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103A -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103A
KR20190065103A KR1020170164640A KR20170164640A KR20190065103A KR 20190065103 A KR20190065103 A KR 20190065103A KR 1020170164640 A KR1020170164640 A KR 1020170164640A KR 20170164640 A KR20170164640 A KR 20170164640A KR 20190065103 A KR20190065103 A KR 2019006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skin
weight
cosmetic composition
idebe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147B1 (ko
Inventor
이수천
표종진
오경희
Original Assignee
이수천
오경희
표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천, 오경희, 표종진 filed Critical 이수천
Priority to KR102017016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1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이데베논을 인지질, 계면활성제, 활성성분 및 보습제와 혼합하여 리포좀화시킨 것이고, 상기 활성성분은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및 알루미늄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이데베논,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알루미늄 파우더 등의 경피 흡수율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태 개선의 효과가 우수하며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NING LIOOSOME IDEBENONE}
본 발명은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유효성분을 구조적으로 훨씬 안정되게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서, 온도조절기능, 배설기능, 호흡기능, 인체보호기능, 장벽기능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그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변화가 발생되면서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자외선 량 및 대기오염의 증가와 현대인의 과도한 피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와 프리 라디칼은 높은 반응성으로 인하여 생체 성분을 산화시키거나 변성시킴으로써 피부노화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확실하게 원인규명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먼저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에 탄력을 주는 ECM(Extracellular matrix) 성분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ECM의 결합 조직 섬유에는 아교섬유(교원섬유, 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탄력섬유(탄성섬유, Elastin) 등이 있는데, 그 중 ECM의 70~8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그 생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주름 생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콜라겐의 합성이 저하되거나 분해가 촉진되므로서 피부 처짐, 탄력 상실, 피부 주름 형성등의 피부노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물질로 이데베논(Idebenone)이 알려져 있는데, 상기 이데베논은 살아있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유비퀴논(Ubiquinone)계 항산화제이면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학물질로서, 화학명은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dimethoxy-5-methyl-6-(10-hydroxy decyl)-1,4-benzoquinone]이고 분자량은 338.44이며, 주로 화학적인 합성방법으로 얻어져 정제된 노란색의 결정성 파우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기공지된 연구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이데베논을 제약용 또는 화장품용으로 응용한 의약품 및 화장품이 노화에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여러 학술논문에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이데베논은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관여하여 세포활성화에 효과가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활성산소군(ROS,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의학적으로는 신경성장인자(NGF, Nerve Growth Factor)를 촉진하여 노화로 인해 문제가 되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질환인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 및 간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 역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체 유용성 활성 물질 중의 하나인 이데베논은 퀴논(Quinone)기, 포화탄화수소(Saturatedhydrocarbon) 및 수산(Hydroxyl)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높은 극성으로 낮은 녹는점(Meltingpoint)을 가지고 있어, 유화계에서는 안정화가 어렵고 피부 침투도 용이치 않아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데베논은 일단 용해를 시켜 유화입자를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종래 유화기법 및 유화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 및 이데베논의 역가 보존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이데베논을 나노 캡슐 입자로 제조할 경우, 일반 마이크로(Micro)크기의 액적(droplet)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나노입자는 물리적으로 그 층이 매우 얇아 이데베논과 같이 극성이 높은 물질인 경우에는 입자 주변의 연속상(Continuous phase)에서 용해성(Solubility)을 갖고 있어 오스트왈드라이프닝(Ostwald ripening) 현상에 의해 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그 자체의 이데베논 분자구조는 단단한 벽돌(Brick)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케라틴(Keratin)과 상기 케라틴 지지체를 마치 시멘트(Cement)와 같이 부착하여 주는 세포간지질성분으로 형성된 피부를 통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원하는 주름개선 효과를 피부에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데베논은 제형 안정성뿐만 아니라, 피부 내로 효율적인 약물전달에 있어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그 자체의 이데베논 분자구조는 단단한 벽돌(Brick)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케라틴(Keratin)과 상기 케라틴 지지체를 마치 시멘트(Cement)와 같이 부착하여 주는 세포간지질 성분으로 형성된 피부를 통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원하는 주름개선 효과를 피부에 제공하는데에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데베논은 제형 안정성뿐만 아니라, 피부 내로 효율적인 약물전달에 있어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상기 이데베논을 안정화하고 피부 전달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데베논을 나노 캡슐화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나노 캡슐화된 이데베논은 점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피부침투 효과가 역시 크게 개선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KR 10-0810164 B1 KR 10-1671727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며 장기간 활성의 손실 없이 안정하게 보존할 수 있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주름 개선 등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이데베논을 인지질, 계면활성제, 활성성분 및 보습제와 혼합하여 리포좀화시킨 것이고, 상기 활성성분은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및 알루미늄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항산화제, 오일류 밀폐제 및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성분은 디판테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이며,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롤이며, 상기 오일류 밀폐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아르간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상기 이데베논 1.0~5.0중량%, 인지질 5.0~20.0중량%, 계면활성제 0.1~10.0중량%, 활성성분 1.6~40중량%, 항산화제 0.5~1.0중량%, 오일류 밀폐제 0.01~10.0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1~0.2중량% 및 잔량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0.1~50.0중량%만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이데베논,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등의 경피 흡수율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태 개선의 효과가 우수하며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시험예 1에 따른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입자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의 현미경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이데베논 리포좀화함으로써, 이데베논의 흡수율을 높이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리포좀화한 이데베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활성성분으로써, 알루미늄 파우더를 함께 사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이데베논을 인지질, 계면활성제, 활성성분 및 보습제와 혼합하여 리포좀화시킨 것이고, 상기 활성성분은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및 알루미늄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이데베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주름 개선 등의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나, 제형 안정성뿐만 아니라, 피부 내의 침투가 어려웠던 성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데베논을 리포좀화시킴으로써, 제형 안정성을 높이고, 피부 내의 침투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함께 혼합되는 인지질((phospholipid)은 안정된 지질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과 같은 천연 인지질이나, 디팔미토일포스타티딜콜린, 수첨 레시틴과 같은 합성 인지질일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리포좀의 안정화를 위한 것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천연 계면활성제 중 1종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종 모두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나, 소디움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또는 소디움 올레스-7 포스페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천연 계면활성제 역시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폴리글리세릴-3-올리베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릴-3 세테아릴에테르 올리베이트일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이데베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피부의 상태 개선, 즉 보습, 탄력, 미백, 노화 방지의 기능을 나타내는 성분은 물론, 제형 안정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및 알루미늄 파우더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모 추출물은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성분으로, 이데베논과 함께 사용할 경우 노화 방지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효모 추출물은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콜라겐 파우더는 우수한 수분 유지제로 보습 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세포의 탄력을 유지시키고, 피부를 촉촉하게 가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알루미늄 파우더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의 제형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루미늄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이 안정화되지 못해 장기간 보관, 사용이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었는바, 알루미늄 파우더를 통해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의 제형을 안정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알루미늄 파우더 역시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보습제로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항산화제, 오일류 밀폐제 및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산화작용으로 손상된 피부 기능과 구조를 회복시켜 주는 것으로, 토코페롤, 즉 알파토코페롤 또는 비타민E-토코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일류 밀폐제는 피부에 막을 형성하여 밀폐함으로써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천연 오일, 합성오일 중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아르간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조성물 내 금속이온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디소듐이디티에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으로는 디판테놀(D-Panthenol)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디판테놀은 부족한 수분을 직접 공급하고, 보습 기능을 활성화해줘 피부 상태를 개선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상기 이데베논 1.0~5.0중량%, 인지질 5.0~20.0중량%, 계면활성제 0.1~10.0중량%, 활성성분 1.6~40중량%, 항산화제 0.5~1.0중량%, 오일류 밀폐제 0.01~10.0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1~0.2중량% 및 잔량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리포좀 조성물의 안정성, 노화방지, 피부개선 효과 등을 고려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활성성분은 효모 추출물 0.5~10중량%, 콜라겐 파우더 0.5~10중량%, 알루미늄 파우더 0.5~10중량%, 디판테놀 0.1~10중량%의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데베논을 리포좀화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통용되는 통상적인 모든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즉, 상기와 같이, 이데베논, 인지질, 계면활성제, 활성성분, 항산화제, 오일류 밀폐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잔량의 보습제를 혼합하여 교반해주면 인지질 성분이 핵심성분인 이데베논은 물론,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등을 포집하고, 마이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고압 호모게나이저 등을 이용하여 처리하면 리포좀이 생성되는 데, 목적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압력과 횟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을 600~1,200bar로 설정하고, 1~5회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 온도는 50~70℃ 정도면 족하고, 리포좀화 온도는 30~55℃ 정도면 족하나, 그 온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나노 사이즈의 입자 크기를 가지며, 입도 분포가 균일하고, 피부투과도가 높아, 탄력 개선, 주름 개선, 보습 개선 등의 효과를 지석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50.0중량%만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포좀화된 이데베논 외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스프레이, 비누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데베논, 인지질, 계면활성제, 활성성분, 항산화제, 오일류 밀폐제, 금속이온 봉쇄제, 보습제를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에 따라 준비한 후, 50℃에서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500 rpm의 회전속도로 10분 동안 교반 및 1차 유화하고,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40℃에서 700~800bar의 압력으로 2~3회 통과하도록 하여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데베논, 효모 추출물, 알루미늄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성분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루미늄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고,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성분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성분 함량(중량%)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1
이데베논 3.0 0.0 3.0
인지질 라이조레시틴
(Lysolecithin)
10.0 10.0 10.0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소디움 스테아로일 글루타메이트)
3.0 1.0 3.0
천연유래 계면활성제
(폴리글리세릴-3-올리베이트 포스페이트)
3.0 1.0 3.0
활성성분

효모 추출물 4.0 0 4.0
콜라겐 파우더 5.0 5.0 5.0
알루미늄 파우더 0.5 0 0
항산화제 알파토코페롤 0.1 0.1 0.1
오일류
밀폐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Caprylic/CapricTriglyceride) 4.5 4.5 4.5
스쿠알란 0.2 0.2 0.2
아르간오일(Argan Oil) 0.1 0.1 0.1
금속이온 봉쇄제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1 0.1 0.1
보습제 글리세린 to 100 to 100 to 100
*이데베논 : (제품명 : IDEBENONE, 제조사 : NATURAL(중국))
*효모추출물 : (제품명 : Celldetox /, 제조사 : SILAB(프랑스))
*콜라겐파우더 : (제품명 : 피쉬콜라겐, 제조사 : 젤텍(대한민국))
*알루미늄파우더 (제품명 : 알루미늄파우더, 수입사 : 리셀랩)
(시험예 1): 입자특성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입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도 1은 실시예 1의 입자 분포도이고, 도 2는 비교예 1의 입자 분포도이다.
입자의 크기(평균 직경) 및 입도 분포도는 광산란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기 광산란 측정장비로는 NANO-ZS90(제조사 : Malvern Korea)를 사용하였고, 그 측정 조건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관산란 측정조건.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Temperature 23.0℃ 22.9℃
Solvent Name water water
Refractive Index 1.3315 1.3315
도 1 내지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의 리포좀 입자가 평균 직경이 더 작고, 더욱 균일한 입도 분포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의 현미경 사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하여 입도가 균일하면서도 안정적인 성상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 4는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따른 리포좀 조성물의 사진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맑은 액상인데 비하여, 알루미늄 파우더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조성물은 탁한 액상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비하여 실시예 1의 조성물이 더욱 안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화장품 제형 제조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과일산을 첨가한 이유는 피부의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각 제형은 T1(스킨), T2(로션), T3(에센스), T4(크림), T5(팩)으로 칭하였다.
실시예 2의 성분 함량
성분 T1(스킨) T2(로션) T3(에센스) T4(크림) T5(팩)
실시예 1 2.0 2.0 2.0 2.0 2.0
글리세린 1 2 3 4 5
부틸렌글라이콜 1 4 4 4 6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2 0.1 0.1 0.2 0.3
카보머 0 0.07 0.1 0.2 0.3
스테아린산 0 0.15 0.3 1.2 1.5
세테아릴알코올 0 0.05 0 1.5 2
스쿠알란 0.5 1.0 2.0 3.0 4.0
쉐어버터 0 0.05 0 1.5 2.0
비즈왁스 0 1.0 2.0 3.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 0.5 1.0 1.5 2.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 0.5 0 1 1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 0.2 0 0.8 1.5
트리에탄올아민 0 0.05 0.08 0.2 0.3
히알루론산 1.0 1.5 2.0 2.0 1.0
과일산 0.2 0.2 0.2 0.2 0.2
1,2-헥산디올 2 2 2 2 2
향료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3):화장품 제형 제조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실시예 1을 대신하여 비교예 1을 사용하였다. 이때, 각 제형은 S1(스킨), S2(로션), S3(에센스), S4(크림), S5(팩)으로 칭하였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3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 제형의 피부 보습감, 사용감, 탄력감, 피부상태 개선, 사용 후 느낌, 피부자극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21세~40세에 속하는 여성 30명을 피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상기 피실험 대상의 얼굴을 깨끗하게 세안한 후, 얼굴 반쪽은 실시예 2의 내용물 0.1g~0.2g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나머지 반대편 얼굴 반쪽은 비교예 3의 내용물 0.1g~0.2g을 균일하게 도포하도록 하였다.
이때, 각 제형 별 실험은 7일씩 실시하였으며, 7일 실시 후, 7일간 사용을 중지하고, 다시 7일씩 사용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피실험 대상으로 하여금 각 7일 실시 후의 피부 보습, 사용감, 탄력감, 피부상태 개선, 사용 후 느낌, 피부자극을 관능 평가하도록 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평가는 느껴지는 효과가 우수할 경우 5점, 전혀 효과가 느껴지지 않을 경우에는 0점으로 하여 각각 6단계로 평가하였다.
시험예 2 결과
평가
항목
실시예 2 비교예 3
T1 T2 T3 T4 T5 S1 S2 S3 S4 S5
보습감 4.5 4.5 5.0 5.0 5.0 3.0 3.0 3.0 3.0 3.0
사용감 4.5 4.5 4.5 4.5 4.5 3.5 3.0 3.0 3.5 3.0
탄력감 4.5 5.0 5.0 4.5 4.5 3.5 3.5 3.5 3.0 3.5
피부상태개선 4.0 4.5 4.5 4.5 4.5 3.5 3.5 3.5 3.5 3.0
사용후느낌 4.0 4.5 4.5 5.0 4.0 4.0 3.5 3.5 3.5 3.5
피부자극 0 0 0 0 0 0 0 0 0 0
피부맑아짐 4.5 4.5 5.0 4.5 4.5 3.0 3.0 3.5 3.0 3.0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의 제형 모두 피부 자극은 없었으나, 실시예 2의 모든 제형이 보습감, 사용감, 탄력감, 피부상태 개선 및 사용 후 느낌 등에서 비교예 3의 모든 제형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30대 이상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실시예 2의 T3 및 비교예 2의 S3를 12주간 왼쪽과 오른쪽 얼굴에 각각 사용토록 한 후,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주름의 깊이는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피부미세주름측정기(SV-600, C+K,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12주 후 실시예 2의 주름깊이 감소율은 6.1%, 비교예 3의 주름깊이 감소율은 1.1%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이데베논을 인지질, 계면활성제, 활성성분 및 보습제와 혼합하여 리포좀화시킨 것이고,
    상기 활성성분은 효모 추출물, 콜라겐 파우더 및 알루미늄 파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항산화제, 오일류 밀폐제 및 금속이온 봉쇄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성분은 디판테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이고,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롤이며,
    상기 오일류 밀폐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스쿠알란, 아르간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은,
    상기 이데베논 1.0~5.0중량%, 인지질 5.0~20.0중량%, 계면활성제 0.1~10.0중량%, 활성성분 1.6~40중량%, 항산화제 0.5~1.0중량%, 오일류 밀폐제 0.01~10.0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1~0.2중량% 및 잔량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상기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0.1~50.0중량%만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64640A 2017-12-01 2017-12-01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640A KR102004147B1 (ko) 2017-12-01 2017-12-01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640A KR102004147B1 (ko) 2017-12-01 2017-12-01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103A true KR20190065103A (ko) 2019-06-11
KR102004147B1 KR102004147B1 (ko) 2019-07-26

Family

ID=6684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640A KR102004147B1 (ko) 2017-12-01 2017-12-01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1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989A (ko) * 2019-10-22 2021-05-03 (주)더마펌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KR20220008068A (ko)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693B1 (ko) * 2022-01-28 2023-03-15 에이드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447A (ko) * 2005-04-06 2007-02-12 유효경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폴리올을 함유하는 가용화용나노조성물
JP2007517836A (ja) * 2004-01-06 2007-07-05 リポテック,エス.アー. 局所適用の脱色素組成物及び類似の組成物の調整でのイデベノンの使用
KR100810164B1 (ko) 2006-05-26 2008-03-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50007383A (ko) * 2013-07-10 2015-01-21 한솔바이오 주식회사 나노 구조체
KR101671727B1 (ko) 2014-12-31 2016-11-04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3144A (ko) * 2016-04-28 2017-11-07 (주)바이오제닉스 항산화 기능이 융합된 메이크업용 색상 변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7836A (ja) * 2004-01-06 2007-07-05 リポテック,エス.アー. 局所適用の脱色素組成物及び類似の組成物の調整でのイデベノンの使用
KR20070017447A (ko) * 2005-04-06 2007-02-12 유효경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폴리올을 함유하는 가용화용나노조성물
KR100810164B1 (ko) 2006-05-26 2008-03-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150007383A (ko) * 2013-07-10 2015-01-21 한솔바이오 주식회사 나노 구조체
KR101671727B1 (ko) 2014-12-31 2016-11-04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3144A (ko) * 2016-04-28 2017-11-07 (주)바이오제닉스 항산화 기능이 융합된 메이크업용 색상 변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989A (ko) * 2019-10-22 2021-05-03 (주)더마펌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KR20220008068A (ko)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9693B1 (ko) * 2022-01-28 2023-03-15 에이드코리아컴퍼니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147B1 (ko) 201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7112B (zh) 乳化組成物
RU2418575C2 (ru) Нанолипосома с применением этерифицированного лецитин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овой, а также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включающая таковые
AU668186B2 (en) Cosmetic containing phospholipids and fluorocarbon compounds
US8541010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KR101934788B1 (ko) 미생물 유래 당지질계 유화제를 이용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1192A (ko) 오리자놀, 미강유 및 인지질이 내포된 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147B1 (ko) 리포좀화된 이데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049455B1 (de) Kosmetisches produkt auf basis von artemia salina - extrakten zur regenerierung und stimulierung der hautzellen
KR102007469B1 (ko) 이데베논 또는 코엔자임q10을 함유하는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912684A1 (en) Ceramide dispersion composition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2479A (ko) 피부침투가 용이한 펩타이드를 함유한 나노리포좀 입자의 제조방법
EP2769709B1 (en) Pseudolipid complex mixture and a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5662774B2 (ja) 乳化組成物
Akhtar et al. Formulation and in-vivo evaluation of a cosmetic multiple emulsion containing vitamin C and wheat protein
KR102370679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8667B1 (ko) 7-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및 스테아린산이 히알루론산-세라마이드 엔피 복합체의 내상에 봉입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106106A (ko) 유화 입자의 크기 편차를 개선한 수중유형(o/w)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8733B1 (ko) 인지질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U2018272337B2 (en) Emulsified liposom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6236402A (zh) 一种用于包裹活性成分的纳米脂质体粒子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21435A (ko) 난용성 성분이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