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4535A -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4535A
KR20190124535A KR1020180048613A KR20180048613A KR20190124535A KR 20190124535 A KR20190124535 A KR 20190124535A KR 1020180048613 A KR1020180048613 A KR 1020180048613A KR 20180048613 A KR20180048613 A KR 20180048613A KR 20190124535 A KR20190124535 A KR 2019012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benone
composition containing
composition
formul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452B1 (ko
Inventor
오예진
홍재화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45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데베논과 가용화제가 용해된 투명상태의 가용화상에, 극성오일과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 조성으로 최적화된 수상을 투입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통상 유화 제형의 유상에서 안정화되는 이데베논을 유상이 배제되거나 함량이 낮은 조건에서도 석출 또는 상 분리 없이 제형이 안정화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함유한 저 점도 액상의 스킨 제형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IDEBENONE AND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데베논과 가용화제 조성을 최적화하여 용해 후 투명상태의 가용화상에, 극성오일과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 조성으로 최적화된 수상을 투입하여 제형을 안정화시킨 것으로, 통상 유화제형의 유상에서 안정화되는 이데베논을 유상이 배제되거나 함량이 낮은 조건에서도 석출 또는 상 분리 없이 제형 안정화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 조성물의 공통 관심사는 피부에 활성 성분의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한 일환으로, 화장 조성물은 종종 화장용으로 수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활성 성분의 양은 희석되며, 이때 포함되는 다른 성분들에 의해 피부 내부로 실제적으로 전달되는데 활성 성분의 양은 저해된다.
더욱이, 많은 활성 성분들은 화장용 매질에서 불안정하다. 예를 들면, 이데베논은 살아있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유비퀴논(Ubiquinone)계 항산화제이면서 미토콘드리아 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학물질로서, 자체 구조상 극성도(Polarity)가 매우 높고, 그로 인해 원료 자체도 빛, 공기, 물, 열 등의 외부 환경에 노출 시 색이 변하기 쉽고 그 역가 보존성이 떨어져 불안정하며, 특히 물과 계면에서 접촉하거나 또는 화장료에 적용 시에는 이러한 불안정성이 배가된다.
따라서, 이데베논의 노화에 매우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이나 제약품 적용에 곤란한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또한, 일단 안정화했다 하더라도 세포간 지질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피부 속으로 전달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유효 물질들을 안정화하고 피부 전달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유효 물질을 에멀젼화하거나 리포좀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중 1 마이크로(Micro)이하의 작은 입자를 갖는 마이크로캡슐화 등은 계면활성제를 적정온도에서 비교적 과량을 사용하여 미세한 입자를 수득하고, 나노캡슐화는 최소량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되, 고압형유화기(High-pressure homogenizer)라는 고에너지를 부가할 수 있는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 50 내지 300nm의 미세한 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그러나 종래의 나노 에멀젼이나 나노 리포좀과 같은 나노 입자를 제조함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고가의 장비와 이에 소모되는 큰 비용의 감가상각비가 소요되어 일반적으로 제조비용이 종래의 유화기법보다 훨씬 부담이 되고, 그 공정 또한 대량생산이 어렵고, 제조시간을 오래 걸리는 등의 경제성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데베논은 대부분 매우 고가의 화장료 제조에만 국한되어 사용되어 왔고, 그나마 나노캡슐화된 이데베논은 그 특성상, 대부분이 로션, 크림 등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가지고 있는 화장료들에만 국한되어 사용되어 왔다.
또한, 이데베논을 적용한 마이크로캡슐 형태의 액상형 화장품은 상대적으로 고 점도 액상 형태를 가지며 무겁고, 끈적이는 영양감있는 사용감으로 에센스와 부스터로 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성분적 유효 효과의 장점과 약물 전달 효율에 대한 큰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산업에서 범용적으로 응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일반적인 액상 제형에 이데베논을 적용할 때, 제형 내 이데베논 석출 및 상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어 저점도 액상형 조성물을 가혹 조건에서 안정화하는 것이 어려운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노화에 매우 우수한 효능을 지닌 유비퀴논계 항산화제 성분인 이데베논 액상형 제형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이데베논의 구조를 안정화하고 특히, 이데베논의 극성도(Polarity)가 높은 성질을 이용하여, 무 점도에 가까운 저 점도 가용화 제형에 안정화할 수 있도록 조성물을 최적화함으로써, 저온, 고온 및 가혹 조건에서 제형 내 이데베논이 석출되거나 상 분리 또는 변색 없이 제형이 안정화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특허 제0785484호 (2007.12.06 공고) 대한민국특허 제1521868호 (2015.05.14 공고) 대한민국특허 제1671727호 (2016.10.2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저 점도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데베논을 함유한 저 점도 액상형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데베논과 가용화제가 용해된 가용화상에, 극성오일과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함유된 수상이 투입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극성오일, 가용화제 및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1: 0.3 내지 2.5: 0.5 내지 8 중량비로 포함되어 안정화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에서, 상기 가용화제가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극성오일이 C12-C15 알킬벤조에이트, 메틸프로판디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가용화제로 사용된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16는 1: 1 중량비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은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유용한 활성성분을 함유한 활성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함유한 저 점도 액상의 스킨 제형으로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형 내 이데베논 석출이나 상 분리 없는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온, 고온 및 가혹 조건에서도 이데베논이 석출되거나 상 분리 또는 변색 없이 안정화되고, 제형 안정화 이후에도 1개월 이후 고온 조건에서도 이데베논 역가 보존성이 유지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이데베논을 피부 내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함유한 저 점도 액상의 스킨 제형으로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조건별 역가보존성 평가 결과이고,
도 2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조건별 역가보존성 평가 결과이고,
도 3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조건별 역가보존성 평가 결과이고,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조건별 역가보존성 평가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데베논과 가용화제가 용해된 가용화상에, 극성오일과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함유된 수상이 투입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극성오일과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함유된 수상이 투입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극성오일, 가용화제 및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포함되어 안정화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극성오일, 가용화제 및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의 성분 유무에 따른 온도조건별 역가 보존성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극성오일, 가용화제 및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점증제가 1: 0.3 내지 2.5: 0.5 내지 8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6 내지 2: 0.6 내지 5 중량비로 필수성분으로 포함될 때, 저온, 고온 및 가혹 조건에서 제형 내 이데베논이 석출되거나 상 분리되지 않고 변색 없이 제형이 안정화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가용화상은 이데베논과 친수력이 낮은 가용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향 또는 방부제등의 첨가제가 함유될 수 있다.
통상 이데베논은 유화 제형의 유상에서 안정화되고, 유상이 배제되거나 그 함량이 낮은 조건에서도 석출 또는 상 분리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데베논의 구조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친수력이 낮은 가용화제를 완전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켜 가용화상을 준비한다.
이때, 가용화상에 함유된 이데베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중량%가 함유되는 것이다. 상기 이데베논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항산화력 등의 기대되는 기능이 약화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석출 및 자극 유발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용상에 함유되는 가용화제는 향 가용화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함유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16의 혼합형태 사용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16은 각각 0.01 내지 2중량%로 함유되는 것이며, 상기 혼합형태로 함유될 경우,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16는 1:1의 동량 중량비로 함유되어야 바람직하며, 상기 비율을 벗어나면, 이 제형 안정화 정도가 저하되어 석출되거나 상 분리가 관찰된다[표 1].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가용화상에는 조합향료 0.01 내지 0.2 중량% 및 방부제성분 1 내지 5중량%가 더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수상은 정제수에, 아크릴레이트계 점증제 및 이데베논 안정화 성분으로, 극성 오일 및 PIT 에멀전을 함유한다.
이때, 극성오일은 C12-C15 알킬벤조에이트, 메틸프로판디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되며, 이때, 혼합형태로 함유될 경우, C12-C15 알킬벤조에이트 0.01 내지 5중량% 및 메틸프로판디올 0.01 내지 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12-C15 알킬벤조에이트 및 메틸프로판디올을 함유하면서 상기 바람직한 함량범위 이내를 충족하면서 1:4의 중량비율로 함유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이데베논 안정화하는 또 다른 성분으로서,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에멀전은 특화된 유화시스템을 이용한 마이크로 에멀전화된 원료로서, 공지된 특화 유화기술로부터 얻어진 성분으로 무 점도 액상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한 사용된다. 또한, PIT 에멀젼은 피부에 친화적이고 전달력이 강화된 성분으로 입자크기가 50 내지 200nm이며, 단일 층(Single layer)의 입자막 형태를 가진다. 이에,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PIT 에멀전은 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1중량% 미만이면, 탁도를 형성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수상에 함유되는 점증제는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함량으로는 0.1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다. 이때, 0.1중량% 미만이면, 점도 형성능력이 미미하여 제형 내 흐름성이 너무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10중량% 초과시, 점성이 높아져 끈적임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외에, 추가 점증제 성분이 1 내지 10 중량% 더 함유될 수 있으며, 통상의 화장품분야에서 점증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만난, 구아검, 아라비아검, 전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조성물 중 가용화제성분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또는 옥틸도데세스-16를 택일성분으로 함유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 고온에서 제형 분리 및 심한 변색이 관찰된다. 또한, 극성오일이 배제된 액상형 조성물(비교예 2) 또는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 성분이 배제된 액상형 조성물(비교예 4)의 경우, 고온에서 제형 분리 및 심한 변색이 관찰된 결과로부터,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으로 제조하기 위한 필수조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에 있어서,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유용한 활성성분을 함유한 활성상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유용한 활성성분은 전체 조성물에 2 내지 10중량%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성분이 주성분간 혼화성을 고려한다면, 기능성을 가지는 복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백성분의 일례로서 나이아신아마이드 성분과 주름개선 활성성분으로 아데노신을 함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공지의 기능성 활성성분을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 성분은 2 내지 5중량%가 함유되고, 아데노신 성분은 0.01 내지 0.2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활성성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조절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함유한 저 점도 액상의 스킨 제형으로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제시된 수상 성분을 계량 후 아지 믹서(AGI-Mixer)를 이용하여 분산 후 78∼80℃에서 가온하고, 이후 50℃에서 냉각하여 수상부를 준비하였다.
표 1에 제시된 가용화상의 성분을 계량하고 완전 투명하여 용해시켜 가용화상을 준비하고, 상기 수상을 투입하였다. 이때 별도의 용해조에 표 1에 제시된 성분을 계량 후 50℃로 가온 후 용해시켜 상기 수상에 투입하였다. 이후 35℃에서 냉각하고 탈포하여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상기 실시예 1의 액상형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가용화제, 극성오일 성분의 일부를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역가 보존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조성물에 대하여, 온도별 역가 보존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1 내지 도 4에 비교 평가하였다.
도 1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 도 2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 및 도 3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조건별 역가보존성 평가 결과로서, 왼쪽부터 5℃, 25℃, 40℃, CYCLE(-5℃∼40℃), 50℃ 조건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40℃, 50℃ 온도조건을 1개월 경과이후 측정된 것이다.
상기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이데베논 함유 액상형 조성물은 제형 모두 단기적으로 구현되는 것에는 문제가 없으나, 1개월 이후 고온(40℃, 50℃)상에서 안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특히, 폴리올 성분이 배제된 비교예 2의 액상형 조성물의 경우, 고온에서 제형 분리 및 심한 변색이 관찰되므로, 제형 안정성을 위한 필수성분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상기 폴리올 성분이 포함되고 2종의 가용화제성분 중 택일성분으로 함유된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의 경우에도 고온에서 제형 분리 및 심한 변색이 관찰되었다.
또한,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 성분이 배제된 이데베논 함유 액상형 조성물의 경우, 고온으로 갈수록 24시간 내 석출 및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의 점증제 성분은 제형 안정성을 위해 필수 성분으로 함유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상기 비교예의 결과를 토대로,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조건별 역가보존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폴리올 성분, 2종의 가용화제 및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표 1에 제시된 함량으로 함유된 이데베논 함유 액상형 조성물은 5℃, 25℃, 40℃, CYCLE(-5℃∼40℃), 50℃ 조건, 즉 저온, 고온, 가혹조건에서 이데베논 석출이나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고 변색되지 않는 제형의 안정화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이용한 스킨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액상형 조성물은 저온, 고온 및 가혹 조건에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이데벤논 함유 가용화타입 저 점도 스킨 제형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은 이데베논의 구조를 안정화하고 특히, 이데베논의 극성도(Polarity)가 높은 성질을 이용하여, 무 점도에 가까운 저 점도의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온, 고온 및 가혹 조건에서도 이데베논이 석출되거나 상 분리 또는 변색 없이 안정화됨으로써, 이데베논을 피부 내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형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을 저 점도 액상의 스킨 제형으로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이데베논과 가용화제가 용해된 가용화상에,
    극성오일과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함유된 수상이 투입되어 안정화되고,
    상기 극성오일, 가용화제 및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1: 0.3 내지 2.5: 0.5 내지 8 중량비로 포함되어 안정화된,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가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극성오일이 C12-C15 알킬벤조에이트, 메틸프로판디올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아크릴폴리머계 점증제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가 라우린산 데카글린 및 옥틸도데세스-16의 1: 1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유용한 활성성분을 함유한 활성상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이 저 점도 액상의 스킨 제형에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48613A 2018-04-26 2018-04-26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4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13A KR102042452B1 (ko) 2018-04-26 2018-04-26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613A KR102042452B1 (ko) 2018-04-26 2018-04-26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535A true KR20190124535A (ko) 2019-11-05
KR102042452B1 KR102042452B1 (ko) 2019-11-08

Family

ID=68542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613A KR102042452B1 (ko) 2018-04-26 2018-04-26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068A (ko)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312A (ja) * 1999-07-09 2003-05-13 ノイデッカー ビルギット 局所投与用の保護ならびに再生効果を有するイデベノン含有試薬
KR100785484B1 (ko) 2006-01-09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1521868B1 (ko) 2013-02-15 2015-05-20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KR101633639B1 (ko) * 2015-06-12 2016-06-27 정관영 자기회합 겔 특성을 이용한 세포막 유사 구조의 나노 겔타입의 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3464A (ko) * 2014-12-31 2016-07-12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0931A (ko) * 2013-12-25 2016-08-24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312A (ja) * 1999-07-09 2003-05-13 ノイデッカー ビルギット 局所投与用の保護ならびに再生効果を有するイデベノン含有試薬
KR100785484B1 (ko) 2006-01-09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1521868B1 (ko) 2013-02-15 2015-05-20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KR20160100931A (ko) * 2013-12-25 2016-08-24 닛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지질펩티드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스틱상 기재
KR20160083464A (ko) * 2014-12-31 2016-07-12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1727B1 (ko) 2014-12-31 2016-11-04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3639B1 (ko) * 2015-06-12 2016-06-27 정관영 자기회합 겔 특성을 이용한 세포막 유사 구조의 나노 겔타입의 에멀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068A (ko)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452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8789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having lamellar liquid crystal structure
WO2001051558A1 (fr) Microgels et preparations d&#39;application externe contenant ces microgels
JP2014097936A (ja) シリコーン油中水型マクロエマルジョン化粧料組成物
JP5373177B2 (ja) 再分散型粉末分散化粧料
AU2017210799A1 (en) Ripple-phase-containing composition,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external skin care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and alpha-gel composition using alpha-gel formation composition
CN111479547B (zh) 在内相中稳定化高含量炉甘石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US20150105476A1 (en) O/w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dosage form stability
JP2016060716A (ja) 白濁化粧料
KR102042452B1 (ko) 이데베논을 함유한 가용화 타입의 액상형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TW202027723A (zh) 穩定固體油性組分之低黏度化妝組成物
WO2011040013A1 (ja) 新規液晶組成物
CN107028774B (zh) 热稳定性悬浮化妆品组合物
WO2012137500A1 (ja) メラニン色素排出用組成物
JP5117208B2 (ja) 高極性油配合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及びその水中油型超微細エマルション外用剤の製造方法
JP2013091619A (ja) 化粧料
TW201625222A (zh) 呈分散液形式之化妝品及/或醫藥組成物、其製備方法及其用於皮膚處理之用途
EP3124049A1 (en)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ion of emulsion preparation type
JP2019108317A (ja) 日焼け止め組成物
TW202007390A (zh) 皮膚外用凝膠製劑
KR20210047425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433629B2 (ja) 透明液状化粧料用増粘剤
JAIN et al. Ketoconazole laden microemulsion based gel formulation against skin fungal infection
WO2010110048A1 (ja) 可溶化組成物
CN106806158B (zh) 一种水包油型乳化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4774691B2 (ja) ジメチルイソプロピルアズレン含有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