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886A -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3886A KR20220003886A KR1020200081679A KR20200081679A KR20220003886A KR 20220003886 A KR20220003886 A KR 20220003886A KR 1020200081679 A KR1020200081679 A KR 1020200081679A KR 20200081679 A KR20200081679 A KR 20200081679A KR 20220003886 A KR20220003886 A KR 202200038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ck gear
- door
- vehicle
- closing
- clos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70 chalcogen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4 immediate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2—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using Hall effec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기어와, 도어측에 배치되되 상기 랙기어과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랙기어가 통과하도록 절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며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서 랙기어를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랙기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랙기어를 위치를 확인하여 도어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랙기어가 통과하도록 절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며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서 랙기어를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랙기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랙기어를 위치를 확인하여 도어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에 도어의 개폐동작을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도어는, 그 도어를 통해 승하차시 또는 물건을 싣고 내릴 때 도어가 그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야만 승하차나 화물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나, 상기 도어힌지는 단순히 도어의 장착상태를 유지하고, 도어의 회동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일 뿐으로, 도어의 개폐 경로 중에 소정 각도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은 하지 못한다.
최근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열고 닫게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도어 개폐장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랙기어에 전달하여 도어의 자동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는, 도어의 닫힘정도를 ECU의 로직변환을 통하여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ECU를 통한 로직변환은 도어의 닫힘정도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기어와, 도어측에 배치되되 상기 랙기어과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랙기어가 통과하도록 절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며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서 랙기어를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랙기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랙기어를 위치를 확인하여 도어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감지부는,
랙기어와 커버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저항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가변된 저항으로 도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와 마주보는 랙기어의 일면에 배치되며 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랙기어의 일면에 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저항패턴부와, 상기 커버에 위치되며 도체부 또는 저항패턴부 중 어느 한 곳에 접촉되고 음극신호가 인가되는 제1접점과, 상기 커버에 위치되며 도체부와 저항패턴부 중 제1접점이 접촉되는 않는 부분에 접촉되고 양극신호가 인가되는 제2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랙기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마그네틱부와,
상기 커버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에 의하여 인식된 마그네틱의 극성변화를 인식하여 도어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위치를 파악한 후에 도어의 닫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위치를 랙기어 및 커버에 마련된 위치감지수단에 의하여 인식함으로서, 즉각적으로 도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신속하게 확실한 도어의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7의 일부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제어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7의 일부 확대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10)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11)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1)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기어(12)와, 도어측에 배치되되 상기 랙기어(12)와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1)는, 차체측에 부착되는 힌지구조로서 랙기어(12)를 힌지식으로 차체에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1)는 차체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랙기어(12)가 힌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힌지결합부(22)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랙기어(12)는 상기 고정부재(11)에 일단이 힌지식으로 고정된 바형태의 구조로서, 길이방향의 하면측에는 연속적인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부(20)의 피니언 기어(25)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길이방향의 상면측에는 별도의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된다.
상기 구동부(20)는, 하우징(30), 구동모터(22), 동력전달수단(미도시), 감지부(23) 및 제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측면도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30)의 내부공간은 외부와 기밀성이 있도록 밀폐되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라서 측면 도어 내에 빗물이 유입되어도 상기 빗물은 하우징(30) 내부공간에 유입되지 않아서 하우징(30) 내부에 마련된 각종 전자회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하우징(30)이 외부로부터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구성품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30)은 일측이 개방된 본체(211)와, 상기 본체(211)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211)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는 커버(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211)는 동력전달수단과, 전자제어장치가 마련된 방수부분과, 상기 방수부분의 일측에서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비방수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방수부분의 상부에는 랙기어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랙기어가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다. 절개부를 통하여 삽입된 랙기어는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비방수부분의 중앙에는 구동축에 끼워져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5)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피니언 기어(25)는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커버(212)는 상기 본체(211)과 결합하여 하우징과 협력하여 폐쇄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212)는 본체(211)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고 랙기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212)의 일면에는 표면에서 돌출되어 랙기어에 지지하도록 구성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랙기어는 절개부에서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에 의하여 측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요동없이 직선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22)는, 전기적 신호를 받아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30)의 본체(211)에 고정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2)에는 회전축(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미도시)은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상기 피니언 기어(25), 랙기어(12)와는 달리, 방수부분 내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50)은 웜휠(미도시), 클러치 부재(미도시), 변속기(미도시) 및 전자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 부재(미도시)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구분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지시에 의하여 구동모터(22)를 동작시켜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2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하는 것이다. 즉, 자동모드에서 클러치 부재는 구동모터(22)를 구동축(미도시)과 연결시켜 구동모터(22)에 의한 구동력이 구동축(미도시)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구동모터(22)가 회전하면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를 수동으로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22)와 구동축(미도시)과의 연결을 해제시킴으로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최근에는 딥투런이나 어시스트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약간 밀게 되면 도어가 밀리는 방향으로 도어를 이동시키거나, 자동차가 경사로에 위치하였을 때 사용자가 평상시 힘으로 도어를 밀어도 구동모터(22)가 보조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힘을 경감시키는 기술도 활용되고 있게 된다.
상기 변속기(미도시)는 구동모터(22)의 회전토크 및 회전속도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적은 토크를 가진 모터가 큰 힘을 가지면서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23)는, 랙기어의 위치를 즉각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랙기어의 위치를 감지하면 도어의 개방상태를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감지부(23)는, 랙기어와 커버(212)에 배치된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저항기로서, 도체부(231), 저항패턴부(232), 제1접점(233) 및 제2접점(234)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체부(231)는, 상기 커버(212)와 마주보는 랙기어의 일면에 배치되며 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도체부(231)는, 전도성이 좋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되 철, 구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직사각형 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체부(231)는 랙기어에서, 돌출부와 마주보는 일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도체부(231)는 돌출부에 마련된 제1접점(233)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항패턴부(232)는, 랙기어의 일면에 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으로서, 가변저항 물질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저항패턴부(232)는, 도체부(231)의 상측이나 하측에 도체부(23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랙기어에서 돌출부와 마주보는 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항패턴부(232)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강자성체 물질, 전이금속산화물, 페로브스카이트계 물질을 포함하는 금속산화물, 칼코게나이드계물질을 포함한 상변화물질, 강유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패턴부(232)는, 얇고 긴 띠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돌출부에 마련된 제2접점(234)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저항패턴부(232)의 양단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도체부(2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점(233)은, 상기 커버(212)의 돌출부에 위치하며 도체부(231)에 접촉되고 음극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접점(233)은 소정의 전원선(미도시)에 의하여 음극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음극신호는 제1접점(233)을 통해서 도체부(231)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접점(234)은 상기 커버(212)의 돌출부에 위치하며 저항패턴부(232)에 접촉되어 양극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2접점(234)은 소정의 전원선(미도시)에 의하여 양극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양극신호를 저항 패턴부에 연결하여 저항패턴부(232)에 양극신호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감지부(23)에 의하여 감지된 랙기어를 위치를 확인하여 도어의 상태를 판단하고, 구동모터(22)에 제어하여 도어의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는, 랙기어의 정지시 또는 랙기어의 이동하는 과정에서 감지부(23)에 의하여 인식된 저항값을 수신받으면 그 저항값에 의하여 초기 도어의 위치를 인식하거나 도어의 열린 정도를 가변된 저항으로 인식하여 필요하면 소프트 스탑 신호를 보내어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힌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음극신호 및 양극신호를 인가하면 이 신호가 제1접점(233)과 제2접점(234)을 통해서 도체부(231)와 저항패턴부(232)에 흐르게 되며 이러한 신호는 제어부(24)에 의하여 인식된다. 제어부(24)는 초기 도어의 위치를 인식한 후에, 도어의 오픈된 정도를 가변된 저항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제어부(24)는 필요하면 소프트 스탑 신호를 보내어서 구동모터(22)를 동작하게 하고 이에 다라서 도어의 닫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24)에 의하여 신호를 받은 구동모터(22)가 회전하게 되면 도어를 열거나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러한 본 발명은, 구동모터가 아닌 도어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랙기어와, 하우징에 감지부를 마련하고, 랙기어의 위치 및 열린 상태를 랙기어를 통해서 확인함으로서, 도어의 상태를 즉각적이면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고, 멈추는 등의 행동을 가하는 경우 감지부에 의하여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는 사용자의 의도를 즉각적이면서 정확하게 인식하여 빠르게 반응할 수 이게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는 제동력 및 클러치를 원활히 제어하기 위하여 고가의 전자식 브레이크 및 클러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감지부가 마련되어 있게 되면 손쉽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감지부를 가변저항기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식 홀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는 감지부(23')으로서, 마그네틱부(235)와, 홀센서(236)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부(235)는, 랙기어(12)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N극와 S극이 교대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홀센서(236)는, 홀효과를 이용하여 마그네틱부(235)의 자기장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마그네틱부(235)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홀센서(236)에 공급되고 홀센서(236)는 자기장의 세기(전류세기)에 비례하는 전압을 생성한다.
제어부(24)는, 상기 홀센서(236)에 의하여 생성된 전압을 확인하여 도어의 닫힘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는, 랙기어(12)에 마련된 마그네틱부(235)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하여 홀센서(236)에서 감지된 전압을 인식하여, 초기 도어의 위치를 인식하고 소프트 스탑 신호를 보내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도어 개폐장치 11...고정부재
12...랙기어 20...구동부
21...하우징 211...본체
212...커버 22...구동모터
23...감지부 231...도체부
232...저항패턴부 233...제1접점
234...제2접점 24...제어부
25...피니언 기어
12...랙기어 20...구동부
21...하우징 211...본체
212...커버 22...구동모터
23...감지부 231...도체부
232...저항패턴부 233...제1접점
234...제2접점 24...제어부
25...피니언 기어
Claims (5)
- 차체측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며 도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랙기어와, 도어측에 배치되되 상기 랙기어과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랙기어가 통과하도록 절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일측을 폐쇄하며 상기 랙기어를 지지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서 랙기어를 직선이동가능하게 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랙기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랙기어를 위치를 확인하여 도어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랙기어와 커버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저항기이며,
상기 제어부는, 가변된 저항으로 도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와 마주보는 랙기어의 일면에 배치되며 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도체부와, 상기 도체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랙기어의 일면에 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저항패턴부와, 상기 커버에 위치되며 도체부 또는 저항패턴부 중 어느 한 곳에 접촉되고 음극신호가 인가되는 제1접점과, 상기 커버에 위치되며 도체부와 저항패턴부 중 제1접점이 접촉되는 않는 부분에 접촉되고 양극신호가 인가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마그네틱부와,
상기 커버에 배치되며 상기 마그네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에 의하여 인식된 마그네틱의 극성변화를 인식하여 도어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위치를 파악한 후에 도어의 닫힘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679A KR102434976B1 (ko) | 2020-07-02 | 2020-07-02 |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1679A KR102434976B1 (ko) | 2020-07-02 | 2020-07-02 |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3886A true KR20220003886A (ko) | 2022-01-11 |
KR102434976B1 KR102434976B1 (ko) | 2022-08-23 |
Family
ID=79355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1679A KR102434976B1 (ko) | 2020-07-02 | 2020-07-02 |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497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5396A (ko) * | 2003-11-11 | 2005-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좌우구배인식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
KR20170006212A (ko) * | 2015-07-07 | 2017-01-17 | 주식회사 광진 |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
KR20180110373A (ko) * | 2017-03-29 | 2018-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
2020
- 2020-07-02 KR KR1020200081679A patent/KR1024349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5396A (ko) * | 2003-11-11 | 2005-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좌우구배인식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
KR20170006212A (ko) * | 2015-07-07 | 2017-01-17 | 주식회사 광진 | 자동차용 도어 체커 장치 |
KR20180110373A (ko) * | 2017-03-29 | 2018-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4976B1 (ko) | 2022-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98855B2 (en) | Sliding-door opening control apparatus | |
JP4489796B2 (ja) | 車両用開閉扉のパワー開閉装置 | |
JP3465735B2 (ja)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制御装置 | |
US20060168891A1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US7406377B2 (en) | Vehicle-use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 |
JP2007138500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EP1953324B1 (en) | Automatic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2005083169A (ja) | 車両用開閉装置 | |
CN112292506A (zh) | 车辆用门开闭装置 | |
JP2008005656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2007023586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2007009466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KR102434976B1 (ko) | 자동차용 도어 개폐장치 | |
JP4118107B2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4482383B2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4327539B2 (ja) | 開閉体の閉鎖駆動装置 | |
JP2006022513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CN114320073A (zh) | 移动体移动装置 | |
JP2007023700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2009221799A (ja) | 車両開閉体の駆動制御装置 | |
JP4956790B2 (ja) | 車両用開閉扉のパワー開閉装置 | |
JP4220399B2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2004027751A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5087468B2 (ja)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
JP5050274B2 (ja) | 車両用開閉扉のパワー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