접음, 넷으로 접음 등인 경우에, 착용 물품이 포장체의 내부에서 2층 구조 부분, 3층 구조 부분, 4층 구조 부분 등이 개봉면과 중복하도록 움직여 버린 경우라도,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할 때에, 포장체를 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있다.
또한, 포장체의, 개봉부로부터의 개봉 방향으로의 인열 강도를, 이하, 「포장체 인열 강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착용 물품의 강연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되고, 기재되어 있지 않은 사항은, JIS L 1913:2010 「일반 부직포 시험 방법」의 「6.7.4 걸리법(Gurley method)」에 따른다.
(1) 항온항습실(온도: 25±5℃, 상대습도: 65±5%)에, 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사 제조의 No.311 걸리식 유연도 시험기를 준비한다.
(2) 상기 항온항습실에, 측정해야 하는 개별 포장체를, 개봉하지 않고 24시간 정치(靜置)한다.
(3) 포장체의 시일부를 제거하고, 착용 물품을 꺼내어, 착용 물품의 개봉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매직 등으로 표시를 붙여, 표시한 부분이 길이 방향의 중심 부근에 오도록, 길이(L) = 15mm 및 폭(d) = 10mm의 샘플을 잘라낸다. 또한, 샘플은, 착용 물품이 포장체에 포장되어 있었던 상태로 채취한다. 즉, 착용 물품이 접어 개켜져 포장체에 포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샘플은, 접힌 상태의 착용 물품으로부터 채취한다.
(4) 샘플을, 제 1 영역이 척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 2 영역이 진자(振子) B측에 배치되도록, 척에 세트한다.
(5) 가동 아암을 정속 회전시키며, 샘플이 진자 B로부터 떨어질 때의 눈금(RG1)을 읽는다(1번째). 이어서, 샘플의 표리를 반대로 하여, 샘플을 걸리식 유연도 시험기에 세트하고, 샘플이 진자 B로부터 떨어질 때의 눈금(RG2)을 읽는다(2번째).
(6) 이하의 식에서, 강연도(mN)를 계산한다.
강연도(mN)
[수학식 1]
(7) 다른 샘플로, 상술의 측정을 총 5회 반복하여, 상기 강연도의 평균치를 채용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포장체 인열 강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1) 항온항습실(온도: 25±5℃, 상대습도: 65±5%)에, 인스트론사 제조 형식 5564 시험기와, 측정해야 하는 개별 포장체를, 개봉하지 않고 24시간 정치한다.
(2) 도 12(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 단연(61) 부근에 절입(切入)(도시하지 않음)을 내, 착용 물품(도시하지 않음)을 살포시 꺼내어, 포장체(9)로부터 샘플(105)을 잘라낸다. 샘플(105)은, 개봉부(21)를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107) 또한 폭 방향의 중심으로 하고, 개봉 방향(D1)으로 100mm의 길이(길이 방향 길이), 개봉 방향(D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0mm의 길이(폭 방향 길이)로 잘라낸다. 또한, 포장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100mm×40mm의 샘플의 사이즈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샘플의 사이즈를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3) 샘플(105)의 길이 방향의 다른쪽의 단부(109)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개봉면(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30mm의 깊이의 절입(115)을 내, 단부 부분(111) 및 단부 부분(113)을 형성한다.
(4) 샘플(105)의 단부 부분(111) 및 단부 부분(113)을, 각각, 상기 시험기의 지그(117) 및 지그(119)에, 척간 거리: 30mm로 세트하고, 200mm/분의 속도로 척간 거리를 60mm까지 확대하여, 인열 시험을 행한다.
(5) 상기 인열 시험에 있어서의 최대 강도(mN)를, 인열 강도(mN)로서 채용한다.
(6) 상기 인열 시험을, 다른 샘플로 총 10회 반복하여, 그 평균치를 채용한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착용 물품의 개봉면에 있어서의 개봉 방향의 인열 강도가 포장체 인열 강도보다도 높고, 그리고 포장체 인열 강도보다도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낮다.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포장체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개별 포장체의 두께 방향으로 그들의 거리를 확대하면서 떼어내지게 되지만, 착용 물품 인열 강도가 포장체 인열 강도와 상술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그 때에 착용 물품이 파단되기 어려워지고, 그리고 착용 물품에 신장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착용 물품의 개봉면에 있어서의 개봉 방향의 인열 강도를, 이하, 「착용 물품 인열 강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착용 물품 인열 강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1) 항온항습실(온도: 25±5℃, 상대습도: 65±5%)에, 인스트론사 제조 형식 5564 시험기와, 측정해야 하는 개별 포장체를 개봉하지 않고 24시간 정치한다.
(2) 개별 포장체(1)의 제 2 영역 단연(61) 부근에 절입(도시하지 않음)을 내고, 착용 물품(도시하지 않음)을 살포시 꺼내어, 착용 물품으로부터 샘플을 잘라낸다. 샘플은 개봉면을 따라, 도 12에 나타나는 샘플(105)과 마찬가지로 커트하고, 그리고 30mm의 깊이의 절입을 낸다.
(3) 포장체 인열 강도와 마찬가지로 하여, 착용 물품 인열 강도를 측정한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착용 물품이 착용 물품 본체와,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박리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점착부는, 착용 물품 본체의 피부 맞닿음면, 예를 들면 피부 맞닿음 시트의 피부 맞닿음면에 고정되고 있어도 되고, 그리고 착용 물품 본체의 착의 맞닿음면, 예를 들면 착의 맞닿음 시트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며, 착용 물품의 종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착용 물품이 착용 물품 본체와,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있는 박리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1 박리 시트를 포장체의 제 1 층에 고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 물품과 포장체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여, 착용 물품을 제 2 영역에 확실히 존재시키기 위함이다.
또, 상술의 경우에는, 착용 물품 본체 단연이 제 1 박리 시트의 제 1 박리 시트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제 1 박리 시트 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체를 개봉 후, 제 1 박리 시트를 파지하지 않고 착용 물품 본체를 보다 확실히 직접 파지하는 관점에서이다. 또한, 제 1 박리 시트의 제 1 박리 시트 단연은, 제 2 영역에 존재해도 된다. 착용자가 제 1 박리 시트를 피하여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을 파지하고, 착용 물품 본체만을 꺼낼 수 있거나, 또는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 및 제 1 박리 시트(나아가서는 박리 시트)를, 함께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술의 경우에는, 점착부가 제 1 박리 시트와 접하는 제 1 점착부를 갖고, 고정부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지 않으며, 고정부가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보다도 상기 개봉면에 가깝고 또한 제 1 점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꺼낼 때에, 제 1 박리 시트가 착용 물품 본체의 제 1 점착부로부터 어긋나기 쉽기 때문이다.
단,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서는, 상술의 경우에 있어서, 고정부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어도 되고, 그리고 제 1 점착부가 취출 방향에 있어서, 고정부보다도 개봉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착용자가, 착용 물품 본체 및 제 1 박리 시트(나아가서는 박리 시트)를 함께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개별 포장체에 있어서, 착용 물품이 1개의 접힘 축을 따라 취출 방향으로 1회 접혀 있는 경우에는, 접힘 축은 제 1 영역에 존재해도 되고, 그리고 제 2 영역에 존재해도 된다.
접힘 축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착용 물품 제 1 층의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은 제 1 영역에 존재하고, 그리고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이, 착용 물품 제 2 층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낼 때에, 착용 물품의 착용 물품 제 1 층을 확실히 파지하기 위함이다.
착용 물품 제 2 층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은, 임의의 위치, 예를 들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존재할 수 있지만, 착용자가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낼 때에, 착용 물품의 착용 물품 제 1 층 및 착용 물품 제 2 층을 파지해야 하는 경우에는, 착용 물품 제 2 층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은, 착용 물품 제 1 층의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축이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착용 물품 제 1 층의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은, 제 1 영역에 존재할 필요가 있지만, 착용 물품 제 2 층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은, 임의의 위치, 예를 들면, 제 1 영역 또는 제 2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착용 물품 제 2 층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중 어느 한 쪽에 존재하는 경우라도, 착용자가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체로부터 꺼낼 때에 착용 물품의 접힘 축 근방을 파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접힘 축이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그리고 착용 물품 제 1 층의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 및 착용 물품 제 2 층의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개별 포장체가 제 2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박리 시트가 다른쪽의 면을 구성하는 제 2 박리 시트를 추가로 가지며, 점착부가 제 2 박리 시트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있는 제 2 점착부를 추가로 갖고, 제 2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2 박리 시트를 포장체의 제 2 층에 고정하고 있으며, 제 2 고정부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제 2 고정부가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2 점착부보다도 개봉면에 가깝고 또한 제 2 점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포장체를 개봉 후, 노출된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을 파지하여, 착용 물품 본체를 포장체로부터 취출 방향을 따라 꺼낼 때에, 제 2 박리 시트가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점착부로부터 어긋나기 쉽기 때문이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 1 실시 형태에 따르는 개별 포장체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 개별 포장체 No.1을 제조했다. 개별 포장체 No.1에서는, 착용 물품이 온감 시트이고, 그리고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시트는 알루미늄 증착 필름이었다.
[비교 제조예 2]
착용 물품을 야간용의 생리용 패드로 변경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개별 포장체 No.2를 제조했다.
[비교 제조예 3]
착용 물품을 온감 시트와 동일한 평면도로 본(平面視) 형상을 갖는 카피 용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개별 포장체 No.3을 제조했다. 또한, 카피 용지는 매우 파단하기 쉬운 착용 물품을 본뜬 것이다.
[실시예 1, 그리고 비교예 1 및 2]
개별 포장체 No.1∼No.3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강연도, 착용 물품 인열 강도 및 포장체 인열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은, 본 명세서에 기재한 방법에 따랐다. 결과를 표 1에 정리한다.
또, 개별 포장체 No.1∼No.3의 개봉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 방향으로(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있었다.
×: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 방향으로(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없었다.
또, 개별 포장체 No.1∼No.3로부터 착용 물품을 꺼낸 후, 착용 물품의 상태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착용 물품에, 찢어짐, 신장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 착용 물품에, 찢어짐, 신장 등이 발생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개별 포장체 No.1에서는,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있고, 그리고 착용 물품이, 개봉 시에 포장체의 제 2 영역과 하나가 되어 접혀 구부러질 수 있어, 취출 후의 착용 물품의 상태에도 문제 없었다.
개별 포장체 No.2에서는, 포장체를 개봉할 때에, 착용 물품이 방해를 하여, 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없어, 착용 물품을 꺼내기 어려웠다. 또한, 취출 후의 착용 물품의 상태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다.
개별 포장체 No.3에서는, 포장체를 개봉부로부터 개봉면을 따라 개봉할 수 있었지만, 개봉 시, 착용 물품을 본뜬 카피 용지가, 개봉면을 따라 찢어져 버렸다.
1 : 개별 포장체
3 : 착용 물품
5 : 착용 물품 제 1 층 7 : 착용 물품 제 2 층
9 : 포장체 11 : 포장체 제 1 층
13 : 포장체 제 2 층 15 : 주연부
17 : 시일부 19, 21, 23 : 개봉부
25 : 고정부 27 : 한쪽의 면
29 : 다른쪽의 면 31 : 착용 물품 본체
33 : 피부 맞닿음 시트 35 : 피부 맞닿음면
37 : 중간층 39 : 착의 맞닿음 시트
41 : 착의 맞닿음면 43 : 점착부
45 : 제 1 점착부 47 : 제 2 점착부
49 : 박리 시트 51 : 제 1 박리 시트
53 : 제 2 박리 시트 55 : 제 1 영역
57 : 제 2 영역 59 : 제 1 영역 단연
61 : 제 2 영역 단연 63 : 착용 물품 본체 단연
65 : 제 1 박리 시트 단연 67 :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
69 :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 71 : 비중복 영역
73 : 제 2 고정부 75 : 제 2 비중복 영역
5 : 착용 물품 제 1 층 7 : 착용 물품 제 2 층
9 : 포장체 11 : 포장체 제 1 층
13 : 포장체 제 2 층 15 : 주연부
17 : 시일부 19, 21, 23 : 개봉부
25 : 고정부 27 : 한쪽의 면
29 : 다른쪽의 면 31 : 착용 물품 본체
33 : 피부 맞닿음 시트 35 : 피부 맞닿음면
37 : 중간층 39 : 착의 맞닿음 시트
41 : 착의 맞닿음면 43 : 점착부
45 : 제 1 점착부 47 : 제 2 점착부
49 : 박리 시트 51 : 제 1 박리 시트
53 : 제 2 박리 시트 55 : 제 1 영역
57 : 제 2 영역 59 : 제 1 영역 단연
61 : 제 2 영역 단연 63 : 착용 물품 본체 단연
65 : 제 1 박리 시트 단연 67 :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
69 :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 71 : 비중복 영역
73 : 제 2 고정부 75 : 제 2 비중복 영역
Claims (14)
- 착용 물품과, 상기 착용 물품을 개별 포장하고 또한 기밀성을 갖는 포장체와, 고정부를 구비하고, 두께 방향과, 상기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개봉 방향 및 취출 방향을 갖는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로서,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을 가지며,
상기 포장체가, 상기 한쪽의 면을 덮는 제 1 층과, 상기 다른쪽의 면을 덮는 제 2 층과, 제 1 층 및 제 2 층의 주연부 중 적어도 일부를 시일하고 있는 시일부와, 상기 주연부에 배치된 개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별 포장체가, 상기 개봉부를 지나고 또한 상기 개봉 방향 및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한 개봉면에 의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착용 물품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을 상기 포장체에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개봉면에 있어서의 강연도가, 상기 포장체의 상기 개봉부로부터의 상기 개봉 방향으로의 인열 강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상기 개봉면에 있어서의 상기 개봉 방향의 인열 강도가, 상기 포장체의 상기 인열 강도보다도 높은, 개별 포장체.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이, 착용 물품 본체와, 착용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하고 있는 박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 시트가 상기 한쪽의 면을 구성하는 제 1 박리 시트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1 박리 시트를 상기 포장체의 제 1 층에 고정하고 있는, 개별 포장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가, 상기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단연(端緣)인 제 1 영역 단연과,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단연인 제 2 영역 단연을 갖고, 상기 착용 물품 본체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본체 단연이, 제 1 박리 시트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제 1 박리 시트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운, 개별 포장체. -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박리 시트 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포장체.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가 제 1 박리 시트와 접하는 제 1 점착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지 않으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1 점착부보다도 상기 개봉면에 가깝고 또한 제 1 점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는, 개별 포장체. -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취출 방향으로 1회 또는 복수회 접혀 있는, 개별 포장체. -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이 1개의 접힘 축을 따라 상기 취출 방향으로 1회 접혀 있고, 상기 착용 물품이 상기 접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층쪽의 착용 물품 제 1 층과 제 2 층쪽의 착용 물품 제 2 층으로 구획되는, 개별 포장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축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며, 착용 물품 제 1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이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그리고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이, 착용 물품 제 2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보다도 제 2 영역 단연에 가까운, 개별 포장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축이 제 1 영역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착용 물품 제 2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과의 양(兩)단연이, 제 2 영역에 존재하는 동시에, 상기 양단연의 제 2 영역 단연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개별 포장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축이 제 2 영역에 존재하고, 착용 물품 제 1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1 층 단연과, 착용 물품 제 2 층의, 제 2 영역 단연에 가장 가까운 단연인 착용 물품 제 2 층 단연과의 양단연이 제 1 영역에 존재하는, 개별 포장체. -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포장체가 제 2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박리 시트가, 상기 다른쪽의 면을 구성하는 제 2 박리 시트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점착부가, 제 2 박리 시트와 박리 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제 2 점착부를 추가로 갖고, 제 2 고정부가 제 1 영역에 있어서 제 2 박리 시트를 상기 포장체의 제 2 층에 고정하고 있으며, 제 2 고정부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제 2 점착부와 중복하고 있지 않고, 제 2 고정부가 상기 취출 방향에 있어서 제 2 점착부보다도 상기 개봉면에 가깝고 또한 제 2 점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되어 있는, 개별 포장체.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가 절결부(切欠部)인, 개별 포장체.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부가, 상기 개봉 방향의 양측부에 배치된 한 쌍의 개봉부이며, 상기 개봉 방향이 상기 한 쌍의 개봉부를 지나는 가상선과 평행인, 개별 포장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195166 | 2016-09-30 | ||
JP2016195166A JP6305487B1 (ja) | 2016-09-30 | 2016-09-30 | 着用物品の個包装体 |
PCT/JP2017/022587 WO2018061339A1 (ja) | 2016-09-30 | 2017-06-19 | 着用物品の個包装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2376A true KR20190062376A (ko) | 2019-06-05 |
KR102422597B1 KR102422597B1 (ko) | 2022-07-18 |
Family
ID=6176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02864A KR102422597B1 (ko) | 2016-09-30 | 2017-06-19 |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305487B1 (ko) |
KR (1) | KR102422597B1 (ko) |
CN (1) | CN109843237B (ko) |
WO (1) | WO201806133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8068A (ko) | 2020-07-13 | 2022-01-20 |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22532B2 (ja) * | 2019-06-12 | 2023-08-08 | 凸版印刷株式会社 | 薄膜転写シート、及び薄膜転写シートの収容方法 |
CN112107431B (zh) * | 2019-06-20 | 2023-07-11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短裤型吸收性物品 |
CN112107430B (zh) * | 2019-06-20 | 2023-07-14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短裤型吸收性物品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9819A (ko) * | 2000-11-15 | 2003-07-10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흡수성 제품용 패키지 |
JP2007525245A (ja) | 2003-05-19 | 2007-09-06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バリア包装を有する、揮発性物質含有衛生吸収性物品 |
CN201422966Y (zh) * | 2009-06-05 | 2010-03-17 | 黄诗华 | 一种单袋真空卫生巾包装袋 |
JP2011036276A (ja) * | 2009-08-06 | 2011-02-24 | Uni Charm Corp | 個包装製品 |
KR20120091224A (ko) * | 2009-11-04 | 2012-08-17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제1 개별 포장체와, 제2 개별 포장체와, 고정부를 구비하는 개별 포장 제품 |
CN204092348U (zh) * | 2014-07-10 | 2015-01-14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吸收性物品的包装体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109605A1 (de) * | 1991-03-23 | 1992-09-24 | Lohmann Gmbh & Co Kg | Schlauchbeutelverpackung |
US6036679A (en) * | 1998-04-09 | 2000-03-1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ndividually wrapped absorbent article |
US7413079B2 (en) * | 2003-07-10 | 2008-08-19 | Sca Hygiene Products Ab | Single wrap for absorbent products |
WO2005120414A1 (en) * | 2004-06-11 | 2005-12-22 | Sca Hygiene Products Ab | Package containing absorbent articles |
TWI397403B (zh) * | 2006-02-24 | 2013-06-01 | Kao Corp | 吸收性物品之個別包裝體及吸收性物品之個別包裝體之製造方法 |
CN201055477Y (zh) * | 2007-05-30 | 2008-05-07 | 济南市第三人民医院 | 一次性医用消毒贴 |
DE102009008217A1 (de) * | 2009-02-10 | 2010-08-19 |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 Kindergesicherte, hochinerte Einzelverpackung |
JP5503925B2 (ja) * | 2009-08-28 | 2014-05-28 | 大王製紙株式会社 | 個装吸収性物品 |
JP3195341U (ja) * | 2014-10-27 | 2015-01-1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の包装体 |
-
2016
- 2016-09-30 JP JP2016195166A patent/JP6305487B1/ja active Active
-
2017
- 2017-06-19 CN CN201780060172.XA patent/CN109843237B/zh active Active
- 2017-06-19 KR KR1020197002864A patent/KR10242259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6-19 WO PCT/JP2017/022587 patent/WO201806133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9819A (ko) * | 2000-11-15 | 2003-07-10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흡수성 제품용 패키지 |
JP2007525245A (ja) | 2003-05-19 | 2007-09-06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バリア包装を有する、揮発性物質含有衛生吸収性物品 |
CN201422966Y (zh) * | 2009-06-05 | 2010-03-17 | 黄诗华 | 一种单袋真空卫生巾包装袋 |
JP2011036276A (ja) * | 2009-08-06 | 2011-02-24 | Uni Charm Corp | 個包装製品 |
EP2462909A1 (en) * | 2009-08-06 | 2012-06-13 | Unicharm Corporation | Individually packaged product |
KR20120091224A (ko) * | 2009-11-04 | 2012-08-17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제1 개별 포장체와, 제2 개별 포장체와, 고정부를 구비하는 개별 포장 제품 |
CN204092348U (zh) * | 2014-07-10 | 2015-01-14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吸收性物品的包装体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8068A (ko) | 2020-07-13 | 2022-01-20 |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305487B1 (ja) | 2018-04-04 |
JP2018057444A (ja) | 2018-04-12 |
KR102422597B1 (ko) | 2022-07-18 |
WO2018061339A1 (ja) | 2018-04-05 |
CN109843237B (zh) | 2022-09-06 |
CN109843237A (zh) | 2019-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62376A (ko) | 착용 물품의 개별 포장체 | |
WO2012091016A1 (ja) | 吸収性物品の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の折り畳み方法 | |
JP5922969B2 (ja) | 吸収性物品の包装体 | |
ES2363104T3 (es) | Envoltorio que tiene una línea de debilidad predeterminada. | |
RU2651262C2 (ru) | Упаковочный блок с улучшенным уплотнением и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упаковочного блока с улучшенным уплотнением | |
BR202015025130U2 (pt) | Embalagem exterior separável para artigos de cuidado pessoal absorventes. | |
BR112014026491B1 (pt) | unidade de embalagem para artigos de higiene e método de formar uma unidade de embalagem para artigos de higiene a partir de uma folha de material | |
BRPI0619917A2 (pt) | produtos absorventes dotados de fragráncias complementares e uma embalagem para armazenamento de produtos absorventes | |
CA2416430C (en) | Package for a plurality of plural pantiliners | |
JP5951917B1 (ja) |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及び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の製造方法 | |
AU2015413364B2 (en) | Band-fastened, convenience-packaging for storing absorbent personal care articles | |
WO2010117590A1 (en) | Comparmentalized individual package for absorbent articles | |
JP5009077B2 (ja) | 体液吸収性着用物品の包装体 | |
JP7023304B2 (ja) |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 |
JP4431322B2 (ja) | 吸収性物品の個別包装方法 | |
JPH10305059A (ja) | 生理用ナプキンの個別包装方法 | |
CN106456392A (zh) | 吸收性物品 | |
JP5902905B2 (ja) | 個装吸収性物品 | |
WO2022004266A1 (ja) | 吸収性物品の収容体 | |
US20180140482A1 (en) | Individual Packaging for and Absorbent Article | |
BR112016027724B1 (pt) | Método para formar um material de envoltório para artigos de higiene | |
JP2008148799A (ja) |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 |
JP2024140800A (ja) | 吸収性物品個包装体 | |
JP6022288B2 (ja) |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 |
JP2007325680A (ja) | 吸収性物品の包装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